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build and run using 설정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화면캡쳐가 안되서 아쉬운데섹션8 요구사항 분석 에서 0:35 쯤 build and run using, run tests using 두가지 설정을 IntelliJ IDEA 로 모두 바꾸라 하셨는데 제가 요즘 검색해보니까 Greadle 3.0 이상부터는 이부분을 Gradle로 유지하라고 본적이 있습니다만, 강의 찍으셨던 시기와 지금은 버전이 다르니까혹시 저는 Gradle로 유지하는게 맞는지 정답을 듣고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JSP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서블릿에서는 request, response로 직접 응답 정보를 설정하고 화면에 어떻게 뿌려주는 지를 설정해줬었는데 JSP는 이 과정을 저희가 작성해줄 필요 없이 JSP에서 자동으로 해주는건가요??`MemberFormServlet, MemberListServlet, MemberSaveServlet` 같은 파일 없이도 내부적으로 이런 과정이 추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건지 JSP에서 어떻게 클라이언트 요청과 응답이 진행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기존에는 text/html 형식이면 이거대로 하고 단순히 메시지 바디로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경우에도 request, response로 제어가 가능했다면 jsp는 html 파일을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형태처럼 보이는데 그러면 jsp의 경우에는 html과 함께 쓰일 때만 사용하는 것인가여?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ain 메서드의 클래스 위치변경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제가 main 메서드가 존재하는 클래스의 위치를 변경하였는데요.변경 후 부터 class not find 오류가 발생해서 클래스를 찾을 수 없다고 하는거 같은데 한 번 main 메서드가 존재하는 클래스를 만들고 나면 위치를 변경시키면 안 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dto사용시 errors.properties 필드명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ItemDto로 요청을 받았을때 에러메세지가 NotNull.item.itemName은 되고 NotNull.itemDto.itemName은 왜 안되는걸까요? itemDto에서 item을 검증한다는걸 어떻게 아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gradle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gradle jvm에서 openjdk 22 쓰고 있는데 정상적으로 작동되는거 같은데 java 17로 바꿔줘야 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java 17은 어디서 다운 받으면 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java 17은 어디서 다운 받으면 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gradle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이렇게 뜹니다 해결방법 알려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실무에서는 JWT를 사용하지않고, HttpSession을 사용하나요?
보안때문에 Spring Security의 JWT, CSRF 공부를 하려고 했는데... 실무적으로는 많이 사용하지않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utoWired 오류와 Bean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1. 저는 MemeberService 쪽에서 @AutoWired를 해주는 부분에서 노란줄이 생기던데 생성자가 하나이기 때문에 생략가능해서 뜨는건가요?강사님이 계속 Bean이라고 언급하시는데 Bean이라는게 뭔지 궁금합니다. 이건 다음 강의에서 배울 수 있는건가요?
-
미해결처음하는 파이썬 백엔드 FastAPI 입문 (FastAPI부터 비동기 SQLAlchemy까지) [풀스택 Part1-2]
실전 프로젝트 코드
- 강의 영상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상세히 문의를 작성해주시면, 주말/휴일 제외, 2~3일 내에 답변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는 평생 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강의 답변이 도움이 안되셨다면, dream@fun-coding.org 로 메일 주시면 재검토하겠습니다. - 괜찮으시면 질문전에 챗GPT 와 구글 검색을 꼭 활용해보세요~-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다운로드 방법포함)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이전에 수업에 관한 코드는 pdf파일로 공유 받았는데실전 프로젝트 코드는 어디서 받을수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viewPath설정의 오류인가?, 아니면 그저 컴퓨터 오류인가
안녕하세요 다른 질문들 보면서 저와 비슷한 것은 알겠지만 저와 다른 것 같아 여기 질문드려봅니다 제가 작성한 코드 : https://drive.google.com/file/d/1QYZwvaOXezKHGvpeHLRoYj9Z6e_OQPP1/view?usp=drive_link 여기서 http://localhost:8080/front-controller/v1/members/new-form주소로 구글크롬을 이용해 접근을 하게 되면 저는 이렇게 표시가 됩니다강의를 보면서 오류가 생겨 정말 며칠간 이것저것 코드도 다시 작성해보고 했는데 어느순간부터 이게 되질 않네요; 이부분의 1번의 FrontControllerServletV1이부분의 각 put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 같다고 지금 혼자 결론을 냈고, 디버깅도 해보려 노력했지만생각처럼 되질 않습니다 어지간하면 질문 안하고 혼자해보는 사람인데 너무 삽질을 많이하고 있어 질문드려봅니다 제 설명이 부족했다면 바로 추가드리겠습니다!