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JPA 연관관계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강의는 다 들었는데 JPA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점이 있어서질문을 남겨봅니다.현재 User 와 UserLoanHistory 는 1:N 관계이고,User쪽에 cascade 옵션이 걸려 있는데요.그러면 User 가 삭제되면 UserLoanHistory 가 삭제될 때User 와 연관관계가 있는 히스토리의 개수만큼 delete 쿼리가 나갈거 같은데요. 뭔가 비효율적인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보니 1:N 에서 N 쪽에 @OnDelete(action = OnDeleteAction.CASCADE)옵션을 주어서 디비단에서 해결하는 방법이 있는거 같긴한데 이걸 쓰는게 맞을지 고민이 되서 질문드립니다.이 옵션은 왠지 위험해 보이는데... 그럼 cascade 옵션을 안쓰고 respository 에서 deleteAllInBatch 로 N 쪽을 지우고 1을 따로 지우는게 나을지...질문을 정리해보자면1:N 관계에서 1을 삭제시 delete 쿼리가 N개 만큼 나가서 비효율적일거 같음N쪽에 @OnDelete 옵션을 줘서 디비에 외래키 cascade delete 옵션을 주는게 나을지?수동으로 N쪽을 삭제하고 1 을 삭제하는게 나을지? 어떤쪽이 더 좋은 선택인지 고민인데 좋은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effectively final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effectively final 관련 궁금증이 있어 질문드립니다!Java에서 람다 사용시 effectively final 여야지만 되는 이유가 람다 외부 지역변수를 제어하는 스레드와 람다식을 수행하는 스레드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지역 변수는 스택에 저장되는데 각 스레드가 다르면 서로의 스택을 공유하지 못하기 때문에 값을 복사하여 사용하는데 이 경우 값이 최신값임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Kotlin에서는 effectively final 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가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립니다! 람다 시작 지점에 참조하고 있는 변수들을 모두 포획한다는 것이 Java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사하여 값을 사용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인걸까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enum, sealed과 when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enum과 sealed를 when과 함께 쓰는 부분을 보고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제가 느끼기에 when 문은 자바의 switch문과 유사하다고 생각이 들어요. switch문이나 if-else 같은 경우 많이 사용하면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힘들고 안 좋다는 의견을 많이 들었어요. 그래서 enum 각 내부 필드가 로직을 가지게 하여 if-else를 없애거나, 팩토리를 만들어 switch문을 최소화하거나 하는식으로 구현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if-else나 switch는 많이 쓰지 않는게 좋은 것 같은데 when은 조금 다르게 봐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실제로도 when을 많이 사용하나요?
-
해결됨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User Entity 생성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강의 덕분에 코틀린을 잘 배우고 있는 수강생 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예저 소스에서 User Entity로 DB에 테이블을 생성하고 있는데,제가 별도로 만든 프로젝트에서는 동일하게 User로 Entity 어노테이션을 붙이고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면 에러가 발생하길래 에러 내용으로 찾아봤더니, User Entity를 user라는 이름으로 테이블을 생성하려고 하는데, user는 사용할 수 없는 이름이라는 것 같습니다(예약어)예제 소스와 동일하게 설정을 했는데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는 걸까요?
