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for문 while문 차이점
for문이랑 while문 언제 쓰는지 느낌은 알겠는데 정확한 차이점을 모르겠어요 ,, 정확한 정의나 비교될 만한 예시가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쿼리 로그가 안나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MemberRepositoryTest 실행시에 실행잘되고 기대했던 결과도 나오지만 쿼리 로그가 보이지 않습니다. junint5로 테스트 실행했습니다. 1. MemberRepositoryTest 클래스 파일 소스 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javax.transaction.Transactional;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SpringBootTest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Rollback(value = false) public void testMember() throws Exception{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A"); //when Long savedId = memberRepository.save(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savedId); //then assertThat(findMember.getId()).isEqualTo(member.getId()); assertThat(findMember.getUsername()).isEqualTo(member.getUsername()); } } ///////////////////////////// 설정파일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build.gradle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7'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5.RELEASE'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1'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tasks.named('bootBuildImage') { builder = 'paketobuildpacks/builder-jammy-base:latest'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2. application.yml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org.hibernate.type: trace #스프링 부트 2.x, hibernate5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모의고사 풀어보기1 마지막 문제 질문입니다!
해당 문제에서 선생님은 print(df.sort_values(ascending=False).index[0])으로 바로 인덱스 첫번째 값을 뽑으셨습니다.제가 풀어 볼때는 iloc를 활용해서 풀어보고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사용했는데 오류가 났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ㅠㅠ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6: 웹 서버
10분 48초 부근에 안 되는 사람들 참고하세요
css 파일도 필요할 확률이 높습니다(기본적으론 생성 안 됨).최신 버전으로 공부하고 있는데 거의 숨은 그림 찾기네요.버전이 바뀌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선생님 타입추론 강의 질문있습니다
강의 내용function func(매개변수) {}매개변수에 타입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 궁금한 사항 1현재 저는 매개변수를 넣을 경우 타입이 자동으로 any로 들어가는데 타입스크립트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어떤 타입도 가지고 올 수 있도록 업데이트 된게 맞을까요? 강의 내용let dd = 10;d.toFixed()d.toUpperCase() // error 궁금한 사항 2저는 d의 타입이 계속 any값으로 되어 있어서 toUpperCase()를 사용해도 오류가 안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너무 어렵습니다 ㅜㅜ
작업기억이란게 한계가 있는데oop를 통한 상속의 상속의 인터페이스 물리고 물리고 물리고 물리는 제네릭타입 등단편적으로 보면 이해할수없고 모든 그림을 이해하고있어야 그나마 따라갈수 있는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그런데 20시간의 긴 강의이다보니 전체 배경을 모두 기억할수가 없는데요.클래스 이름도 너무 길고 비슷하게 레스토랑레파지토리프로바이더 이런식으로 되서 가독성이 너무 떨어져서 초보자 입장에서는 이해하기가 더욱힘듭니다.. 제생각에는 강의를 시작하기전에 해당 챕터의 핵심 플로우를 먼저 집고 넘어가고 너무 길거나 비슷한 클래스 이름들은 유니크하게 했으면 어떨까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제가 멍청한건지 모르겠지만.. 코팩님 강의가 너무 유익해서 다음강의도 볼 의향이 있는데 혹시 다음강의를 찍게되신다면 저같은 사람도 배려해주셨으면 해서 이렇게 글 남겨드립니다.. 아 그리구 깃허브에서 rest 레파지토리를 클론해서 실행해보니 페이지네이션한 코드가 잘못된건지 서버에 애초에 데이터가 부족한건지 중복데이터를 가져오는것이 많은데요 페이지네이션은 문제 없는것 맞나요 ??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에 있는 타이타닉 생존률 문제
