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블렌더 입문 : UX/UI 디자이너를 위한 3D 아이콘으로 배우는 블렌더!
햄버거 모델링 질문
치즈를 만드려고 Plane에 Cloth를 넣었는데 왜 저는 이렇게 찌그러진 치즈 모양이 나올까요..?치즈가 떨어지면서 패티에서 뭉치는 것 같아요..어떤 것을 조절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려요..!
-
해결됨[파이토치] 실전 인공지능으로 이어지는 딥러닝 - 기초부터 논문 구현까지
학습과 평가시 Loss 함수가 다른 이유
학습 할때는 MSE를 쓰고 평가 할때는 RMSE를 쓰는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start.spring.io 에서 자바 11 버전이 보이지 않습니다.
혹시 어떻게 하면 될까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대시보드내에 curl not found , 접속 Connection refused
안녕하세요 선생님 pod1 실습중입니다.1-1) Pod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pod-1 spec: containers: - name: container1 image: kubetm/p8000 ports: - containerPort: 8000 - name: container2 image: kubetm/p8080 ports: - containerPort: 8080 k8s master 에서는 잘되는것 같은데요?[root@k8s-master ~]# curl 20.111.156.73:8080containerPort : 8080[root@k8s-master ~]# [root@k8s-master ~]# k8s-master 에서는 접속이 잘되는데요? 대시보드로 접속해서 curl 로 하면 command not found 나옵니다.그래서 node1 이나 node2에서 테스트 해본결과[root@k8s-node1 ~]# curl localhost:8000curl: (7)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 port 8000: Connection refused[root@k8s-node1 ~]# refused 가 나오고 있습니다.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조합 구현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혹시 임의의 배열(벡터)를 인자로 받아서 그 배열의 조합을 리턴하는 방법도 나오나요? 예를들면 vector<int> v = {10, 20, 30, 40, 50}; combi(v, 5, 3); // where 5 == n, 3 == r 10, 20, 30 10, 20, 40 ... 30, 40, 50 위와 같은 방식이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WAS 장애 시 오류 화면도 노출 불가능의 의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WAS 장애 시 오류 화면도 노출 불가능하다'이 의미가 궁금합니다.5XX 메시지조차 보여줄 수 없다는 의미인가요?아니면 웹사이트에서 오류 화면을 직접 꾸며서 보여주는 것이 불가능할 뿐, 영어로 된 5XX 화면은 보여줄 수 있는 건가요?저는 후자일 것 같은데..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틀린 고급편
실무에서 lateinit 이 필요한 경우는 어떤 상황일까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최태현님 강의덕분에 코틀린으로 전환하고 있는 회사에서 적응하는데에 많은 도움 받고있습니다. 이번 질문은 lateinit 을 실무에서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것입니다. lateinit 을 사용하는 시점은, 클래스 인스턴스화 시점과 프로퍼티 초기화 시점을 분리하고 싶을 때라는 것은 이해했습니다.그런데, 실무에서 저런 경우가 어떤 상황인지 잘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실무에서 lateinit 을 사용하는 경우, 즉 클래스 인스턴스화 시점과 프로퍼티 초기화 시점이 분리가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port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포트 강의듣고 질문드릴게있는데요.클라이언트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할때 클라이언트 포트를 10010 을 사용한다고 되어있던데이 포트는 매번 바뀌는거죠? 오늘은 10010 을 쓰지만 내일은 8090을 쓸수도있고 동적으로 계속 빈포트를 자동으로 할당해서 사용하는거죠?
-
미해결
향상된 입력에서 Trigger 유형 질문입니다.
