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마이바티스와 테스트 코드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너무 잘 듣고있습니다. 회사에서 Mybatis로 개발 중인데 테스트 코드 작성에 어려움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JPA의 경우 CRUD가 기본적으로 구현되어 있지만, Mybatis의 경우 xml(또는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서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테스트 코드 작성이 어렵더군요.. 만약 Money 테이블이 있고, 해당 Repository에 Select 코드가 없는 경우 어떻게 검증을 해야 좋을까요? 테스트를 위해 xml이나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고, Jdbc Template를 이용해봤는데 이 경우에는 데이터가 롤백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아마 잘못 사용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Repository 부분을 Mock으로 Stub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 경우에는 Repository 쿼리를 수정할 때마다 Service에 정의된 Stub도 그에 맞게 계속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이 방법도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이 케이스도 A,B 각각 모듈 단위의 테스트는 성공하나 결합하여 테스트할 때 실패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을까요?) 회사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문화는 아니어서 물어볼 사람이 없어 질문 남깁니다.. 좋은 강의 감사하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기대하겠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영속성 컨텍스트 질문입니다.
em.persist(member1); em.persist(order1); em.persist(order2); em.flush(); em.clear(); <-- order1 내용 변경 --> em.persist(order1); tx.commit()flush와 clear까지 하면 db에 반영은 되어있고 order1의 내용을 조금 바꾼뒤 persist하면 1차 캐시에 올라가있을텐데, commit을 하면 실제 db에 아무것도 뜨지 않습니다.em.clear 주석 하고, 내용 변경 후 em.persist의 유무와 상관없이 db에 잘 반영이 됩니다.clear와 persist 사이의 무슨 관계가 있는 것 같은데, db에 아무것도 뜨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양방향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하는 이유는 순수한 객체 상태에서 봤을 때 양쪽에 값이 있어야 하기 때문인걸로 이해를 했습니다.order와 member가 다대일인 관계라 했을 때,보통 멤버를 db에서 find해서 쓸텐데, 이러면 member에서의 orderList를 가지고 오려면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와는 상관없이 db에서 join을 해서 가지고 오더라구요,,보통 프로젝트나 현업에서 순수한 객체 상태에서 쓸 일이 있나요?아니면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썼을 때 다른 이점이 있나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도메인 테스트 코드 작성을 해봤습니다.
도메인//Order 도메인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 {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OneToMany(mappedBy = "order",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 재고 원복 */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 }//OrderItem public class OrderItem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Item item;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public void cancel() { getItem().addStock(count); // 재고수량을 늘려준다. } }//Item public class Item { private int stockQuantity; public void addStock(int quantity)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 }불필요한 코드는 제거 했습니다. 테스트 코드@DisplayName("주문을 생성하고, 주문 취소시 주문 취소로 상태를 변경하고, 감소된 상품 재고를 수량을 추가한다.") @Test void cancelOrder(){ //given OrderItem orderItemMock1 = Mockito.mock(OrderItem.class); OrderItem orderItemMock2 = Mockito.mock(OrderItem.class); BDDMockito.doNothing().when(orderItemMock1).cancel(); BDDMockito.doNothing().when(orderItemMock2).cancel(); //OrderItem 가변인자는 내부에서 List로 보관 Order order = Order.createOrder(orderItemMock1,orderItemMock2); //when order.cancel(); //then assertThat(order.getStatus()).isEqualByComparingTo(OrderStatus.CANCEL); Mockito.verify(orderItemMock1,Mockito.times(1)).cancel(); Mockito.verify(orderItemMock2,Mockito.times(1)).cancel(); }Order 도메인의 cancel()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한다고 할때cancel 호출로 변경된 상태(enum)와내부 List<OrderItem> 필드에 하나씩 취소 요청을 할때Mock으로 OrderItem 도메인을 만들고 호출을 했는지만 검사를 했습니다. Mock 객체를 만드니까 간단한 단위테스트 인데도 속도가 많이 느려지더라구요이런 경우에Order.cancle 로직에 대한 테스트이기 때문에 나머지는 Mock으로 처리관련된 OrderItem.cancle(),Item.addStock()은 별도 단위테스트로 검증했기때문에추가 검증이 필요없다.Order.cancle 로직에 대한 테스트이지만,OrderItem.cancle(),Item.addStock() 테스트 검증이 끝났다고 해도비즈니스 계층 통합테스트 느낌으로 given에서 데이터를 준비하고연관된 데이터를 전부 검증한다. 1번으로 할경우 테스트 목적은 한눈에 들어오지만2번으로 할경우 이 로직이 어디까지 관련이 되어있는지 테스트 코드로 알수 있을거같아서강사님이 말씀하신 테스트를 문서처럼 사용할 수 있는거같습니다. 