https://www.kaggle.com/code/agileteam/t2-1-titanic-simple-baseline/notebook 캐글에 있는 타이타닉 생존률 문제입니다.2-3. 범주형 라벨인코딩에서 이런 오류가 나네요..ValueError: y contains previously unseen labels: 'SOTON/O.Q. 3101311'아래는 제가 작성한 코딩입니다.. ㅠㅠ# 2. 전처리 # 2-1. drop X_train = X_train.drop(columns = ['PassengerId', 'Name']) X_test = X_test.drop(columns = ['Name']) X_test_id = X_test.pop('PassengerId') y_train = y_train.drop(columns = ['PassengerId']) # 2-2. 결측치처리 # 캐빈 drop, 에이지 mean X_train = X_train.drop(columns = ['Cabin']) X_test = X_test.drop(columns = ['Cabin']) X_train['Age'] = X_train['Age'].fillna(X_train['Age'].mean()) X_test['Age'] = X_test['Age'].fillna(X_test['Age'].mean()) # 2-3. 범주형 라벨인코딩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encoder = LabelEncoder() cols = ['Sex', 'Ticket', 'Embarked'] for col in cols : X_train[col] = encoder.fit_transform(X_train[col]) X_test[col] = encoder.transform(X_test[col]) # 분리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X_train, y_train, test_size = 0.2, random_state = 2022) # 학습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model = RandomForestClassifier() model.fit(X_tr, y_tr) pred = model.predict(X_val)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이렇게 작성해도 괜찮은걸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4-2 type 1 4 번 문제
형별로 합하기 위해 df = df.T 를 쓰셨는데 print(sum(df.sum(axis=1) > 3000)) 를 쓰면 안 될까요 ?해보니 답은 동일 했습니다.
-
미해결구현하며 이해하는 이미지 생성모델 - 활용
LDM 코드 문의
Stable Diffusion에 대한 코드가 강의 자료에 올라오지 않았습니다.강사님의 이메일도 모르는 상황이라 다시 글을 작성합니다. 혹시 코드도 받아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AWS 배포 완벽가이드 (feat. Lightsail, Docker, ECS)
Workflow 작성시 npm install 문제
name : SSH and deployrun : | ssh ...run 스크립트 안의 npm install 실행시 command not found 라고 뜹니다. 근데 LightSail SSH 접속해서 다 확인해봤을 때, npm, npx 모두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어있는데 혹시 다른 문제가 있는걸까요?
-
미해결
스프링부트-JPA-API개발-성능최적화 강의를 듣는데 Hibernate5Module를 주석 해제하면 오류가 나요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Jpashop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JpashopApplication.class, args); } @Bean Hibernate5Module hibernate5Module() { Hibernate5Module hibernate5Module = new Hibernate5Module(); //강제 지연 로딩 설정 // hibernate5Module.configure(Hibernate5Module.Feature.FORCE_LAZY_LOADING, true); return hibernate5Module; } }강의에서 저 부분을 주석처리해서 포스트맨에서 확인하는데 저는 저걸 주석 처리만 하면 에러가 나요그래서 주석 안해놓고 돌리는데, 에러 메시지를 보면 무한루프 도는 것 같거든요?@JsonIgnore 설정때문인건지 일단 에러 발생하는 것들은 아래 2개입니다. java.lang.StackOverflowError: null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Cannot call sendError() after the response has been committed 2023-11-28 10:46:23.857 ERROR 23972 --- [nio-8080-exec-6] o.a.c.c.C.[.[.[/].[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Request processing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http.converter.HttpMessageNotWritableException: Could not write JSON: Infinite recursion (StackOverflowError); nested exception is com.fasterxml.jackson.databind.JsonMappingException: Infinite recursion (StackOverflowError) (through reference chain: jpabook.jpashop.domain.OrderItem["order"]->jpabook.jpashop.domain.Order["orderItems"]->org.hibernate.collection.internal.PersistentBag[0]->jpabook.jpashop.domain.OrderItem["order"]->jpabook.jpashop.domain.Order["orderItems"]->org.hibernate.collection.internal.PersistentBag[0]->jpabook.jpashop.domain.OrderItem["order"]->jpabook.jpashop.domain.Order["orderItems"]->org.hibernate.collection.internal.PersistentBag[0]->jpabook.jpashop.domain.OrderItem["order"]->jpabook.jpashop.domain.Order["orderItems"]->org.hibernate.collection.internal.PersistentBag[0]->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연장 부탁드려요~
강사님. 안녕하세요. 수강 연장을 부탁드립니다. 해당 시험을 곧 볼 예정인데 필요시 자료를 한번씩 더 보려구요. 감사합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영상처럼 뷰포트를 플레이한뒤 마우스를 빠져나오게 하려면 어떻게해야하나요?
