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Querydsl
AliasCollisionException 오류가 나는데 ㅠ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return queryFactory.select(board) .from(board) .distinct() .leftJoin(board.writer, member) .fetchJoin() .leftJoin(board.comments, comment) .fetchJoin() .leftJoin(comment.writer, member) .fetchJoin() .where(board.id.eq(id)) .fetchOne();이런 식으로 join을 세번해서 날리니까 org.hibernate.query.sqm.AliasCollisionException: Duplicate identification variable 'member1' in 'from' clause [join writer as member1 join writer as member1] 오류가 나는데 혹시 원인을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try-catch
영상 제작으로는 안해주시나요..? try-catch만 아니라 다른 수업도 글로 설명해주시는 부분이 있던데 아무리 설명을 잘해주셔도 영상보다 이해가 잘 되지는 않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파트 자료 재 문의드립니다.
1 객체지향 설계원칙 이 6페이지, 7페이지에 들어있는데(내용은 조금 상이)각각의 목차에서 필요해서 넣으신것인지 중복되어 들어간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2 그리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설계과정 두 번 들어갔어요 이것도 이유가 있으신가요?3 목차 4번 서버 프로그램 구현에 결합도와 응집도 따로 들어가있던데요 이건 소제목이 없어서요 앞 내용이랑 이어지지 않는데.. 이건 여기 있는 게 맞는건지.. 소제목이 따로 없는 지 문의 드려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참인 경우 출력
10:53초 부근 참인 경우 출력isPal(i) 관련 강좌 내용은 어디 강의 참고하면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aven으로 프로젝트 생성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에서는 프로젝트 파일 생성하는데 maven들어가면 next 누르고 groupid 등이 나오는데 저는 사진 속 화면이 전부인데 왜그런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ember.find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o: 150L); 이라고 되는데 영상에서는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primary key: 150L); 라고 뜨던데 상관없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smurf attack / Land Attack
스머프 (Smurf Attack): 출발지 주소를 공격 대상의 IP로 설정하여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네트워크를 마비시키는 공격입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는 네트워크 과부하로 인해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됩니다.랜드 어택 (Land Attack): 출발지와 목적지의 IP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패킷을 보내 가용성을 침해하는 공격입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은 스스로에게 패킷을 보내며 과부하에 빠집니다.둘 다 출발지 = 목적지 ip 설정을 하는 것인데, 차이점은 브로드 캐스팅과 패킷 전송이 맞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프로토콜
sw 보안 관련 용어 정리를 보니문제를 풀다가 프로토콜에 관해서도 이런거 있고 저런거 있고헷갈리는게 많았는데,혹시 프로토콜 용어 정리도 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 비즈니스 로직 vs 서비스 비즈니스 로직
강의에서 DDD의 개념을 적용하시면서 엔티티에 비즈니스 로직을 넣으셨었는데요.아직까진 DDD에 대한 개념이 완벽히 정립되지 않아 별도의 자료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공부하는 차원에서 서비스 계층에서의 비즈니스 로직 개발로 코드 리팩토링을 스스로 해보고 강의에 나오지 않았던 상품 서비스 테스트 코드 작성 결과 일단 통과가 나오긴 했습니다만... 잘 한 것인지 몰라서 코드 평가를 좀 받아보고 싶어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테스트 코드 역시 각 계층별로 지켜야 하는 테스트 코드 원칙이 있으나 이 부분도 같이 공부하느라 제대로 적용해보기 아직 어려운 단계라 @SpringBootTest를 사용했습니다. 이 부분은 감안해주세요..! 또 다른 추가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에서 엔티티에 구현한 비즈니스 로직을 서비스 계층에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엔티티를 직접 이용하는 것보다는 DTO를 만들어서 전달하는게 엔티티에 많은 변화를 가하지않는 유일한 방법일까요?ItemService 코드package spring.project.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pring.project.domain.Item; import spring.project.exception.NotEnoughStockException; import spring.project.repository.ItemRepository; import java.util.List;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class ItemService {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Autowired public ItemService(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this.itemRepository = itemRepository; } @Transactional public Long saveItem(Item item, int quantity) { addStock(item, quantity); itemRepository.save(item); return item.getId(); } private void addStock(Item item, int quantity) { item.setStockQuantity(item.getStockQuantity() + quantity); itemRepository.save(item); } @Transactional public void removeStock(Item item, int quantity) { int restStock = item.getStockQuantity() - quantity; if (restStock < 0) { throw new NotEnoughStockException("재고가 부족합니다."); } item.setStockQuantity(restStock); itemRepository.save(item); } public Item findOne(Long itemId) { return itemRepository.findOne(itemId); } public