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AWS 배포 완벽가이드 (feat. Lightsail, Docker, ECS)
안녕하세요 ECS를 활용한 ETL 작업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현재 강사님의 강의를 듣고 크롤러와 ETL 배치 파이프라인을 ECS로 배포해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해당 크롤러와 배치 잡은 모두 api가 아닌 스크립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경우, 클러스터 내 서비스는 생성할 필요 없이, 태스크로만 필요할 때마다 생성하면 되나요? 아님 서비스도 사용하면 좋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정적 리소스와 동적 리소스를 응답으로 보낼 때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정적 리소스의 경우 src/main/resources/static에 있는 정적 리소스를 제공하고 동적 리소스의 경우 src/main/resources/templates에 있는 동적 리소스를 제공한다 하셨는데 이게 application.properties에 접두사와 접미사를 따로 지정해주지 않아도 스프링이 알아서 요청 url에 붙여서 해당 경로에 있는 자원을 제공해준다는 의미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No Persistence provider for EntityManager named hello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No Persistence provider for EntityManager named hello라는 에러가 뜨는데요, persistence.xml 경로도 확인해봤고, 캐시 지우고 다시 빌드해도 여전히 persistence-unit name 을 못찾는것 같습니다. xml 파일은 슬라이드 그대로 복사하여 사용 했고, 디펜던시는 조금 다릅니다. 사진과 pom.xml을 첨부합니다. 디펜던시에 추가해야할 것이 있는건지, 아니면 경로를 왜 못찾는 걸까요,,?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maven.apache.org/xsd/maven-4.0.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groupId>jpa-basic</groupId> <artifactId>ex1-hello-jpa</artifactId> <version>1.0.0</version> <properties> <maven.compiler.source>8</maven.compiler.source> <maven.compiler.target>8</maven.compiler.target> </properties>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hibernate.orm</groupId> <artifactId>hibernate-core</artifactId> <version>6.2.6.Final</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hibernate.javax.persistence</groupId> <artifactId>hibernate-jpa-2.1-api</artifactId> <version>1.0.0.Final</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javax.xml.bind</groupId> <artifactId>jaxb-api</artifactId> <version>2.3.1</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h2database</groupId> <artifactId>h2</artifactId> <version>1.4.199</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project> <?xml version="1.0" encoding="UTF-8"?> <persistence version="2.2" xmlns="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persistence_2_2.xsd"> <persistence-unit name="hello"> <properties> <!-- 필수 속성 -->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driver" value="org.h2.Driver"/>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ser" value="sa"/>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password" value=""/>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rl" value="jdbc:h2:tcp://localhost/~/test"/> <property name="hibernate.dialect" value="org.hibernate.dialect.H2Dialect"/> <!-- 옵션 --> <property name="hibernate.show_sql"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format_sql"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use_sql_comments"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hbm2ddl.auto" value="create" />--> </properties> </persistence-unit> </persistence>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Factory; import javax.persistence.Persistence;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x.persistence.PersistenceException: No Persistence provider for EntityManager named hello a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61) a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39) at hellojpa.JpaMain.main(JpaMain.java:8)
-
해결됨[자바/Java] 문과생도 이해하는 DFS 알고리즘! - 입문편
안녕하세요 11724번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질문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현재 이런식으로 코드를 작성했고, 백준 스타일에 맞춰 제출을 했는데 오답처리가 되었습니다. 디버깅 시에도 1번예제6 5 1 2 2 5 5 1 3 4 4 6이걸 입력했을 때 2가 나오는 것이 아닌 dfs를 호출시 if절에서 전부 vistied[i] 부분이 false처리가 되어서 입력한 크기인 6이 answer로 계속 출력되고 있습니다.어느 부분이 문제여서 계속 찾고 있지만 발견하지 못하여 질문드립니다.package algorithmstudy.d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boj11724 { final static int MAX = 1000 + 10; static boolean[][] graph;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N, M; static int answer; static void dfs(int idx) { visited[idx] = true; for (int i = 1; i <= N; i++) { if (!visited[idx] && graph[idx][i]) { dfs(i);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1. graph에 연결 정보 채우기 graph = new boolean[MAX][MAX]; visited = new boolean[MAX]; for (int i = 0; i < 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u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u][v] = true; graph[v][u] = true; } for (int i = 1; i <= N; i++) { if (!visited[i]) { answer++; dfs(i); } } bw.write(String.valueOf(answer)); br.close(); bw.close(); } }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Authorization 헤더는 인가와 인증 두 가지 의미 중 어떤 것에 가깝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구글링해 보니 Authorization 헤더는 주로,서버로부터 WWW-Authenticate 헤더를 포함한 401 Unauthorized 오류를 받은 후,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다시 요청할 때 포함하는 헤더라는 거로 이해했습니다. 그럼 이 경우엔 Authorization 헤더는 인가와 인증 중에서 인증과 관련된 헤더라고 보면 되나요?예전 강의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Authorization은 원래는 인가를 의미하지만, 401 Unauthorized에서의 authorized는 인증을 의미해서 이름이 아쉽다고 하신 거로 이해했는데 Authorization 헤더도 인가보단 인증과 관련되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맞나요?