향상된 입력의 Input Trigger 메뉴얼 설명에 라고 되있는데요. 암시 유형이 이해가 잘 안되는데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 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반복문 리팩토링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질문은 처음 드리는거 같습니다~ 기본형과 참조형 '문제와 풀이' 시간에ProductOrder를 리팩토링하는 부분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리팩토링 하는 과정에서 for문 안에서 수행하던 print와 totalAmount를 계산하는 로직을 각각 메서드로 나누었는데요,이렇게 되면 한번만 수행되던 반복문이 메서드로 나누면서 각각 수행되어 2번이 되는데 이런 부분은 for문이 한번 더 돌게되어 오는 성능이슈보다, 깔끔하게 리팩토링 되는 부분이 더 이점이 큰 부분일까요? 사실 현업에서 업무를 할때도,for안에서 여러가지 로직이 수행되면 한번에 파악하기가 어려워서 나눠야지 싶어서 나누었지만, 한번만 돌던 반복문이 여러번 돌게 될 수 있어서 망설여지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 부분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RuntimeException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ㅎㅎ나만의 DI프레임워크 만들기 강의중 Exception이 발생했을 때 RuntimeException으로 감싸주시는데, 어떤 의도이신지 궁금합니다!감싸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Window에서 Volume 문제 미해결
Window에서 Volume을 적용할 때 cmd 환경에서 docker run -d -p 5000:8080 -v /usr/src/app/node_modules -v %cd%:/usr/src/app anonymous123/nodejs 해보고 wsl에서 docker run -d -p 5000:8080 -v /usr/src/app/node_modules -v "($pwd):/usr/src/app" anonymous123/nodejs를 시도하였는데 둘다 리액트가 작동은 하나 실시간 수정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해결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
미해결윈도우 악성코드(malware) 분석 입문 과정
레나 튜토리얼 html사이트
레나 튜토리얼 사이트 들어가면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지원 중단 때문에 안 보이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데이터 분석가, IT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MySQL 마스터 코스!
cctv.csv파일을 불러오는게 잘 안돼요
cctv.csv를 불러오는 과정이 말로만 설명이 되있어서 할려구 하는데 csv파일로 바꿧는데도 밑의 사진처럼 떠요 ㅠ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5:35초 부분에 깃헙 소스 폴드1에서 page.module.css 파일 복사
깃허브 소스코드 폴더 ch1에서 page.module.css파일 아무리 찾아도 없는데 어디있는거죠??
-
미해결[리뉴얼] 파이썬입문과 크롤링기초 부트캠프 [파이썬, 웹, 데이터 이해 기본까지] (업데이트)
객체지향 출력 순서
제가 생각했을때는 print(argument1, argument2) 그 다음에 self.name이면1 2blue 사각형2 3yellow 사각형 순서로 출력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예상 밖이네요..혹시 이렇게 순서가 되는 이유가 있나요?
-
미해결장고 설계철학으로 시작하는 파이썬 장고 입문
파이참 프로 에디션
강의 맨 처음 시작에 pycharm pro를 쓰는데, 완강 후에만 신청하라고 되어있습니다.강의 중간인데 신청하면 보내주실까요..?
-
해결됨CSS Flex와 Grid 제대로 익히기
flex-basis auto, 0 차이
flex-basis에서 auto로 설정하는 것과 0으로 설정하는 것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따로 코드를 짜서 실행하면 autof로 설정했을 때와 0으로 설정했을 때 결과물이 똑같아서 차이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아이비의 안드로이드 드릴
학습에 대해
오리엔테이션에 있는 신입 안드로이드 개발자를 위한 학습로드맵에 나와있는 학습주제에 대해서 전부 배울 수 있는건가요??
