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consumer group 과 topic의 관계가 궁급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Topic T1, T2 가 존재하고, Consumer group G1이 존재한다 할 때..A Consumer가 G1 group에 속하면서 T1 topic을 subscribe하고, B Consumer가 G1 group에 속하면서 T2 topic을 subscribe하도록 코드를 짰는데도 잘 동작하더라구요. Consumer group은 topic과 1 : N 관계가 될 수 있는 것인가요?
-
미해결선형대수학개론
5.5강 ex 2 xhat 관련질문
xhat이 x4를 free variable로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기하학적으로 어떻게 해석해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pring initializr 에서 자바 버전11이 없는데 어찌해야 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pring initializr 에는 자바 버전이 21과 17만 있던데요 다른 질문들 댓글 살펴봤더니 스프링부트 3버전으로 하면 17로 해도 된다던 댓글을 봤습니다. 정말 괜찮은건지 아니면 마이그레이션을 해서 부트 2버전대로 해야 하나요?감사합니다.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실행이 잘되었지만 그래서 오히려 납득이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강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실행이 잘 됩니다. 왜 잘 되지?하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Attendance.jsx 코드를 보면 함수 정의 후 Attendance함수만을 export 하고 있습니다. students 배열은 export되지 않고 있어 Attendance함수를 index.js에 불러가서 거기서 사용하면 거기는 students 배열은 불러가지 않았기 때문에 정의되지 않았다며 오류가 떠야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잘 실행이 되었습니다. 함수만을 export했는데 어떻게 students배열까지 index.js에서 잘 사용할 수 있는걸까요?그리고 간단한 추가질문이 하나 더 있습니다. 저번 강의에서 리스트의 키값을 지정해주지 않으면 리액트에서는 자동으로 인덱스를 키값으로 설정한다라는 말씀을 잠깐하셨습니다. 그런데 왜 키값을 지정해주지 않았을 때 오류가 뜨는걸까요?
-
미해결
log 입력 시, 자동완성으로 console.log이 출력 안됩니다.
VScode로 javascript를 공부하고 있습니다.강의를 보면서 진행하고 있는데 강사분은 log를 치면 자동으로 console.log 가 자동완성 되던데.저는 안되더라고요.. 그래서 구글링을 통해서 알아봤는데도 원하는 결과를 못 알아냈습니다.for 문을 쳐도 자동완성이 안됩니다,, 혹시 고수분 중에 이유 아시는 분이 있으실까요 ㅠㅠ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npm run dev 실행 시 emojis-list 관련 오류,,
위 파일이 client/index.js에 대한 코드입니다.루트 디렉토리에서 npm run dev를 실행시키면 밑 사진과 같은 오류가 뜹니다..node_modules, package.json 삭제 후 재설치도 해보고 client 디렉토리에서 npm install emojis-list도 해보고, npm uninstall emojis-list도 해보았지만 똑같은 오류가 떠서 페이지가 안열립니다..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을까요 ?
-
미해결파이썬(Python)으로 데이터 기반 주식 퀀트 투자하기 Part1
2.1 라이브러리가 설치부터 에러가 발생하네요..
2.1 라이브러리 설치부터 설치가 안되니 황당하네요..
-
해결됨2시간으로 끝내는 프론트엔드 테스트 기본기
테스트시 api 통신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열심히 수강중인 수강생입니다.jest와 cypress 강의를 보다가 보면 url 통신을 하는 부분은 실제 api 통신이 아닌, 미리 준비해둔 가상의 데이터를 사용하는데, 왜 테스트 시에는 mocking을 해주는 건가요? 구글링 해보면 테스트 코드의 의존성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라고 많이 나오는데 개발자가 준비해둔 가상의 데이터를 response 해주면 결국 테스트 자체는 뭘 해도 다 ok가 될텐데 이러면 테스트라는거 자체가 의미가 없는게 아닌가요? 구글링해서 테스트시에 mock 처리를 해주는 이유를 찾아봤는데, 이게 결국은 내가 만들어둔 더미데이터를 넣어주면 무조건 그대로 움직이게 되는데 그러면 이 테스트 자체를 하는게 어떤 의미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뭔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건지... 질문 한번 올려봅니다.
