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정적파일을 불러오는 방법 부탁드려요
아이콘...등을 직접만든 이미지로 적용해보려 합니다.프로젝트 루트폴더에 resource폴더 생성 후 여기에 이미지파일을 넣고 상대경로로 지정하거나 public폴더 생성 후 process.env.PUBLIC_URL로 불러오는 등의 방식을 써봤는데 정적리소스를 불러오지 못하네요. webpack.config.ts의devServer에 static: { directory: path.resolve(__dirname) }는 추가 되어있습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텍스트 다운로드 없나요
텍스트 다운로드 없나요? 보통 다른 강의는 텍스트 다운로드 시점부터 환불안되고 기준점이 되던데 다운로드가 없는것 같아서요.
-
해결됨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코딩 센세 입니다!
이번에 이직 후 회사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밤늦게까지 정리하며 잠드는 날들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외국어의 벽도 느끼고 있습니다 ... 하하 ) 질문해주신 질문들의 답변을 못달아드려서, 강의 수정을 빨리 빨리 못해드려서 정말 죄송합니다 ㅠㅜ... 항상 많은 질문 해주시고 공부해주시는 분들 감사합니다! 바로 답변을 못달아드릴때도 있지만 제 강의 열심히 들으시고 생기시는 궁금증들 질문해주시는 건 정말 정말 기뻐요 😄 제가 바로 답을 못 드리더라도 꼭 답을 드릴테니 간단한 궁금증이나 생각들도 모두 커뮤니티에 꼭 남겨주세요! 항상 많은 힘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오늘도 다들 화이팅이에요!
-
해결됨실전 연습으로 익히는 고급 타입스크립트 기술
문제라는게 이렇게 푸는거 맞죠? unkown인곳에 들어갈곳 맞추는거
export type Event = | { type: "click"; event: MouseEvent; } | { type: "focus"; event: FocusEvent; } | { type: "keydown"; event: KeyboardEvent; }; type ClickEvent = Extract<Event, {type:'click'}>; type tests2 = [Expect<Equal<ClickEvent, { type: "click"; event: MouseEvent }>>];에러 없는거 보니 정답인것 같습니다!
-
미해결
스프링 관련 강의 수강 순서 문의
1.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2.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3.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4.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안녕하세요.현업에서 스프링을쓰고있는데 개념이 모호하여 강의를 수강하고자합니다. 현재 위의 4개의 강의를 구매했는데 1번부터 순차적으로 수강하면될까요?
-
미해결
JPA 자식 엔티티를 저장/삭제하는 방법
안녕하세요.JPA 강의를 수강하고, 실무에서 적용해보던 중 의문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강의에서는 엔티티의 변경 시에는 JPA의 Dirty Checking을 사용하라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면 실제 JPA를 사용하는 실무에서도 새로운 하위 엔티티를 DB에 저장/삭제해야하는 경우에 상위 엔티티에서 하위 엔티티를 컬렉션에 add/remove 하는 방식을 통해 변경감지를 이용하여 저장하나요?(이 경우에 자식 엔티티를 add 하기 위해 모든 자식 엔티티들을 Lazy Loading 하는 비효율이 발생할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설명하기 쉽게 코드와 함께 질문을 정리해보겠습니다.엔티티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편의 상 최대한 간추렸습니다.)@Entity public class Team { @Id private Long id;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Member(Member member) { this.members.add(member); <-- 자식 엔티티들을 모두 조회하는 LAZY LOADING 발생! } }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private Long id; @JoinColumn(name = "team_id") @ManyToOne() private Team team; } <트랜잭션 계층> public void createMember(Member newMember) { Team team = teamRepository.findById(1L); team.addMember(newMember); <-- 자식 엔티티들을 모두 조회하는 LAZY LOADING 발생! } 이 경우 변경감지를 통해서 하위 엔티티를 저장할 수 있고, 더 객체지향 관점에 맞는 방법 같지만 Member 하나를 추가하기 위해 Team에 속한 모든 Member를 조회해오는 비효율이 발생할 것 같습니다. setTeam(team)으로 team과 연관관계를 맺어준 뒤, memberRepository.save(member)로 저장하면, 불필요하게 모든 member를 조회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실무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엔티티를 저장/삭제하는 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마찬가지로 연관관계 메서드도 자식엔티티와의 연관관계를 맺기 위해 자식엔티티들을 모두 LAZY LOADING (members.add(team) 시 자식 엔티티들을 모두 조회)해야 하나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React 1부] 만들고 비교하며 학습하는 React
