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Setter 대신 생성자 방식과 @Builder 방식의 선호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강의를 듣다보면 편의를 위해 setter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정하는데 저는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들어 생성자를 따로 생성해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생성자 개수가 늘어나 관리? 하기 어려워져 다른 방법을 찾아보던 중 @Builder를 통해 처리하는 방법을 알게되었는데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은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언리얼로 만드는 게임사운드 - 중.고급 과정
On Finish out 에 Warning이라는 경고는 상관없나요?
안녕하세요~또 질문이 있습니다^^ 메타사운드 롤 제작된 예제중에 마지막 On Finish out 노드에 Warning이라는 경고가 떠 있는데 이거는 상관없는건가요?waveplayer애서 연결해주면 warning이 사라지긴하는데..복수의 Wave player를 믹서로 연결했을 경우는 Warning을 없애는 방법이 없는 건지? 아니면 걍 놔둬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 시큐리티 & JWT 강의
authenticationManager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늘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authenticationManager 파라미터 전달 부분에서 문제가 있어 이렇게 게시글 남깁니다!새로 올려주신 소스코드를 보며 새로 업데이트된 시큐리티에서 사용하기위해 authenticationManager 를 파라미터로 전달하는 부분을 적용하였습니다 그런데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authenticationToken);부분에서 loadbyUsername() 함수를 호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JwtAuthenticationFilter// 유저네임 패스워드 토큰 생성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authenticationToken =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loginUser.getUsername(), loginUser.getPassword() ); System.out.println("JwtAuthenticationToken : 토큰생성완료"); // authenticate() 함수가 호출 되면 인증 프로바이더가 유저 디테일 서비스의 // loadUserByUsername(토큰의 첫번째 파라메터) 를 호출하고 // UserDetails를 리턴받아서 토큰의 두번째 파라메터(credential)과 // UserDetails(DB값)의 getPassword()함수로 비교해서 동일하면 // Authentication 객체를 만들어서 필터체인으로 리턴해준다. // Tip: 인증 프로바이더의 디폴트 서비스는 UserDetailsService 타입 // Tip: 인증 프로바이더의 디폴트 암호화 방식은 BCryptPasswordEncoder // 결론은 인증 프로바이더에게 알려줄 필요가 없음.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authenticationToken); System.out.println("authentication : authentication 생성 완료"); PrincipalDetails principalDetails = (PrincipalDetails) authentication.getPrincipal(); System.out.println("Authentication : " + principalDetails.getUser().getUsername()); return authentication;SecurityConfig@Configuration @EnableWebSecurit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ecurityConfig { private final CosConfig cosConfig; @Bean public SecurityFilterChain filterChain(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AuthenticationManager authenticationManager = http.getSharedObject(AuthenticationManager.class); http.csrf(csrf -> csrf.disable()); http.sessionManagement(session -> session.sessionCreationPolicy(SessionCreationPolicy.STATELESS)); http.addFilter(cosConfig.corsFilter()); // cors 허용 설정 http.addFilterBefore(new MyFilter3(), SecurityContextPersistenceFilter.class); http.formLogin(login -> login.disable()); http.httpBasic(basic -> basic.disable()); http.addFilter(new JwtAuthenticationFilter(authenticationManager)); http.authorizeHttpRequests(request -> request.requestMatchers("/api/v1/user/**") .hasAnyRole("USER", "MANAGER", "ADMIN") .requestMatchers("/api/v1/manager/**") .hasAnyRole("MANAGER", "ADMIN") .requestMatchers("/api/v1/admin/**") .hasRole("ADMIN") .anyRequest().permitAll() ); return http.getOrBuild(); } 와 같이 SecurityConfig를 업데이트된 Spring Security 독스를 보고 선생님께서 강의해주신 내용대로 만들어보았습니다.터미널에서는JwtAuthentication Filter : 로그인 시도중 JwtAuthenticationFilter : UserEntity(id=0, email=null, password=qwer1234, username=ssar, role=null, createDate=null) JwtAuthenticationToken : 토큰생성완료와 같이 JwtAuthenticationToken : 토큰생성완료 까지는 정상적으로 되는걸 확인하였습니다.이후 loadByUsername() 부분에 따로 출력을 찍어 확인한결과 호출이 안되는걸 확인했습니다.@Override public UserDetails loadUserByUsername(String username) throws UsernameNotFoundException { UserEntity userEntity = this.userDao.findByUsername(username); System.out.println("================ loadUserByUsername ================"); System.out.println(userEntity); System.out.println("---------------- loadUserByUsername -----------------"); return new PrincipalDetails(userEntity); } 어떤 부분이 잘못되어서 그런건지 찾지 못하여 게시글 남깁니다! 