(사진)
-
미해결
엑셀버전 호환 관련(파워쿼리)
안녕하세요.최근 배영자님의 파워쿼리 들었는데신세계더라구요 그런데 저희회사는 2013 프로페셔널 사용중이라제껄 2016으로 바꿔달라고 요청예정인데요--질문--"제가 2016에서 가공한 엑셀파일을2013프로페셔널 사용중인 다른 동료들이제한없이 쓸수있나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데이터 합치고 분리하는 경우 질문입니다!
영상에는 원핫 인코딩만 데이터 수가 안맞는 경우 데이터를 합치고 분리하는 실습을 보여주셨습니다.라벨 인코딩의 경우도 데이터 수가 안맞는 경우 합쳤다가 라벨 인코딩 진행후 분리시키면 되는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데이터성, 기능성)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OOP 관련 강의나 책들을 보다가 설명하는 방식이 다 달라서 오히려 머릿속이 더 복잡해진거 같아서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여러 강의 또는 책에서 예를 들어 책임 주도 설계와 같은 곳에서는 객체는 외부에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평가되어진다.그래서 객체는 외부에 제공하는 기능이 있고 그 기능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를 가진다. 따라서 기능 기반으로 해서 각 객체를 디자인해야 된다! 이런식으로 이해를 하고 있었습니다.그런데 직접 설계를 진행하면 할 수록 결국 데이터 성격이 강한 구조체성 객체를 디자인해야 되더라구요! 기능 보다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추출하는 방식으로요!또 추가적으로 영한님의 스프링 강의를 보면 오히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설계(Entity) 이후에 각 기능들을 적절히 도메인 모델(Entity)에 분배하는 형식으로 디자인을 하시더라구요. 저같은 경우 웹 개발을 진행할 때는 뭔가 정보를 표현해야 될 것들이 있다보니 테이블 설계를 우선시하고 기능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많이 알고있는 곳에 분배하는 식으로 하려고 노력하고 있긴한대 잘안되지만요...데이터를 우선 추출하고 거기에 별도의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도 적절한 객체 설계 방식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기능을 수행할 객체를 정하고 기능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를 객체에 추가하는 방식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설계 이후에 정보 전문가 패턴을 따라서 각 기능을 분배하는 방식중에 어떤게 맞는건지 해당 2개의 개념은 다른 것을 설명하는 것인지 조언을 좀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
배포후 소셜로그인 에러
스프링부트 REST + OAuth2 + JWT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인데로컬에서는 잘 돌아갑니다.로컬:<a id="google-login" href="/oauth2/authorization/google">구글 로그인</a> <a id="naver-login" href="/oauth2/authorization/naver">네이버 로그인</a> @Service @Log4j2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rincipalOAuth2UserService implements OAuth2UserService<OAuth2UserRequest, OAuth2User>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JwtProvider jwtProvider; private final TokenRepository tokenRepository; @Override public OAuth2User loadUser(OAuth2UserRequest userRequest) throws OAuth2AuthenticationException { // userRequest.getClientRegistration()은 인증 및 인가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는 // Spring Security에서 제공하는 메서드입니다. ClientRegistration clientRegistration = userRequest.getClientRegistration(); log.info("clientRegistration : " + clientRegistration); // 소셜 로그인 accessToken String socialAccessToken = userRequest.getAccessToken().getTokenValue(); log.info("소셜 로그인 accessToken : " + socialAccessToken); OAuth2UserService<OAuth2UserRequest, OAuth2User> oAuth2UserService = new DefaultOAuth2UserService(); log.info("oAuth2UserService : " + oAuth2UserService); // 소셜 로그인한 유저정보를 가져온다. OAuth2User oAuth2User = oAuth2UserService.loadUser(userRequest); log.info("oAuth2User : " + oAuth2User); log.info("getAttribute : " + oAuth2User.getAttributes()); // 회원가입 강제 진행 OAuth2UserInfo oAuth2UserInfo = null; String registrationId = clientRegistration.getRegistrationId(); log.info("registrationId : " + registrationId); if(registrationId.equals("google")) { log.info("구글 로그인"); oAuth2UserInfo = new GoogleUser(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 else