-
해결됨Golang을 통한 백엔드 개발 및 환경 구축하기
create 요청시 에러
2023/11/16 23:42:58 http: panic serving [::1]:6279: Undefined validation function 'require' on field 'Name'goroutine 21 [running]:net/http.(*conn).serve.func1() C:/Program Files/Go/src/net/http/server.go:1854 +0xbfpanic({0x8d4c00, 0xc000061b50}) C:/Program Files/Go/src/runtime/panic.go:890 +0x263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alidate).parseFieldTagsRecursive(0xc00014e0e0, {0x8bf3a5?, 0x9661a2?}, {0x8bf38b, 0x4}, {0x0, 0x0}, 0x0) C:/go_gin/pkg/mod/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10.16.0/cache.go:299 +0xa39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alidate).extractStructCache(0xc00014e0e0, {0x909600?, 0xc000008108?, 0x1f4e0985898?}, {0x8b7042, 0xd}) C:/go_gin/pkg/mod/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10.16.0/cache.go:156 +0x5ac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alidate).validateStruct(0xc00043a240, {0xa1ce68, 0xc000026158}, {0x909600?, 0xc000008108?, 0xcb2930?}, {0x909600?, 0xc000008108?, 0x0?}, {0xa220a8, ...}, ...) C:/go_gin/pkg/mod/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10.16.0/validator.go:37 +0x19d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alidate).StructCtx(0xc00014e0e0, {0xa1ce68, 0xc000026158}, {0x909600, 0xc000008108?}) C:/go_gin/pkg/mod/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10.16.0/validator_instance.go:394 +0x479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alidate).Struct(...) C:/go_gin/pkg/mod/github.com/go-playground/validator/v10@v10.16.0/validator_instance.go:367github.com/gin-gonic/gin/binding.(*defaultValidator).validateStruct(0xcb2930, {0x909600, 0xc000008108})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binding/default_validator.go:80 +0x4egithub.com/gin-gonic/gin/binding.(*defaultValidator).ValidateStruct(0x909600?, {0x909600?, 0xc000008108?})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binding/default_validator.go:59 +0x189github.com/gin-gonic/gin/binding.(*defaultValidator).ValidateStruct(0xc000436000?, {0x8e4840?, 0xc0000080c0?})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binding/default_validator.go:57 +0x105github.com/gin-gonic/gin/binding.validate(...)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binding/binding.go:120github.com/gin-gonic/gin/binding.decodeJSON({0x1f4e0aa8188?, 0xc000038040?}, {0x8e4840, 0xc0000080c0})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binding/json.go:55 +0xa2github.com/gin-gonic/gin/binding.jsonBinding.Bind({}, 0xa1a460?, {0x8e4840, 0xc0000080c0})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binding/json.go:37 +0x66github.com/gin-gonic/gin.(*Context).ShouldBindWith(...)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context.go:741github.com/gin-gonic/gin.(*Context).ShouldBindJSON(...)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context.go:701github.com/dev-yakuza/study-golang/gin/start/network.(*userRouter).create(0xc000098080, 0xc00051c100) C:/go_gin/src/CURS_SERVICE/network/user.go:43 +0xbfgithub.com/gin-gonic/gin.(*Context).Next(...)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context.go:174github.com/gin-gonic/gin.(*Engine).handleHTTPRequest(0xc0000844e0, 0xc00051c100)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gin.go:620 +0x66bgithub.com/gin-gonic/gin.(*Engine).ServeHTTP(0xc0000844e0, {0xa1c940?, 0xc0001920e0}, 0xc00051c000) C:/go_gin/pkg/mod/github.com/gin-gonic/gin@v1.9.1/gin.go:576 +0x1ddnet/http.serverHandler.ServeHTTP({0xa1b9d0?}, {0xa1c940, 0xc0001920e0}, 0xc00051c000) C:/Program Files/Go/src/net/http/server.go:2936 +0x316net/http.(*conn).serve(0xc000190240, {0xa1ced8, 0xc0000907e0}) C:/Program Files/Go/src/net/http/server.go:1995 +0x612created by net/http.(*Server).Serve C:/Program Files/Go/src/net/http/server.go:3089 +0x5ed무슨에러인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 설정에 레드박스 칸이 없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gradle 레드박스 부분이 존재 하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4-1, 문제 3번, 2번 풀이 sum(),len()
