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메서드 참조값 반환
안녕하세요.<기본형과 참조형> 강의에서 메서드 안에 객체를 생성하고 이후 메인 메서드에서 이 참조값을 받아 출력하는 부분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근데 기본형에서 메모리 낭비를 하지 않기 위해 매개변수를 다 회수하는 것처럼 이것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생각하니 좀 헷갈려서요. 메서드가 종료되면 참조형 변수만 사라지고 여전히 인스턴스는 존재하나요?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반환되는 참조값을 통해 메인 메서드에서 student1이 접근할 수 있는 거겠죠? static Student CreateStudent(String name, int age, int grade) { Student student = new Student(); student.name = name; student.age = age; student.grade = grade; return student;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
해결됨핸즈온 리액트 네이티브
TODO list 섹션 질문
expo 실행해서 이메일과 패스워드 부분에 글자를 입력할 때 글자 입력하면 바로 키보드가 닫혀버립니다. 영상에 첨부되어있는 깃허브 링크 들어가서 비교해 보는데도 어디서 틀린건지 찾을 수가 없어서 질문올립니다
-
해결됨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수업자료 요청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교육 잘 받고 있습니다. git 수업자료를 받았으면 해서 이렇게 메일 드립니다. 메일 수신처 hangj1@naver.com 입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모두를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Part 2 - 랭체인(LangChain)으로 나만의 ChatGPT 만들기
llm모델과 vectordb를 생성하는 retrevial모델이 다른경우, 어떻게 작동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수업을 잘 듣고 사용하고 있는 기업 연구원입니다.llm모델과 retrevial모델이 다른 경우 벡터값이 다를텐데,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Retrevial모델로는 mpnet을 사용합니다.model_name = "sentence-transformers/all-mpnet-base-v2" model_kwargs = {"device": "cuda:0"} embeddings = HuggingFaceEmbeddings(model_name=model_name, model_kwargs=model_kwargs )이러한 임베딩 모델을 선언한 뒤에, chroma로 vectordb를 만들었다고 가정하고,llm틀은 llama2를 사용하여 쿼리 파이프라인을 만들었습니다.retriever = vectordb.as_retriever() query_pipeline = transformers.pipeline( "text-generation", model=model, # 모델id: 'meta-llama/Llama-2-7b-chat-hf'로 함 (생략됨) tokenizer=tokenizer, torch_dtype=torch.float16, device_map= device, ) llm = HuggingFacePipeline(pipeline=query_pipeline) qa = RetrievalQA.from_chain_type( llm=llm, chain_type="stuff", retriever=retriever, verbose=True )이런식으로 해서 사용을 해도 사용이 잘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만 이해가 안됩니다. 제가 '쿼리'를 보내면, llama2 모델이 벡터화를 할 것이고, 벡터db에서 찾을때는 "sentence-transformers/all-mpnet-base-v2"이 모델로 벡터화 된 데이터를 찾을 것인데 이 두 벡터 값이 다를 것 같은데 왜 작동이 되는 건가요? 제 생각으로는 두개의 다른 모델이라면 같은 문장이어도 다른 벡터값을 가질텐데, 어떻게 이게 두개의 언어모델이 다른데 작동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교육 받을 수 있어서 기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데이터베이스 설치 강의에 연결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H2 데이터베이스 설치 강의에서 jpashop.mv.db 파일 생성 확인 후 JDBC URL: 변경을 하면 Connection is broken: "java.net.ConnectException: Connection refused: no further information: localhost" [90067-224] 이라는 에러가 뜨면서 연결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될까요?