늘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문제점이 된다고 생각한 부분AuthenticationManager authenticationManager = http.getSharedObject(AuthenticationManager.class);에서 authenticationManager를 받는 부분이 제대로 안되는것 같습니다... 추가로 SecurityConfig 에서 authenticationManager 부분을 로그로 찍어본 결과 null 출력되는걸 확인했습니다... authenticationManager부분이 생성이 안되는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테스트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orderServiceImpl' defined in file [C:\Users\kyoun\OneDrive\바탕 화면\개발\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 candidate. Dependency annotations: {}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80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autowireConstructor(ConstructorResolver.java:24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autowireConstructor(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35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Instance(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19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6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2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2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199)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s(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973)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4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1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init>(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java:93) at hello.core.scan.AutoAppConfigTest.basicScan(AutoAppConfigTest.java:14)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78)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 candidate. Dependency annotations: {}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aiseNoMatchingBeanFound(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87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do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40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34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resolveAutowiredArgument(ConstructorResolver.java:91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89) ... 17 more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이렇게 오류가 뜨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해결됨[C#/.NET 8.0]어서와, Blazor Server는 처음이지?
수업자료가 어디있는 거죠?
위치를 모르겠네요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uild.gradle에 implementation을 다 추가해서 새로고침까지 마쳤는데 로그가 안떠요 ㅠ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JPA와 DB 설정, 동작확인 챕터에서 implementation를 추가한 후 MemberRepositoryTest를 실행시키면 27:05와 같이 쿼리 로그가 떠야 하는데 뜨지 않고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findMember == member true이 로그만 뜨는데 원인이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
해결됨기초부터 따라하는 디지털포렌식
cridex 다운이 안됩니다.
cridex 다운받으려고 하니 403 Access Denied 뜨네요다른 곳에서 다운 받는 방법이 혹시 있을까요?
-
미해결윤재성의 Oracle SQL Database 11g PL/SQL Developer
join 에 in을 사용할때.
직무가 clerk인 사원과 동일한 부서에 근무하고 있는 사원들의 사원번호, 이름 , 입사일을 가져온다.clerk인 사원이 몇번의 부서에서 일 하는지 모른다.```sqlselect empno, ename, hiredate from emp where deptno in (select deptno from emp where job = "clerk")```부서번호를 가져와야 한다.```sqlselect deptno from emp where job = "clerk"에서 결과가 하나이 상인 서브쿼리에 in을 사용하면 서브쿼리의 결과 중 하나라도 일치하면 조건이 참이 된다라고 했는데 부서 번호를 가져와서 여러개의 결과가 있는데 그중 하나라도 있으니까 in을 쓴다는 말인가요? 일반 서브쿼리를 사용 했을때랑 서브쿼리에 in을 사용했을때 그 에러가 정확히 무슨뜻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일반서브쿼리를 쓰면 값이 1개가 나오고 in은 결과 값이 여러개가 나오는 경우에 in을 쓴다는 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GET 요청에서 동일한 파라미터 이름에 여러 값을 전달하는 올바른 방법은 무엇인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HTTP 요청 데이터 - GET 쿼리 파라미터" 강의를 듣다가 GET 요청에서 동일한 파라미터 이름에 여러 값을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질문을 올립니다. 