List<Item> findAll() { return itemRepository.findAll(); } }ItemServiceTest 코드package spring.project.service;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spring.project.domain.Album; import spring.project.domain.Book; import spring.project.domain.Item; import spring.project.repository.ItemRepository; @SpringBootTest class Item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Autowired private ItemService itemService; @Test @DisplayName("상품 저장 시 상품 저장과 동시에 재고 수량이 증가해야 한다.") void save() { // given Book book = new Book(); book.setAuthor("홍길동"); // when Long id = itemService.saveItem(book, 3); // then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One(id); Assertions.assertThat(item.getName()).isEqualTo(book.getName()); Assertions.assertThat(item.getStockQuantity()).isEqualTo(3); } @Test @DisplayName("상품 주문이 들어가면 재고 수량에서 주문 수량만큼 차감이 되어야 한다.") void remove() { // given Album album = new Album(); album.setName("영원"); Long id = itemService.saveItem(album, 100); // when itemService.removeStock(album, 4); // then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One(id); Assertions.assertThat(item.getStockQuantity()).isEqualTo(96); }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년 1회 java
System.out.println(a); 이거 설명하실 때 객체 a가 아니라 변수 a를 불러오라고 하셨잖아요. 객체 st. a를 출력해도 10아닌가요? 20을 출력할려면 괄호안에 a가 아니라 뭐가 들어가야하나요? 차이를 모르겠어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년 1회 30분 자바 상속문제
자바에서name = super.name = val; 이런 문법도 가능한가요?..name = val;super.name = val; 이렇게 나눠야하지 않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년 1회 포인터 문제
슬라이드가 아스키코드라고 되어있어서 긴가민가하다가 질문남깁니다!*p=null p=a ; 여기부분이 포인터 변수 p가 null값이고p는 a값이라 서로 다른 변수라 봐야하나요? 저는 printf("%s\n" p) 이 부분을 보고나서p는 포인터변수로 선언하고 a를 넣어줬는데 그럼 배열 a의 맨 처음 인덱스가 들어와서 A만 출력되는 거 아닌가? 어 근데 %s면 문자열인데..하다가 슬라이드명이 ascii코드라서 거기에 사로잡혀서 A는 65니까 문자열로 못쓸거라 판단하고 여기서부턴 포인터 p랑 p랑 아예 달라서 그냥 Art를 문자열로 전부 출력하라는 말이구나 하고 다시 풀긴했거든요. 근데 답은 맞았어도 과정이 이게 맞나 싶어서요.기출에 포인터랑 아스키코드랑 막 섞어서 출제됐던 적이 있었던 기억이 나서 문제풀 때 이런 부분들이 자꾸 헷갈리네요 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상속
class Parent{}class Child extends Parent{}void main① Parent.a = Child()② Child.b = Child()위 식에서 ① ② 두 문장의 차이가 궁금합니다.둘다 = Child()기 때문에 본인들이 태어날때 부모 기본자도 실행할 것이고, 만약 a나 b에 없는 메소드를 실행시킨다면 부모 클래스를 찾아가는 것도 같은데둘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2분 22초쯤에 질문이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2분 22초 에 선생님이 하신 말씀이 예를들어 X002.method 가 호출되면 힙영역의 인스턴스에서 메서드영역에있는 메서드를 호출하고 스택영역에 메서드 호출정보들이 저장된다 라고 이해해도 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hashCode를 오버라이딩 했을때 반환하는게 틀려요.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Objects.hashCode(id); }이걸로 ide가 만들어주네요. 업데이트 된 건가요?해쉬코드가 다르게 나와서 다른 인덱스에 채워지네요.강의처럼 아래와 같이 하면,@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Objects.hash(id); }강의와 똑같이 같은 인덱스에 채워집니다.Objects의 hash 메서드와 hashCode 메서드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왜 인텔리제이는 hashCode 메서드를 생성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ArrayEx2 질문 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ublic class ArryaEx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umber = new int[5]; System.out.println("5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 for (int i = 0; i < number.length; i++) { int input = scanner.nextInt(); number[i] = input; } System.out.println("출력"); for (int i = 0; i < number.length; i++) { System.out.print(number[i]); if(i < number.length -1) { System.out.print(","); } }이렇게 하면 정상작동 하는데ublic class ArryaEx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input = scanner.nextInt(); int[] number = new int[5]; System.out.println("5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 for (int i = 0; i < number.length; i++) { number[i] = input; } System.out.println("출력"); for (int i = 0; i < number.length; i++) { System.out.print(number[i]); if(i < number.length -1) { System.out.print(","); } }int input = scanner.nextInt() 이걸 for 문 밖에 입력하면 정상 작동을 하지 않습니다.해당 위치는 스코프를 모두 적용할수 있는 위치인데 왜 그런거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5:57에 printEven은 true지만 !printEven은 true가 아닌것(!)이라서 false라고 설명해주신건가요? 그래야 &&조건이 둘다 참이여야해서 볼 필요도 없다고 하신거겠죠..?