-
해결됨
파이썬으로 카카오톡채널 메시지 보내기
안녕하세요? 파이썬 공부 중에 있습니다.파이썬으로 카카오톡의 채널(플러스친구)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주제로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합니다.네이버에 찾아봐도 카카오톡으로 메시지 보내는 것은 있지만, 채널로 메시지 보내는 내용을 찾을 수가 없네요..카카오채널로 메시지 보내는 파이썬 프로그램 가이드 가능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pringConfig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SpringConfig 내용을 강의와 똑같이 바꿨는데 memberRepository에 빨간 밑줄이 생기면서 오류가 발생해요...아래는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 코드인데, 해당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나오네요.. 몇 시간 째 찾아봤는데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ㅠㅠㅠㅠ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api 병렬요청 useQueries 질문
기존에는 UseQueries 를 이런식으로 사용하였는데,const results = useQueries({ queries: [ { queryKey: ['users', id], queryFn: fetchUsers }, { queryKey: ['teams', id], queryFn: fetchTeams }, { queryKey: ['projects', id], queryFn: fetchProjects }, ], });현재 공식문서 v5에서는 이런식으로 사용하는걸 봤는데 이러면 queryKey 값이 ['post', id], 로 고정되는거같은데 Key값을 다 다르게 넣을수가 있는건가요? 그리고 보면 하나의 fetchPost 함수로 요청이 들어가는데 api를 병렬요청으로 3개를 가져와야하는데 저런식으로 맵으로 돌아가면 어떻게 각각의 key값을 설정하고 쿼리요청 함수 fetchUsers,fetchTeams,fetchProjects 를 모두 전달할수있는지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립니다. const ids = [1,2,3] const results = useQueries({ queries: ids.map(id => ( { queryKey: ['post', id], queryFn: () => fetchPost(id), staleTime: Infinity }, )), }) 현재도 아래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다면 useQueries의 타입들은 제네릭으로 설정되는걸까요?키의 개수가 서로다르다면 또 [_1: string] 이런부분이 달라질텐데 기준을 어떻게 잡고 가야하는지 아직 이해를 못한것같습니다. const results = useQueries({ queries: [ { queryKey: ['users', id], queryFn: fetchUsers }, { queryKey: ['teams', id], queryFn: fetchTeams }, { queryKey: ['projects', id], queryFn: fetchProjects }, ], });const { data, error } = useQuery<IPost[], Object,IPost[], [_1: string, 2: string, 3: string] > const results = useQueries<T[], Object, T[],[?] ({ queries: [ { queryKey: ['users', id], queryFn: fetchUsers }, { queryKey: ['teams', id], queryFn: fetchTeams }, { queryKey: ['projects', id, searchParams], queryFn: fetchProjects }, ], });
-
미해결
페러럴라우팅-레이아웃 계층
페러럴라우팅 강의에서app 폴더에 있던 page.tsx 파일을 (beforeLogin)으로 옮겼는데localhost:3000 루트 레이아웃에 접속 했을 때(afterLogin)도 있는데도 (beforeLogin) 안에 있는 page.tsx가 보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미해결HTML+CSS+JS 포트폴리오 실전 퍼블리싱(시즌1)
퍼블리싱 해서 포트폴리오 만들려고하는데
포트폴리오 만들려고하는데 어떤 강의를 들으면 될까요?
-
미해결제발 도커 씁시다!
이미지 생성 오류
위 사진처럼 이미지가 생성되지않는데 무슨이유때문일까요
-
미해결정혜경 판타스틱 자료구조 in C
txt파일이 12강 수업자료에 없습니다!
실습에 사용할 텍스트 파일이 12강에 올라온 자료에 없는 것 같습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Serialization#3강에서 11분 6초 Array.Copy 질문
//string Array.Copy(Encoding.Unicode.GetBytes(this.name),0,segment.Array,count,nameLen); 강사님께서 destination Index가 들어갈 자리에 count를 인자로 주셨는데, segment의 경우 자료형이 ArraySegment이기 때문에 단순 count가 아닌 segment.Offset + count를 destination Index로 주어야 될것같은 의문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post login model.findone() no longer accepts a callback