특히, 실무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과 그 이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예를 들어, 같은 파라미터에 다수의 값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다음 두 가지 예시를 봤습니다:http://server/action?id=a&id=bhttp://server/action?id=a,b이 스택오버플로우 포스트에 따르면 이와 관련된 표준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에 실무에서는 어떤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선택의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안녕하세요 아직 수강중이긴한데 실무에서 작업중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는 수강중이기도하고 아래에 비슷한 맥락의 질문이 있는데 제가 이해한게 맞나 궁금해서질문 올립니다!현재 next14 버전과 styled-component를 사용중이며 공식문서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styling/css-in-js#styled-components내용 과 검색등을 통하여 적용하였습니다.// libs/styledCompnents/Registry.tsx 'use client'; import { useServerInsertedHTML } from 'next/navigation'; import { ReactNode,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ServerStyleSheet, StyleSheetManager } from 'styled-components'; const Registry = ({ children }: { children: ReactNode }) => { const [styledComponentsStyleSheet] = useState(() => new ServerStyleSheet()); useServerInsertedHTML(() => { const styles = styledComponentsStyleSheet.getStyleElement(); styledComponentsStyleSheet.instance.clearTag(); return <>{styles}</>; }); if (typeof document !== 'undefined') { return <>{children}</>; } return ( <StyleSheetManager sheet={styledComponentsStyleSheet.instance}> {children} </StyleSheetManager> ); }; export default Registry; //libs/styledComponets/Provider.tsx 'use client'; import { ThemeProvider }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GlobalStyles from '@/styles/GlobalStyles'; import theme from '@/styles/theme'; import { PropsWithRequiredChildren } from '@/types/common'; import { StyledComponentsRegistry } from '.'; const Providers = (props: PropsWithRequiredChildren) => { return ( <StyledComponentsRegistry> <ThemeProvider theme={theme}> <GlobalStyles /> {props.children} </ThemeProvider> </StyledComponentsRegistry> ); }; export default Providers; // layout.tsx import type { Metadata } from 'next'; import { Inter } from 'next/font/google'; import AdminLayout from '@/layouts/AdminLayout/AdminLayout'; import { StyledComponentsProvider } from '@/libs/styledComponents'; import { MSWComponent } from '@/mocks/MSWComponent'; const inter = Inter({ subsets: ['latin'] }); export const metadata: Metadata = { title: 'Create Next App', description: 'Generated by create next app', }; export default function RootLayout({ children, }: { children: React.ReactNode; }) { return ( <html lang="en"> <body className={inter.className}> <MSWComponent> <StyledComponentsProvider> <AdminLayout>{children}</AdminLayout> </StyledComponentsProvider> </MSWComponent> </body> </html> ); } 현재 이렇게 사용중인데 AdminLayout에 'use client'를 사용하지않으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오고'use client' 를 사용하면 에러 없이 렌더링이 정상적으로 됩니다.```Server ErrorError: createContext only works in Client Components. Add the "use client" directive at the top of the file to use it. Read more: https://nextjs.org/docs/messages/context-in-server-componentThis error happened while generating the page. Any console logs will be displayed in the terminal window.Call Stackonode_modules/styled-components/dist/styled-components.esm.js (1:15911)(rsc)/./node_modules/styled-components/dist/styled-components.esm.jsnext/server/vendor-chunks/styled-components.js (30:1)__webpack_require__next/server/webpack-runtime.js (33:42)evalwebpack-internal:///(rsc)/./src/components/atoms/Text/Text.style.ts (5:75)(rsc)/./src/components/atoms/Text/Text.style.tsnext/server/app/page.js (569:1)__webpack_require__next/server/webpack-runtime.js (33:42)evalwebpack-internal:///(rsc)/./src/components/atoms/Text/Text.tsx (7:69)(rsc)/./src/components/atoms/Text/Text.tsxnext/server/app/page.js (580:1)__webpack_require__next/server/webpack-runtime.js (33:42)evalwebpack-internal:///(rsc)/./src/components/atoms/Text/index.ts (5:63)(rsc)/./src/components/atoms/Text/index.tsnext/server/app/page.js (591:1)__webpack_require__next/server/webpack-runtime.js (33:42)evalwebpack-internal:///(rsc)/./src/layouts/AdminLayout/AdminLayout.tsx (10:80)(rsc)/./src/layouts/AdminLayout/AdminLayout.tsxnext/server/app/page.js (745:1)__webpack_require__next/server/webpack-runtime.js (33:42)evalwebpack-internal:///(rsc)/./src/app/layout.tsx (10:90)(rsc)/./src/app/layout.tsxnext/server/app/page.js (503:1)Function.