if(registrationId.equals("naver")) { log.info("네이버 로그인"); oAuth2UserInfo = new NaverUser(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 else { log.error("지원하지 않는 소셜 로그인입니다."); } // 사용자가 로그인한 소셜 서비스를 가지고 옵니다. // 예시) google or naver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String provider = oAuth2UserInfo.getProvider(); // 사용자의 소셜 서비스(provider)에서 발급된 고유한 식별자를 가져옵니다. // 이 값은 해당 소셜 서비스에서 유니크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String providerId = oAuth2UserInfo.getProviderId(); String name = oAuth2UserInfo.getName(); //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가지고 옵니다. // 소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이메일 정보를 사용합니다. String email = oAuth2UserInfo.getEmail(); // 소셜 로그인의 경우 무조건 USER 등급으로 고정이다. Role role = Role.USER; MemberEntity findUser = memberRepository.findByEmail(email); if(findUser == null) { log.info("소셜 로그인이 최초입니다."); log.info("소셜 로그인 자동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findUser = MemberEntity.builder() .email(email) .memberName(name) .provider(provider) .providerId(providerId) .memberRole(role) .nickName(name) .build(); log.info("member : " + findUser); findUser = memberRepository.save(findUser); } else { log.info("로그인을 이미 한적이 있습니다."); } // 권한 가져오기 List<GrantedAuthority> authorities = getAuthoritiesForUser(findUser); // 토큰 생성 TokenDTO tokenForOAuth2 = jwtProvider.createTokenForOAuth2(email, authorities, findUser.getMemberId()); // 기존에 이 토큰이 있는지 확인 TokenEntity findToken = tokenRepository.findByMemberEmail(tokenForOAuth2.getMemberEmail()); TokenEntity saveToken; // 기존의 토큰이 없다면 새로 만들어준다. if(findToken == null) { TokenEntity tokenEntity = TokenEntity.tokenEntity(tokenForOAuth2); saveToken = tokenRepository.save(tokenEntity); log.info("token : " + saveToken); } else { // 기존의 토큰이 있다면 업데이트 해준다. tokenForOAuth2 = TokenDTO.builder() .grantType(tokenForOAuth2.getGrantType()) .accessToken(tokenForOAuth2.getAccessToken()) .accessTokenTime(tokenForOAuth2.getAccessTokenTime()) .refreshToken(tokenForOAuth2.getRefreshToken()) .refreshTokenTime(tokenForOAuth2.getRefreshTokenTime()) .memberEmail(tokenForOAuth2.getMemberEmail()) .memberId(tokenForOAuth2.getMemberId()) .build(); TokenEntity tokenEntity = TokenEntity.updateToken(findToken.getId(), tokenForOAuth2); saveToken = tokenRepository.save(tokenEntity); log.info("token : " + saveToken); } // 토큰이 제대로 되어 있나 검증 if(StringUtils.hasText(saveToken.getAccessToken()) && jwtProvider.validateToken(saveToken.getAccessToken())) {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Token = jwtProvider.getAuthentication(saveToken.getAccessToken()); log.info("authentication : " + authenticationToken);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authenticationToken); UserDetails userDetails = new User(email, "", authorities); log.info("userDetails : " + userDetails);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User =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userDetails, authorities); log.info("authentication1 : " + authenticationUser);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authenticationUser); } else { log.info("검증 실패"); } // attributes가 있는 생성자를 사용하여 PrincipalDetails 객체 생성 // 소셜 로그인인 경우에는 attributes도 함께 가지고 있는 PrincipalDetails 객체를 생성하게 됩니다. PrincipalDetails principalDetails = new PrincipalDetails(findUser, oAuth2User.getAttributes()); log.info("principalDetails : " + principalDetails); return principalDetails; } // 권한 가져오기 로직 private List<GrantedAuthority> getAuthoritiesForUser(MemberEntity findUser) { Role role = findUser.getMemberRole(); List<GrantedAuthority> authorities = new ArrayList<>(); authorities.add(new SimpleGrantedAuthority("ROLE_" + role.name())); log.info("권한 : " + role.name()); return authorities; } } @Log4j2 @RequiredArgsConstructor @Component public class OAuth2SuccessHandler implements AuthenticationSuccessHandler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TokenRepository tokenRepository; // Jackson ObjectMapper를 주입합니다. private final ObjectMapper objectMapper; @Override public void onAuthenticationSuccess(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try { log.info("OAuth2 Login 성공!"); // 소셜 로그인 이메일 가져오기 String email = authentication.getName(); log.info("email : " + email); // 토큰 조회 TokenEntity findToken = tokenRepository.findByMemberEmail(email); log.info("token : " + findToken); // 토큰 DTO 반환 TokenDTO tokenDTO = TokenDTO.toTokenDTO(findToken); // 회원 조회 MemberEntity findUser = memberRepository.findByEmail(email); // 회원 DTO 반환 ResponseMemberDTO memberDTO = ResponseMemberDTO.socialMember(findUser); // 헤더에 담아준다. response.addHeader("email", memberDTO.getEmail()); // 바디에 담아준다. Map<String, Object> responseBody = new HashMap<>(); responseBody.put("providerId", memberDTO.getProviderId()); responseBody.put("provider", memberDTO.getProvider()); responseBody.put("accessToken", tokenDTO.getAccessToken()); responseBody.put("refreshToken", tokenDTO.getRefreshToken()); responseBody.put("email", tokenDTO.getMemberEmail()); responseBody.put("memberId", tokenDTO.getMemberId()); responseBody.put("grantType", tokenDTO.getGrantType()); // JSON 응답 전송 response.setContentType("application/json");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getWriter().write(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responseBody)); } catch (Exception e) { // 예외가 발생하면 클라이언트에게 오류 응답을 반환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INTERNAL_SERVER_ERROR); response.getWriter().write("OAuth 2.0 로그인 성공 후 오류 발생: " + e.getMessage()); response.getWriter().flush(); } } }로컬에서 소셜로그인이 성공하면 OAuth2SuccessHandler에서 바로 JSON으로 반환해주는 형태입니다. 즉, 컨트롤러가 딱히 무슨 역할을 하지 않아도 바로 반환을 해줍니다. 하지만 EC2에 배포하고 구글 개발자 센터, yml에 EC2 퍼블릭을 제대로 입력해주고로그인한 결과 아이디들 제대로 뜨는데 로그인할 아이디를 클릭을 하면Whitelabel Error Page 404페이지가 뜹니다. 로컬 코드를 그대로 배포한건데 왜 안될까요?
-
미해결
MemberService에는 왜 MemberRepository를 주입하지 않는 건가요??
@Transactional public class MemberService {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public Optional<Member> findOne(long id){ return memberRepository.findById(id); } public long save(Member member){ valiateDuplicateMember(member); // 중복회원 검증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turn member.getId(); } private void vali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ifPresent( // findByName이 Optional을 리턴하니까 null이 아니면 중복 검사를 실행 m ->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 public List<Member> findAll(){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 } public void deleteOne(Member member){ memberRepository.deleteAllInBatch(member); } } 여기서 MemberService는 여러가지 연산을 하기 위해서 memberRepository가 필요한데 의존성 주입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이 문장 안 나와도 상관 없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