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비용
강의를 나눠서 듣는 중인데요. 안 들을 때는 비용 나가지 않게 aws EC2 종료를 매번 해야하나요? 탄력적 IP 를 오래 사용 과금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 걱정되어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Permission denied
ubuntu@ip-172-31-47-72:~$ cd git-actions-study/ubuntu@ip-172-31-47-72:~/git-actions-study$ lsREADME.md build.gradle gradle gradlew gradlew.bat settings.gradle srcubuntu@ip-172-31-47-72:~/git-actions-study$ ./gradlew clean build-bash: ./gradlew: Permission denied실습 개인 프로젝트에서 많이 쓰는 CI/CD 구축방법에서 빌드과정중 권한이없다고 하는 것 같은데, 혹시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되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서비스 이름 컨테이너 이름 차이 ??
안녕하세요. 선생님 오늘도 공부하다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services: my-web-server: container_name: webserver image: nginx ports: - 80:80 여기서 선생님이 나눠주신 자료랑 강의를 보면 하나의 서비스가 하나의 컨테이너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러면 my-web-server는 서비스 이름이니까 컨테이너 이름도 맞는 설명인가 같은데아래 보면 container_name: webserver 도 하나의 컨테이너 이름으로 설명하셨습니다. 이 my-web-server와 webserver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고 어느 곳에서 쓰이는지 활용사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지금까지 학습하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Dockerfile에서 베이스 이미지를 작성할 때 openjdk 이미지를 바탕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어느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나요 ? 베이스 이미지를 ubuntu 이미지로 지정하면 컨테이너 생성 시 우분투 환경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것 같은데 혹시 생각한 것이 맞는지도 궁금합니다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docker-compose up 에러 공유 드립니다
docker-compose.ymlversion: "3.9" services: redis-server: image: 'redis' container_name: redis-container restart: unless-stopped ports: - "6379:6379" healthcheck: test: ["CMD", "redis-cli", "ping"] interval: 5s timeout: 5s retries: 5 node-app: depends_on: redis-server: condition: service_healthy build: context: . dockerfile: Dockerfile container_name: node-app restart: on-failure ports: - "5000:8080" environment: - REDIS_URL=redis://redis-server:6379 server.js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redis = require('redis'); // Redis 클라이언트 생성 const client = redis.createClient({ url: process.env.REDIS_URL }); // Redis 연결 (async () => { try { await client.connect(); // 클라이언트 연결 console.log('Connected to Redis'); } catch (err) { console.error('Redis connection error:', err); } })(); const app = express(); // 초기값 설정 (async () => { try { await client.set('number', 0); } catch (err) { console.error('Failed to initialize Redis key:', err); } })(); app.get('/', async (req, res) => { try { // Redis 값 읽기 및 증가 const number = await client.get('number'); await client.set('number', parseInt(number) + 1); res.send(`숫자가 1씩 올라갑니다. ${number}`); } catch (err) { console.error('Error handling Redis operations:', err); res.status(500).send('Server error'); } }); app.listen(8080, () => { console.log('Server is running on port 8080'); }); node는 18버전 레디스 클라이언트 모듈은 4.7.0 입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master노드에서 왜 DNS접근이 안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우선 제 k8s cluster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master노드와 worker노드 2개를 각각 다른 vm에 설치해서 총3대로 구성한 상태이구요, section7의 service 실습 강의를 듣던 도중, master노드에서 DNS record를 조회해 보았는데 조회가 안되더라구요. 정상적인 결과인 것일까요? ps. 노드1에서 노드2로의 접근은 확인이 된 상태입니다. (pod-a가 node1, request-pod가 node2에 위치)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livenessProbe에 대한 설명이 조금 부족한거 같네요
[질문 하기]강의를 보다 livenessProbe가 killing하고 restart하는 기준이 이해가 안가서 질문 게시판을 봤는데, 저와 비슷한 의문을 가지신 분이 계신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일단 periodSeconds가 10초, 30초 모두 livenessProbe에서 실패를 하는데, 10초 설정은 killing을 하고 30초는 killing을 안 하길래 찾아보니 failureThreshold라는 값이 또 있더라고요. 이 필드는 몇 번의 실패를 수신해야 실패로 간주하는지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기본값: 3). 이걸 보니 10초와 30초 옵션의 차이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10초는 빠른 시간 내에 반복 체크해서 3번 실패하여 바로 실패로 간주하고 재시작하였고, 30초 옵션은 반복 2회차 이후에 pod가 정상적으로 떠서 3회차에 성공하여 pod를 재시작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다른 여러 옵션이 있지만 모든 옵션을 다루기에는 시간상 어려울 거라는 점은 이해합니다. 다만, 실습 환경에서 단순히 시간 차이로 테스트하는데 이러한 부분이 언급되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위 내용을 언급하지 않으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없다면 보충해주시는 게 좋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의견 드립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vagrant up 입력 후 에러
위와 같은 에러가 나오는데 어떤 이슈일까요?