-
해결됨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멀티 모듈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자바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학습하다가 코틀린을 새로 배우는 과정에서 이 강의를 듣게 된 학생입니다!!먼저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멀티 모듈에서 Repository를 각각 api 모듈에 맞게 구현하고, Spring Data JPA Repository를 코어 모듈에 둔다고 하셨는데. 이런 경우에는 api 모듈에서 core와 관련된 그래들 설정(Querydsl or db 등)이 들어가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멀티 모듈의 장점 중 하나가 모듈의 역할에 맞게 의존성을 관리하는 것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경우 이 장점을 잃지는 않을까 우려됩니다.그래서 저는 멀티모듈을 사용할 때, core 모듈에 Repository와 관련한 코드를 놓고, 사용하는 모듈에서 인터페이스, 혹은 Repository를 참조하는 구현체를 만들어 해당 클래스만 사용하게끔 유지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하는 편인데요. 혹시 강사님의 의견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적고 보니 강의 내용과는 조금 다른 질문인 것 같아 조금 죄송스럽네요 ㅠㅠ)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마지막에 open 키워드에 대해서 추상 멤버가 아니면 기본적으로 오버라이드가 불가능하다. open 키워드를 사용해주어야 한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추상 멤버는 open 키워드 사용 없이 오버라이드가 가능하다는 말씀인 것 같은데요. 추상 멤버라고 한다면, 구체적으로 어디까지가 추상 멤버일까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Swimable의 val swimAblity는 추상 멤버이기 때문에 open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았고,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Penguin 클래스에서 override 할 수 있게 된건가요? 그런데 추상 클래스 Animal에서는 legCount에 open을 붙여주었는데 추상 클래스의 프로퍼티니까 추상 멤버인 줄 알았는데 아닌건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테스트 컨텍스트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던중 테스트와 관련해서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일단 저는 현업에서 @SpringBootTest 를 사용하지 않고 서비스 계층은 목킹을 해서 별도의 스프링 컨텍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컨트롤러 계층을 테스트 할 때인데요. @WebMvcTest 로 테스트를 할 때 하나의 컨트롤러를 테스트 할때는 상관이 없지만 통합테스트 형태로 모든 테스트를 실행시에는 @WebMvcTest 가 각각 달린 컨트롤러 테스트마다 별도의 스프링 컨텍스트가 뜨기 때문에 테스트가 느려지는데요. (모든 컨트롤러 테스트가 같은 빈 조합을 사용한다면 같은 컨텍스트를 사용하겠지만 그런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각각의 테스트 클래스마다 대부분 스프링 컨텍스트가 새로 뜨는거 같습니다.)그래서 하나의 추상 컨트롤러 테스트에만 @WebMvcTest 를 달고 여기에 모든 테스트 대상 컨트롤러를 다 추가하고 이 추상 클래스를 상속받아 각각의 테스트 클래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체 테스트 시에는 테스트 속도가 빠라졌지만, 이렇게 하다보니 하나의 컨트롤러 테스트를 할 때도 상속받은 추상클래스에 있는 모든 테스트 컨트롤러가 다 임포트 되어 하나의 컨트롤러 테스트가 너무 느려졌고, 단위 테스트의 의미가 사라지는거 같습니다. 혹시 이와 관련해서 좋은 방법이 없을까 해서 질문을 남깁니다. 그리고 @SpringBootTest 시에는 각각의 테스트 말고 전체를 테스트 할 때 @WebMvcTest 를 할 때처럼 스프링 컨텍스트가 여러개 떠서 테스트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없을까요? 항상 @SpringBootTest 는 무겁다는 생각 때문에 잘 사용을 안해서 궁금하네요. 그리고 현업에서 @SpringBootTest 를 자주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저는 주로 @WebMvcTest, @DataJpaTest 이정도를 사용하고 도메인 계층은 일반 클래스 처럼, 서비스 계층은 모킹만 해서 스프링 도움없이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setter에 대해서 궁금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잘 듣고 있는 신입 개발자입니다 ㅎㅎㅎ..setter 사용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우선, 저는 setter 사용이 왜 안좋은지에 대해서 명확한 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심지어 Java로 개발된 여러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 등에서 많은 setAttribute와 같은 메서드가 사용되는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Spring 역시도요.여러 블로그에 해당 주제에 대해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이유가 나옵니다.변경된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다.객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어떤 class의 프로퍼티를 변경하려면 결국은 해당 클래스의 특정 메서드를 통해 변경을 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class의 변수는 private하게 선언되기 때문에요,즉 setAttribute를 쓰지않는다면,updateAttribute와 같은 별도의 메서드를 생성해서 변경해야 합니다.1. 변경된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다 의 이유라면, updateAttribute와 같은 메서드와 setAttribute와 같은 메서드의 readability의 차이가 있다는 말로 귀결되는데, 사실 저희가 setter에 대한 거부반응을 모두 지우고 두 메서드를 바라본다면 저는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 혹시 아닌가요...?2. 객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의 이유라면, 객체를 Immutable하게 유지하기 위함인데, 때에 따라서는 이러한 전략이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객체 값(프로퍼티)의 변경이 발생할 때 마다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는 말이 됩니다. 이거는... 많이 변경되어야 하는 객체라면 메모리 문제가 너무 커지지 않을까요?개인적으로 Builder와 생성자에 관한 것은 해당 문제와 연관성이 별로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위 두가지 이유가 결국 근거라고 생각해요. 강사님 역시 setter에 대해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한다고 말씀하셔서, 혹시 어떤 명확한 이유인지 궁금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리턴 값 생략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자바에서 코틀린으로 넘어가고 싶어 강의를 들으며 차근차근 공부중입니다.인텔리제이에서 option + command + v 단축키를 사용하면 바로 리턴 타입을 알 수 있어서 자바 개발을 할 때 자주 사용 했습니다. 하지만 코틀린은 기본적으로 타입의 명시가 생략되어 있어서 그런지 같은 단축키로 리턴타입이 나오지 않더라구요기존 자바의 경우"ABC".startsWith("A"); 에 option + command + v 를 사용하면boolean a = "ABC".startsWith("A"); 이렇게 startsWith()의 리턴 값이 boolean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코틀린의 경우val startsWith = "ABC".startsWith("A") 이렇게 나옵니다.제 생각에는val startsWith: Boolean = "ABC".startsWith("A")이런식으로 나와야 할 것 같은데 말이죠물론 메서드에 마우스를 올리면 리턴 타입을 알 수 있지만자바 개발하면서 익숙해진 단축키라 코틀린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그리고 실무에서 개발 할 때에도 리턴타입이 없다면 많이 불편할 것 같은데 아직 자바에서 벗어나지 못해하는 걱정인걸까요...?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파이어베이스 realtime datatbase 데이터에 안뜹니다.
