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교재 오타 있는거 같아요
18 pageeditForm.html - 추가여기에 <input> 여기에 th:field="${regions}" 이 부분이 th:field="*{regions}" 이거 아닌가요? 오류 엄청 나길래 한참 봤는데 이렇게 고치니까 오류 안 나는데 .. 제가 틀린 건가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6.18 2분 47초
안녕하세요? 혹시 여기서 왜 C의 주소를 출력했는데 이상하게 나오고(한자 같은 게 나오고), 나머지 float는 문제없이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ㅠㅠ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locale error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저는 VScode를 이용해서 해당 강의를 수강중인 학생입니다.VScode window 환경을 사용 중이고 아래와 같은 에러를 확인하게 되서 해결 방법이 궁금합니다. 구글링을 통해서 해결하려 했고 제어판에서 유니코드 제외 언어 설정이 한국어로 되어 있는 것도 확인하였습니다.#include <locale>도 해봤으나 에러는 여전했습니다.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해당 에러는 wcout.imbue(locale("kor"));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복습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재밌게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를 듣고 복습하려고 하는 중에 복습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이 안 와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MVC CRUD작업
controller테스트를 할때 mockMVC를 사용하면 DB에 CRUD 작업은 수행되지 않나요?디버깅을 해보면 각 Layer별로 동작이 수행되는거 같은데 DB접근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부분에서는 null이 계속 나오네요(MyBatis 사용중).또 만약 실제 프로덕션 controller처럼 모든 동작이 수행된다면 왜 "하위 Layer를 모두 mocking처리" 라고 표현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defaultException @ReqeustParam 속성 - springboot 버전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GetMapping(“/api/default-handler-ex”) public String defaultException(@RequestParam Integer data) { return “ok”;}위 코드로 테스트해보면Name for argument of type [java.lang.Integer] not specified,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not found in class file either.에러가 발생합니다. 구글링해보니 스프링 부트 3.2버전 이상부터는 @RequestParam(name = ) 을 필수로 적용해줘야 한다고 해서 적용해줘 테스트 진행했습니다. 또 구글링해보니 name과 같은 속성을 생략한 코드를 적용하고 싶으면 compile 방식을 intellij에서 gradle로 변경하면 된다하여gradle로 변경해 강의코드로 테스트 잘 되는것 확인했습니다. gradle과 intellij를 비교해보니 build 방식과 기동 시간의차이가 있어 보이는데 이 외에는 상관 없는지 궁금해 여쭤봅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강의자료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자료 부탁 드려도 될까요?fbyksong@gmail.com입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7: MMO 컨텐츠 구현 (Unity + C# 서버 연동 기초)
선생님처럼 이동못할때도 정상적으로 애니메이션이 작동을 안합니다
void UpdateIsMoving() { if (State != Define.CreatureState.Moving && Dir != Define.Dir.None) { Vector3Int destPos = CellPos; State = Define.CreatureState.Moving; switch (Dir) { case Define.Dir.Up: destPos += Vector3Int.up; break; case Define.Dir.Down: destPos += Vector3Int.down; break; case Define.Dir.Left: destPos += Vector3Int.left; break; case Define.Dir.Right: destPos += Vector3Int.right; break; } if (Managers.Map.CanGo(destPos)) { if (Managers.Object.Find(destPos) == null) CellPos = destPos; } } } void UpdatePosition() { if (State != Define.CreatureState.Moving) { return; } Vector3 destPos = Managers.Map.currentGrid.CellToWorld(CellPos) + new Vector3(0.5f, 0.5f, 0); Vector3 moveDir = destPos - transform.position; float dist = moveDir.magnitude; if (dist < _speed * Time.deltaTime) { transform.position = destPos; State = Define.CreatureState.Idle; } else { transform.position += moveDir.normalized * _speed * Time.deltaTime; State = Define.CreatureState.Moving; } } 이동할 수 없는 구역에 가려고할때 애니메이션이 IDLE과 WALK를 번갈아가면서 부들부들거립니다.UpdateIsMoving에서 State를 Moving으로 바꾸더라도 실제 CellPos에는 적용이 안되어있다 보니 State가 곧 바로 IDLE로 바뀌기 때문인것 같은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고수가 되는 파이썬 : 동시성과 병렬성 문법 배우기 Feat. 멀티스레딩 vs 멀티프로세싱 (Inflearn Original)
