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과제 도와주세요 마감 이틀 전!!
제가 학교 과제로 만드는 웹사이트에 채팅 페이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그런데 채팅과 이미지 삽입은 로컬로는 구현을 하였습니다.하지만 거래라는 특수한 기능이 있어야 하는데div를 추가해서 거기에 상품의 가격을 적고수락 과 거절을 골라 수락을 고르면 판매자에게는 판매자에게 계좌를 적는 input이 생기고구매자는 그 계좌를 클릭하면 바로 결제를 할 수 있게 하려고 하는데거래라는 특수한 기능이 채팅창에 출력이 이상하게 됩니다.제가 만든 거지만 너무 복잡해서 js를 못하는 저는 수정을 못하겠더라고요저는 거래가 채팅이나 이미지 처럼거래를 하고 채팅을 치거나 이미지를 삽입하면 잘 넘어가게 그렇게 되면 좋겠는데말로 설명하긴 어렵네요.대충 이미지와 채팅은 자신말고는 가로줄에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고 다른 채팅이나 이미지를 치면다음 줄에 생기고 자동으로 아래로 스크롤이 되는데 제 '거래'는 방금 말한 기능 단 한개도 적용이 안됩니다도와주세요!!최대한 빨리 부탁드려요!이틀 뒤 마감이예요 제발~~! file:///C:/Users/User/Documents/extra/extra-chat.html코드가 너무 길어서 적지 못한 점정말 너무 죄송합니다.링크 들어가셔서 개발자 모드로 코드 봐주시고도움 좀 주세요 제발!! T_T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콘솔에 스프링 실행 시 로그가 안뜹니다.
안녕하세요 스프링 3.2.0을 쓰고 있습니다.강사님처럼 스프링 실행 시이러한 로그들이 안뜨고, MemberApp이나 OrderApp을 실행하면이런식으로 뜨는데 스프링 버전 차이에서 오는 것일까요..?교안에도 이렇게 나와있어서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3-3. 문제 정의 프레임워크 연습 문제
안녕하세요! 문제 정의 프레임워크 파트를 수강하면서 실습 문제 에 대한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문제: 우리 서비스에 접속하는 유저(DAU)는 비슷하나, 매출이 작년 대비 감소했다.질문 1)강의에서 상세 페이지 -> 장바구니 퍼널에서 작년 대비 올해의 매출 감소가 크다는 문제를 파악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차이를 알아보고 그 차이에 따라 Action을 도출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여기서 '차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해당 퍼널을 구성하는 기능이나 UI 등에서 작년 대비 올해에 변화가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일까요..? 이런 차이에 따라서 어떻게 액션을 도출하는지 구체적인 예시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 2)같은 문제에 대해서 강의 내용을 듣기 전에 제가 스스로 작성한 답변과 사고 흐름에 대해서 피드백과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같은 것들을 말씀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일단 저는 '매출' = 활성 유저의 수 X 인당 매출액(구매액)으로 정의하고, 먼저 매출 감소의 원인을 기존 유저, 신규 유저로 나누어 보고 각각의 경우에서 활성 유저의 수 또는 인당 매출액이 감소한 경우로 나누어서 각각의 경우에 대한 Action plan을 도출해봤습니다.여기서 기존 유저와 신규 유저로 먼저 나누어본 이유는 DAU가 전체 유저의 관점에서는 비슷할 수 있으나, 기존 유저, 신규 유저로 나누어 보면 활성 유저의 수가 작년 대비 변화했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작성하면서 고민이 되었던 점은 '활성 유저의 수'라는 지표에서 '활성'이라는 것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에 대한 의문이 들었고, 활성 유저의 수가 서비스에 '접속'하는 유저를 기준으로 정의하게 된다면, 접속하는 유저 중에서 매출을 일으키지 않는 유저들도 많을 텐데 매출을 '활성 유저의 수 X 인당 매출액' 으로 정의해도 괜찮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으로 아직 3단원까지만 들었지만 데이터 분석과 그로스 마케팅에 관심이 있는 취준생 입장에서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아서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ㅎㅎ 그 동안은 정말 데이터 그 자체만 보고 전처리나 모델링에만 집중한 적도 많았는데, 기계적으로 분석하는 게 아니라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해주셔서 좋은 것 같아요! 앞으로도 열심히 수강하고 질문도 자주 드리겠습니다 :)
-
해결됨취미로 해킹#2(해커의 컴퓨팅)
블랙해커들은 파일 암호 프로그램을 혹시 이렇게 활용하나요?
