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C 왜 틀렸을까요..?
http://boj.kr/4473182f754a49919a49607d9fc3711c 2-C 문제 왜 틀렸을까요 ㅠㅠ 비가 안 오는 부분도 고려하였고 나름 디버깅도 찍어 보았습니다.. 맞왜틀팁도 보았는데...
-
해결됨구글에서 인정한 파트너가 세팅하는 방식 그대로: 구글광고 이론과 실습
GA에서 유입 경로 확인
안녕하세요, 강의 감사합니다.아직 GA를 전혀 알지 못해서 궁금한 점이 한 가지가 있습니다.저희 회사는 출판사여서 자체 웹 사이트가 아닌 온라인 서점을 통해 책을 판매하고 있습니다.이러한 경우에는 GA에서 유입 경로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한가요?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Golang을 통한 백엔드 개발 및 환경 구축하기
강의 코드 따라친거 public repository에 올려도 되나요?
저작권에 위배될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pred와 pred_proba의 차이
쳐아하기 전에accuracy, precision, recall, f1_score 출력전에는pred = model.predict(X_val)이었고y_val과 pred값을 넣고 평가값을 출력했는데 Roc-auc에선pred = model.predict_proba(X_val)평가에 입력값이 y_val과 pred[:1]인 이유가 있을까요. ?
-
미해결
포트폴리오 제출을 잡코리아 등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다 듣고 취업을 한번 해보려고합니다. 제가 만든 프리보드와 중고마켓사이트를 포트폴리오로 제출하고싶은데 포트폴리오를 보통 어떤식으로 제출하나요? ppt형식으로 만들어서 제출하나요? 아니면 pdf형식으로 만들어서 제출하나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강의보고 토이프로젝트로 재고감소 낙관적락 기법 적용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보고 토이 프로젝트에서 주문 시 재고 감소 및 메뉴 주문량 증가 로직에서 낙관적락 기법을 적용해 보았는데요, 강의에서 해주신 내용 그대로 파사드 패턴 까지 적용을 해보면서 시도했는데 무한 루프가 돌았습니다.hikariCP pool을 40으로 설정해주니 그제서야 해결이 되었는데요, 강의에선 네임드락에서 커넥션풀을 지정해주었는데요 저는 낙관적락인데도 해당 설정을 해서 해결된 이유가 있을까요?@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 { @Transactional public Order orderWithOptimisticLock(Long memberId, LocalDateTime now) { Cart cart = cartRepository.findByMember(memberId); List<CartItem> cartItems = cart.getCartItems(); cartItems.stream() .map(CartItem::getMenu) .forEach(menu -> { decreaseStockWithOptimisticLock(menu.getId(), 1); increaseMenuOrderCountWithOptimisticLock(menu.getId(), 1); }); Money money = calculator.calculateMenus(cart.getMember(), cart.convertToMenus()); Order order = Order.createOrder(cart, money, now); return orderRepository.save(order); } public void decreaseStockWithOptimisticLock(Long menuId, int quantity) { Menu menu = menuRepository.findByIdForOptimisticLock(menuId); menu.decrease(quantity); } public void increaseMenuOrderCountWithOptimisticLock(Long menuId, int quantity) { Menu menu = menuRepository.findByIdForOptimisticLock(menuId); menu.increaseOrderCount(quantity); } } ```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ptimisticLockStockFacade { private final OrderService orderService; public Order order(Long memberId, LocalDateTime localDateTime)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while (true) { try { return orderService.orderWithOptimisticLock(memberId, localDateTime); } catch (Exception e) { Thread.sleep(50); } } } } ``` public interface JpaMenu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nu, Long> { @NotNull @Lock(LockModeType.OPTIMISTIC) @Query("select m from Menu m where m.id = :id") Optional<Menu> findByIdForOptimisticLock(@NotNull @Param("id") Long id);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데이터베이스에 엔터티를 만들지도 않았는데 왜 ORDERS_ORDER_ITEMS 테이블이 생성되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Order 클래스>package jpabook.jpashop.domain;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d") // PK private Long id; @ManyToOne // 주문의 입장에서는 다대일 관계 @JoinColumn(name = "member_id") // FK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OneToOne //todo 일대일관계에서는 FK를 아무대나 매핑해도 상관없는데, 주로 엑세스를 많이 하는 엔터티에 사용한다고 함 @Join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Delivery delivery;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 주문시간(hibernate가 알아서 매핑해줌)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 <Item 클래스>package jpabook.jpashop.domain.item; import jpabook.jpashop.domain.Category;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SINGLE_TABLE) // 한 테이블에 다 떄려박음 @DiscriminatorColumn(name = "dtype") @Getter @Setter public abstract class Ite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ite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price; private int stockQuantity; @ManyToMany(mappedBy = "items") private List<Category> categories = new ArrayList<>(); } <OrderItem 클래스>package jpabook.jpashop.domain; import jpabook.jpashop.domain.item.Item;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javax.persistence.*;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OrderIte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tem_id") private Long id; @ManyToOne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Item item; @ManyToOne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private int orderPrice; // 주문 가격 private int count; // 주문 수량 }참고로, 다른 엔터티 테이블의 속성들은 설계에 있는 그대로 정상적으로 잘 만들어졌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대응표본검정의 정규성검정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안녕하세요 대응표본검정 > Shapiro-Wilk 검정 할 때, 'before' 'after' 순서를 알고 싶습니다.구글링을 통해 무조건 아래 순서대로 작성해야 한다는 글을 보아서 질문 드립니다.stats.shapiro(df['before'] - df['after']) 강의를 통해 문제에서 주어지는 μd를 참고하여, 대응표본검정(ttest_rel)을 작성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μd = (before – after)의 평균stats.ttest_rel(df['before'] , df['after'])μd = (after - before)의 평균 stats.ttest_rel(df['after'], df['before']) 그렇다면 Shapiro-Wilk 검정을 할 때도 문제에서 주어지는 μd를 참고하여, 작성하면 될까요? μd = (before – after)의 평균stats.shapiro(df['before'] - df['after'])μd = (after - before)의 평균 stats.shapiro(df['after'] - df['before'])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타겟 수 확인할 때
타겟 수 확인할 때 왜 y_train 으로 해야하나요? X_train으로 하면 안되는지,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2유형 데이터 전치리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선생님 아직 개념이 정확히 안잡혀서 문의 하나드립니다. 작업 2유형에서 Train/Test 데이터 전처리, 피처 엔지니어링시 2개 데이터 셋 모두 진행해야되는걸로 알고있는데요. Test 데이터에서 컬럼 삭제 후 모델링해도 된다고 알고있는데, (예를들어 Unnamed: 0 이라는 index 칼럼이 있을 경우)행 삭제는 하면 안되는 걸까요? (Test 데이터의 행 삭제를 하게 되면 모델링 이후 test 데이터 평가시 오류가 발생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전처리, 피처 엔지니어링시 절대 건들지 않아야 할 데이터 (주최 측 평가시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가 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3 답 제출 관련
작업형 3번 답안 제출시 하드코딩 하면 안되는건가요?혹시 답안 제출은 어떤 형식으로 해야할지 알 수 있나요?ex) pvalue 값을 제출 해야하는 경우라면 값이 0.02인걸 확인하고 답안란에다 0.02를 적어도 무방한가요? 아니면 pvlaue 값을 나타낼수 있는 코딩을 해야하나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2 (AMBA AXI4 완전정복)
vitis에서 firmware loading 후 main에 진입을 못해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Mem copy IP의 연장선으로 dma와 axi lite를 이용한 모듈을 customize 시키고,이 Custom IP를 이용해서 XSA 파일을 만들고 VITIS에서 펌웨어를 만들었습니다.하지만, MAIN함수의 printf 구문이 동작하질 않네요ㅠㅠ (MEM copy IP 예제는 target board-zcu102에서 잘동작합니다 ㅠㅠ).어떤 것을 더 고려해야 할까요?? 구글링해서 tcl파일로 드라이버를 생성하여 xparameters.h , xil_io.h 와 같은 파일은 생성하였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동일성 보장에서 질문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동일성 보장에서 들어주신 예시에서 질문이 있습니다.findMember1과 findMember2의 pk값 즉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객체의 id값이 동일한데, 이때 캐시에 어떻게 저장이되는지 궁금합니다. [ id / 객체 ]형식으로 캐시에 저장된다고 하셨는데,그럼 [101L/findMember1], [101L/findMember2] 이렇게 캐시에 저장이 되는건가요?