질문은 동영상 강의에서 오른쪽에 커뮤니티 버튼을 통해 해주세요. 그렇게 해주셔야어떤 강좌에서 질문하셨는지 알 수 있습니다.영상에서 몇 분 몇 초 대를 알려주셔야 한 번에 확인이 가능합니다.이미 다른 누군가가 질문을 한 이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한 번 확인 부탁드립니다.질문을 올릴 때 이 글은 모두 지우고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 관계 저장 시 궁금한 점.
영한님 안녕하세요. 강의를 잘 듣고 있습니다!학습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엔티티를 저장할 때에는 연관된 엔티티가 모두 영속 상태여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음 코드에서 현재 user와 연관된 teamB는 영속 상태가 아닙니다. 따라서 실행 시 에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에러 없이 잘 동작하였고, DB를 확인해 보니 user의 team이 현재 연관된 teamB가 아니라 teamA로 되어 있었습니다.@Entity @Table(name="users")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us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ManyToOne @JoinColumn(name="team_id") private Team team;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username; } public void setUsername(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public Team getTeam() { return team; }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 }@Entity 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tea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eam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TeamName() { return teamName; } public void setTeamName(String teamName) { this.teamName = teamNam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Team teamA = new Team(); teamA.setTeamName("teamA"); System.out.println(" =====[1]===== "); System.out.println("teamA = " + teamA); System.out.println("teamA.getId() = " + teamA.getId()); System.out.println("teamA.getTeamName() = " + teamA.getTeamName()); System.out.println(" 영속? = " + em.contains(teamA)); System.out.println(" ============= "); System.out.println(); em.persist(teamA); System.out.println(" =====[2]===== "); System.out.println("teamA = " + teamA); System.out.println("teamA.getId() = " + teamA.getId()); System.out.println("teamA.getTeamName() = " + teamA.getTeamName()); System.out.println(" 영속? = " + em.contains(teamA)); System.out.println(" ============= "); System.out.println(); Team findMyTeam = em.find(Team.class, teamA.getId()); System.out.println(" =====[3]===== "); System.out.println("findMyTeam = " + findMyTeam); System.out.println("findMyTeam.getId() = " + findMyTeam.getId()); System.out.println("findMyTeam.getTeamName() = " + findMyTeam.getTeamName()); System.out.println(" 영속? = " + em.contains(findMyTeam)); System.out.println(" ============= "); System.out.println(); Team teamB = new Team(); teamB.setId(findMyTeam.getId()); teamB.setTeamName("teamB"); System.out.println(" =====[4]===== "); System.out.println("teamB = " + teamB); System.out.println("teamB.getId() = " + teamB.getId()); System.out.println("teamB.getTeamName() = " + teamB.getTeamName()); System.out.println(" 영속? = " + em.contains(teamB)); System.out.println(" ============= "); System.out.println(); User user = new User(); user.setUsername("username"); user.setTeam(teamB); System.out.println(" =====[5]===== "); System.out.println("user.getTeam() = " + user.getTeam()); System.out.println("teamB = " + teamB); System.out.println("teamB.getId() = " + teamB.getId()); System.out.println("teamB.getTeamName() = " + teamB.getTeamName()); System.out.println(" 