__webpack_require__next/server/webpack-runtime.js (33:42)async eq/node_modules/next/dist/compiled/next-server/app-page.runtime.dev.js (35:401280)async tr/node_modules/next/dist/compiled/next-server/app-page.runtime.dev.js (35:405046)async tn/node_modules/next/dist/compiled/next-server/app-page.runtime.dev.js (35:405596)async tu/node_modules/next/dist/compiled/next-server/app-page.runtime.dev.js (35:409938)async/node_modules/next/dist/compiled/next-server/app-page.runtime.dev.js (35:410457)```궁금한 점이 3가지가 있는데 검색만으로는 이해가 잘안되서 질문드립니다ㅠ1. AdminLayout이 'use client'를 선언하지 않고 서버 컴포넌트로 사용을 하여도 StyledComponentsProvider 가 'use client' 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의 자식으로 AdminLayout을 사용하면 AdminLayout도 자동으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변경되는걸까요? 아니면 자식 요소로 사용하는것은 상관없이 import 해오는 경우만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서버 컴포넌트를 불러오면 서버 컴포넌트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되는걸까요?2. 컴포넌트의 자식이 부모의 컴포넌트의 상태를 따라간다면, 만약 최상위 부모 (Layout)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라면 어차피 AdminLayout 이나 불러오는 NavMenu 들을 서버 컴포넌트로 사용 못하는게 맞나요?3. 강의상 진행할때는 문제 없었습니다. 현재 위에 질문드린 에러는 styled-components 때문에 createContext 는 use client에서만 사용할수있다라는 에러인거같은데 AdminLayOut이나 다른 페이지에서도 useContext를 사용하려하면 'use client'를 작성하여도 같은 에러가 나옵니다. 현재 말씀드린 정보로만으로는 에러의 문제점을 찾을순 없을까요?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aws solution architect professional 자격증 문의
해당 강의로 aws solution architect professional 자격증도 준비 가능할까요?aws solution architect professional 자격증을 위한 진행 중이신 강의가 있거나, 추천하실만한 강의 있으면 공유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2차코테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코테를 볼때 1차 2차 나눠서 보는 기업이 있더라구요 (대표적으로 카카오)근데 1차는 알고리즘이고 2차는 api 통신을 해야하는 코테로 진행한다고 봤는데 이렇게 api통신을 이용해 코테를 보는 기업이 많을까요? 제가 찾을때는 카카오만 보여서 질문드렸습니다또 sql 코테를 보는곳도있다고 들었는데 이것도 많이 보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Item 클래스에서 사용되는 멤버변수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멤버변수를 생성할 때, 기본 타입이 아닌 래퍼 클래스로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질문
21분 39초 쯤에 빌드를 하고 제가 만든 블루프린트 로직과 강사님의 블루프린트의 로직이 아예 다릅니다 변수도 빠진게 있고요 제가 이벤트들을 직접 생성해야 하는것인가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2:34 RQProvider에 "use client"; 로 csr 선언?을 해주신 것 같은데 이런 형식의 구조라면 SSR이나 SSG 적용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제로초님.리액트 쿼리를 도입해보려고 할 때 마침제로초님 강좌가 올라와서 참고하고 있습니다!근데 제 Nextjs 프로젝트의 데이터가 대부분 ssr이나 ssg로데이터를 가져오게끔 하려고 하고 있거든요강의에서 ssr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그전에 RQProvider로 리액트 쿼리를 쓸 범위를 지정해주셨잖아요? 근데 useState를 사용하고 있고, "use client";가 선언되어있는데 그 밑으로 담기는 페이지나 컴포넌트들에 ssr, ssg 적용이 잘 되는지에 대해 궁금해져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제로초님 강의와 비슷하게 ssr로 데이터 가져오게 작업해봤을때 csr이 아니라 ssr로 잘 가져오는 거 같기는 한데 어떻게 되는거지?! 계속 궁금하네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배열의 이중포인터
안녕하세요학습중 개념에 혼동이 생겨 질문글을 남깁니다.강의는 10.13, 4분 18초 쯤입니다. 예컨대*(*(parr + 1) + 2)가 있다 하면 이것이 어떤 값을 나타내는지 그 과정 중에서 혼란스러운 부분이 몇 개 있습니다. 질문과 더불어 제가 잘못 설명하는 부분이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rr + 1는 포인터parr 배열의 2번 째 원소(arr[1])의 첫 주소, 즉 4의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입니다. 한편, *라는 기호는 포인터변수에 저장된 주소에 접근하여 그쪽에 저장된 데이터를 들고오는 역참조의 기능을 수행케 합니다. 그렇다면 *이 붙은 *(parr + 1)에서는 4의 주소로 접근하여 *에 의해 4라는 값을 역참조해오게 됩니다. 하지만 그러면 *(4 + 2)가 되는데 이는 전혀 말이 안 되고 본래의 +2는 포인터의 산술연산을 위한 것이기에 *(parr + 1)는 모종의 포인터가 돼야 하고 강의 중에서도 교수님이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제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과 달리 가장 밖에 있는 *는 실제로 역참조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자명한데도요...) 그래서 정리하자면 *(parr + 1)는 어떤 주소를 나타내것인지 아니면 모종의 포인터를 의미하는 건지 궁금하며 그리고*(*(parr + 1) + 2)의 전체적인 플로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LV1] Jetpack Compose - UI 연습하기
colorList 에서 빨간줄이 ...