-
미해결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m1 맥 도커로 미니쿠베 실행하는 분께
http://127.0.0.1:52741로 접속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Docker 드라이버 사용: Minikube를 Docker 드라이버로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클러스터의 네트워크가 호스트 시스템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2.네트워크 격리: Docker 드라이버는 클러스터를 호스트 시스템과 네트워크적으로 격리시킵니다. 따라서 192.168.49.2와 같은 클러스터 내부 IP는 호스트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25.포트 포워딩: minikube service 명령어는 클러스터 내부의 서비스를 호스트 시스템의 포트로 포워딩합니다. 이 경우, WordPress 서비스의 80번 포트가 호스트의 52741번 포트로 포워딩되었습니다8.로컬호스트 바인딩: 포워딩된 포트는 로컬호스트(127.0.0.1)에 바인딩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호스트 시스템에서 해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9.터널링: minikube service 명령어는 내부적으로 터널을 생성하여 클러스터 내부의 서비스를 호스트 시스템에 노출시킵니다. 이 터널은 로컬호스트의 특정 포트(여기서는 52741)를 통해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18.따라서, http://127.0.0.1:52741은 Minikube가 생성한 터널을 통해 WordPress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입니다. 이 방식을 통해 Docker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Minikube 환경에서도 클러스터 내부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
미해결AWS로 쉽고 빠르지만 아주 견고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private instance 80포트 연결불가
이런 에러가 뜨는데 bastion-host 및 goopang-private-ec2-instance 생성 시 강의에서도 ssh 22포트 외에 따로 80포트를 허용하는 내용은 보이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해당 에러를 80포트를 허용하지 않고도 해결할 수 있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EC2에서 쿠버네티스로 백엔드(Spring Boot) 서버 띄우기
EC2에서 쿠버네티스로 백엔드(Spring Boot) 서버 띄우기 강의에서kubectl get deployment를 실행하면 ImagePullBackOff 가뜨고 이미지를 가져오지 못하는 데 외 그럴까요 .이틀 밥새도 해결 못해서 문의 들여 봅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컨테이너 개념
컨테이너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서 독립적인 환경으로 구성된 미니 컴퓨터라고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그러면 하나의 컨테이너에는 하나의 프로그램만 운영할 수 있나요 ? 왜냐하면 각 컨테이너는 고유의 ip, port 번호를 할당받으니까 이러한 궁금증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만약 배포가 아니라 단순히 팀원들간 로컬 환경 구축이 목적이라면
DockerFile은 필요 없나요? 로컬 환경에서 모든 팀원들이 같은 버전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싶다고 가정하면docker-compose.yml만 작성하면 되는 게 맞을까요 ? ? 영상을 열심히 보긴 했는데.. 아직도 어렵네요 ㅠㅠ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controlplane_node.sh 실행 오류 문의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질문 하기]controlplane_node.sh 실행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cp: cannot stat '/etc/kubernetes/admin.conf': No such file or directory라고 출력됩니다. 실제로 cp-k8s 컨테이너 안에 해당 경로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제가 더 확인해야 할게 있을까요?아래 내용은 진행해 보았습니다. 2.코드 새로 내려받기 (https://github.com/sysnet4admin/_Lecture_k8s_learning.kit)3.호스트에서 여기 접속되는지 확인 (https://raw.githubusercontent.com/sysnet4admin/IaC/main/k8s/CNI/172.16_net_calico_v3.26.0.yaml)4.문제발생시 cp-k8s에 접속해서 (https://raw.githubusercontent.com/sysnet4admin/IaC/main/k8s/CNI/172.16_net_calico_v3.26.0.yaml 접속되는지 확인. curl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controlplane_node.sh k8s_env_build.sh k8s_pkg_cfg.sh _Lecture_k8s_starter.kit tabby-v1.0.207 Vagrantfile vagrant-v2.4.1 virtualbox-v7.0.18 worker_nodes.sh root@cp-k8s:~/_Lecture_k8s_learning.kit/ch1/1.5# ./controlplane_node.sh I1222 18:00:09.315839 3931 version.go:256] remote version is much newer: v1.32.0; falling back to: stable-1.30 [init] Using Kubernetes version: v1.30.8 [preflight] Running pre-flight checks error execution phase preflight: [preflight] Some fatal errors occurred: [ERROR FileContent--proc-sys-net-ipv4-ip_forward]: /proc/sys/net/ipv4/ip_forward contents are not set to 1 [preflight] If you know what you are doing, you can make a check non-fatal with `--ignore-preflight-errors=...