-
미해결자바 코딩테스트 - it 대기업 유제
혼자서 푼 문제 확인 부탁드립니다.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class 방향바꾸기 { public int solution(int[][] board) { int answer = 0; /** * n * m 격자판 지도정보 * 격자판에는 각 1,2,3,4 의 값이 존재 * 1: 오른쪽의 인접한 격자로 이동 * 2. 왼쪽의 인접한 격자로 이동 * 3: 아래로 이동 * 4: 위로 이동 * 0,0부터 오른쪽 아래 맨 끝으로 이동하려고함 * board가 주어지면 목표지점까지 가기위해 방향을 바꾸는 최소 격자 개수 * 한 격자의 방향은 원하는 방향으로 한번만 바꾸기 가능 * * * */ //다익스트라로 인접 순회 할때마다 내가 그 격자를 바라보고있는지 확인 //내가 그 격자를 바라보고있으면 1추가 안함 , 바라보지 않으면 1 추가 int[] dx = {-1, 0, 1, 0}; int[] dy = {0, -1, 0, 1}; PriorityQueue<Candidate> queue = new PriorityQueue(); Map<String, Integer> minPosMap = new HashMap<>(); for (int i = 0; i < board.length; i++) { for (int j = 0; j < board[i].length; j++) { minPosMap.put(j + ":" + i, Integer.MAX_VALUE); } } Pos first = new Pos(0, 0); //첫번째 시작을 넣는다. queue.add(new Candidate(first, 0)); while (!queue.isEmpty()) { int size = queue.size(); for (int i = 0; i < size; i++) { Candidate candidate = queue.poll(); Pos pos = candidate.pos; if (pos.x == board[0].length - 1 && pos.y == board.length - 1) { // print(board, minPosMap); return candidate.cnt; } for (int j = 0; j < 4; j++) { int moveX = dx[j] + pos.x; int moveY = dy[j] + pos.y; if (moveX < 0 || moveY < 0 || moveX >= board[0].length || moveY >= board.length) continue; //현재 Pos 가 moveX, moveY 를 바라보고 있는지 체크 boolean isLookAt = isLookAt(board[pos.y][pos.x], pos, moveX, moveY); //바라보면 cnt 그대로 바라보지 않으면 cnt++ //내가 추가할 값이 기존에 있는 값보다 작아야함 Pos newPos = new Pos(moveX, moveY); int cnt; if (isLookAt) { cnt = candidate.cnt; } else { cnt = candidate.cnt + 1; } Integer baseCnt = minPosMap.get(newPos.getName()); if (cnt < baseCnt) { minPosMap.put(newPos.getName(), cnt); Candidate newCandi = new Candidate(newPos, cnt); queue.add(newCandi); } } } } return answer; } private static void print(int[][] board, Map<String, Integer> minPosMap) { int cnt = 0; for (Integer value : minPosMap.values()) { System.out.print(value + " "); cnt++; if (cnt % board[0].length == 0) System.out.println(); } } private boolean isLookAt(int direction, Pos pos, int moveX, int moveY) { int x = pos.x; int y = pos.y; // * 1: 오른쪽의 인접한 격자로 이동 // * 2. 왼쪽의 인접한 격자로 이동 // * 3: 아래로 이동 // * 4: 위로 이동 int[][] directionCalculate = {{0, 1}, {0, -1}, {1, 0}, {-1, 0}}; return y + directionCalculate[direction - 1][0] == moveY && x + directionCalculate[direction - 1][1] == moveX; } class Pos { int x; int y; public Pos(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x + ":" + y; } } class Candidate implements Comparable<Candidate> { Pos pos; int cnt; public Candidate(Pos pos, int cnt) { this.pos = pos; this.cnt = cn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Candidate o) { return cnt - o.cnt;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방향바꾸기 T = new 방향바꾸기();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 1, 3}, {1, 4, 2}, {4, 2, 3}}));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 2, 1, 3}, {1, 1, 4, 2}, {3, 4, 2, 1}, {1, 2, 2, 4}}));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 2, 1, 3, 1, 2}, {2, 1, 1, 1, 4, 2}, {2, 2, 2, 1, 2, 2}, {1, 3, 3, 4, 4, 4}, {1, 2, 2, 3, 3, 4}}));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 2, 1, 3, 1, 2, 2, 2}, {2, 1, 1, 1, 4, 2, 1, 1}, {2, 2, 2, 1, 2, 2, 3, 4}, {1, 3, 3, 4, 4, 4, 3, 1}, {1, 2, 2, 3, 3, 4, 3, 4}, {1, 2, 2, 3, 3, 1, 1, 1}}));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1, 2, 3, 2, 1, 3, 1, 2, 2, 2}, {1, 2, 2, 1, 1, 1, 4, 2, 1, 1}, {3, 2, 2, 2, 2, 1, 2, 2, 3, 4}, {3, 3, 1, 3, 3, 4, 4, 4, 3, 1}, {1, 1, 1, 2, 2, 3, 3, 4, 3, 4}, {1, 1, 1, 2, 2, 3, 3, 1, 1, 1}})); } }AI로 답변을 달아주시는 것 같은데 이번에도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을 보면 강사님이랑 풀이방식은 비슷한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