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파이썬 다운로드 오류
이렇게 화면이 뜰때는 머가 잘못된건가요?
-
해결됨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200이나 201인데 body에 데이터가 없어도 되는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204 No Content 응답 페이로드에 보낼 데이터가 없다는 말을 보고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질문1)200이나 201은 응답 메시지 body에 데이터를 넣는데,200이나 201인데도 body에 데이터가 없어도 되나요? 데이터가 없으면 꼭 204여야 하나요? 질문2)그리고 웹 문서 편집기에서 save를 누르는 상황에 204를 안 쓰고 200 혹은 201을 써도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이 경우엔 201은 될 것 같기도 한데, 200은 안 되려나요? save를 하면 리소스를 등록(?)하는 거니깐 201이 적합한가요?
-
해결됨ProtoPie Master Courses (프로토파이 마스터 클래스)
디비이스 센서 활용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유익한 강의 잘 듣고 있어요.그런데 교재_sound 2를 공부하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려요.선생님은 데시벨 측정 인터랙션을 만드실 때, 이렇게 만드셨는데Sound 트리거rotate 리스폰스: 바늘 지정레인지 1 (40 ~ 80dB : 337 ~ 23angle)Chain 트리거: 바늘, rotate 값 지정Assign: db(변수) 지정레인지 1(337~360 : 0~50)레인지 2(0 ~ 23 : 50~100)Detect 트리거: 바늘, rotate 값 지정 Text 리스폰스: format(db, "###") + "db" Sound 트리거 안에, Assign을 넣으면 안되는 걸까요?따로 Chain 트리거를 만들고 Assign을 추가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Sound 트리거Rotate 리스폰스: 바늘 지정레인지 1 (40 ~ 80dB : 337 ~ 23angle)Assign: db(변수) 지정레인지 1 (40~80 db : 0~100 value) Detect 트리거 : db(변수) 지정Text 리스폰스: format(db, "###") + "db" 정리하자면...Sound 트리거에서, Assign으로 dB값을 변수에 넣지않고 체인을 쓰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요.(두 방법 사이에 차이를 잘 모르겠어요 🥲)Detect도 데시벨 값을 받아서 텍스트로 나타내라는 것인줄 알았는데, 로테이션 값을 쓰는 이유가궁금해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에 Member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아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렇게 컴파일 할 때 테이블이 실행되는 줄이 강의처럼 출력되지 않고 h2 에도 실제로 만들어지지 않아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void 타입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리액트 강의 듣고 너무 좋아서 타입스크립트 까지 공부하고 있습니다 !!void 타입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void 타입은 반환 값이 없을 때 사용하는 타입으로 알고 있습니다.(현재 5.1 버전부터는 함수의 반환 값이 없을 때 자동으로 undefined가 반환되니, undefined 타입을 반환 값으로 넣어줘도 문제가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반환 값이 void 타입으로 설정하면 반환 값이 있으면 에러가 나야 맞는거 같은데, 반환 값으로 전달 받은 매개변수를 던져줘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msg가 반환되는데 이게 어떻게 가능한걸까요..?제가 잘못 이해하거나 잘못 작성한게 있는걸까요?? const hello: (msg: string) => void = (msg) => { return msg }; const h1 = hello('테스트'); console.log(h1); // '테스트'
-
해결됨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 기한 연장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혹시 강의 기한 연장을 할 수 없을까요?연말이라 회사일이 너무 바빠서 다 듣지 못했습니다 ㅠㅠ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4-A_19942 인덱스 질문
http://boj.kr/40440de5cbbb48f59125df1e7e30c453질문 3개가 있습니다.1.모든 경우의 수를 찾는 아래의 코드에서 i=0이 아닌 1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식재료를 아무것도 고르지 않는 경우의 수는 없기 때문인가요?(최소 1개 이상 식재료를 골라야 하기 때문인가요?) 그러면 그냥 0부터 시작해도 어차피 결과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니 그냥 0부터 시작해도 문제는 없겠죠?for (int i=1; i< (1<<n); i++) map은 key-value 쌍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래 코드에서 ret_v의 형태는 (key, value)쌍 으로 (최소 ret 비용, {{1,2,3}, {2,4,5}})이런식으로 들어가 있는건가요? map<int, vector<vector<int>>> ret_v;...if(b>=mp && c>=mf && d>=ms && e>=mv){ if(ret>=sum){ ret=sum; ret_v[ret].push_back(v) 3.처음에 key를 생성할때 insert로 집어 넣어야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그러면 ret_v[ret].push_back(v)말고 ret_v.insert({ret, {v});이런식으로 넣어도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th:field 태그에 대해서
th:field="*{itemName}" 이 태그의 *{itemName}" 은ValidationItemControllerV2 클래스에있는bindingResult.addError(new FieldError("itm", "itemName","상품 이름은 필수 입니다"));이 코드의 "itemName"과 매핑되는게 맞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train data와 test데이터 분리할때 트레인데이터의 쉐입을 이용한다는 말과 라인을 사용한다는 뜻이 뭐에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해결됨실무자가 알려주는 CANoe (For CAN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비
섹션2까지 수강한 상태입니다.실습을 해보고 싶은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비를 구매해서 사용하기는 너무 고가인데요. 대체 가능한 것이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수업을 듣다보니 제가 잘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해서...