` To see the stack trace of this error execute with --v=5 or higher cp: cannot stat '/etc/kubernetes/admin.conf': No such file or directory chown: cannot access '/root/.kube/config': No such file or directory error: error validating "https://raw.githubusercontent.com/sysnet4admin/IaC/main/k8s/CNI/172.16_net_calico_v3.26.0.yaml": error validating data: failed to download openapi: Get "http://localhost:8080/openapi/v2?timeout=32s": dial tcp 127.0.0.1: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 if you choose to ignore these errors, turn validation off with --validate=false fatal: destination path '_Lecture_k8s_starter.kit' already exists and is not an empty directory. mv: cannot stat '/home/vagrant/_Lecture_k8s_starter.kit': No such file or directory find: ‘/root/_Lecture_k8s_starter.kit’: No such file or directory Cloning into '/tmp/update-kube-cert'... remote: Enumerating objects: 166,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100% (54/54),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45/45), done. remote: Total 166 (delta 18), reused 20 (delta 8), pack-reused 112 (from 1) Receiving objects: 100% (166/166), 63.56 KiB | 7.95 MiB/s, done. Resolving deltas: 100% (81/81), done. CERTIFICATE EXPIRES grep: /etc/kubernetes/controller-manager.conf: No such file or directory Could not read certificate from /dev/fd/63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controller-manager.config grep: /etc/kubernetes/scheduler.conf: No such file or directory Could not read certificate from /dev/fd/63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scheduler.config grep: /etc/kubernetes/admin.conf: No such file or directory Could not read certificate from /dev/fd/63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admin.config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ca.crt 402726755D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2726755D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ca.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ca.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apiserver.crt 4067E2CBF3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67E2CBF3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apiserver.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apiserver.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apiserver-kubelet-client.crt 4037BCF84B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37BCF84B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apiserver-kubelet-client.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apiserver-kubelet-client.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front-proxy-ca.crt 40D7C0B37F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D7C0B37F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front-proxy-ca.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front-proxy-ca.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front-proxy-client.crt 40F732D070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F732D070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front-proxy-client.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front-proxy-client.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etcd/ca.crt 40478D1F95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478D1F95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etcd/ca.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etcd/ca.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etcd/server.crt 4067A80363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67A80363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etcd/server.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etcd/server.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etcd/peer.crt 4037447131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37447131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etcd/peer.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etcd/peer.