질문 요약코드대로 스프링을 실행하고주소로 접근하면 왜 form이 안나오고 오류창이 뜨는지가 궁금+ 각 viewPath가 틀린게 아닌가 라는 gpt의 말이 있었지만 아시다시피 gpt가 헛소리를 많이하는 탓에 잘 모르겠습니다.v1, v2, v3 모두 정상작동해서 v5까지 다시 해볼 수 있도록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트랜잭션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JPA 사용 시 주의해야할 점은, 항상 “트랜잭션”이 있어야 한다"라고 해주셨는데, 그 말의 의미가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DB 서버에 연결해서 데이터 관련 작업(쿼리를 날리는 등)시 무조건 트랜잭션이 필요하다는 말인가요?즉, JPA가 아닌 JDBC Template을 사용하더라도 무조건 DB와의 데이터 관련 작업 시 “트랜잭션”이 있어야 하나요?어떤 메서드엔 @Transactional이 없어도 되었고 어떤 메서드엔 필요했던 기억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그리고, 트랜잭션이 걸려있을 때 애플리케이션에서 DB 서버로 쿼리를 날릴 때, "트랜잭션이 실행되고 DB에 쿼리가 날라가고 commit이 되서 DB에 데이터가 들어가는 순서" 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PA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1)JPA를 사용하기위해 도메인 클래스에 @Entity나 @Id, @GeneratedValue를 달다가 확인하게 되었는데, 강의에선 javax.persistence.Id 이건데, 저는 지금 jakarta.persistence.Id에 있는 애노테이션이었습니다.그래서 궁금한 게 javax와 jakarta가 정확히 무엇이고, 일반 java랑 어떤 차이가 있는 개념인지도 궁금합니다!그리고 javax는 지금은 jakarta로 바뀐걸로 이해하면 되겠죠? 2)아래에 있는 JPA 예시 코드에서 setParameter(~~)의 역할이, 메서드의 인자로 받은 name을 setParameter로 넣어주면, 그게 쿼리의 where 조건의 값으로 들어가는 게 맞을까요?@Overridepublic Optional<Member> findByName(String name) { List<Member> result =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name = :name", Member.class) .setParameter("name", name) .getResultList(); return result.stream().findAny();} 3)QueryDsl을 사용하면 동적 쿼리를 더 잘 다룰 수 있다고 해주셨는데 동적 쿼리와 정적 쿼리의 차이점이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게 맞을까요?정적 쿼리 : findByName처럼 항상 같은 조건의 쿼리동적 쿼리 : 검색 조건에 따라, 조건이 동적으로 바뀌는 쿼리ex)이름 검색, 나이 검색 등등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OP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AOP를 사용하면, 스프링이 뜨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예를 들어 MemberService 클래스의 객체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될 때, 가짜인 프록시 객체와 실제 객체 이렇게 2개가 다 등록이 되는 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그래서, 처음에는 등록된 빈끼리 의존성을 주입할 땐 가짜 프록시 객체가 사용되다가, joinPoint.proceed() 메서드가 호출될 때 실제 객체가 호출되어서 사용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안녕하세요. 이 로드맵 과정은 스프링 부트를 주로 활용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제가 친형걸로 이걸 들으려고 하는데 이 로드맵 전반적인 과정은 스프링인지 스프링부트인지 알고 싶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ArgumentResolver가 Service레이어 클래스, DB접근에 접근하는 클래스에 의존하도록 설계해도 괜찮나요?
문제 상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page 정보를 받아서 게시글 리스트, 페이지 정보를 View로 전달하는 Controller 코드 입니다. @GetMapping("/posts") public String getPosts(@RequestParam("page") String page, Model model) { // 사용자가 입력한 page문자열과 모든 post의 개수를 매개변수로 받아서 page 정보 생성 // 사용자가 입력한 page값을 검증 후 올바른 Page 정보를 반환한다. // "@#$", "hello" 같은 이상한 page값이 들어오면 모두 1로 변경한다. Page page = Page.validateAndCreate(page, postService.getPostsCount()); // page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page에 속하는 post들을 반환한다. List<Post> posts = postService.getPostList(page); // view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model.addAttribute("page", page); model.addAttribute("posts", posts); }처음에는 위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page정보 뿐 아니라, 다른 sorting정보, searching정보 등 여러 매개변수들이 들어오다 보니, Controller 코드가 복잡해진다고 느꼈습니다. 간단한 예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GetMapping("/posts") public String getPosts(@RequestParam("page") String page, @ModelAttribute("sort") Sort sort, @ModelAttribute("search") Search search, .... 등등 , Model model) { // 여러가지 전처리 로직들 Page page = Page.validateAndCreate(page, postService.getPostsCount()); Sort sort = Sort.validateAndCreate(sort, ... ) Search search = Search.validateAndCreate(search, ...) ....등등 // 위에서 생성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DB에 쿼리를 날려 posts 데이터를 받아온다. List<Post> posts = postService.getPostList(page, sort, search, ...등등); // view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한다. model.addAttribute("page", page); model.addAttribute("posts", posts); model.addAttribute("sort", sort); ... 