-
미해결MySQL 성능 최적화
해당 강의 제공 코드를 보니 DB 커넥션 정보를 넘길때 포트가 빠졌네요
수업 자료에서도 포트가 빠져있어서 왜 계속 인증 오류가 뜨나 했네요 시간 되시면 수정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Refresh token 과 Access token 의 차이점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코드팩토리 통합 링크https://links.codefactory.aiFlutter 강의를 구매하시면 코드팩토리 디스코드 서버 플러터 프리미엄 채널에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서버에 들어오시고 저에게 메세지로 강의를 구매하신 이메일을 보내주시면 프리미엄 채널에 등록해드려요! 프리미엄 채널에 들어오시면 모든 질의응답 최우선으로 답변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Refresh token 과 Access token 의 차이 점은 아래 두개만 있는걸로 이해하면 될까요?만료 시간사용처 (access token 은 데이터 접근시, refresh token 은 access token 발급 시에 사용) 그 외에 인증 방식, payload data, 관리 방식은 모두 동일하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순수 라이브러리 만들기에서 memory.jar의 의존성 문제
순수 라이브러리 만들기에서 memory.jar를 외부 라이브러리로 만들때, 여기서 참조된 라이브러리가 jar파일에 포함되지 않을 것 같은데요.만약 memory.jar안에서 사용된 라이브러리가 참조한 프로젝트에 없을때 참조 오류가 발생할텐데…memory.jar안에 참조로 사용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저의 경우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프로젝트로 구성하고 autoconfiguration을 적용하려고 하는데 .. 참조하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하지 않는 참조를 사용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합니다. 좀더 자세한 상황을 첨부 합니다. memory.jar 에서 이 프로젝트에서만 사용하는 inflearn.jar를 참고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memory.jar를 패키징하면 spring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jar에 jar를 포함하지 못하고 fat jar로 빌드하지 않으면 inflearn.jar가 포함되지 않을 텐데요.그렇게 되면 memory.jar를 참조하는 프로젝트에서 inflearn.jar가 없어 오류가 발생할 것 같습니다. 또한, 그 반대로 위 문제 때문에 fat jar로 패키징하는 경우 참조하는 쪽의 라이브러리와 같은 라이브러리로 사용으로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는 없는지요..? 죄송하게도 제가 두 경우를 충분하게 테스트 후 질문을 드리려고 했으나 샘플을 구성하고 여러가지 시도 후 질문 하려면 너무 많이 시간이 걸릴 것 같아 (제가 만들 샘플의 해답이 정답인지도 확인이 어려움) 먼저 질문 올리고 제 생각처럼 실제 오류가 발생하는지는 테스트 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도 같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
Seeking Insights on 오픽 (OPIC) Proficiency Levels 🇰🇷
I hope this message finds you well. I'm currently navigating the realm of 오픽 등급 proficiency, and I'm eager to connect with others who have experience or insights to share.OPIC Levels Clarification: I'm curious about the various proficiency levels in OPIC. Could someone shed light on what each level entails, and what kind of language skills are expected at different stages?Preparation Strategies: For those who have successfully advanced through OPIC levels, do you have any tips or strategies for effective preparation? What resources or methods proved most helpful in honing your language skills?Common Challenges: In your experience, what are some common challenges people face when aiming to improve their OPIC scores? Are there particular aspects of the test that test-takers often find challenging?Real-Life Applications: How has achieving a specific OPIC level impacted your daily life, career, or academic pursuits? I'm interested in hearing about real-life applications and the practical benefits of OPIC proficiency.Any Recent Changes or Updates: As language tests evolve, have there been any recent changes or updates to the OPIC system that test-takers should be aware of?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메모리(Code영역)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감자선생님!금일 작성한 질문 답변 감사합니다~답변 확인중에 문득 떠오른게 있어, 새 게시글로 작성하였습니다. [이전질문]메모리 Code 영역에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가 기계어로 올라가고프로그램 실행 시, Code영역(메모리)에 실행에 필요한 부분만 올라가게됩니다.여기까지 확인했습니다.그리고 이전 질문 내용은100번쨰 줄 : int a = 5;101번쨰 줄: printf(a);위 상황에서, 만약에 101번쨰줄 명령문 통째로 Rom에 저장되어있었으면운영체제가 어떻게 알고 저 데이터를 불러(스왑)하는지? 질문드렸었는데요.비유를 하면 요리 레시피가 1번 ~ 10번까지 적혀있는데 2번까지 순차적으로 요리 하다가3번이 없어진 상황입니다.(다음 실행할 명령 101번쨰줄에 해당하는 기게어가 Ram에 없으니 실행이 더 없는 상황)[확인질문]답변 주신 내용중에 "해당 코드는 메인메모리로 불러와서 실행해야겠죠? ㅎㅎ"여기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PCB에 프로그램 카운터가 있는게 떠올랐습니다!!!!!!!그러면 이 프로그램 카운터에서 다음 실행할 명령 주소를 아니가 101번쨰에 해당하는 데이터(명령문)을Rom에서 Ram으로 불러오는게 가능하다 라고 이해했는데 맞는지 확인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WPF (C#, 자막제공)
