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Microservice 구현 (with EDA,Hexagonal, DDD)
DTO 클래스의 위치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ㅎㅎ (강의에서 나온대로 패키지와 클래스를 구성한 상태입니다.) 혹시 DTO를 framework 패키지에 넣는 이유가 있을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UseCase나 InputPort에 framework 패키지에 대한 import가 생기기 때문에 의존성이 생긴다고 판단해 application에 DTO를 생성할 것 같습니다. 혹시 제가 생각하지 못한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강의 자료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자료 부탁드립니다.lsran1014@hanmail.net감사합니다.
-
해결됨처음하는 딥러닝과 파이토치(Pytorch) 부트캠프 (쉽게! 기본부터 챗GPT 핵심 트랜스포머까지) [데이터분석/과학 Part3]
실제 캐글 문제 풀고 제출해보며 성능 개선 기법 익히기8 강의에서 질문입니다
실제 캐글 문제 풀고 제출해보며 성능 개선 기법 익히기8 강의의 3:20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올립니다. 해당 코드에서는 저장된 model_efficientnet-b7_without_scheduler_adam_1e5_epoch20.pth 모델을 load할 때, model_efficientb7 = deepcopy(model) PATH = '/content/drive/MyDrive/Colab Notebooks/Dataset/Dogs vs Cats/' model_efficientb7.load_state_dict(torch.load(PATH + 'model_efficientnet-b7_without_scheduler_adam_1e5_epoch20.pth'))다음과 같이 model의 뼈대를 다시 구성한 후, load_state_dict 메소드를 이용하여 가중치 값을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이때, model_efficientb7 = deepcopy(model) 와 같이 그냥 model 객체가 아닌, deepcopy(model)을 사용한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deepcopy를 사용할 경우, 'model_efficientb7'과 'model' 객체는 서로 독립적인 객체로 유지된다는 점은 파악할 수 있었는데요,model_efficientb7에 적용되는 변화와는 별개로 model 객체 자체를 유지하려는 의도에서 사용한 것이라고 보면 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
해결됨C# 윈폼_ 응용프로그램 개발
수업자료 중에 ppt
수업 자료의 ppt로 쓰시는 건 따로 공유하지 않으시는 걸까요?ㅠㅠ
-
해결됨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feat. Node.js)
age 예외 처리를 별도로 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미 Schema 정의 할 때 age 를 number 로 했기 때문에, 디비에 저장할 때 number 값을 전달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해서 catch 에서 처리할 수 있을거 같은데요.업데이트 전에 필드를 validation 하면 모든 필드에 대해서 일일히 다 해줘야 할 것 같은데, 그렇게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그리고, catch 에러에서 number 값을 입력하지 않아서 발생한 오류임을 알 수 있는 방법(e.g., 에러 코드)이 있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섹션별 과제 정답코드
섹션별 과제 정답코드는 어디에 있나요? 포트폴리오 말고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시험에서 데이터 생성하는 것도 나올 수 있는건가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7번 문제 데이터 생성문 이해가 어렵고,index_col="Unnamed: 0" 도 뭔지 모르겠어요ㅠㅠ
-
미해결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feat. Node.js)
delete 메소드가 많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User.findOneAndDelete User.deleteOne User.findByIdAndDelete이렇게 많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이유가 있을까요?단순히 편의를 위한 것인지, 상황에 따라 골라쓰는게 성능적으로 좋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concat 후 라벨인코딩시 질문이에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df = pd.concat([X_train,y_train['Reached.on.Time_Y.N']],axis=1)cols = X_train.select_dtypes(include='object').columnsfor col in cols :le = LabelEncoder()X_train[col] = le.fit_transform(X_train[col])X_test[col] = le.transform(X_test[col]) x_train과 y_train을 합치는 이유는 x_train 에는 값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y_train에는 값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합치는 거라고 배웠던 것 같은데 맞나요? 그렇다면cols = X_train.select_dtypes(include='object').columns해당구문은cols = df.select_dtypes(include='object').columns이렇게 합쳐진 df에서 cols를 구해야 할 것 같다고 생각이 드는데 틀렸나요 ?혹은 해당 데이터는 x_train과 y_train 컬럼 값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X_train로 그냥 진행이된건가요 ?!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합니다.