이렇게 풀어봤는데, 이렇게 해도 괜찮은가요? 그리고 문제 2번에서print(sum(df["f3"] == "gold"))대신print(len(df["f3"] == "gold"))으로 하면 안되는 이유가 잘 이해가 안되서 문의드립니다.len()도 데이터 수 구하는 함수 아닌가요?df["f3"] == "gold" 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의 수를 구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sum() 사용했을 때와 값이 다르게 나와서요. 이 상황에서 두 함수 간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iOS/Android 앱 개발을 위한 실전 React Native - Basic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안드로이드 실행
(node:13548) Warning: Accessing non-existent property 'padLevels' of module exports inside circular dependency(Use `node --trace-warnings ...` to show where the warning was created)error Android project not found. Are you sure this is a React Native project? If your Android files are located in a non-standard location (e.g. not inside 'android' folder), consider setting `project.android.sourceDir` option to point to a new location. 이거 무슨 에러인가요ㅠㅠ
-
해결됨[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Managers에서 OnUpdate()함수 호출이요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요. inputManager를 생성하고 OnUPdate() 메소드를 호출하는데 있어서 43줄, 44줄의 _input.OnUpdate()로 접근하는 것과 Input.OnUpdate()로 접근해서 호출하는게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_input은 인풋매니저를 인스턴스화 한것 같고, Input은 매니저스가 들고 있는 인풋매니저인것 같은데 제가 맞게 접근하는건지 헷갈립니다. 둘 다 테스트 해봤는데 정상적으로 업데이트는 되는 것 같은데 둘 중 어떤 것으로 접근하는게 더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mongoose 버전 으로 인한 save() 에러 async로 해결
https://mongoosejs.com/docs/migrating_to_7.html#dropped-callback-support버전 변경후 콜백함수 안되고, 언제나 프로미스로 리턴한다고 해서 async함수로 변경해 봤습니다..이렇게 하니 되네요..app.post('/register', async (req,res) => { const user = new User(req.body) try { await user.save(); return res.status(200).json({success:true}) } catch (err) { return res.json({success:false, err}) } })
-
미해결우리를 위한 프로그래밍 : 파이썬 중급 (Inflearn Original)
atom install package search not working
위와 같이 package를 검색했더니 계속 이런 문구가 나오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되나요?
-
해결됨빅데이터 클러스터 구축 패키지; 성공을 향한 로드맵
안녕하세요, 성능평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제가 강의에서 놓친 부분이 있는지 모르겠지만,제가 만든 빅데이터 클러스터가 잘 만들었는지 아닌지 궁금할 때가 있는데요 ! 제가 만든 클러스터의 성능평가에 대한 부분은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리뉴얼] 코딩자율학습 제로초의 자바스크립트 입문
쿵쿵따
자바스크립트를 이 강의로 처음 공부하고 있어요.끝말잇기에 이어 쿵쿵따를 순서도 그려보며 코딩하는 중인데이틀 간 생각해보면서 구글에 검색해보면서 짠 코드가 <div><span id="order">1</span>번째 참가자</div> <div>제시어: <span id="word"></span></div> <input type="text"> <button>입력</button> <script> const number = parseInt(prompt('몇 명이 참가하나요?'), 10); const $order = document.querySelector('order'); const $word = document.querySelector('word'); let word; // 제시어 let newWord; //새 단어 if (!$word) { //제시어가 없을 때 word = newWord; $word.textContent = newWord; const order = Number($order.textContent); order ++; if (word.length == 3) { } else { } } else { //제시어가 있을 때 $word.textContent = newWord; order ++; }여기까지인데 처음이라 그런 건지 제가 머리가 안 좋은 건지 제가 어떤 걸 모르는지를 모르겠어서 진행이 안되는 상황이에요. 강의를 보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계속 도전해봐야 될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 JUnit 테스트 - 시큐리티를 활용한 Bank 애플리케이션
계좌 조회 질문드립니다
강의 마지막에 첨부해주신 깃허브엔 Account 관련 패키지가 아예 없네요 ㅜ.ㅜ 이전 강의에서 계좌 조회 컨트롤러, 서비스 숙제 내주신 것 해보고 있는데 잘 안돼서요. 혹시 깃허브 주소가 있을까요?
