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제가 이해한내용이 맞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odelAttribute의 경우에는 잘못된 타입입력으로인해 바인딩 자체가 안되더라도 BindingResult에 담기고 Controller가 호출되는반면 @RequestBody의 경우에는 바인딩자체가 호출이 안될때에는Controller자체가 호출이 안된다라고 이해하면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생성자가 2개이고 그중 하나가 다른 생성자를 포함하면 인스턴스 구조는 어떻게 되는거에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super 생성자 강의의 마지막 수업을 보고 질문드립니다. A라는 클래스 내부에 생성자가 2개가 있고, 그중하나의 생성자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하고 있는데요. 그럼 첫 번째 생성자가 호출되는 순간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부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하게되면 인스턴스 구조가 어떻게 되는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이 경우 객체가 2개 만들어 지는 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밑의 참조 배열에 관한 질문 답변에 조금.. 이해가 안가서 다시 질문해요 ㅠㅠ.
이런식으로 Product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컬렉션을 이용해서 products 변수를 만들어서 그 안의 객체를 생성해서 넣었습니다.그리고 또 다른 productTest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이번에 products의 값들을 new ArrayList를 통해서 값을 전달했다고 한다면productTest의 배열의 첫번째 인덱스 값이 products의 첫번째 인덱스 값을 가리키는 것과 같은거 아닌가요? 그렇게 된다면 productTest에서 값을 수정한다면 원본 데이터 값에도 영향을 받아야 하므로 products.get(0).getName() 값도 결국 "테스트제품"으로 바꿔져야 하는데 원본 데이터는 영향을 받지 않더라구요... ㅠㅠ왜 이런건지 잘 모르겠습니다..참조 배열 안에 있는 값도 결국 객체의 메모리 주소값을 가리키게 된다면,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서 값을 복사해서 대입하게 되더라도 해당 객체를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값을 접근하는 것이 하나 더 생기는거 아닌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참조형 배열에 관한 질문!!
이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참조형 배열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참조형 배열도 결국 배열 안에 메모리 주소값을 저장하여 인덱스를 통해 메모리 주소값에 접근하는 방식인가요?예를 들어서 List<Item> items = new ArrayList<>(); 이런 식으로 Item 타입을 가지는 items라는 배열을 생성했다라고 하면, 이 안에 인덱스 번호를 통해 배열 안의 위치에 접근하면 Item 객체에 관한 메모리 주소값이 있을테고, 이 메모리 주소값에 접근하는 방식인가요? 만약 List<Item> item = new ArrayList<>(); 배열 변수를 선언하고 배열 안에 값을 넣었다고 생각을 한다면, 강의에서 말했듯, " 자바는 항상 변수의 값을 복사해서 대입한다 " 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 궁금한게, 또 다른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서 해당 item을 복사해서 넣는다고 한다면 즉, List<Item> anotherItem = new ArrayList<>(item);이런식으로 item 안에 값들을 anotherItem으로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서 집어넣는다면, anotherItem 안에 값들을 수정해도 item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만약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결국 객체의 메모리 주소에 접근할텐데.. (너무 헷갈립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신규 트랜잭션 질문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Transactional도 REQUIRED 옵션이 디폴트 일텐데 왜 각각이 분리되어서 동작하는지 궁금해요REQUIRED 옵션이 기본 디폴트라고 말씀하셨는데 BasicTxTest는 트랜잭션 매니저를 주입받아서 트랜잭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REQUIRED 옵션으로 인해 신규 트랜잭션을 getTransaction 하더라도 기존 트랜잭션이 존재하면 내부 트랜잭션으로 간주되는 것이고,MemberServiceTest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덕분에 트랜잭션 AOP를 사용하여 각각 다른 AOP 객체가 생성되어서 물리 트랜잭션이 두개가 생기는 건가요?
-
미해결파이썬 무료 강의 (활용편5) -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존나 재밌다....형 왜이렇게 강의 잘해? 형 신이야? 사랑해
형... 왤케 매력있어? 이 형은 왜 무료로 해줘? 이형 뭐야? 사랑이야? 이거 사랑인거야?