-
미해결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feat. Node.js)
unique validation 처리
unique 에서 중복이 발생하면 catch 에 잡히는데, 이 때 unique 에러 때문에 발생한 에러인지 어떻게 알고 케이스를 나눠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 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빅데이터 분석기사 시험 실기(Python)
Dataset은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Dataset은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27:28 관련 질문입니다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하는 행렬에서 루트를 기준으로 하는 행렬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루트까지 부모의 월드를 곱한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부모의 월드"라는게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월드 행렬이 왜 개입하는건가요 ? 루트까지 부모의 SRT를 곱한다가 맞는 것 아닌가요 ??만약 루트까지 부모의 월드 행렬을 곱한다면 그냥 자기 자신의 월드 행렬이 나오지 않나요 ? 이해가 잘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 T1-19 질문
이 코드에서 밑에 두줄의 코드가 뜻하는 바를 알고싶습니다.위에 함수정의(def)코드를 주석처리해도 답은 나오던데윗코드랑 아랫코드는 같은 의미인가요?풀이 영상이나 강좌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ㅠㅜ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Form은 이미 모델에 들어가 있는거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검증오류가 날 시 BindingResult에 의해 들어가는 게 아니라,저렇게 인자로 받는 건 이미 모델에 들어가 주는거죠?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map과 filter를 이용하여 풀어보았습니다.
반복문 한가지로 해볼려고 했으나, 안될것 같네요 ㅠㅠ function solution(array) { return array.map((v) => { return array.length - array.filter((z) => v >= z).length + 1; }); } //console.log(solution([87, 92, 92, 92, 76])); console.log(solution([87, 89, 92, 100, 76]));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travis.yml 파일 작성하기 과정 중에 아무리해도 테스트가 성공이 안됩니다.
.travis.yml 파일 작성 후에 깃 커밋하고sudo: required language: generic services: - docker before-install: - echo "start creating an image with dockerfile" - docker build -t gonieyoo720/docker-react-app -f Dockerfile.dev . script: - docker run -e CI=true gonieyoo720/docker-react-app npm run test -- --coverage after_success: - echo "Test Success" 트래비스에까지 테스트를 돌렸는데, 몇번을 수정하고 해봐도트래비스에서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네요.오타 확인도 많이 해봤는데, 해결을 못하고있습니다.테스트에 중지되지않은 비동기작업이 있다고 오류를 해결하려면 devDependency를 추가하라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File | % Stmts | % Branch | % Funcs | % Lines | Uncovered Line #s --------------------|---------|----------|---------|---------|------------------- All files | 8.33 | 0 | 33.33 | 8.33 | App.js | 100 | 100 | 100 | 100 | index.js | 0 | 100 | 100 | 0 | 7-17 reportWebVitals.js | 0 | 0 | 0 | 0 | 1-8 --------------------|---------|----------|---------|---------|------------------- Test Suites: 1 failed, 1 total Tests: 1 failed, 1 total Snapshots: 0 total Time: 2.06 s Ran all test suites. Jest did not exit one second after the test run has completed. This usually means that there are asynchronous operations that weren't stopped in your tests. Consider running Jest with `--detectOpenHandles` to troubleshoot this issue. One of your dependencies, babel-preset-react-app, is importing the "@babel/plugin-proposal-private-property-in-object" package without declaring it in its dependencies. This is currently working because "@babel/plugin-proposal-private-property-in-object" is already in your node_modules folder for unrelated reasons, but it may break at any time. babel-preset-react-app is part of the create-react-app project, which is not maintianed anymore. It is thus unlikely that this bug will ever be fixed. Add "@babel/plugin-proposal-private-property-in-object" to your devDependencies to work around this error. This will make this message go away. The command "docker run -e CI=true gonieyoo720/docker-react-app npm run test -- --coverage" exited with 1. Done. Your build exited with 1.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같은 게 훨씬 정확하네요
훨~~~씬 더 정확한 것 같네요 https://aifortunedoctor.com/saju AI로 내 사주 진짜 잘 봐주네요 정확도 99%인 것 같은데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카카오 로그인 serializer 구현
