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josn 변환 안됩니다.
ResponseEntity로 보냈는데 postman은 josn으로 반환되지 않고 postman에는 html으로 오류가 뜹니다 //Json반환 @RequestMapping(value = "/error-page/500", produces = 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public ResponseEntity<Map<String, Object>> errorPage500Api( 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log.info("API errorPage 500"); Map<String, Object> result = new HashMap<>(); Exception ex = (Exception) request.getAttribute(ERROR_EXCEPTION); result.put("status", request.getAttribute(ERROR_STATUS_CODE)); result.put("message", ex.getMessage()); Integer statusCode = (Integer) request.getAttribute(RequestDispatcher.ERROR_STATUS_CODE); return new ResponseEntity<>(result, HttpStatus.valueOf(statusCode)); }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데이터 JPA 수업 7분경 테스트 실행시 오류
안녕하세요 스프링 데이터 JPA수업 중 7:01 에서 처럼 통합테스트 코드를 실행했을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ㅠ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8)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faultTestContext.getApplicationContext(DefaultTestContext.java:124)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setUpRequestContextIfNecessary(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90)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prepareTestInstance(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32)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prepareTestInstance(TestContextManager.java:248)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postProcessTestInstance(SpringExtension.java:138)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lambda$invokeTestInstancePostProcessors$8(ClassBasedTestDescriptor.java:363)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executeAndMaskThrowable(ClassBasedTestDescriptor.java:368)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lambda$invokeTestInstancePostProcessors$9(ClassBasedTestDescriptor.java:363)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3$1.accept(ReferencePipeline.java:195)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2$1.accept(ReferencePipeline.java:177)at java.base/java.util.ArrayList$ArrayListSpliterator.forEachRemaining(ArrayList.java:1655)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copyInto(AbstractPipeline.java:484)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wrapAndCopyInto(AbstractPipeline.java:474)at java.base/java.util.stream.StreamSpliterators$WrappingSpliterator.forEachRemaining(StreamSpliterators.java:312)at java.base/java.util.stream.Streams$ConcatSpliterator.forEachRemaining(Streams.java:735)at java.base/java.util.stream.Streams$ConcatSpliterator.forEachRemaining(Streams.java:734)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Head.forEach(ReferencePipeline.java:658)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invokeTestInstancePostProcessors(ClassBasedTestDescriptor.java:362)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lambda$instantiateAndPostProcessTestInstance$6(ClassBasedTestDescriptor.java:28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instantiateAndPostProcessTestInstance(ClassBasedTestDescriptor.java:282)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lambda$testInstancesProvider$4(ClassBasedTestDescriptor.java:272)at java.base/java.util.Optional.orElseGet(Optional.java:369)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lambda$testInstancesProvider$5(ClassBasedTestDescriptor.java:271)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TestInstancesProvider.getTestInstances(TestInstancesProvider.java:31)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lambda$prepare$0(TestMethodTestDescriptor.java:102)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prepare(TestMethodTestDescriptor.java:101)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prepare(TestMethodTestDescriptor.java:66)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prepare$2(NodeTestTask.java:12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prepare(NodeTestTask.java:12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0)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4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4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5)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4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4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5)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submit(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5)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xecutor.execute(HierarchicalTestExecutor.java:5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ngine.execute(HierarchicalTestEngine.java:54)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107)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88)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lambda$execute$0(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4)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withInterceptedStreams(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67)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2)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114)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86)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Session$Delegating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Session.java:86)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SessionPerRequestLauncher.execute(SessionPerRequestLauncher.java:53)at com.intellij.junit5.JUnit5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5IdeaTestRunner.java:57)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5)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4)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ntityManagerFac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Configuration.class]: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Unable to create requested service [org.hibernate.engine.jdbc.env.spi.JdbcEnvironment]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620)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42)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5)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3)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8)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getBea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1154)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08)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583)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31)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08)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07)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oad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java:136)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Internal(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41)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0)... 