캐시에 저장되는 Id값이 캐시 조회시 사용되는 주소값인가요?캐시에 저장되는 id 값은 중복을 허용하는건가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visual studio code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강의에서 사용하고 있는 visual studio code 와 지금 버전이 조금 다른데 지금 버전 사용법이 따로 있을까요?맥북 m1 사용중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1:N 계층구조 테이블들 간에 Fetch 조인 사용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열심히 강의를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궁금한게 있습니다.현재 실무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조를 좀더 개선시키고 싶어서 열심히 노력중인데요.현재 상황을 말씀 드리겠습니다.A, B, C, D 테이블이 있습니다.각 entitiy 클래스 별로 OneToMany로 A-B, B-C, C-D 이런식으로 Relation이 걸려 있습니다.현재 기준으로는 각 OneToMany 별로 BatchSize=1000 & FetchType=Eager로 적용이 되어있는데요.이렇다 보니, A 테이블 조회시 조회된 ID 기준으로 하위 테이블들에 대해서 IN쿼리가 몇개씩 불려지게 됩니다. 그래서 Fetch 조인을 통해서 한번에 가져오는 방식으로 바꿔보려고 개선을 하려고 했는데요.예를 들면select a.* from A aleft fetch join a.B bleft fetch join b.C cleft fecth join c.D d이런식으로 하려고했더니 컴파일 단계에서 MultipleBagFetchException이 발생 하였습니다.그래서 찾아보니 fecth 조인 사용할 경우에는 oneToMany로 걸리는 대상이 2개 이상이면위와같은 Exception을 떨군다고 하더라구요..(카티션 곱 이슈로 인한 하이버네이트에서 사전에 미리 막는..) 그래서 결국에는 A-B까지만 Fetch로 빼고 나머지 B-C, C-D는 기존 그대로 Eager 전략으로기존과 동일하게 조회되도록 조금이나마 개선은 했는데요..B-C, C-D를 lazy로 바꾸니 N+1이 발생했구요.. N+1해소 하는 방법으로 Fecth조인을 쓰자니위와같은 Exception이 발생을 하구요..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도와주세요!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docker-compose up 명령 실행후에
services.postgres Additional property restrart is not allowed이런 내용이 뜨면서강사님 영상과 같은 로그들이 나오지 않는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컬럼에 그냥 인덱싱할 때와 iloc를 써서 인덱싱할 때 출력값이 달라요.
df = pd.read_csv('../input/bigdatacertificationkr/basic1.csv')print(df['f1'].sort_values(ascending=False).head(12))print(df['f1'].sort_values(ascending=False).iloc[9])print(df['f1'].sort_values(ascending=False)[9])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하나는 88, 하나는 74가 나옵니다..74는 어디서 나오는 건지 모르겠어요..print(df['f1'].sort_values(ascending=False)[0])은 NaN나오덴데.. 그냥 인덱싱하면 행을 나타내진 않나요?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typedef를 사용하는이유?
이전 강의까지는 상위 class에 method를 생성해서 onTap() 함수를 넘겨줬는데 이번엔 전역으로 typedef로 선언한 이유가 있을까요? typedef ColorIdSetter = void Function(int id); class _ColorPicker extends StatelessWidget { const _ColorPicker({ super.key, required this.colors, required this.selectedColorId, required this.colorIdSetter, }); final List<CategoryColor> colors; final int selectedColorId; final ColorIdSetter colorIdSetter;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Wrap( runSpacing: 10, spacing: 8, children: colors .map( (e) => GestureDetector( onTap: () { colorIdSetter(e.id); }, child: renderColor(e, selectedColorId == e.id), ), ) .toList(), ); }
-
미해결스프링 부트 웹 개발 입문 - 따라하며 배우기
커뮤니티 버전에서 스프링 부트를 선택할수 없습니다.
이경우에는https://start.spring.io/ 에서 생성해서 파일을 올리면되나요??동일하게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처음부터 막히네요 ㅠㅠ 도와주세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에서 test_ID의 경우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안녕하세요 train = train.drop('ID', axis=1) test_ID = test.pop('ID')의 경우 한번 삭제되면 그 다음부터는 이미 삭제 되었기 때문에 오류로 뜨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전에서는 하나의 코드에서만 할 수 있는데,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한번만 실행시키고, 그 다음부터는 지워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