3강 .NET 이미지 삽입 방법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3강 .NET 이미지 삽입 방법도 알려주세요..
-
해결됨인프라공방 - 그럴듯한 서비스 만들기
안녕하세요, 강의자료...
우선 이런 실습을 통해 인프라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없었는데, 이번에 인프라를 구성하게 되어 흥미 있게 신청하게 되어 재밌는 강의가 될 것 같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강의자료에 대한 pdf 파일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을지요..? 혹은 요청드릴 수 있을지요? 첫 질문이 강의자료 요청이라 멋쩍습니다만, 아직은 종이로 보는게 익숙하여 인쇄하여 종이로 보고싶은 마음에 요청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기본생성자 강의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만약 자바에서 '기본 생성자'를 만들어주지 않는다면 생성자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모든 클래스에 개발자가 직접 기본 생성자를 정의해야 한다. 생성자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런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위 내용에 관한 질문입니다.생성자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도 생성자를 정의해야 된다는게 무슨말인지 이해가 안가서요 생성자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생성자가 필요없다는 뜻 아닌가요?근데 왜 개발자가 직접 기본 생성자를 정의해줘야 하는거죠?문맥이 이해가 가질 않아서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관계의 주인 2 - 주의점, 정리 질문
1. 11분 57초에 team. getMember().add(member); 구문이 있는데요. add()가 insert역할인가요?팀의 멤버를 조회해서 멤버를 추가하라는게 혹시 무슨 뜻인가요?
-
미해결[개정판 2023-11-27] Spring Boot 3.x 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
create posts 부분에서의 에러 발생
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spring-boot-restful-web-services&unitId=39127&tab=community&category=questionDetail&q=222413해당 강의에서의 posts create 부분에 500 interna error가 발생해서 문의드립니다 package com.example.restfulwebservice.bean; import com.fasterxml.jackson.annotation.JsonIgnore;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Data;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import javax.persistence.*; @Entity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ost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Integer id; private String description; // 게시물:사용자는 N:1 관계 // JsonIgnore 통해서 정보를 가져오지 않음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 FetchType.LAZY는 지연 로딩, 사용자 데이터를 필요한 시점에 가져옴. 즉시 로딩 안함 @JsonIgnore // 다른 엄한 JsonIgnore를 불러오는 바람에 N+1 문제가 너무 크게 발생함.... private User user; } Post.java package com.example.restfulwebservice.Controller; import com.example.restfulwebservice.bean.Post; import com.example.restfulwebservice.bean.User; import com.example.restfulwebservice.exception.UserNotFoundException; import com.example.restfulwebservice.exception.UsersAndCountResponse; import com.example.restfulwebservice.repository.PostRepository; import com.example.restfulwebservice.repository.User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hateoas.Entity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hateoas.server.mvc.WebMvcLinkBuilder;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support.ServletUriComponentsBuilder; import javax.validation.Valid; import java.net.URI;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Optional; 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hateoas.server.mvc.WebMvcLinkBuilder.linkTo; 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hateoas.server.mvc.WebMvcLinkBuilder.methodOn;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jpa") public class UserJPAController {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rivate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public UserJPAController(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 /jpa/users @GetMapping("/users") public List<User> retrieveAllUsers(){ return userRepository.findAll(); } // ResponseEntity를 사옹한 정답 코드 @GetMapping("/usersAndCount") public ResponseEntity retrieveAllUsersAndCount(){ List<User> users = userRepository.findAll(); int count = users.size(); UsersAndCountResponse result = UsersAndCountResponse.builder() .count(users.isEmpty() ? 