고민을 해보니 Order.cancel()은 서비스 계층에서 호출을 할텐데1번으로 테스트를 하고, 서비스 계층에서 통합 테스트를 하는게 맞을까요?더 나은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ervice에 @Transactional(readOnly=true)는 필수적으로 넣어줘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클래스 영역에서 트랜잭션을 걸어두는 것이 필수적인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실무에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클래스 영역에 사용해서 적용하게 되는 것일까요?저는 작업할 때 수정이 필요한 메서드에만 @Transactional을 선언해줬었는데 이렇게 처리했던 부분들이 잘못된 부분이었던 것인지 고민이 되어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정리하자면클래스단에서 무조건 '@Transactional(readOnly=true)' 를 작성해주는 것을 권장한다면 그렇게 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고,무조건 걸었을 때 매번 '@Transactional(readOnly=true)' 값을 작성해줘야 하는데 매번 작성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Spring boot + Vue 배포
당연히 구글링 해보셨져? 원하는 결과를 못찾으셨나요? 어떤 검색어를 입력했는지 알려주세요.문제가 발생한 코드(프로젝트)를 Github에 올리시고 링크를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강의 보면서 저만의 프로젝트를 열심히 만들어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호돌맨님 프로젝트와 비슷하게 프로젝트 폴더 아래 front와 src (Springboot)가 따로 있는 상황이어서 인터넷을 찾아보며 vue build 결과물 (dist 폴더)를 src/main/resources/static/ 에 넣고 배포하는 식으로 진행해보았습니다.위 처럼 했을 때는 5173 => 8080 이 서로 통신하는게 아닌게 되버린 것인지 Vue에서 작성했던 코드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문제를 겪고있습니다.그 외에도 다른 글들을 참고하면서 build를 해보면 build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입니다.제대로 동작하게 배포를 하고 싶은데,vue 부분을 따로 배포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을까요?좀 오랫동안 삽질하게 되어 질문드립니다... 방향이나 참고할만한 내용이 있을까요...?git - https://github.com/ppusda/NyangMunity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스프링 데이터 JPA 페이징과 정렬] left join 쿼리
MemberRepository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ber, Long> { List<Member> findMemberByUsernameAndAgeGreaterThan(String username, int age); ... @Query(value = "select m from Member m left join m.team t", countQuery = "select count(m.username) from Member m") Page<Member> findByAge(int age, Pageable pageable); } MemberRepositoryTestpackage hello.datajpa.repository; ...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Rollback(false)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TeamRepository teamRepository; ... @Test public void paging() { for (int i = 1; i <= 5; i++) {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 + i, 10); memberRepository.save(member); } int age = 10; PageRequest pageRequest = PageRequest.of(0, 3, Sort.by(Sort.Direction.DESC, "username")); Page<Member> page = memberRepository.findByAge(age, pageRequest); List<Member> content = page.getContent(); long totalElements = page.getTotalElements(); int totalPages = page.getTotalPages(); int currentPage = page.getNumber(); boolean isFirst = page.isFirst(); boolean hasNext = page.hasNext(); assertThat(content.size()).isEqualTo(3); assertThat(totalElements).isEqualTo(5); assertThat(totalPages).isEqualTo(2); assertThat(currentPage).isEqualTo(0); assertThat(isFirst).isTrue(); assertThat(hasNext).isTrue(); } } Memberpackage hello.datajpa.entity; ... @Entit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ToString(of = {"id", "username", "age"}) /*@NamedQuery( name = "Member.findByUsername", query = "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username = :username" )*/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int age; @ManyToOne(fetch = LAZY)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Team team; public Member(String username, int age) { this.username = username; this.age = age; } public Member(String username, int age, Team team) { this.username = username; this.age = age; changeTeam(team); } public void changeTeam(Team team) { if (team == null) throw new RuntimeException("Member.changeTeam: team is null");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 쿼리select m1_0.member_id, m1_0.age, m1_0.team_id, 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order by m1_0.username desc offset ? rows fetch first ? rows only select count(m1_0.username) from member m1_0강의와 다르게 left join을 해도 left join 관련 쿼리가 나가지 않는데 뭔가 강의와 다르게 설정된 부분이 있는 걸까요?