이렇게 이해해도 괜찮을까요?
-
미해결
자바스크립트가 적용이 안되요.
[HTML]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link rel="stylesheet" href="style/style.css"> <link rel="stylesheet" href="https://use.typekit.net/frx5mqp.css"> <title>Weather</title> </head> <body class="sunny"> <section class="poster background sunny"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rgba(224, 224, 224, 0.72) -7.6%, #D9D9D9 27.12%, rgba(226, 226, 226, 0.96) 32.55%, rgba(255, 255, 255, 0.82) 49.92%, rgba(191, 191, 191, 0.62) 79.46%, rgba(223, 223, 223, 0.31) 104.34%, rgba(190, 190, 190, 0.00) 113.67%);"> <div class="sun-circle"> <div class="sunny-sun"> <svg width="528" height="519" viewBox="0 0 528 519" fill="none" xmlns="http://www.w3.org/2000/svg"> <path d="M286.829 287.338L439.324 453.847M76.8288 55.338L229.324 221.847M301.967 256.151L527.749 254.527M48.4299 427.536L225.204 287.069M300.43 225.536L477.204 85.0692M256.485 292.987L260.015 518.747M1 253.527L226.784 254.864M254.485 1L256.879 226.775" stroke="#BE0505" stroke-width="5"/> </sv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title"> <h1>맑음</h1> <h2>Sunny</h2> </section> <section class="contents"> <div> <p class="latitude">37°33'58.87"N</p> <p class="longitude">126°58'40.63"E</p> </div> <div class="calendar"> <div class="month">03</div> <div>月</div> <div class="day">10</div> <div>日</div> </div> <div> <p class="location">Gangnam-gu, Seoul</p> <p class="time">14:00 03/10/2023</p> </div> </section> <section class="poster forward"></section> <script src="./js/index.js"></script> </body> </html> document.querySelector(".sun-circle").onclick = function(){ document.querySelector(".sun-circle").style.background="FF0000"; }; 처음에 console.log("document.querySelector(".sun-circle")"); 했을때는 sun circle div요소가 나왔는데,위에 문법을 쓰니깐 적용이 안되고, document is not defined라고 에러 문구가 뜹니다. 찾아보니 node때문에 그렇다는데..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안되고 왜 적용이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ㅜㅜ vscode써서 작업하는데 라이브 서버로 미리보기 해도 console.log 안에 넣어 실행할때는 되는데. onclick코드 쓰면 미리보기의 console칸에 아무것도 안나와요ㅜㅜ... node js에서 원래 실행이 안되는 거면, node를 지우고 vscode를 실행해야 하나요...? js코드 넣고 실행하면, vscode 에서 아래와 같이 에러메세지가 뜹니다. ReferenceError: document is not defined at Object.<anonymous> (/Users/Downloads/코딩 연습/Example02/js/index.js:1:1) at Module._compil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376:14) at Module._extensions..js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435:10) at Module.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207:32) at Module._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023:12) at Function.executeUserEntryPoint [as runMain] (node:internal/modules/run_main:135:12) at node:internal/main/run_main_module:28:49 Node.js v21.1.0 [Done] exited with code=1 in 0.369 seconds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flutter doctor cocoapods 설치 오류
intel mac 유저입니다.강의에서 말씀하신대로 homebrew 통해서 cocoapods 설치 한 후 flutter doctor 실행 하는데 계속 저런 화면이 뜨네요...해결해 보려고 sudo gem install cocoapods 실행하면이런 화면이 뜨구요...해결 방법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동SpringBean등록 : @Bean을 사용, @Autowired사용X , 자동SpringBean등록 : @Component, @Autowired사용 이렇게가 맞을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이 질문을 주변 사람에게 해봤더니 @Autowired는 의존성 주입과 관련된 부분이라 자동이든 수동이든 상관없이 @Autowired를 사용한다는 얘기를 들어서요..하지만 수동일땐 @Autowired를 사용안하던 것 같은데... 수동일 때도 @Autowired를 쓰긴 쓰나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ReadLock 부분 질문입니다.