componentDidMount에서 getKeywordList()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강의 재밌게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를 듣다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store.getKeywordList() 메서드를 사용해서 keywordList를 storage에서 가져오는 작업을 componentDidMount에서 하셨는데,main.js의 search 메서드에서 submit이 발생했을 때, store에서 searchResult를 가져오는 것처럼keyword tab을 클릭했을 때 keywordList를 가져오는 방식으로 작성하지 않고 componentDidMount를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아래와 같이 onClick과 핸들러를 사용하여 작성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handleTabClick(tabType) { if (tabType == TabType.KEYWORD) { const keywordList = store.getKeywordList(); this.setState({ keywordList }); } } ... const tabs = ( <> <ul className="tabs"> {Object.values(TabType).map((tabType) => { return ( <li className={tabType === this.state.selectedTab ? "active" : ""} key={tabType} onClick={() => { this.setState({ selectedTab: tabType }) handleTabClick(tabType)}} > {TabLabel[tabType]} </li> ); })} </ul> {this.state.selectedTab === TabType.KEYWORD && keywordList} {this.state.selectedTab === TabType.HISTORY && historyList} </> );
-
해결됨실무에서 바로 쓰는 영어 이메일
강의자료를 받고싶습니다.
강의자료 요청드립니다.arang1022@naver.com 입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신규 개정판] 코딩 입문자를 위한 파이썬 완벽가이드
수업 자료
수업 자료는 따로 받아볼 수 없나요?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제대로 배워볼래?
module 질문있습니다.
.js로 아래와 같은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작성했습니다. export function log(message) { console.log(message); } export function error(message) { console.error(message); }해당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html에 삽입하기 위해 src에 넣고, type을 module로 지정했습니다. 후에 log함수를 이용하려고 아래 코드를 작성했는데,"Uncaught ReferenceError: log is not defined at 3-14.html:9:7" 이라고 에러가 납니다.<!DOCTYPE html> <html> <head>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src="./scripts/3-13.Module.js" type="module"></script> <script> log("메세지 출력"); // Uncaught ReferenceError: log is not defined at 3-14.html:9:7 에러 출력 </script> </body> </html> 여기서 질문이 2가지가 있는데,위의 코드 에러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모듈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script 안에 type을 모듈로 정의하고 import를 통해 삽입하는 방법과, src에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삽입하는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럼 후자의 방법은 단순히 src만 입력해 해당 자바스크립트 안에 있는 모든 함수,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말하는 걸로 이해하면 될까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ㅎㅎ 😃
-
미해결비전공 기획자 및 관리자를 위한 IT 필수 지식
강의 교안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교안 요청드립니다. ssfg1101@naver.com 입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커리큘럼 질문
C++ 공부하려는데 게임으로 공부하는게 재밌을거같아서 결제했습니다. 근데 선수학습이 C#인데 C#은 지금 안하고싶은데 C언어는 기본은 되어있으니 그냥 이걸로 들어도 되죠?
-
미해결실전! Querydsl
Library source does not match for class 에러
스프링 부트 3에서 작업 중입니다. 교안을 보고 build.gradle 설정했는데 유레카랑 오픈페인 의존성에 에러가 뜨더라구요..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구글링을 통해서 아래와 같이 설정했는데 이것과 관련이 있을까요? 구버전 query dsl이 심어진 건지,, 이 에러의 원인을 못 찾겠습니다.파일 설정을 src/main/아래로 둔 이유는 src파일 외에는 경로 설정을 따로해도 못 찾아서입니다 ㅜ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AWS 질문드립니다.
저는 현재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시험을 준비중인데 강의는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수강중입니다.Associate 강의들어도 practitioner 시험볼때 괜찮을까요..?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미니블로그 프로젝트 빌드시 오류
안녕하세요 마지막 프로젝트 진행시 오류때문에 질문남겨드립니다. 이러한 오류가 생기는데 해결방법을 잘 모르겟습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부트와 jpa모두 듣고 msa구축 설계
스프링부트 강의를 듣고 김영한님 유투브와 jpa entity 설계를 보던중 만약 리소스서버와 인증서버를 분리할때 유저의 entity를 리소스서버와 인증서버 2곳 모두에 설계 해야되나요?