0 : users.size()) .users(users) .build(); EntityModel entityModel = EntityModel.of(result); WebMvcLinkBuilder linkTo = linkTo(methodOn(this.getClass()).retrieveAllUsers()); entityModel.add(linkTo.withSelfRel()); return ResponseEntity.ok(entityModel); } // jpa/users/{id} @GetMapping("/users/{id}") public ResponseEntity retrieveUsersById(@PathVariable int id){ Optional<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id); if (!user.isPresent()){ throw new UserNotFoundException("id - " + id); } EntityModel entityModel = EntityModel.of(user.get()); WebMvcLinkBuilder lintTo = linkTo(methodOn(this.getClass()).retrieveAllUsers()); entityModel.add(lintTo.withRel("all-users")); return ResponseEntity.ok(entityModel); } @DeleteMapping("/users/{id}") public void deleteUser(@PathVariable int id){ userRepository.deleteById(id); } // /jpa/users @PostMapping("/users") public ResponseEntity<User> createUser(@Valid @RequestBody User user){ if(user.getJoinDate() == null) user.setJoinDate(new Date()); User savedUser = userRepository.save(user); // USER CREATED // /users/4 // 생성된 User의 URI를 저장 후 반환하기 URI location = ServletUriComponentsBuilder .fromCurrentRequest() .path("/{id}") .buildAndExpand(savedUser.getId()) .toUri(); return ResponseEntity.created(location).build(); } @GetMapping("/users/{id}/posts") public List<Post> retrieveAllPostByUser(@PathVariable int id){ Optional<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id); if(!user.isPresent()){ throw new UserNotFoundException("id-" + id + " user not found"); } return user.get().getPosts(); } @PostMapping("/users/{id}/posts") public ResponseEntity<Post> createPost(@PathVariable int id, @RequestBody Post post) { Optional<User> userOptional = userRepository.findById(id); if (!userOptional.isPresent()) { throw new UserNotFoundException("id-" + id); } User user = userOptional.get(); post.setUser(user); postRepository.save(post); URI location = ServletUriComponentsBuilder .fromCurrentRequest() .path("/{id}") .buildAndExpand(post.getId()) .toUri(); return ResponseEntity.created(location).build(); } } UserJPAController.java 파일이고, user의 post 통한 생성과 get 통한 id로 해당 사용자 post 조회는 이상 없습니다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splice로 써도 될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script> function solution(arr){ let answer = arr; let [max, idx] = [-1, -1]; for (let i = 0; i < arr.length; i++){ max = Math.max(...arr) idx = arr.indexOf(max) arr.splice(idx, 1) // 배열 내 값 제거 arr.splice(idx, 0, i+1) // 제거한 자리에 max 순서 넣기 } return answer; } let arr=[87, 89, 92, 100, 76]; // 4 3 2 1 5 console.log(solution(arr)); </script> 섹션2의 5번 등수구하기문제입니다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POST 요청 시 {"statusCode":500,"message":"Internal server error"}가 발생합니다ㅠ
안녕하세요! '서버 쿠키 공유하기 & 게시글 업로드 완성' 강의에서 백엔드 전용 토큰을 생성하고 난 다음에 발생하는 에러가 있습니다. 현재 connect.sid는 잘 받아와 졌고 게시글과 사진을 올린 다음에 게시하기를 누르게 되면 강사님과 다르게{"statusCode":500,"message":"Internal server error"} 가 발생합니다 서버쪽 에러로그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가 백엔드쪽은 아예 몰라서... 혹시 추가로 첨부해야 할 코드가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