악성코드를 만들때 내부에 원격제어권 탈취와 함께 상대방의 컴퓨터에 파일 암호화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한 후, 비밀번호를 마음대로 설정하게 할 수 있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ibernate 생성한 select 쿼리의 team_id, member_id 컬럼 중복
@Entity 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아래는 getter, setter }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Column(name = "USERNAME") private String username;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Team team;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username; } public void setUsername(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public Team getTeam() { return team; }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 public void changeTeam(Team team){ this.team = team;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team.getMembers().add(this);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 //저장 Team team = new Team(); team.setName("TeamA"); em.persist(team);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1"); //member.setTeam(team); //owner에 넣어야 DB 반영됨 member.changeTeam(team);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em.persist(member);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member2"); member1.changeTeam(team); em.persist(member1); em.flush(); em.clear(); Team findTeam = em.find(Team.class, team.getId()); List<Member> members = findTeam.getMembers(); System.out.println("====================="); for (Member m : members) { System.out.println("m = " + m.getUsername()); } System.out.println("====================="); tx.commit(); } catch (Exception e){ tx.rollback(); } finally { em.clear(); } emf.close(); }Team, Member가 양방향 연관관계를 맺고 있는 상태에서 우선 Team을 조회하고 Team의 members를 사용하는 시점에 Member를 조회하는 예시입니다. 처음에는 select m.team_id, m.member_id, m.username from member as m where member.team_id = 1;이런 형태로 select 쿼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hibernate로 발생한 쿼리를 확인하니 아래와 같은 쿼리가 발생했습니다.Hibernate: select members0_.TEAM_ID as team_id3_0_0_, members0_.MEMBER_ID as member_i1_0_0_, members0_.MEMBER_ID as member_i1_0_1_, members0_.TEAM_ID as team_id3_0_1_, members0_.USERNAME as username2_0_1_ from Member members0_ where members0_.TEAM_ID=?hibernate가 생성한 select쿼리에서 team_id, member_id 컬럼이 두번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inline이 들어가면 실행이 안 되는데 이유가 뭔가요?
//Calc.h #pragma once #include <iostream> class Calc { private: int m_value; public: Calc(int init_value); Calc& add(int value); Calc& sub(int value); Calc& mult(int value); void print(); };//Calc.cpp #include "Calc.h" inline Calc::Calc(int init_value) : m_value(init_value) {} inline Calc& Calc::add(int value) { m_value += value; return *this; } inline Calc& Calc::sub(int value) { m_value -= value; return *this; } inline Calc& Calc::mult(int value) { m_value *= value; return *this; } inline void Calc::print() { std::cout << m_value << std::endl; } //main.cpp #include "Calc.h" int main() { Calc cal(10); cal.add(10).sub(1).mult(2).print(); Calc(10).add(10).sub(1).mult(2).print(); return 0; }이렇게 했는데요..Calc.cpp에서 inline들을 다 빼버리니까 실행은 되는데 빼야지만 실행이 된다고 설명은 안 하신 거 같은데빼야지만 실행이 되는 게 맞는 건가요 ?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OpenJDK64-Bit
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Options -Xverify:none and -noverify were deprecated in JDK 13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아래의 오류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스트림릿(Streamlit)을 활용한 파이썬 웹앱 제작하기
유튜브와 차이는...