안녕하세요. firebase 데이터 추가 강의 듣고 있습니다. 실행에 오류는 없는데 눌러도 데이터에 변화가 없습니다. class ContentListActivity : AppCompa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content_list) // Write a message to the database val database = Firebase.database val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 myRef.push().setValue( ContentModel("title1",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lYPPY%2Fbtq66v0S4wu%2FRmuhpkXUO4FOcrlOmVG4G1%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5?category=941578") ) myRef.push().setValue( ContentModel("title2",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nKK4%2Fbtq665AUWem%2FRUawPn5Wwb4cQ8BetEwN40%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6?category=941578") ) myRef.push().setValue( ContentModel("title3",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tig9C%2Fbtq65UGxyWI%2FPRBIGUKJ4rjMkI7KTGrxtK%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7?category=941578") ) val rv : RecyclerView = findViewById(R.id.rv) //리사이클 뷰 생성 // 데이터 삽입 val items = ArrayList<ContentModel>() items.add(ContentModel("title1",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lYPPY%2Fbtq66v0S4wu%2FRmuhpkXUO4FOcrlOmVG4G1%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5?category=941578")) items.add(ContentModel("title2",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nKK4%2Fbtq665AUWem%2FRUawPn5Wwb4cQ8BetEwN40%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6?category=941578")) items.add(ContentModel("title3",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tig9C%2Fbtq65UGxyWI%2FPRBIGUKJ4rjMkI7KTGrxtK%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7?category=941578")) val rvAdapter = ContentRVAdapter(baseContext, items) //어뎁터 생성 rv.adapter = rvAdapter rv.layoutManager = GridLayoutManager(this, 2) rvAdapter.itemClick = object : ContentRVAdapter.ItemClick{ override fun onClick(view: View, position: Int) { Toast.makeText(baseContext, items[position].title, Toast.LENGTH_LONG).show() val intent = Intent(this@ContentListActivity, ContentShowActivity::class.java) //url 넘겨주기 intent.putExtra("url", items[position].webUrl) startActivity(intent) } } } }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Unresolved reference: item
안녕하세요. 컨텐츠 리스트 만들기 - RecyclerView 2 강의의 7:17를 듣고 있습니다. 강의 똑같이 따라 치고 있는데 Unresolved reference: item 라고 오류가 나는데 왜 그러는 걸까요? package com.example.mysololife.contentsList import android.view.LayoutInflater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view.ViewGroup import android.widget.TextView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RecyclerView import com.example.mysololife.R class ContentRVAdapter (val items : ArrayList<ContentModel>) : RecyclerView.Adapter<ContentRVAdapter.Viewholder>() { //아이템 하나 하나 가져와 하나의 레이아웃 만들기 override fun onCreateViewHolder(parent: ViewGroup, viewType: Int): ContentRVAdapter.Viewholder { val v = LayoutInflater.from(parent.context).inflate(R.layout.content_rv_item, parent, false) return Viewholder(v) } override fun onBindViewHolder(holder: Viewholder, position: Int) { holder.bindItems(items[position]) } //전체 아이템의 갯수가 몇 개 override fun getItemCount(): Int { return items.size } // 아이템의 내용물을 넣을 수 있도록 연결 inner class Viewholder(itemView: View): RecyclerView.ViewHolder(itemView){ fun bindItems(items : ContentModel){ val contetTitle = itemView.findViewById<TextView>(R.id.textArea) contetTitle.text = item.title } } }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깃, 블로그 업로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공부한 코드는 깃과 블로그에 올려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repository mocking 문의