-
해결됨[R을 R려줘] R 기초다지기
package 불러오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패키지 불러오기 관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강의 예시에서, library("data.table")으로 패키지 불러오기를 한 다음,data.table:: 을 하면, library 함수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셨습니다.이 뜻은 library("data.table")을 안 하고 바로 data.table:: ~~ 을 할 수 있다는 뜻인가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7: MMO 컨텐츠 구현 (Unity + C# 서버 연동 기초)
학습 커리큘럼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게임 공부에 입문한 웹 개발자 입니다.관심 있는 분야가 게임서버, unity 쪽 인데unity 강의 3(unity), 4(server), 7(unity + server), 8(entity), 9(mmo) 로 공부하고c++ 강의로 넘어가거나, 유니티 기반 게임을 만들어 봐도 막히는 부분은 없을까요?DB 쪽은 MYSQL 엔진 원리와 트랜잭션, 동시성 문제가 일어나는 이유 등을 알고 고급 쿼리는 좀 공부 해야하고, 웹 쪽은 게임 프로그래밍 코어 공부하는데 크게 지장 없으면 넘어가고 싶은데루키스님 의견이 어떠한지 궁금합니다.(entity는 생산성 때문에 하는게 좋을 것 같아서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섹션 8. final pdf 내용 중 오타 발견하여 제보합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스프링 강의에 이어 자바 강의까지 정말 재미있게 듣고 있습니다! ㅎㅎ다름이 아니라 섹션 8 final > final 변수와 상수 1 에서 오타를 발견하여 제보합니다.값은 이 제거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영한님 덕분에 자바 모르고 지나쳤던 부분에 대해 짚고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후 공개될 자바 중급, 고급편도 무척이나 기대되네요! ㅎㅎ 항상 감사합니다. 연말 마무리 잘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바보같은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3:00 영상 초반에 클래스 외부에 add함수를 작성한 예제를 보여주셨는데, 해당함수는 레퍼런스로 c1 , c2 , c_out 을 인자로 받고 있습니다.레퍼런스로 받을경우 그 인스턴스의 메모리상 주소값을 그대로 받아오기 때문에 c.m_cents 처럼 private 에 속하는 멤버변수도 직접 접근이 가능해야 되는거 아닌가요...?레퍼런스로 인자를 받았다면 객체 그 자체로 private 영역에 접근이 가능해야될것 같은데,getter , setter 함수를 사용해서 private 변수에 접근해야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ㅠ void add(const Cents &c1 , const Cents &c2 , Cents &c_out) { c_out.getCents() = c1.getCents() + c2.getCents(); }
-
해결됨핸즈온 리액트 네이티브
2.1 오류 질문
2.1 프로젝트 준비하기에서cd git이 아니라 cd .git으로 했고 거기서 npx create-expo-app rn-calc를 해서 생성했습니다 code .으로 실행 하니까 이런식으로 나왔는데 영상에서는 expo-shared 라는 파일이 assets위에 있었는데 제 프로젝트에는 없습니다. 맥 환경과 윈도우 환경에 따른 차이일까요?rn-calc 프로젝트에서 npm start를 했을 때 QR코드가 뜬 뒤에 이런 에러가 나왔습니다 그 이후로 my-first-rn이나 rn-calc에서 npm start를 하면 이런 화면만 계속 나오고 폰을 흔들어봐도 응답이 없습니다.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UE, 유니티 고민
안녕하세요 선생님, 제가 앞으로 6주(?)에서 2달정도 공부해서 간단한 유니티 또는 UE 프로젝트를 진행해볼까합니다.제가 언어 습득 능력은 매우 좋은편이라 C++이든 C#이든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근데 실질적으로 취업에 도움이되는 방향이 알고 싶습니다.현재 C++은 공부중이고 C#은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입니다.기간도 고려해주시면 감사하겠지만 기간을 생각안했을 때도 어떤것을 추천하시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클래스 내에 클래스 멤버 변수 선언 시 ()와 {}의 차이
class Something { private: int some; public: Something(const int &in_some) : some(in_some) {} void print() { cout << some << endl; } }; class Fraction { private: int nom; int denom; Something frac_some{ 3 }; // uniform init public: Fraction(const int &in_nom, const int &in_denom) : nom(in_nom), denom(in_denom) {} void print() { cout << nom << " " << denom << endl; frac_some.print(); } }; int main() { // Fraction frac(1, 2); Fraction frac{ 1, 2 }; frac.print(); return 0; }위 코드처럼 Something frac_some{ 3 }; 으로 uniform init을 하면 코드가 동작합니다.그러나 아래처럼 direct init을 하면위와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main에서 아래처럼 두 가지 방법을 다 해보았을 때는 문제가 없었습니다main에서 Fraction frac(1, 2);을 하는 것과,클래스 내에서 멤버 변수를 선언할 때,Something frac_some(3);을 하는 것이 다른 동작인가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E 분할 정복 반례를 도저히 못찾겠어요