안녕하세요 제로초님.passport-kakao를 이용해서 kakao 로그인을 구현해보고 있습니다.로그인과 회원가입 까지는 잘 되는데, serializer을 통해서 cookie가 저장되지 않습니다. kakako.strategy.tsimport { PassportStrategy } from '@nestjs/passport'; import { Strategy } from 'passport-kakao'; 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ConfigService } from '@nestjs/config'; import * as _ from 'lodash'; import { AuthService } from './auth.service'; import { Platform } from 'src/entities/common/Platforms'; @Injectable() export class KakaoStrategy extends PassportStrategy(Strategy) { constructor( private readonly configService: ConfigService, private authService: AuthService, ) { super({ clientID: configService.get<string>('KAKAO_REST_API_KEY'), clientSecret: configService.get<string>('KAKAO_CLIENT_SECRET'), callbackURL: configService.get<string>('KAKAO_REDIRECT_URI'), }); } async validate(accessToken, refreshToken, profile, done) { // eslint-disable-next-line @typescript-eslint/no-unused-vars const { _json: { id, properties: { nickname, profile_image: profileImage }, kakao_account: { email }, }, } = profile; const user = await this.authService.findOrCreateUser( email, nickname, Platform.KAKAO, ); return done(null, user); } } 아래에 있는 kakao-auth.guard.ts와 kakao.serializer.ts는 로컬 로그인과 다른 점이 없을 것 같아서 그대로 썼습니다. kakao-auth.guard.tsimport { ExecutionContext,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uthGuard } from '@nestjs/passport'; @Injectable() export class KakaoAuthGuard extends AuthGuard('kakao') { async canActivate(context: ExecutionContext): Promise<boolean> { const can = await super.canActivate(context); if (can) { const request = context.switchToHttp().getRequest(); await super.logIn(request); } return true; } } kakao.serializer.tsimport {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PassportSerializer } from '@nestjs/passport'; import { InjectRepository } from '@nestjs/typeorm'; import { Repository } from 'typeorm'; import { AuthService } from './auth.service'; import { Users } from 'src/entities/Users'; @Injectable() export class KakaoSerializer extends PassportSerializer { constructor( private readonly authService: AuthService, @InjectRepository(Users) private usersRepository: Repository<Users>, ) { super(); } serializeUser(user: Users, done: CallableFunction) { done(null, user.id); } async deserializeUser(userId: string, done: CallableFunction) { return await this.usersRepository .findOneOrFail({ where: { id: +userId }, select: ['id', 'email', 'nickname'], }) .then((user) => { done(null, user); }) .catch((error) => done(error)); } }이처럼 작성하면, 로그인 시 세션에 쿠키가 저장되어야 하는게 아닌가요?사실 강의에서 설명해주신 내용중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localStrategy에서 done(null, user) -> local-auth.guard.ts에서 super.logIn(request) -> local serializer 에서 serializeUser() 을 호출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세 가지 파일에서 LocalStrategy, LocalAuthGuard, LocalSerializer을 서로 명시적으로 연결해준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서로 잘 알아서 호출되는지 궁금합니다.그냥 앞에 모두 Local이 붙어서, 잘 찾아서 호출되는 건가요?
-
해결됨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실전문제풀이10 Qeustion7 질문입니다.
D 솔루션이 구현이 불가능한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cgpt, bard에게 물어도 자꾸 구현가능하다해서 궁금합니다.
-
미해결
[JPA, QUERYDSL] entity 순환참조 문제 질문
카테고리를 계단식 재귀 형태로 불러서 쓰고싶은데 해당 코드를 호출할 경우 영속성 문제로 조회가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혹시 해당 문제에 대한 답을 알고계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ㅠ // 오류 내용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Handler dispatch failed: java.lang.StackOverflowError] with root cause // 엔티티 @Entity data class VocCategoryEntity(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cate_seq", nullable = false) var cateSeq: Long? = null,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parent_cate_seq") var parentCategory: VocCategoryEntity? = null, @OneToMany( mappedBy = "parentCategory", targetEntity = VocCategoryEntity::class ) var childrenCategory: List<VocCategoryEntity>? = ArrayList() ) // 리포지토리 query .selectFrom(vocCategoryEntity) .leftJoin(vocCategoryEntity.childrenCategory) .fetchJoin() .fe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