ThreadPoolExecutor에서 작업중인 쓰레드가 있을때 대기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정말 알찬 강의라 멀티프로세싱 스터디에 정말 좋은 교재가 되고 있습니다. 감사드리구요ThreadPoolExecutor를 사용하여 코딩하는데 질문이 있습니다.현재 저는 주식자동화 매매 관련 코딩 스터디 중인데요. ThreadPoolExecutor를 이용하여 주식주문이 동시에 체결되었을때의 병렬처리에 대하여 스터디 하고 있습니다.. 각기 다른 종목이 동시에 주문체결이 되었다면각각의 종목에 대한 후속처리를 동시성을 적용하여 각각 다른 쓰레드를 할당하여 병렬처리를 하면 되지만. 같은 종목이 약간의 시간차(?) 거의 동시에 연속적인 체결이 된다면 이때는 병렬처리가 아닌 앞 주문에 할당된쓰레드가 종료될때 까지 대기하고 있다가(후속작업이 꼬이지 않도록) 뒤에 체결된 주문을 처리하도록 쓰레드를 할당하는 동기적인 처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이런 경우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메서드가 있는지요? . 아니면 별도의 코딩을 해야한다면 어떤 방식으로코딩을 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WPF (C#, 자막제공)
버튼 클릭시 progressBar가 100으로 채워지지 않는 현상
MainViewModel.cs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ComponentModel;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WpfApp2.ViewModels { internal class MainViewModel { private int progressValue; public int ProgressValue { get { return progressValue; } set { progressValue = value; NotifyPropertyChanged(nameof(ProgressValue)); } } public event PropertyChangedEventHandler PropertyChanged; private void NotifyPropertyChanged([CallerMemberName] String propertyName = "") { PropertyChanged?.Invoke(this, new PropertyChangedEventArgs(propertyName)); } } } MainWindow.xaml<Window x:Class="WpfApp2.MainWindow"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d="http://schemas.microsoft.com/expression/blend/2008" xmlns:mc="http://schemas.openxmlformats.org/markup-compatibility/2006" xmlns:local="clr-namespace:WpfApp2" mc:Ignorable="d" Title="MainWindow" Height="450" Width="800"> <Window.Resources> <Style x:Key="testStyle"> <Setter Property="Button.Background"> <Setter.Value> <LinearGradientBrush EndPoint="0.5,1" StartPoint="0.5,0"> <GradientStop Color="Black"/> <GradientStop Color="#FF16CEA8" Offset="1"/> <GradientStop Color="#FF0C735E" Offset="0.563"/> <GradientStop Color="#FF0B6C58" Offset="0.533"/> </LinearGradientBrush> </Setter.Value> </Setter> <Style.Triggers> <!--progressBar1의 value가 100이면 동작--> <DataTrigger Binding="{Binding ElementName=progressBar1,Path=Value}" Value="100"> <Setter Property="Control.Visibility" Value="Hidden"></Setter> </DataTrigger> </Style.Triggers> </Style> </Window.Resources> <Grid> <Label Content="제목" Style="{StaticResource testStyle}" Width="100" Height="40" VerticalAlignment="Top"/> <Button Content="버튼" Width="200" Height="50" HorizontalAlignment="Left" Style="{StaticResource testStyle}" Click="Button_Click"/> <CheckBox x:Name="check1" Content="체크박스" Width="100" Height="40" Margin="23,125,677,269"></CheckBox> <ProgressBar x:Name="progressBar1" Width="200" Height="20" Value="{Binding ProgressValue}" /> </Grid> </Window> MainWindow.csusing System.Text; using System.Windows; using System.Windows.Controls; using System.Windows.Data; using System.Windows.Documents; using System.Windows.Input; using System.Windows.Media; using System.Windows.Media.Imaging; using System.Windows.Navigation; using System.Windows.Shapes; using WpfApp2.ViewModels; namespace WpfApp2 { /// <summary> /// Interaction logic for MainWindow.xaml /// </summary> public partial class MainWindow : Window { MainViewModel viewModel; public MainWindow() { InitializeComponent(); viewModel = new MainViewModel(); viewModel.ProgressValue = 30; DataContext = viewModel; } private void Button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viewModel.ProgressValue = 100; } } } 실행을 하면 처음 30은 채워져있는데 버튼을 클릭했을 때 100으로 채워지지 않습니다. 물론 100으로 채워지지 않으니 라벨과 버튼이 사라지는 이벤트도 작동하지 않구요. 어떤부분이 잘못 되었는지 몰라서 질문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 2 강 질문있습니다.