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etcd/healthcheck-client.crt 405798E15C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5798E15C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etcd/healthcheck-client.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etcd/healthcheck-client.crt Could not open file or uri for loading certificate from /etc/kubernetes/pki/apiserver-etcd-client.crt 40473BA4FA7F0000:error:16000069:STORE routines:ossl_store_get0_loader_int:unregistered scheme:../crypto/store/store_register.c:237:scheme=file 40473BA4FA7F0000:error:80000002:system library:file_open:No such file or directory:../providers/implementations/storemgmt/file_store.c:267:calling stat(/etc/kubernetes/pki/apiserver-etcd-client.crt) Unable to load certificate /etc/kubernetes/pki/apiserver-etcd-client.crt [2024-12-22T18:00:11.00+0900][WARNING] does not backup, /etc/kubernetes.old-20241222 already exists [2024-12-22T18:00:11.00+0900][INFO] updating... Wait 30 seconds for restarting the Control-Plane Node... root@cp-k8s:~/_Lecture_k8s_learning.kit/ch1/1.5# ls controlplane_node.sh k8s_env_build.sh k8s_pkg_cfg.sh _Lecture_k8s_starter.kit tabby-v1.0.207 Vagrantfile vagrant-v2.4.1 virtualbox-v7.0.18 worker_nodes.sh root@cp-k8s:~/_Lecture_k8s_learning.kit/ch1/1.5# ls /etc/kubernetes manifests root@cp-k8s:~/_Lecture_k8s_learning.kit/ch1/1.5#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pod는 정상적인데 페이지가 안나와요
pod, service, deployment 정상적으로 실행되는데 페이지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나옵니다 Hello,World 가 나와야하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섹션2] 강의 화면이 나오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듣던 중 섹션 2의 "컨테이너 가상화, 도커, 컨테이너 실행" 이렇게 총 3개 강의의 강의 화면이 나오지 않고 음성만 나옵니다.세션 문제인가 싶어 시크릿모드로 진행했는데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네요.저는 현재 맥북을 사용하고 있고, 휴대폰 앱으로 실행했을 때는 잘 되는데 노트북에서 크롬으로 실행하니 화면이 안나오네요..혹시 이에 대해서 해결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docker image ls
안녕하세요! docker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처음에 docker pull nginx를 실행하고 docker image ls를 사용하여 현재 다운받은 이미지들을 조회하면 잘 나왔습니다! 하지만 이 세션을 다 듣고 복습을 하면서 docker pull nginx를 하면 다음과 같은 로고가 뜨고 docker image ls로 조회를 해도 나오지 않습니다.하지만 조회할땐 아무것도 나오지 않지만 docker create nginx를 하면 정상적으로 컨테이너가 생성이 됩니다... 무슨 이유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docker run 명령어로 이미지를 다운과 동시에 컨테이너를 생성하고부터 이렇게 된거 같습니다. 현재 docker pull nginx를 하면 다음과 같은 로고가 뜹니다 Using default tag: latestlatest: Pulling from library/nginxDigest: sha256:fb197595ebe76b9c0c14ab68159fd3c08bd067ec62300583543f0ebda353b5beStatus: Image is up to date for nginx:latestdocker.io/library/nginx:latestWhat's next: View a summary of image vulnerabilities and recommendations → docker scout quickview nginx
-
미해결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v 옵션 후 workpress database 에러
stop, rm 해서 mysql 지우고 mysql 경로 만든 다음에 docker run -d -p 3305:3306 -e MYSQL_ALLOW_EMPTY_PASSWORD=true --name mysql -v 제 경로/mysql:/var/lib/mysql mariadb:10.9다시 하고 docker exec -it mysql mysql create database wp CHARACTER SET utf8; grant all privileges on wp.* to wp@'%' identified by 'wp'; flush privileges;quit이거까지 정상적으로 잘했습니다.docker ps로 mysql로 잘 떠있는 것도 확인 가능합니다.그런데 localhost:8080으로 workpress 띄우면error establishing a database connection이 뜹니다.3306이 이미 사용중이라고 해서 3305로 했고 -v 옵션 하기전에는 3305로 잘떠서 실습에 문제 없었습니다. 확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실전도커: 도커로 나만의 딥러닝 클라우드 컴퓨터 만들기
Microsoft Remote Desktop -> Windows App 으로 변경