유튜브와 전혀 차이는 없는거죠?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data가 isArray() = ture인 이유
ProductControllerTest에서@DisplayName("판매 상품을 조회한다.") @Test void getSellingProducts() throws Exception { // given List<ProductResponse> result = List.of(); when(productService.getSellingProducts()).thenReturn(result); // when // then mockMvc.perform( get("/api/v1/products/selling") )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jsonPath("$.code").value("200")) .andExpect(jsonPath("$.status").value("OK")) .andExpect(jsonPath("$.message").value("OK")) .andExpect(jsonPath("$.data").isArray()); }data의 타입이 List인데 isArray()로 확인되는 이유는 JSON으로 변경될 때 List타입을 Array타입으로 자동으로 변경해서 그런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질문있습니다.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Map을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package hello.core.autowired; import hello.core.AutoAppConfig;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AllBeanTest { @Test void findAllBean()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DiscountService.class); DiscountService discountService = ac.getBean(DiscountService.class); Member member = new Member(1L, "userA", Grade.VIP); int discountPrice = discountService.discount(member, 10000, "fixDiscountPolicy"); assertThat(discountService).isInstanceOf(DiscountService.class); assertThat(discountPrice).isEqualTo(1000); } static class DiscountService { private final 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private final List<DiscountPolicy> policies; public DiscountService(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List<DiscountPolicy> policies) { this.policyMap = policyMap; this.policies = policies; System.out.println("policyMap = " + policyMap); System.out.println("policies = " + policies); }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String discountCode) {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policyMap.get(discountCode); System.out.println("discountCode = " + discountCode); System.out.println("discountPolicy = " + discountPolicy); return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price); } } } 여기서 policyMap과 List에 주입되는 과정이 이해가 안갑니다. Map은 왜 <String,DiscountPolicy>로 정의했고 List는 <DiscountPolicy>로 정의 했는지, 그리고 여기에 어떻게 Ratediscountpolicy와 Fixdiscountpolicy가 들어갔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콘솔창 빨간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계속 이렇게 뜨는데 런타임때 오류는 딱히 발생하지 않습니다 런타임 이후 런타임을 중지 할때 이런 오류가 계속뜨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UPDATED) Python을 이용한 개인화 추천시스템 | 추천알고리즘 | 추천인공지능
Timestamp 제거 이유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구있습니다 혹시 timestamp를 제거하는 이유가 어떤것인지 자세히 알 수 있을까요? 상품추천 데이터에서 날짜가 변수로 필요한 경우는 없나요?? 또 예를들어 5년치의 고객 구매 데이터를 학습한다고 할때 연도별로 고객 나이가 달라지는데 이때 유니크값을 고객+나이로 해서 해야할지 궁금합니다ㅠㅠ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SQL과 데이터베이스(MySQL) 부트캠프 [입문부터 활용까지]
강의자료를 통해서 요약한 내용을 블로그로의 사용여부
강의자님 강의자료를 통해서 노트에 학습 내용을 개인적으로 요약해서 개인 블로그에 공부 기록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swap 함수에서 printf문 질문있습니다
수업 내용의 프린트 구문은 void swap(int* u, int* v) { printf("%p %p\n", u, v); int temp = *u; *u = *v; *v = temp; } 이런식으로 되어있는데 u와 v에 &기호를 붙혀주면 a, b 와 주소가 다르게 나오는데 어떤 주소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기본객체들 404
스프링MVC 기본객체들 강의 학습중인데요404가 나오네요 소스 자체를 복붙해도 404가 나오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스프링은 3.2.0 버전사용하고 있고아래는 소스코드 입니다BasicControllerpackage hello.thymeleaf.basic;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ssion; import lombok.Data;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Controller @RequestMapping("/basic") public class BasicController { @GetMapping("text-basic") public String textBasic(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Spring!"); return "/basic/text-basic"; } @GetMapping("text-unescaped") public String textUnescaped(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b>Hello Spring!