71 moreCaused by: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Unable to create requested service [org.hibernate.engine.jdbc.env.spi.JdbcEnvironment]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75)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37)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4)at org.hibernate.id.factory.internal.DefaultIdentifierGeneratorFactory.injectServices(DefaultIdentifierGeneratorFactory.java:175)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jectDependencies(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86)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43)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14)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init>(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73)at org.hibernate.boot.model.process.spi.MetadataBuildingProcess.complete(MetadataBuildingProcess.java:127)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metadata(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60)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94)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createContainerEntityManagerFactory(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java:58)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createNativeEntityManagerFactory(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65)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buildNativeEntityManagerFactory(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409)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396)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41)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vokeInitMethods(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63)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0)... 86 moreCaused by: org.hibernate.HibernateException: Access to DialectResolutionInfo cannot be null when 'hibernate.dialect' not setat org.hibernate.engine.jdbc.dialect.internal.DialectFactoryImpl.determineDialect(DialectFactoryImpl.java:100)at org.hibernate.engine.jdbc.dialect.internal.DialectFactoryImpl.buildDialect(DialectFactoryImpl.java:54)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138)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35)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initiat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01)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63)... 103 more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ModelAttribut 검증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Field Error를 사용하면 잘못된(검증에 실패한) 값이 입력될 경우 따로 값을 보관해서 다시 웹화면에 값을 보여준다고 강의에서 말씀하셔서 그 부분은 이해 하였습니다.//ValidationItemControllerV1 @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ModelAttribute Item item, RedirectAttributes redirectAttributes, Model model) { Map<String, String> errors = new HashMap<>(); if (!StringUtils.hasText(item.getItemName())) { errors.put("itemName", "상품 이름은 필수입니다."); } if (item.getPrice() == null || item.getPrice() < 1000 || item.getPrice() > 1000000) { errors.put("price", "가격은 1,000 ~ 1,000,000까지 허용합니다."); } if (item.getQuantity() == null || item.getQuantity() >= 9999) { errors.put("quantity", "수량은 최대 9,999까지 허용합니다"); } if (item.getPrice() != null && item.getQuantity() != null) { int resultPrice = item.getPrice() * item.getQuantity(); if (resultPrice < 10000) { errors.put("globalError", "가격 * 수량의 합은 10,000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현재 값 = " + resultPrice); } } if (!errors.isEmpty()) { log.info("error = {}", errors); model.addAttribute("errors", errors); return "validation/v1/addForm"; } Item savedItem = itemRepository.save(item);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itemId", savedItem.getId());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status", true); return "redirect:/validation/v1/items/{itemId}"; }하지만 V1의 코드를 보면 bindingResult, fieldError등 관련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데도 검증에 실패한 값이 유지가 되면서 웹 화면에 그래도 출력됩니다. (타입이 잘못된 경우는 오류가 나면서 오류페이지를 출력합니다.)V1은 순수한 자바코드로 작성 되었고 스프링을 사용해서 @ModelAttribute를 사용해서 객체를 view에 전달하는데 혹시 @ModelAttribute에서 잘못된 값을 임시로 저장해서 출력하는 건가요??질문이 뜬금없지만 이부분이 찝찝해서 찾아봐도 쉽게 알 수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 페이지 이동시 에러가 떠요!
.
-
해결됨아키텍처 패턴 with iOS - GUI Architecture Patterns(이론)
질문 드려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다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 중 Massive View Controller? 라는 챕터에서 강사님이 설명해주신 UIViewController의 책임을 제외한 네트워크통신 로직 또는 로컬데이터 저장하는 로직등에 관한 코드등을 임의로 Controller에 추가하면 비대해질 수 있다고 하셨는데 두 가지 예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로직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PDS의 사상으로 나누면 도메인으로 생각하는 것이 맞을까요?🤔 CocoaMVC에서 해당 로직 등에 관한 정확한 제시가 없는 부분이 개발환경에 따른 영향이 아닌 CocoaMVC아키텍처 패턴에서 문제로 봐야될까요? 🤔 CocoaMVC에서 해당 로직 등은 그럼 어디에 담당하는 것이 맞는지? 고민이 됩니다. 따라서 CocoaMVC에서 다른 아키텍처패턴등이 파생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PA와 NoSQL의 관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JPA를 공부하면서 궁금한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JPA는 ORM이므로 RDMS와 연결되는거로 알고있습니다. 현재 제가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NoSQL와 JPA를 동시에 경험해볼 수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고자하는데.. NoSQL은 JPA와 아예 연결지을 수가 없는지 궁금합니다.강의 잘 듣고있습니다.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build.gradle useJUnitPlatform인식 안됨
강의 9분쯤 나오는 build.gradle 설정과 제 gradle에서useJUnitPlatform 부분이 달라서 그런지 useJUnitPlatform이 회색글씨로 나오고 인식이 되지 않습니다 project와 SDKs에서 자바버전은 자바11로 동일하게 맞춰놓은 상태입니다 직접 코드를 수정해 reload 하는 방법밖에 없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로그인 - 서블릿 HTTP 세션2 - TrackingModes 관련 문의드립니다.