영속? = " + em.contains(teamB)); System.out.println(" ============= "); System.out.println(); em.persist(user); System.out.println(" =====[6]===== "); System.out.println("user.getTeam() = " + user.getTeam()); System.out.println("teamB = " + teamB); System.out.println("teamB.getId() = " + teamB.getId()); System.out.println("teamB.getTeamName() = " + teamB.getTeamName()); System.out.println(" 영속? = " + em.contains(teamB)); System.out.println(" ============= "); System.out.println(); tx.commit(); System.out.println(" =====[7]===== "); System.out.println("user.getTeam() = " + user.getTeam()); System.out.println("teamB = " + teamB); System.out.println("teamB.getId() = " + teamB.getId()); System.out.println("teamB.getTeamName() = " + teamB.getTeamName()); System.out.println(" 영속? = " + em.contains(teamB)); System.out.println(" ============= "); System.out.println();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tx.rollback(); }finally{ em.close(); } emf.close(); } =====[1]===== teamA = hellojpa.Team@fa5f81c teamA.getId() = null teamA.getTeamName() = teamA 영속? = false ============= =====[2]===== teamA = hellojpa.Team@fa5f81c teamA.getId() = 1 teamA.getTeamName() = teamA 영속? = true ============= =====[3]===== findMyTeam = hellojpa.Team@fa5f81c findMyTeam.getId() = 1 findMyTeam.getTeamName() = teamA 영속? = true ============= =====[4]===== teamB = hellojpa.Team@dd4aec3 teamB.getId() = 1 teamB.getTeamName() = teamB 영속? = false ============= =====[5]===== user.getTeam() = hellojpa.Team@dd4aec3 teamB = hellojpa.Team@dd4aec3 teamB.getId() = 1 teamB.getTeamName() = teamB 영속? = false ============= =====[6]===== user.getTeam() = hellojpa.Team@dd4aec3 teamB = hellojpa.Team@dd4aec3 teamB.getId() = 1 teamB.getTeamName() = teamB 영속? = false ============= =====[7]===== user.getTeam() = hellojpa.Team@dd4aec3 teamB = hellojpa.Team@dd4aec3 teamB.getId() = 1 teamB.getTeamName() = teamB 영속? = false ============= 궁금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1. teamB가 영속 상태가 아닌데 어떻게 user가 저장될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2. user는 현재 teamB와 연관되어 있는데, 왜 DB에는 teamA가 나오는지 궁금합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타입 안전 열거형 패턴 질문 입니다.
package enumeraion.ref1; public class ClassGrade { 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BASIC = new ClassGrade(10); 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GOLD = new ClassGrade(20); 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DIAMOND = new ClassGrade(30); private final int discountPercent; private ClassGrade(int discountPercent) { this.discountPercent = discountPercent; } public int getDiscountPercent() { return this.discountPercent; } }문득 궁금한게 저런식으로 자기 자신을 호출 하면 이제 다시 각각의 필드에 인스턴스가 생성될텐데 그럼 그 인스턴스가 무한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는 않는건지 갑자기 그부분이 헷갈려 질문 드립니다.정적필드가 아닐경우에는 더욱이 인스턴스가 생성됨가 동시에 각각의 멤버변수의 인스턴스가 또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형태는 아닌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2년 3회 문제 질문
반복문 돌리다가 궁금해진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다중 for문에서 저렇게 여러개의 변수가 중간에 껴있는 경우에 내부 for문을 한 사이클 돌고나면 외부 for문에서 ++해서 다음 사이클 돌릴 경우에 변수들이 다시 초기화가 되나요? 그러니까 n=6일 때 한 사이클을 돌리고 나니 s=6 , el=1 값이 이렇게 나왔는데, n=7, 8, 9.... 이렇게 그 다음 사이클로 갈 때마다 다시 s=0, el=0 부터 시작하는건지 아니면 값이 남아있는건지 궁금합니다.+해설을 보고 나서 완전수라는 걸 알았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