Mac App Store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이 Windows App으로 이름이 변경됐네요 한참 찾았습니다. 다른 분들 참고하시라고 남겨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VMware Fusion"을 설치 및 기타 문의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질문 하기]안녕하세요?아래의 질문들이 있어요~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 학습 페이지"의 "2.4.베이그런트(Vagrant)+VMware Fusion으로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하기 (arm64 사용자)-v1.30" 에서 강의 영상과 "수업 노트"의 "소스: https://github.com/sysnet4admin/_Lecture_k8s_starter.kit"에서 깃헙 소스 URL이 서로 달라요~그냥 강의 영상을 따라하다가, Tabby를 강의 영상에서 사용하시는 것 같아서, Tabby를 Homebrew로 먼저 설치하고, 강의 영상을 따라가다보니까, 강의 영상에서 Tabby를 설치하더군요...;;강의 영상을 따라가면서, ls 명령어를 실행 했을 때, 영상과는 다르게 디렉토리가 없는 것을 알아채고, 찬찬히 들여다 보니까, git pull한 깃헙 URL이 "수업 노트"의 "소스" URL과는 서로 달라서 해당 디렉토리가 없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아무튼 강의 영상과 수업 노트의 깃헙 URL이 서로 다른데 이유가 있을까요? 강의 영상을 따라가면서 "VMware Fusion"을 설치할 때, 강의 영상에서는 이미 설치하신 항목들을 삭제합니다.저는 "VMware Fusion"을 설치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나요?M1 맥북에서 "vagrant up"이 실행이 안되어요...ㅠㅠ"2.4.베이그런트(Vagrant)+VMware Fusion으로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하기 (arm64 사용자)-v1.30" 강의를 따라가다가, "vagrant up" 명령어를 실행 시켰을 때, 실행이 안되는 내용입니다.% cd k8s-adv% vagrant up Bringing machine 'cp-k8s-1.30.1' up with 'vmware_desktop' provider...Bringing machine 'w1-k8s-1.30.1' up with 'vmware_desktop' provider...Bringing machine 'w2-k8s-1.30.1' up with 'vmware_desktop' provider...Bringing machine 'w3-k8s-1.30.1' up with 'vmware_desktop' provider...==> cp-k8s-1.30.1: Box 'sysnet4admin/Ubuntu-k8s' could not be found.Attempting to find and install... cp-k8s-1.30.1: Box Provider: vmware_desktop, vmware_fusion, vmware_workstation cp-k8s-1.30.1: Box Version: >= 0==> cp-k8s-1.30.1: Loading metadata for box 'sysnet4admin/Ubuntu-k8s' cp-k8s-1.30.1: URL: https://vagrantcloud.com/api/v2/vagrant/sysnet4admin/Ubuntu-k8sThe box you're attempting to add doesn't support the provideryou requested. Please find an alternate box or use an alternateprovider. Double-check your requested provider to verify you didn'tsimply misspell it.If you're adding a box from HashiCorp's Vagrant Cloud, make sure the box isreleased.Name: sysnet4admin/Ubuntu-k8sAddress: https://vagrantcloud.com/api/v2/vagrant/sysnet4admin/Ubuntu-k8sRequested provider: vmware_desktop vmware_fusion vmware_workstation (amd64)참고로, % vagrant up --debug 명령어 실행 했을 때, 마지막 부분에 이렇게 나옵니다. INFO interface: error: The box you're attempting to add doesn't support the provider you requested. Please find an alternate box or use an alternateprovider. Double-check your requested provider to verify you didn'tsimply misspell it.If you're adding a box from HashiCorp's Vagrant Cloud, make sure the box isreleased.Name: sysnet4admin/Ubuntu-k8sAddress: https://vagrantcloud.com/api/v2/vagrant/sysnet4admin/Ubuntu-k8sRequested provider: vmware_desktop vmware_fusion vmware_workstation (amd64)The box you're attempting to add doesn't support the provideryou requested. Please find an alternate box or use an alternateprovider. Double-check your requested provider to verify you didn'tsimply misspell it.If you're adding a box from HashiCorp's Vagrant Cloud, make sure the box isreleased.Name: sysnet4admin/Ubuntu-k8sAddress: https://vagrantcloud.com/api/v2/vagrant/sysnet4admin/Ubuntu-k8sRequested provider: vmware_desktop vmware_fusion vmware_workstation (amd64) INFO interface: Machine: error-exit ["Vagrant::Errors::BoxAddNoMatchingProvider", "The box you're attempting to add doesn't support the provider\nyou requested. Please find an alternate box or use an alternate\nprovider. Double-check your requested provider to verify you didn't\nsimply misspell it.\n\nIf you're adding a box from HashiCorp's Vagrant Cloud, make sure the box is\nreleased.\n\nName: sysnet4admin/Ubuntu-k8s\nAddress: https://vagrantcloud.com/api/v2/vagrant/sysnet4admin/Ubuntu-k8s\nRequested provider: vmware_desktop vmware_fusion vmware_workstation (amd64)"]챗 GPT가 알려준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였습니다...도와주시겠어요?ㅠㅠ% vagrant plugin install vagrant-vmware-desk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