-
미해결파이썬 기초 라이브러리부터 쌓아가는 머신러닝
데이터 자료
안녕하세요 데이터 블로그를 통해 들어가서 자료를 찾으려고 햇는데 쉽지 가 않네요 ㅜㅜ 혹시 목록 중에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
-
해결됨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실전편"
Axios에 connection timeout과 read timeout이 없음
안녕하세요? 짐코딩님! 유익한 강의 덕분에 잘 개발하고 있습니다!^^ Axios로 개발해보니 connection timeout과 read timeout 없이 단 하나의 타임아웃만 있는것 같습니다. 파이썬 코드를 예를 들자면 아래처럼 타임아웃을 나눠 쓸 수 있습니다.아래 코드의 의미는 연결할때 1초 기다리고, 연결 이후 15초까지 연산시간을 기다려 줍니다.import requests url = 'http://example.com' try: # timeout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연결 타임아웃 1초, 읽기 타임아웃 15초로 설정 response = requests.get(url, timeout=(1, 15)) # HTTP 상태코드를 확인 if response.status_code == 200: print('요청이 성공했습니다.') else: print(f'요청이 실패했습니다. 상태코드: {response.status_code}') except requests.Timeout: print('타임아웃이 발생했습니다.') except requests.RequestException as e: print(f'요청 중에 예외가 발생했습니다: {e}') 해당 기능이 중요한 이유는 연산 시간이 10초이상 걸리는 API가 있다고 가정을 할 경우, Axios 타임아웃을 15초로 지정하면 서버가 죽었을때도 유저는 무조건 15초간 대기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위 파이썬 코드의 경우는 1초 이내로 서버 연결불가 판단을 하고 빠르게 유저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이 Axios에 있는지, 만약 없다면 다른 대체 라이브러리 추천해주실수 있으실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private static method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rivate static method 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질문 배경]영한님의 다른 강의(스프링 강의로 기억합니다.) 중에 아주 단순한 기능을 private static method를 사용하셔서 만드신 걸 본적이 있었습니다. 왜 private 접근제어자를 사용하셨는데, 인스턴스 메서드가 아닌 static 메서드를 사용하셨을까? 궁금하여 여러 검색과 이리 저리 혼자서 생각도 많이 해보고 나름대로 정리했습니다만 뇌내 망상 수준이라.. 영한님의 답변만큼 확실한건 없을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검색 등을 통해 제가 정리한 내용]속도 : 인스턴스 메서드의 경우에는 메서드 영역의 virtual table을 거쳐서 이 인스턴스에 매핑되는 메서드를 조회 후 메서드에 접근해야 하지만, static 메서드의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어 인스턴스 메서드에 비해 빠르다. -> 이 부분은 제가 여러 정보를 조합한 내용이라 신빙성이 떨어지고, 과연 속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까 의문입니다.객체지향기반의 커뮤니케이션 : private 접근제어자를 명시하여 캡슐화를 하였으나 static 까지 붙여 이 메서드는 내부에서만 쓸 뿐더러 객체지향적으로 대화할 의도가 없으니 거들떠도 보지 말아라 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해봅니다.
-
미해결지금 당장 리눅스 - 무료 클라우드 서버 활용하기
교수님 저희 DB 접속할 때 로컬로 접속해야하는 거 아니에요?
아래 Prod DB 접속하는 거 보면 127.0.0.1 이 아니라 146.56.147.0 같은 호스트의 IP인데이러면 DNS로 나갔다가 다시 저희 DB로 접속할텐데그럼 느려지는 거 아닌가요?! 이 문제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127.0.0.1로 했을 때 동작을 안해서요... ㅠ [.env]JWT_SECRET= test2022DEV_DB_HOST= 127.0.0.1DEV_DB_DATABASE= saju_db_devDEV_DB_USERNAME= rootDEV_DB_PASSWORD= 1234DEV_DB_PORT= 3306TEST_DB_HOST= TEST_DB_DATABASE= TEST_DB_USERNAME= TEST_DB_PASSWORD= PROD_DB_HOST= 146.56.147.0PROD_DB_DATABASE= saju_db_prodPROD_DB_USERNAME= test_adminPROD_DB_PASSWORD= test1234SLACK_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