등등 }예시 코드는 문제상황 설명을 위해서 깔끔하게 작성했으나,실제로는 제 부족한 실력 탓에 지저분합니다. 저는 Controller 코드를 지저분하게 만드는 원인으로여러가지 전처리 로직들 (ex. Page.validateAndCreate(...) 코드들)View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전달하는 model.addAttribute(...) 코드들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위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저는 ArgumentResolver를 사용하는 것을 떠올렸습니다.page에 대해서 @PageInfo라는 애노테이션을 정의하고, 이 애노테이션이 달린 매개변수에 대해서 1.여러가지 전처리 로직들을 수행해주고, 2.View에 자동으로 데이터들을 전달해주는, ArgumentResolver를 만들어주었습니다. Page에 대한 ArgumentResolver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RequiredArgsConstructor @Component public class PageRequestArgumentResolver implements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 // 이 부분이 걱정입니다! ArgumentResolver가 특정 Service클래스에 의존해도 될까요? private final QuestionService questionService;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Parameter(MethodParameter parameter) { // @PageInfo를 가지고 있는 경우만 적용. boolean hasPageInfoAnnotation = parameter.hasParameterAnnotation(PageInfo.class); // 타겟변수가 Page 타입인 경우만 적용. boolean isPageClass = parameter.getParameterType().equals(Page.class); return hasPageInfoAnnotation && isPageClass; } @Override public Object resolveArgument(MethodParameter parameter, ModelAndViewContainer mavContainer, NativeWebRequest webRequest, WebDataBinderFactory binderFactory) throws Exception { // url에서 page문자열 정보를 추출. String pageString = webRequest.getParameter("page"); // page문자열 정보를 검증 및 생성. Page page = Page.validateAndCreate(pageString, questionService.provideAllQuestionsCount()); // mavContainer에 해당 정보를 넣어서 View로 자동전달. if (mavContainer != null) mavContainer.addAttribute("page", page); // 컨트롤러의 매개변수에 page정보를 바인딩. return page; } } 위 처럼 page정보 뿐 아니라, 다른 자주쓰는 매개변수들에도 ArgumentResolver를 정의하고 적용하면, 아래와 같이 Controller코드가 굉장히 깔끔해진다고 느꼈습니다.@GetMapping("/posts") public String getPosts(@PageInfo Page page, @SortInfo Sort sort, @SearchInfo Search search, ... 등등, Model model) { // 여러가지 전처리 로직들은 ArgumentResolver가 해주기 때문에 코드가 사라집니다. //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합니다. List<Post> posts = postService.getPostList(page, sort, search, ...등등); // View에 필요한 데이터도 ArgumentResolver의 mavContainer를 통해서 자동 전달됩니다. // 컨트롤러에서 관심이 있는 posts 정보만 전달합니다. model.addAttribute("posts", posts); } 그런데 이게 정말 좋은 코드인지 판단이 잘 서질 않습니다. 그리고 ArgumentResolver가 다른 Service 클래스에 의존을 해도 되는지가 의문입니다. AI에게 물어보니, 순환참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하지 말라고하는데...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ResponseStatusException 질문 (강의 13분 54초)
[질문 내용]ResponseStatusException에 세개의 파라미터가 담기는데, 세번째 파라미터가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실제로 /api/response-status-ex2가 호출 되었을 때, IlleagalArgumentException이 발생한다면,그 대신에 HttpStatus.NOT_FOUND(404)를 내보내주고, "error.bad"를 메시지로 내보내준다는 뜻이 맞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서버가 로컬에 뜬다는 건 자바 JVM 안에서 뜬다고 보면 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인텔리제이로 화살표를 눌러서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실행한다는 것은, 자바 JVM 내부에서 스프링 서버가 뜨는거라고 생각하면 되려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B 서버에 “소켓”으로 접근한다는 게 어떤 의미일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순수 JDBC 강의까지 듣고 질문이 생겨 올립니다~DB커넥션을 얻어 애플리케이션이 DB 서버에 "소켓"으로 연결된다고 하는데, 이 의미가 "네트워크 상에서 돌아가는 두 개의 프로그램 간 양방향 통신" 을 할 수 있게 소켓이라는 통(?)이 생겨서 연결된다고 보면 되려나요? 그리고, application.properties에 url에 jdbc:h2:tcp://localhost/~/test이렇게 적으면 소켓 연결이라고 하셨는데 이 url에 대한 더 자세한 이해를 하고 싶은데 이 url이 정확히 어떤 의미일까요? tcp는 OSI 7계층에서 어렴풋이 들어온 용어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Pattern 사용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attern을 @NotBlank와 쓰면 에러 메세지가 같이 나오고 @NotNull와 같이 쓰면 순서가 @Pattern의 에러먼저 적용 됩니다. 순서를 설정하고 하나만 나오게 하려면 validator를 따로 만들어야만 가능한가요? 아니면 스프링에서 따로 제공하는 기능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