</b>"); return "/basic/text-unescaped"; } @GetMapping("/variable") public String variable(Model model) { User userA = new User("userA", 10); User userB = new User("userB", 20); List<User> list = new ArrayList<>(); list.add(userA); list.add(userB); Map<String, User> map = new HashMap<>(); map.put("userA", userA); map.put("userB", userB); model.addAttribute("user", userA); model.addAttribute("users", list); model.addAttribute("userMap", map); return "basic/variable"; } @Data static class User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int age; public User(String username, int age) { this.username = username; this.age = age; } @GetMapping("/basic-objects") public String basicObjects(HttpSession session) { session.setAttribute("sessionData", "Hello Session"); return "basic/basic-objects"; } @Component("helloBean") static class HelloBean { public String hello(String data) { return "Hello " + data; } } } } basic-objects<!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head> <body> <h1>식 기본 객체 (Expression Basic Objects)</h1> <ul> <li>request = <span th:text="${request}"></span></li> <li>response = <span th:text="${response}"></span></li> <li>session = <span th:text="${session}"></span></li> <li>servletContext = <span th:text="${servletContext}"></span></li> <li>locale = <span th:text="${#locale}"></span></li> </ul> <h1>편의 객체</h1> <ul> <li>Request Parameter = <span th:text="${param.paramData}"></span></li> <li>session = <span th:text="${session.sessionData}"></span></li> <li>spring bean = <span th:text="${@helloBean.hello('Spring!')}"></span></li> </ul> </body> </html>index.html<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head> <body> <ul> <li>텍스트 <ul> <li><a href="/basic/text-basic">텍스트 출력 기본</a></li> <li><a href="/basic/text-unescaped">텍스트 text, utext</a></li> </ul> </li> <li>표준 표현식 구문 <ul> <li><a href="/basic/variable">변수 - SpringEL</a></li> <li><a href="/basic/basic-objects?paramData=HelloParam">기본 객체들</a></li> <li><a href="/basic/date">유틸리티 객체와 날짜</a></li> <li><a href="/basic/link">링크 URL</a></li> <li><a href="/basic/literal">리터럴</a></li> <li><a href="/basic/operation">연산</a></li> </ul> </li> <li>속성 값 설정 <ul> <li><a href="/basic/attribute">속성 값 설정</a></li> </ul> </li> <li>반복 <ul> <li><a href="/basic/each">반복</a></li> </ul> </li> <li>조건부 평가 <ul> <li><a href="/basic/condition">조건부 평가</a></li> </ul> </li> <li>주석 및 블록 <ul> <li><a href="/basic/comments">주석</a></li> <li><a href="/basic/block">블록</a></li> </ul> </li> <li>자바스크립트 인라인 <ul> <li><a href="/basic/javascript">자바스크립트 인라인</a></li> </ul> </li> <li>템플릿 레이아웃 <ul> <li><a href="/template/fragment">템플릿 조각</a></li> <li><a href="/template/layout">유연한 레이아웃</a></li> <li><a href="/template/layoutExtend">레이아웃 상속</a></li> </ul> </li> </ul> </body> </html>링크여기서 막혀서 학습을 못하고 있어요 ㅠㅠ 도와주세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안녕하세요 강사님 관련 질문은 아닌데 테스트 때문에 진도를 못 나가서 질문 하나 올립니다!!
Redis 테스트는 어떻게 진행해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embedded Redis 를 사용해야 되는지,테스트 컨테이너를 사용해야 되는지 어떤 방법으로 진행해야 되는지 가르쳐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properties안에 써놓은 한글이 깨집니다.
이런식으로 한글이 깨지는데, 처음엔 @Getter나 jackson라이브러리나 slf4j가 깨지는 줄 알았는데게터 세터 직접 구현하고 브라우저에서 찍고, ide상에서 System.out.println으로 찍어도 깨지네요 ㅠㅠ.. 검색해서 나온이런것 다 해보았습니다.vmoption 파일도 수정했습니다. 실행 옵션에 따라 동적으로 서비스 명 다르게 해서 배포하고 싶었는데, 잘 안되네요 ㅠㅠ..강의를 따라했을 때 국제화 message는 안깨졌었는데 이상하네요..
-
미해결윤재성의 Kotlin 기반 안드로이드 앱 개발 Part1 - UI Programming
예제 코드가 빌드가 않됩니다.
android studio giraffe 2023.3.1으로 공부하는데.강의해주신 내용과 거의 맞지 않습니다.이 정도면 강의를 내리는게 맞지 않을까요? ㅠㅠ
-
해결됨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useState는 필수일까요?
안녕하세요. useState()를 사용하지 않고,단지 data로 받아서data.map(suggestion) => ( ... )이렇게 처리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컴포넌트의 return 내부에서는 상태가 변경될 일이 없을 것 같아서 말입니다.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평가 실습 - 피마 인디언 당뇨병 예측
안녕하세요.수업 중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diabetes_data[zero_features] = diabetes_data[zero_features].replace(0, diabetes_data[zero_features].mean())이렇게 구현하면 0이 평균에 포함되어서 평균값이 왜곡되지 않는지요?diabetes_data[zero_features].mean() 아래와 같은 식으로 0제외한 값으로 대체 되어야하는것 아닐지요?diabetes_data[diabetes_data[feature] != 0][feature].mean()특정한목은 43%나 0값이 있는데, 0을 포함한 평균값이면 평균값이 매우 낮아질것 같아서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