안녕하세요 큰돌님.2-E 쿼드 트리 문제 반례를 도저히 못찾겠습니다. 97% 쯤인가 여기서 자꾸 실패가 떠요.백준 질문 게시판에 올라가있는 테스트 케이스를 넣어도 다 통과는 하는데 무슨 반례에 걸리는지 도무지 감이 안잡힙니다. 한번 봐주실 수 있나요?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N, adj[70][70]; string input; string go(int sy, int sx, int size) { int ey = sy + (size - 1); int ex = sx + (size - 1); // cout << sy << " " << sx << " " << ey << " " << ex << '\n'; if (size == 2) { if (adj[sy][sx] == adj[sy][ex] && adj[sy][ex] == adj[ey][sx] && adj[ey][sx] == adj[ey][ex] && N > 2) return to_string(adj[sy][sx]); string subret = "("; subret += to_string(adj[sy][sx]); subret += to_string(adj[sy][ex]); subret += to_string(adj[ey][sx]); subret += to_string(adj[ey][ex]); subret += ")"; return subret; } string lt = go(sy, sx, size / 2); string rt = go(sy, sx + size / 2, size / 2); string lb = go(sy + size / 2, sx, size / 2); string rb = go(sy + size / 2, sx + size / 2, size / 2); // cout << "lt: " << lt << " rt: " << rt << " lb: " << lb << " rb: " << rb << '\n'; if (lt.size() == 1 && lt == rt && rt == lb && lb == rb && N > 2) return lt; string ret = "("; ret += lt; ret += rt; ret += lb; ret += rb; ret += ")"; return ret; } int main() { cin >> N; for (int i = 0; i < N; ++i) { cin >> input; for (int j = 0; j < N; ++j) { adj[i][j] = input[j] - '0'; } } string ret = ""; if (N == 1) ret = "1"; else { ret = go(0, 0, N); } cout << ret << '\n'; return 0;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계좌 예제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7강 예제문제 scanner 넣어서 만들다가 컴파일 돌리면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이런 에러가 떠서 질문드립니다 .. 에러 뜨는 곳은 없는데 어디가 잘못되어서 컴파일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형성과 인스턴스 생성 관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이번 강의를 들으며 다형성과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 개념적인 부분 관련해서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그런데 다형성 관련부분 들을때부터 의문이 들었던.. 메인 쪽에서 인스턴스 생성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왜 InterfaceA a = new child() ; 처럼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써야 하는건가요?Child a = new child() 로 생성해서메소드를 호출했을 때의 문제점이 뭔가요?문제점 보다는 코드 중복제거와 같은 효율성 때문인가요? 위의 인스턴스 대로라면,부모클래스의 메소드를 찾아서 해당 메소드가 자식 클래스에 있다면 자식 클래스를 우선 호출하거나, 부모클래스가 추상이나 인터페이스라면 오버라이딩 된 자식 클래스의 메소드를 호출할텐데, 인스턴스 생성시부터 부모 a = new 자식 으로왜 생성하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로그인을 Controller가 아닌 filter에서 처리하는 것의 이점
스프링 시큐리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formlogin 방식이 아닌 방식(예를 들면 json 요청)으로 로그인을 구현할 때, 기존의 방식 처럼 컨트롤러에서 처리하는 것과 커스텀 필터를 등록하여 처리하는 것에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필터는 Dispatcher Servlet을 거치지 않고 먼저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 같은데 컨트롤로 단에서 처리하는 것 보다 어떤점이 유리할까요? 또 다른 이점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React와 Vue로 배우는 TypeScript 필수 개념 (feat. ChatGPT)
EventHandler Type이 React에서 정의한 타입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React에서는 React 팀이 직접 만든 Event 타입을 사용하고, Vue에서는 MDN에서 제공하는 범용적 Event 타입을 사용한다고 하시고, React에서 가상 DOM 때문에 React 팀이 만든 Event 타입을 사용한다고 말씀 주셨습니다.하지만, Vue도 마찬가지로 vDOM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 그렇다면, Vue도 vDOM을 사용한다면 Template 문법 내부에서 범용적 Event 타입이 아니라 커스텀 이벤트 타입을 사용해야 맞는 것 아닌가요?굳이 React 에서 커스텀 이벤트 타입을 사용하는 이유와, Vue에서 범용적 이벤트 타입을 사용하는 각각의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이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oreApplication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CoreApplication의 @SpringBootAplication에는 @ComponentScan이 들어있다고 하셨습니다.그러면 스프링 빈 등록을 할 때 AutoAppConfig가 아니라 CoreApplication을 써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래서 방금 테스트한 코드를 이렇게 수정해보았습니다.public class AutoAppConfigTest { @Test void basicScan()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oreApplication.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class);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class); }}하지만 제가 @Component를 사용하지 않은 MemberService 도 같이 bean으로 등록되어 있어서 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이 발생했습니다. 왜 CoreApplicaion을 사용하면 이러한 오류가 나는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AutoAppConfig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강의 내용 중 이해가 잘 되지 않는 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공간이 5개, 10개다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이해가 잘 되지않아 질문드립니다밑에 결과를 드래그하였을 떄 5칸 혹은 10칸 만 드래그가 되어야지 정상인가요? 저는 다 드래그가 됩니다제 코드가 잘 못된건지 이해한게 잘못된건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