로그인 - 서블릿 HTTP 세션2에서 로그인을 처음 시도하면 URL이 jsessionid 를 포함하고 있는데 - 리다이렉트되는 페이지는 MVC2 강의 처음에 생성했던 static/index.html로 리다이렉트 됩니다.(MVC 강의 1부터 2까지 하나의 프로젝트에 설정하고 있어서 - 이전의 실습내용도 삭제하지 않은 상황입니다.)물론 application.yml에 server.servlet.session.tracking-modes=cookie 적용해주면 강의와 똑같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위에서처럼 index.html이 나오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스프링 부트 메시지 소스 설정 설명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자료에서 설명할 때 application.properties 에 spring.messages.basename=messages,config.i18n.messages 로 설정 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저 표현식은 해석하면 message 관리 파일을 messages 디렉토리와 config.i18n.messages 디렉토리로 관리하도록 설정한다고 이해하면 될 까요? config.i18n.messages가 어떤 의미인지 그냥 경로를 표시한건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inline variable 으로 합치는거랑 코드로 적는가랑 다른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강의 를 보다보면 inline variable 단축키누르셔서 코드 합치는거 좋아하신다면서 코드합치시는데예를들어 aop 적용 영상에 3분 40초 대쯤 보면Object result = joinPoint.proceed(); return result; 을 단축키로 return joinPoint.proceed();처럼 바꾸시는데저렇게 단축키로 하면 눈에안보여도 뭔가 연결이 생기는건가요?외관적으로는 Object result 를 지우고 return 에 추가한것과 같아보이는데 그냥 타이핑하는거랑 의미가 다른건가요?아니면 그냥 적어도 상관 없고 똑같은건가요?감사합니다!
-
해결됨[React 1부] 만들고 비교하며 학습하는 React
TabLabel의 Key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사님께서 TabLabel을 아래와 같이 작성하셨는데, Key에 []가 들어가 있는 경우는 처음 보아서요.const TabLabel = { [TabType.KEYWORD]: "추천 검색어", [TabType.HISTORY]: "최근 검색어", };Key를 배열로 선언하신 것인가요? 이와 관련된 문법은 어디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
해결됨[React 1부] 만들고 비교하며 학습하는 React
storage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코드 변경 사항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storage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현재 기준으로 어떤 부분의 코드를 변경하는 것이 좋을지 문의드립니다.현재 코드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적인 데이터(storage.js)를 main.js에서 주입해주는데요.// main.js import Store from "./store.js"; import storage from "./storage.js"; function main() { const store = new Store(storage); new Controller(store, views); } 만약 storage 데이터를 ajax를 통해 동적으로 받아온다면, main.js와 Controller.js는 그대로 두고 Storage.js와 storage.js 파일만 변경하면 되나요?즉, 아래 코드 주석처럼 하면 될까요? 또한, AJAX 요청은 Controller와 Storage 중 어느 부분에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Controller.js // 변경 없음 export default class Controller { constructor(store, { searchFormView, searchResultView }) { this.store = store; this.searchFormView = searchFormView; this.searchResultView = searchResultView; this.subscribeViewEvents(); } subscribeViewEvents() { this.searchFormView .on("@submit", (event) => this.search(event.detail.value)) // } search(searchKeyword) { this.store.search(searchKeyword); } }// storage.js // 데이터를 빈 배열로 변경 const storage = { keywordData: [], historyData: [], productData: [], }; export default storage;// Store.js export default class Store { constructor(storage) { if (!storage) throw "no storage"; this.storage = storage; this.searchKeyword = ""; this.searchResult = []; } search(keyword) { this.searchKeyword = keyword; this.searchResult = // 여기서 AJAX 요청을 통해 storage.js의 상태 관리? 아니면 Controller에서 AJAX 요청? }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쓰레드 컨텍스트 스위칭 관련 질문 드립니다.