안녕하세요~ 최태현님 테스트 코드 작성에 있어서 고민이 있어 문의남깁니다. 이전까지 다른 강의 영상에서는 repository를 mocking해서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영상을 많이 봤습니다. 그래서 서비스 테스트시에는 repository 를 mocking 하는것이 실무에서 흔한 방식이고 best practice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실무에서 적용해보니 mocking을 하게되면 테스트 코드가 서비스 메소드의 내부 구현에 대해 너무 잘 알게되더라구요, 그러다보니 실제 코드의 내부 구현이 바뀌면 테스트 코드도 바뀌게 될 여지가 많더라구요.. 반면 스프링부트 테스트로 h2에 연결해서 하는 테스트는 상대적으로 느려 피드백이 늦는것이 단점일것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강의에 나온것처럼 스프링 부트 테스트로 h2에 연결해서 테스트하는 후자가 더 마음에 드는데요. 실제로 현업에서는 서비스 테스트시 둘중 어떤걸로 사용하시나요? 실제 강의하신것처럼 후자로 테스트를 많이 하시나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강의 질문이요
이 앱을 만들고 본인이 그 앱에 게시물을 올리면 자기만 볼 수 있게 할 수 있나요?? 몇 개를 올리고 자기가 올린 게시물만 모아볼 수 있게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코틀린으로 엔티티 작성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강의의 내용과 질문이 관계 없을수도 있지만 정답이 있는 부분이 아닌 것 같아 너무 궁금해서 남겨봅니다.. ㅠ 강의중에 코틀린을 사용할 때 되도록 불변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고 하셔서 User 엔티티를 이런식으로 작성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유저의 필드를 변경하고 싶을 때 새로운 User 객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User 엔티티 안에 이런 메서드를 작성했습니다. 두 번째 방법으로 private set을 사용해서 setter만 막고 updateName 함수를 만들어줬습니다. 세 번째로 프로퍼티를 아예 private으로 설정하고 getter와 updateName 함수를 만들어줬습니다. 네 번째는 그냥 var로 만들어 기본 생성되는 getter와 setter를 사용한다 입니다. 정답이 있는 문제는 아니지만 저는 2, 3번이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자바의 저런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들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코틀린의 장점중 하나인데, 저렇게 사용하면 무슨 소용이 있나 싶기도 합니다. 그러다보니 코틀린은 getter, setter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게 설계되어있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1번이나 4번 처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코틀린스러운 개발 방법일까요?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프래그먼트 바인딩
똑같이 따라했는데 이런 오류가 생겼어요,, 검색해도 잘 안 나오고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ㅠㅠ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함수 null 질문드립니다.
@nullabl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 위 함수는 리턴타입이 reference 타입이니 어노테이션을 지우면 참조형식이 될거 같은데 플랫폼 타입이 되는데 함수만 그런 규칙이 적용이 되는건가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이있는데용 OPEN 키워드를 사용하지않고 사진의 코드를 실행시키면 값이 300으로 나오게되는데요~ Derived(300) 으로 부모가 호출이되고 자식의 프로퍼티가( override )가 아니기 때문에 부모의 초기화블록이 실행되면서 자식의 초기화되지 않는 init 블럭에 접근하지 않고 부모의 init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300이 재대로 출력되는건가요?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처음 04:35초 메인패스트 부분부터 난관이네요..
MainFast에서 splashActivity 부분에 <intent-filter> 을 넣으니까 오류가 막 엄청뜨네요. 버전도 같은데 코드또한 약간 다릅니다. 강의에 안보이는 <activity 부분에 android:exported="ture" /> 도 저는 보입니다.. ERROR:C:\Users\i\AndroidStudioProjects\MySoloLife2\app\build\intermediates\packaged_manifests\debug\AndroidManifest.xml:25: AAPT: error: unexpected element <intent-filter> found in <manifest><application>. 라고 에러코드는 나와있습니다.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질문 있습니다.
코틀린에서는 null 사용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null 이 들어갈 수 있는 변수를 완전히 다른 타입으로 간주하고 아래와 같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그렇다면 String과 String? 타입은 엄연히 다른 타입 인것이고 String? 이 자체를 하나의 타입으로 간주해야하는건가요? String? 이렇게 생긴 타입은 코틀린에서는 클래스로 정의 되어 있지 않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