@SpringBootTest @Transactional @Rollback(false)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TeamRepository teamRepository; ... @Test public void paging() { Team team = new Team("A"); teamRepository.save(team); for (int i = 1; i <= 5; i++) {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 + i, 10); member.changeTeam(team); memberRepository.save(member); } int age = 10; PageRequest pageRequest = PageRequest.of(0, 3, Sort.by(Sort.Direction.DESC, "username")); Page<Member> page = memberRepository.findByAge(age, pageRequest); List<Member> content = page.getContent(); assertThat(team).isSameAs(content.get(0).getTeam()); // team == content.get(0).getTeam() ? long totalElements = page.getTotalElements(); int totalPages = page.getTotalPages(); int currentPage = page.getNumber(); boolean isFirst = page.isFirst(); boolean hasNext = page.hasNext(); assertThat(content.size()).isEqualTo(3); assertThat(totalElements).isEqualTo(5); assertThat(totalPages).isEqualTo(2); assertThat(currentPage).isEqualTo(0); assertThat(isFirst).isTrue(); assertThat(hasNext).isTrue(); } } 테스트 코드를 위와 같이 변경했을 때 left join 쿼리나 select 쿼리가 나가지 않고 assertThat(team).isSameAs(content.get(0).getTeam()) 테스트는 통과됩니다.위 코드는 이런 식으로 동작하는게 맞을까요?fetch join이 아니기 때문에 하이버네이트는 일단 member만 가져오는 쿼리를 날리고 레코드를 받아온다.받아온 레코드와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교한다.받아온 레코드가 영속성 컨텍스트에 엔티티로 존재하므로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엔티티를 반환한다.따라서 조회한 content.get(0) 객체에는 team 필드가 이미 할당 되어 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7강. 유저 생성 API 개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현재 7강. 유저 생성 API 개발 의 9분 듣고있습니다.국비 프로젝트에서 dto에 직접 저장을 했던 경험이 있습니다.선생님께서는 dto에 패키지의 UserCreateRequest에 저장하지 않고 domain패키지에 User라는 객체를 따로 만들어서 저장하시더라구요.그렇게 하는 이유를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도메인 모델을 나눌 때 중간테이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아니오[질문 내용]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는 Pojo 모델과 Entity 모델을 나누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때, M:N 테이블을 나누어 주는 중간 테이블은 POJO 모델을 만들지 않고 infrastructure 레이어에 위치시키고 도메인 레이어에는 노출시키지 않으려고 하고 있는데요, 이 때 해당 중간 테이블을 구분되는 두 도메인중 어느쪽에 위치시켜야할지 고민이 되어 질문을 남깁니다.보통 이러한 중간 테이블에 대응하는 Entity는 어느 패키지에 두는지 기준이 궁금합니다.추후 데이터베이스를 나누었을 때 이러한 중간 테이블을 어디에 위치 시켜야할지 아니면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중간테이블을 중복 저장 시켜야할지 궁금합니다.양 쪽 모두에서 간간히 조회에 활용 됩니다. 위 방법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느끼신다면 어떤 대안이 있을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사용자 목록 조회가 하얀 화면만 뜹니다
정확히는 정말잠깐 순간적으로 목록화면이 뜨는듯 하다가 바로 하얀화면으로 전환됩니다저는 8080포트가 사용중이어서 9090으로 포트를 설정했습니다.8080으로도 바꿔서 해봤지만 증상은 같았습니다8080과9090에 할당된 서버의 상태는 이렇습니다강의는 8강. 유저 조회 API 개발과 테스트까지 수강한 상태입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도와주세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제가 야생형으로 들어서 실습을 먼저해서 h2를 다운 받았는데 또 받아야 하나요???일단 안받고 햇는데 이렇게 빨간줄이 뜹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ㅜㅜㅜ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따라했는데 오류가 떠요
이렇게 main이 빨간줄이 뜨고 이것도 복붙을 했는데 이렇게 떠요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s/createMemberForm.html 파일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home 화면에서 회원가입을 누르면 Members/new 페이지로 넘어가는데 넘어가면서@GetMapping(/members/new) 함수가 호출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이 함수가 호출이 되면 members/CreateMemberForm 페이지를 리턴하는데 왜 url 에는 계속 memebers/new 가 뜨는지 궁금합니다. members/CreateMemberForm 가 url 에 있어야할 것 같은데 왜 그대로 members/new 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관련 질문입니다.