1. 7분 1초 그림과 7분 9초 그림이랑 차이가 뭔가요? 혹시 7분 1초 그림에서 3번이 7분 9초 그림인건가요?2. 13분에 내부적으로 리프랙션을 하기때문에 동적으로 생성자를 생성해야 한다고 하셨는데요.리프랙션은 뭐고 동적은 무슨의미인가요? 움직임을 뜻하는건 아닌것 같아서요3. 23분에 1번에는 flush() 이렇게 되어있고 4번에는 flush 이렇게 되어있는데 혹시 flush 가 2번 실행되는건가요?첫째코드가 강의 Hello JPA - 애플리케이션 개발28분에 나온 코드이고 2번째코드가 영속성 컨텍스트 2 24분에서 나온코드입니다.List<Member> result=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as m",Member.class).getResultList(); //Member 객체를 m으로 별칭하고 객체 m을 선택해라 for (Member member:result){// 각 Member 엔터티에 대해 반복합니다. System.out.println("member name = " + member.getName()); }Member member=em.find(Mmeber.class,150L);를 List<Member> member=em.find(Mmeber.class,150L); 이렇게 바꿔도 되나요? 4.영속성 컨텍스트 2 7분 그림에서요. 그림에서 flash는 3번과정인가요? 아니면 3번과정 직전인 동기화 상태인가요?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리뉴얼 강의가 오픈이 되면 기존 강의는 더이상 못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어제 부터 구매해서 강의를 보며 따라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리뉴얼 강의가 오픈이 되면 현재 강의를 계속 볼수 있는 걸까요 ..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application.properties에서 spring.config.activate.on-profile에 빨간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이런 식으로 뜨는데 뭔가 설정이 잘못된 건가요?ㅠㅠ
-
미해결[핵집] 2025 빅데이터 분석기사(필기)_과목 1~2
통합강의안 요청
필기 1-4과목 모듀 수강중입니다통합강의안 메일전송 요청드려요narao87@kakao.com
-
해결됨퀀트 투자를 위한 파이썬 트레이딩룸 만들기 - Part 2
수업자료 - 파이썬 파일 내용 누락됨 (Lecture7. dash_core_components_ Slider & RangeSlider)
대상 강의 : Lecture7. dash_core_components_ Slider & RangeSlider수업자료인 파이썬 파일Section3_Dash_dcc_RangeSlider.py을 다운받았는데 내용이 아래 코드가 전부이고 강의 내용 코드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확인 부탁 드립니다. # -*- coding: utf-8 -*- """ Section3_Dash_DCC_RangeSilder """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어느 상황일때, MSA로 나누는 것이 더 좋은 상황인지 구체적으로 궁금합니다.