-
해결됨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협상과 우선순위3이 이해가 안 갑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질문 1:Accept: text/*;q=0.3, text/html;q=0.7, text/html;level=1, text/html;level=2;q=0.4, /;q=0.5이게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내는 패킷에 있는 내용인 건 아는데 그 아래에 있는 표는 무엇인가요? 특정 서버에서 임의로 지정한 건지, 아니면 HTTP 스펙에서 지정한, 즉 모든 서버들이 저 표에 있는 값들을 똑같이 가지고 있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 표가 정확히 뭘 말하는 건가요? 서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미디어 타입 표인가요? 질문 2:위 사진을 해석하면 이렇게 되는 거 맞나요?클라이언트가 보낸 패킷에Accept: text/*;q=0.3, text/html;q=0.7, text/html;level=1, text/html;level=2;q=0.4, /;q=0.5이렇게 있고, 서버가 가진 표(?)의 미디어 타입의 내용들이랑 매칭되는 것 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것이 text/html;level=1의 퀄리티가 1이니, 이것을 제외한 나머지 text/*;q=0.3, text/html;q=0.7, text/html;level=2;q=0.4, /;q=0.5이것들은 그냥 무시하면 되는 건가요? 질문 3:클라이언트가 보내는 패킷엔 text/html;q=0.7가 써져 있는데서버가 가진 표에선 text/html에 대한 퀄리티가 0.5 이런 식으로 달라도 되는 건가요? 위 사진에선 우연인지 몰라도,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패킷과 표에 있는 내용의 값들이 다 일치하고 있어서요. 일치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이 내용들 잘 이해가 안 됩니다..애초에 클라이언트가 패킷을 보낼 때 1이나 0.5 같은 우선순위를 정하는 건데,, 왜 서버가 가진 표에 그 우선순위가 정확히 써져 있는지 모르겠어요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node.js 설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node.js 설치를 완료했는데 버전이 안나오는데 왜 그런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pringBootApplication 로 실행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위 사진은 @SpringBootApplication 이 달린 Core3Application을 실행해본 후 스프링컨테이너 내부에 어떤 스프링빈이 있는지 확인하는 코드입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이 Core3Application을 실행하면서 MemoryMemberRepository 와 같이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들은 @SpringBootApplication 에 있는 컴포넌트 스캔에 의해서 한 번, AutoAppConfig가 스프링빈으로 등록되면서 AutoAppConfig의 컴포넌트스캔이 작동하여 총 두 번 중복으로 등록되어진다고 생각되는데 이 경우에는 왜 빈 충돌 오류 메세지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점프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
간단하게 리지드바디의 impulse를 통하여 점프를 구현하고자 합니다. 간단히이렇게 점프를 업데이트에서 처리하도록 했는데, impulse로 힘을 준 다음 줄의 프린트 문이 (0, 0, 0)이 나옵니다.인게임에서는 점프를 하여 하늘로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요.분명히 임펄스로 힘을 준 상태여서, 점프파워만큼 (0, 점프파워, 0)이 나와야 하는데, 0이 나오고, 만약 지형의 경사로 인해 내려가는 힘이 작용하고 있었다면, 음수도 나옵니다. 업데이트와 픽스드업데이트의 문제인 것도 같은데, 어떻게 어떤 것이 문제인지 파악할 수 있는지 감이 안옵니다. 어느부분을 알아봐야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리스트, 행렬로) 그래프 생성 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List<int>[] adjacent = new List<int>[6]{new List<int> { 1, 3 },new List<int> { 0 ,2, 3 },new List<int> { },new List<int> { 4 },new List<int> { },new List<int> { 4 },};이런 형태에 익숙치 않아서 질문드립니다.위와 같이 리스트로 그래프를 생성했다고 했을 때아직 이 단계에선 사람만이 그래프라고 약속한 것이고프로그램 상에서 이것을 그래프라 인식하게 하려면 DFS, BFS같은 알고리즘으로 활용을 해야 그래프로 인식되는건가요?이런 식으로 이해를 하게 되었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만약 제가 생각한게 맞다면 이걸 (그럴 일은 없겠지만)다른 함수에서 그래프가 아닌 다른 일반적인 리스트로 이용하게 될 수도 있나요?adjacent[1][2] (= 3) 처럼 사용하게 될 수도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