언제나 수고많으신 강사님늘 건강하시고 부자되세요 실행 후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import android.graphics.Color import android.util.Size import androidx.compose.foundation.Canvas import androidx.compose.foundation.layout.BoxWithConstraints import androidx.compose.foundation.layout.padding import androidx.compose.foundation.layout.size import androidx.compose.runtime.Composable import androidx.compose.ui.Modifier import androidx.compose.ui.tooling.preview.Preview import androidx.compose.ui.unit.dp import com.dongguntech.compose_navi_graphes.ui.theme.Compose_Navi_GraphesTheme @Composable fun Graph2() { GraphPie() } @Composable fun GraphPie() { val pieSize1 = 25f val pieSize2 = 75f val colorList = listOf(Color.RED, Color.BLUE) PieChart( pieSize1, pieSize2, colorList, ) } @Composable fun PieChart( pieSize1 : Float, pieSize2 : Float, colorList : List<Color> ) { val totalSize = pieSize1 + pieSize2 BoxWithConstraints( modifier = Modifier.padding(20.dp) ) { val pieDetailSize = constraints.maxWidth.toFloat() Canvas(modifier = Modifier.size(pieDetailSize.dp)){ val sweep1 = 360 * (pieSize1 / totalSize) drawArc( color = colorList[0], startAngle = 0f, sweepAngle = sweep1, useCenter = true, size = Size(pieDetailSize, pieDetailSize) ) val sweep2 = 360 * (pieSize2 / totalSize) drawArc( color = colorList[1], startAngle = sweep1, sweepAngle = sweep2, useCenter = true, size = Size(pieDetailSize, pieDetailSize) ) } } } @Preview(showBackground = true) @Composable fun Graph2Preview() { Compose_Navi_GraphesTheme { Graph2() } }위 코드중에서 아래 캡쳐화면부분중에서colorList 에서 빨간줄 이 생기네요 또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정보처리기사 필기 - 제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2020 개정)
강의
혹시 전체적인 강의 내용이 계속 업데이트 되는 건가요??? 2020년도에 멈춰있는 것 같은데24년도 시험내용이랑 동일할까요???수제비 문제집 2023년도랑 같이 보는데 빠진 부분이랑 다루지 않는 내용도 강의에 나오는 것 같아서요그리고 혹시 코스별 강의에 관한 자료를 받아 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인덱스 최적화 기법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고 해당 강의 내용 중 [인덱스는 비용이다 : 먼저 인덱스는 두 번 탐색하도록 강요합니다. 인덱스 리스트, 그다음 컬렉션 순으로 탐색하기 때문이며, 관련 읽기 비용이 들게 됩니다.]라는게 정확히 어떤 말씀이신지 이해가 안돼서 혹시 조금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실제 프로젝트나 현업에서 primary key로 uuid를 사용하지 않아도 괜찮은가요?
uuid를 사용하지 않으면 id 값이 너무 단순해 보이는데 값이 쉽게 예측됨으로써 발생하는 보안 문제는 없을까요..? 실제 현업에서는 uuid를 사용하는지 사용하지 않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uuid를 more than을 통해 값을 비교햐여 pagination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