callback문법이 적용이 안되서 바꿔 성공했는데 좋은 코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참고 하실분은 참고해주세요app.post("/api/users/login", async (req, res) => { try { // 같은 이메일의 유저가 있는지 확인 const user = await User.findOne({ email: req.body.email }); if (!user) { return res.json({ loginSuccess: false, message: "제공된 이메일에 해당하는 유저가 없습니다.", }); } // 비밀번호 확인 const isMatch = await user.comparePassword(req.body.password); if (!isMatch) { return res.json({ loginSuccess: false, message: "비밀번호가 틀렸습니다.", }); } // 토큰 쿠키에 저장 const userdata = await user.generateToken(); // 토큰을 저장한다. 어디에? 쿠키, 로컬스토리지 res .cookie("x_auth", userdata.token) .status(200) .json({ loginSuccess: true, userId: userdata._id }); } catch (err) { return res.status(400).send(err); } }); userSchema.methods.comparePassword = function (plainPassword) { // plainpassword와 db에 암호화된 비밀번호가 같은지 확인 const result = bcrypt.compare(plainPassword, this.password); return result; }; userSchema.methods.generateToken = async function (cb) { var user = this; // jsonwebtoken을 이용해서 token을 생성하기 var token = jwt.sign(user._id.toHexString(), "secretToken"); // user._id(db의 _id) + secreToken = token // token으로 user를 판별할 수 있다. // user.token = token; user.token = token; try { const savedUser = await user.save(); return user; } catch (err) { return err; }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AVA 버전을 21로 설정한 이후에 build 시에 오류가 발생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 영상을 시청하고 따라해보던 중에 윈도우 pc의 터미널로 build를 진행하였으나, "No matching variant of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2.1 was found." 이 발생하였습니다. 혹시 도움을 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autoconfiguration 관련 질문
[질문 내용]강의 예제에서 스프링부트에서 DBConfig 클래스 생성해서 @Configuration을 달고 안에서 관련 빈들을 스프링컨테이너에 등록을 하니 기존 자동구성에 의해 등록되는 빈은 이미 개발자가 등록한 빈에 의해 따로 추가적으로 등록이 안되는 걸로 이해했습니다. 그러면 이러한 빈을 등록하는 순서가 추가적인 설정이 없다면 항상 개발자가 등록한 빈부터 등록하고 이후에 스프링 부트의 자동 구성에 의한 빈등록이 일어나는건가요?? starter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gradle에 사용해서 추가해주면 자동으로 수많은 빈들이 생성해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는 걸로 이해했습니다. 해당 라이브러리 내에 있는 수많은 빈들 중에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것들도 있을텐데, 그러한 것도 모두 등록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사용을 안하는 빈들은 따로 등록이 되지 않는 기능들도 스프링 부트에 있나요??감사합니다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강의 자료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윈도우에서 강의 자료를 열람하기가 힘들어서 그런데 혹시 .DS_Store 파일 말고, 그냥 pdf 자료를 공유해 주시는건 힘들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이런 경우는 어떻게 테스트 해야할까요?
지금 토스페이먼트 결제를 연동하고있는데 토스에서 결제 요청-인증을 하면 토스에서 주소에 파라미터로 paymentKey을 주는데 이 paymentKey을 가지고 백엔드에서 토스의 api에 결제 승인 요청을 해야합니다.그런데 서비스 단에서는 컨트롤러에서 파라미터을 통해 paymentKey을 알 수 있지 서비스단의 테스트 코드 작성 시는 paymentKey을 알 수 가 없는데 이런 경우는 테스트 코드를 어떻게 작성해야할까요? 추가적으로 외부 api 에서 paymentkey을 파라미터로 주는 컨트롤러는 어떻게 테스트해야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레이어드 아키텍쳐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보통 spring mvc 구조에서View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로 구성되어있는데, 여기서 Dto 변환하는 곳에서 고민이 있었습니다. Dto를 Service까지 끌고 가서, Service에서 엔티티로 변환 과정을 거칠것인지. 아니면 Controller단에서 dto - Entity 변환 과정을 거칠것인지 고민이 있었습니다Service 단에서 변환 과정을 거치게 된다면, 즉 파라미터로 해당 컨트롤러 한곳만 종속적이게 되는 고민이 있게 되었습니다. Service는 여러곳에서도 쓸 수 있다는건데, Dto를 Service 까지 끌고 오게 되면, 매번 서비스 메소드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그래서 Controller와 Service 사이에Controller -> Business(Service) -> Service 라는 비즈니스를 추가하여 설계를 하였습니다 Business : dto - entity 변환 로직 처리. 컨트롤러와 상호작용하여 , dto를 받아 entity로 변환 다시 dto를 반환하도록 만들었고, 여기서는 여러 Service의 메소드를 가져와서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도록 하였습니다.Service : Entity를 받고 Entity를 반환하면, 순전히 해당 도메인의 비즈니스 로직으로만 구성하도록 하였습니다.이런 식으로 했더니, 좀 더 유연하게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할 수 있더라구요. 제가 설계한 레이어 아키텍쳐 (dto 변환)이 맞는 설계인지, 이렇게도 실무에서 구성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Socket에 대한 질문입니다.
서버측에서 연결 대기하는 소켓과 서버측에서 프로세스가 생성하고 오픈하는 소켓은 서로 다른건가요? 다르다면 그 차이는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