auth서버와 resource서버는 서로 통신을 안하게끔 설계하는 것이 좋은가요? 서버끼리 통신할 일이 많아 보이는데, 이러면 Monolitic 방식보다 많이 느려질 것 같아서 말입니다. 그리고 authService가 userService를 사용하므로, user에 관련된 것들은 auth 서버에 넣어야 되는 건가요? 아니면 resource에다가 넣어도 되는건가요? 그리고 어지간한 서비스는 회원(user) 테이블과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ex: TableJoin 같은 것 해야할때) , 어느정도로 서비스가 독립적이어야 Monolitic 보다 MSA가 더 나은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Next 기본 내장 loading.tsx 의 기능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Suspense로 Streaming하여 최적화하기(feat. loading.tsx, error.tsx)' 강의를 듣던 도중 갑자기 궁금한 것들이 생겨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 /home은 서버컴포넌트여서 서버에서 다 그려서 보내주기 때문에초기 로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home에서 새로고침을 해도 loading.tsx 가 적용되지 않는다그렇지만 /explore에서 ‘새로고침 하고’ /home이라는 페이지로 넘어가면 /explore에서 /home페이지를 새로 로딩한다. 그래서 loading.tsx 가 적용된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여기서‘/explore에서 새로고침을 하고난 다음에 /home페이지로 가면 해당 페이지를 새로 로딩한다’ 는 개념이 무슨 말씀이신가요? 이와 관련된 Next.js 의 개념 키워드가 있을까요? “첫 페이지를 로딩 할 때 서버에서 미리 로딩된 것을 불러오기 때문에 Next에서 구성해주는 loading.tsx나, 리액트 쿼리에서 사용하는 isPending둘 다 의미가 없다. Next에서 첫 페이지의 데이터는 서버에서 전부 로딩하고 이걸 가져다 쓰기 때문이다“라고 하셨는데 여기서 첫 페이지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최초 렌더링인지, 새로고침 이후 접근하는 페이지인지, 아니면 다른 페이지를 갔다가 그대로 다시 돌아오면 그것도 첫페이지가 되는 것인지 헷갈립니다ㅠㅠ (Next의 Streaming with Suspense 를 사용하기 전 내용입니다) API에 await delay(3000) 를 사용했을 때,prefetchInfiniteQuery를 사용한 PostRecommends.tsx 에서는리액트 쿼리의 isPending은 적용되지 않지만, loading.tsx로 지정한 로딩 스피너는 보여집니다.loading.tsx로 지정한 로딩 스피너가 보여질 때, 어쨌든 prefetchInfiniteQuery 를 통해 서버측에서 미리 데이터를fetch할 때 API를 사용할텐데 이 때 API에 await delay(3000)가 있음에도loading.tsx는 항상 await delay(3000)와 관계없이 아주 짧은 시간동안만 (거의 0.5초?) 나타나는데 이는 왜 그런가요?최소 이 때 역시 API 호출로 인해 delay(3000)가 작동되면 3초 이상이 걸려야하는게 맞지 않나요?이는 혹시 prefetchInfiniteQuery가 컴포넌트가 마운트 되기 전에 미리데이터를 받아놓기 때문에 dealy(3000)이 직접적으로 체감되지 않기 때문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V2에서 별도의 DTO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Entity를 바로사용 하지 않는 이유는보안에 취약여러 곳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entity가 바뀌면 곤란함이 두가지 때문이라고 이해했는데.V2의 경우에는 별도의 DTO를 구성해서 이를 해결한다고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하지만 사용 쓰임새가 다 다르면 별도의 DTO를 계속해서 고쳐줘야 하는건 V1과 마찬가지 아닌가요? 보안 문제만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querydsl Projection 성능 문제
안녕하세요 Querydsl Projection 을 활용해 DTO에 담는경우 성능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Querydsl에서 Projections.constructor를 활용해서 query를 작성하는경우 fetchJoin이 되지 않더라구요.일대 다 관계에서 fetchJoin을 하지 않게되면 n+1 이슈가 발생할거 같은데Projections을 활용하는 환경에서 성능개선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6.19 다중포인터와 동적 다차원 배열> 이중 포인터임에도 불구하고 포인터의 주소값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int** matrix = new int* [row] 은 결국에는 row개의 포인터변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고, 그 중 첫번째 요소의 주소값을 matrix가 가지게 된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정확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 어리석은 질문드립니다.가정 1:제가 이해하기로는 이중 포인터 역시 포인터이기 때문에 다른 포인터의 주소값 을 가지는 변수입니다. 그러면 int** matrix = new int* [row] 같은 경우에도 row개의 포인터변수의 주소값 을 담아야하지 않습니까?하지만 matrix[0] 을 출력하였을때 (*matrix) 저는 그 포인터 변수의 주소값이 아닌 그 포인터 변수가 담고 있는 주소값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int** matrix = new int* [row] 이 경우의 이중포인터는 " 이중 포인터는 다른 포인터의 주소값을 가르킨다" 라는 어떻게 보면 정석적인 정의와 다르게 사용된다고 보는게 맞습니까? (포인터 변수들을 보유하는 배열) 이중 포인터가 사용됬음에도 불구하고 matrix가 가지고 있는 값이 첫번째 요소(포인터)의 주소값이 그 포인터 자체가 들어갔기 때문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