member가 새로 생기면 해당 Team에 있는 List<Member> members에 member를 값을 넣어주는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가 있다고 할 때, team.getMembers()를 하면 원래는 db에서 join을 한 뒤 해당하는 팀의 멤버들이 리스트에 담겨 반환되는거 같은데, 직접 리스트에 멤버들을 넣어주어서 이미 리스트에 멤버들이 있을텐데 이것들을 반환해주는건가요?질문1.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가 없었다면 db가 join을 해서 해당하는 team의 멤버들을 리스트에 담아서 반환해주는 것이 맞나요?질문2.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로 내가 해당 team 리스트에 멤버들을 넣어주었으면 db에 갈 필요 없이 넣어준 것들을 그대로 반환하는 건가요?질문3. 그렇다면 db에 들어갈지 안들어가고 리스트에 담아놓은 것들을 반환할지는 jpa가 어떻게 판단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radlew clean build 에러 발생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gradlew clean build를 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구글 드라이브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noPIwH5K_JrQ_st4-VSuOOqVLuLBopJw/view?usp=sharing$ ./gradlew clean build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at went wrong: A problem occurred configuring root project 'jpashop'. >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classpath'. > Could not resolv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1.0. Required by: project : > org.springframework.boot:org.springframework.boot.gradle.plugin:3.1.0 > No matching variant of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1.0 was found. The consumer was configured to find a runtime of a library compatible with Java 11,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as well as attribute 'org.gradle.plugin.api-version' with value '7.6.1' but: - Variant 'api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1.0 declares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n API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runtime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1 - Other compatible attribute: -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6.1') - Variant 'javadoc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1.0 declares a runtime of a component,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documentation and the consumer needed a library - Other compatible attributes: -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target Java version (required compatibility with Java 11) -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elements (required them packaged as a jar) -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6.1') - Variant 'mavenOptionalApi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maven-optional:3.1.0 declares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n API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runtime of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1 - Other compatible attribute: -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6.1') - Variant 'mavenOptionalRuntime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maven-optional:3.1.0 declares a runtime of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1 - Other compatible attribute: -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6.1') - Variant 'runtime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1.0 declares a runtime of a library, packaged as a jar,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7 and the consumer needed a component compatible with Java 11 - Other compatible attribute: -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6.1') - Variant 'sourcesElements' capabilit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1.0 declares a runtime of a component, and its dependencies declared externally: - Incompatible because this component declares documentation and the consumer needed a library - Other compatible attributes: -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target Java version (required compatibility with Java 11) - Doesn't say anything about its elements (required them packaged as a jar) - Doesn't say anything about org.gradle.plugin.api-version (required '7.6.1') * Try: >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BUILD FAILED in 4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siv OFF했을 때 ordersV1 실행시 질문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네[질문 내용] @GetMapping("/api/v1/orders") public List<Order> ordersV1() { List<Order> all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 for (Order order : all) { order.getMember().getName(); order.getDelivery().getAddress(); List<OrderItem> orderItems = order.getOrderItems(); orderItems.stream().forEach(o -> o.getItem().getName()); } return all; }OSIV를 껏을 경우에 order.getMember().getName()에서 에러가 뜨는게 맞다고하셨습니다. 그런데 ordersv1 사용시에 findAllByString을 사용하면서 트랜잭션을 애초에 사용하지 않았는데 어느 타이밍에 트랜잭션이 켜지고 꺼지면서 커넥션이 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ome.html
스프링 실행이 안되서 보니까h2연동을 안해서 그렇던데, 항상 h2를 연결해야지 스프링이 등록이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저처럼 맥 애플실리콘사용하시면서 mysql error2002 뜨시면
ERROR 2002 (HY000):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tmp/mysql.sock' (2)이거 뜨시면https://jaynamm.tistory.com/entry/Mac-ERROR-2002-HY000-Cant-connect-to-local-MySQL-server-through-socket-tmpmysqlsock-2 여기 참고해보세용~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List.html 에서 <script> 부분을 IntelliJ에서 인식을 못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orderList.html 에서 <script> 부분을 IntelliJ에서 인식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 부분이 실행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인쇄한 내용이나 강의 화면에는 색이 구별되어 보이는데,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찾을 수가 없습니다.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Persistence Layer(2) 강의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Persistence Layer(2) 강의를 수강 중에 질문이 있습니다.먼저, 저는 h2 database 대신 mysql을 사용하기로 해서, 아래와 같이 application.yml 파일을 작성했습니다.그리고 build.gradle에 mysql import 부분 역시 등록하였습니다.spring: profiles: default: local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host:3306/testing?useSSL=false&characterEncoding=UTF-8 username: root password: [생략]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jpa: hibernate: ddl-auto: none sql: init: mode: always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true # (2.5~) Hibernate 초기화 이후 data.sql 실행 # h2: # console: # enabled: true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test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sql: init: mode: never 그리고 ProductRepositoryTest를 실행한 결과,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 상에서는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나, @DataJpaTest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Configuration':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replace DataSource with an embedded database for tests. If you want an embedded database please put a supported one on the classpath or tune the replace attribute of @AutoConfigureTestDatabase.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replace DataSource with an embedded database for tests. If you want an embedded database please put a supported one on the classpath or tune the replace attribute of @AutoConfigureTestDatabase. 제 생각에는, application.yml 파일 설정에서 제가 잘못 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혹시 어느 부분을 제가 놓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