먼저, 제가 컨텍스트 스위칭에 대해 알고 있던 내용은 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인데, CPU 코어 하나당 하나의 프로세스만 점유를 할 수 있기에, 한 코어에서 여러 프로세스를 번갈아 가며 수행하기 위해 컨텍스트 스위칭이 일어난다고 알고 있습니다. 궁금증이 생긴 부분은 쓰레드 컨텍스트 스위칭의 구조와 스프링 웹플럭스에서 쓰레드의 개수를 CPU 코어의 개수에 따라 설정해두어 성능을 높인다는 부분입니다. 쓰레드는 프로세스에 종속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한 프로세스 안에서 여러 쓰레드가 생성 될 수 있는 건 알지만, 그렇게 생성된 여러 쓰레드 간에 컨텍스트 스위칭이 일어난다는 것은, 무엇을 점유하기 위해 발생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프로세스는 CPU 코어를 점유하기 위해 컨텍스트 스위칭이 일어나기에, 쓰레드도 CPU 코어를 점유하기 위해 컨텍스트 스위칭이 일어난다 생각해보기는 조금 모순인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또한, 스프링 웹플럭스에 관련한 부분도, 한 프로세스는 하나의 CPU를 점유하기에 그 프로세스 안에서 생성된 쓰레드 또한 해당 프로세스가 점유한 CPU 코어에만 관련되어 수행된다고 생각했는데, 쓰레드 개수를 CPU 개수에 맞췄다는 말은 쓰레드를 생성한 프로세스가 점유한 CPU 코어 외 다른 코어도 쓰레드가 쓸 수 있다는 것인가 싶어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안녕하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athvariable 을 쓰는 경우와 requestparam 을 쓰는 경우가 나뉘어져 있나요? 아니면 둘의 역할이 달라 다르게 쓰는 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Controller 중 addAttribute
이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위에 Model에서 오류나는 부분은 다른분의 질문을 보고 해결했는데 이 부분은 질문을 찾지 못해 올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이 더이상 @RequestMapping이 붙은 클래스를 매핑 정보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8분 경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은 스프링 빈 중에서 @RequestMapping 또는 @Controller가 클래스 레벨에 붙어 있는 경우 매핑 정보로 인식한다 하였는데, 스프링 6 버전 이후부터는 @RequestMapping은 인식하지 않게 변경된 것 같아 말씀 드립니다. 관련 커밋 링크 참조합니다!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framework/commit/3600644ed1776dce35c4a42d74799a90b90e359e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afterCompletion 에서의 에러 로깅
안녕하세요, afterCompletion() 에서 에러 로깅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현재 강의에서는 컨트롤러에서 예외가 터지면 afterCompletion() 의 파라미터 ex 가 널이 아니니까 이 ex를 통해 어떤 에러가 났는지 로깅을 해주고 있습니다.그렇다면 만약 @ExceptionnHandler 를 이용해 컨트롤러의 예외처리를 한다면 이 ex 는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될까요?(거의 사용을 안 하게 될 것 같은데, 맞나요?)항상 영한님과 서포터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direct RestController
안녕하세요.redirect를 써서 새로고침 시에중복 방지하는 것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만약에,restcontroller일 경우즉 값만 받아서 저장하고 값만 돌려주는 경우에는따로 redirect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거죠?예를들면 javascript로 ajax를 사용해서값을 보내고 저장(또는 삭제, 수정) 하는경우일 때가 궁금한것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input tag에 타임리프로 chekced를 넣는 방법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타임리프에서 chekced를 표기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html 소스보기 사진<div class="form-check form-check-inline"> <input type="radio" value="ETC" class="form-check-input" id="itemType3" name="itemType" /> <label for="itemType3" class="form-check-label" checked="checked" >기타</label> </div> 소스코드 <!-- radio button --> <div> <div>상품 종류</div> <div th:each="type : ${itemTypes}" class="form-check form-check-inline"> <input type="radio" th:field="*{itemType}" th:value="${type.name()}" class="form-check-input" th:checked="${(type.description == '기타')? 'true':'false'}" /> <label th:for="${#ids.prev('itemType')}" th:text="${type.description}" class="form-check-label" th:checked="${(type.description == '기타')? 'true':'false'}" > BOOK </label> </div> </div>위처럼 표시했는데 label 태그에는 나오고 input태그에는 나오지가 않습니다 ㅠ 이유가 무엇일까요? 또 thymeleaf로 표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리고 formController에서 초기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직접 해봤습니다! 타임리프에서 조건을 줘서 checked를 주는 방식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process(paramMap,model) 질문
String viewName= controller.process(paramMap,model) 을 하게 되면 무슨 값이 들어가게 되나요?paramMap과 model 자체가 map 형태인데 어떻게 string 으로 치환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process 메서드를 제가 잘 이해를 못한건지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