public void ReadLock() { while(true) { for(int i = 0 ; i < MAX_SPIN_COUNT; i++) { int expected = (_flag & READ_MASK); if(Interlocked.CompareExchange(ref _flag, expected + 1, expected) == expected)) return; } Thread.Yield(); } }해당 강의에서 작성해주신 ReadLock 부분 코드인데,ReaderWriterLock에 경우 특정 쓰레드가 WriteLock을 잡고 있을 경우 ReadLock을 사용하지 못한다고 알려주셨는데 int expected = (_flag & READ_MASK)위 코드는 Reader 부분만 긁어오니 Write를 잡고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지 않는데위에 if(_flag & WRITE_MASK >> 16 == 0)와 같은 Write를 잡고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조건문을 하나 추가해야하는 것 아닌가하는 의문이 남아 질문 남깁니다.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서블릿과 스프링 또는 스프링부트의 구분??이 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서블릿이 비즈니스로직실행 외 모든걸 다 제공해 준다고 설명이 나오는데, 스프링이나 스프링부트도 결국엔 서블릿이 모든걸 내부에서 처리해주는 건가요? 아님 별개로 생각해야 하는걸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섹션 13 대댓글 과제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과제로 받은 자유게시판 대댓글 기능 구현과 관련한 질문이 있어 글 남깁니다 우선 포트폴리오 과제를 진행할 때 사용하는 플레이그라운드 주소는https://backend-practice.codebootcamp.co.kr/graphql다음과 같습니다 플레이그라운드를 확인해보니 대댓글과 관련된 쿼리와 뮤테이션은UseditemQuestions, UseditemQuestionAnswers 인 것 같은데요대댓글과 관련된 다른 질문들을 통해 댓글=질문, 대댓글=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생각하면 된다는 답변을 보았습니다 현재 자유게시판 댓글과 관련된 과제를 진행할 때 사용한 쿼리와 뮤테이션은BoardComments 인데요그러면 BoardComment 쿼리와 뮤테이션을 사용해 구현한 댓글 기능을 UseditemQuestion으로 변경해야 대댓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건가요?
-
미해결[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댓글 삭제 시 애니메이션 추가하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댓글 수정, 삭제 구현중에 있습니다.강의 과정에는 없지만 추가적으로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댓글을 삭제하는 경우, 바로 반영되어 댓글이 삭제되기는 하나애니메이션을 적용시켜 천천히 사라지며 삭제되는 코드를 짜고싶습니다.현재 TransitionGroup, CSSTransition, keyframes 컴포넌트를 사용해애니메이션은 적용이 되고 있으나, 삭제시 삭제되는 해상 댓글에만 적용하기는 너무 어렵네요생각하기로는, 해당 댓글의 id 값을 스타일시트로 받아와서 스타일시트에서 해당 _id의 댓글만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면 될 것 같은데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어떻게 하면 좋을지 힌트라도 얻을 수 있을까요? import { getDateTime } from '../../../../commons/libraries/utils'; import * as S from './BoardCommentDetail.styles'; import { TransitionGroup, CSSTransition } from 'react-transition-group';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CommentDetailUI(props) { useEffect(() => { // 댓글이 변경될 때 추가적인 정리 또는 부작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props.data?.fetchBoardComments]); return ( <div> <TransitionGroup> {props.data?.fetchBoardComments.map((el) => ( <CSSTransition> <S.CommentWrapper> <S.Comment> <S.ProfileImg> <img src={`/img/profileIcon.svg`} width={48} height={48} /> </S.ProfileImg> <S.CommentContentsArea> <S.CommentContentsWriter> <S.ContentsWriter>{el.writer}</S.ContentsWriter> <S.ContentsRate value={el.rating} disabled /> </S.CommentContentsWriter> <S.CommentContents>{el.contents}</S.CommentContents> <S.CommentDate>{getDateTime(el.createdAt)}</S.CommentDate> </S.CommentContentsArea> <S.WriterIconWrapper> <img src={`/img/mode-24px.svg`} /> </S.WriterIconWrapper> <S.WriterIconWrapper id={el._id} onClick={() => props.onClickDeleteComment(el._id)} > <img src={`/img/clear-24px.svg`} /> </S.WriterIconWrapper> </S.Comment> </S.CommentWrapper> </CSSTransition> ))} </TransitionGroup> </div> ); }import { useMutation, useQuery } from '@apollo/client'; import { FETCH_BOARD_COMMENTS, DELETE_BOARD_COMMENT, } from './BoardCommentDetail.queries';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import BoardCommentDetailUI from './BoardCommentDetail.presenter';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CommentDetail()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commentIdToDelete, setCommentIdToDelete] = useState(null); const { data, refetch } = useQuery(FETCH_BOARD_COMMENTS, { variables: { boardId: router.query.boardId }, }); const [deleteBoardComment] = useMutation(DELETE_BOARD_COMMENT); const onClickDeleteComment = async (commentId) => { setCommentIdToDelete(commentId); const isConfirmed = window.confirm('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if (isConfirmed) { try { const passwordConfirmation = prompt('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await deleteBoardComment({ variables: { boardCommentId: commentId, password: passwordConfirmation, }, }); alert('댓글이 삭제되었습니다.'); refetch(); } catch (error) { console.error('댓글 삭제 중 오류 발생', error); } } }; return ( <BoardCommentDetailUI data={data} onClickDeleteComment={onClickDeleteComment} /> ); }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이 방식은 괜찮을까요?
import sys sys.stdin = open('in5.txt', 'r') if __name__ == '__main__': n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dy = [0] * n dy[0] = 1 for i in range(1, n): sub = i - 1 while True: if sub < 0: break else: if arr[i] > arr[sub]: dy[i] = max(dy[i], dy[sub] + 1) sub -= 1 else: dy[i] = max(dy[i], 1) sub -= 1 print(max(dy))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비밀번호 해결 문제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비밀번호가 맞지 않는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