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max와 findindex 사용해서 풀어도 되나요?
function solution(arr) { let answer = Array.from({ length: arr.length }, () => 0); let rank = 1, max = Number.MAX_SAFE_INTEGER; for (let i = 1; i <= arr.length; i++) { let idx = arr.findIndex((val) => val === Math.max(...arr)); if (arr[idx] === max) { // 동점자이면 answer[idx] = rank; } else { answer[idx] = i; rank = i; } max = arr[idx]; arr[idx] = -1; } return answer; } let arr = [87, 89, 92, 100, 76]; let arr2 = [20, 20, 20, 10, 50, 15]; console.log(solution(arr)); 저 혼자 풀었을 때 이중 for문이 아닌 위와 같이 풀었는데 혹시 이렇게 풀어도 되는걸까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자식으로 서버 컴포넌트를 넣었을 때의 원리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서버 컴포넌트가 프론트 서버에서 미리 렌더링되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맞을까요??클라이언트 컴포넌트랑 서버 컴포넌트의 렌더링 방식을 찾아봤음에도 여전히 헷갈리는데 시간적 여유가 되신다면 쉽게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클라이언트 컴포넌트 사이에 서버 컴포넌트를 넣으면 렌더링 동작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궁금합니다.강좌에서는 PostArticle이라는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의 자식으로 서버컴포넌트를 넣는데, 공식문서에서는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DOM Tree의 끝에 오도록 하는 것을 권장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던 것이었을까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6: 웹 서버
EFCore 포렌키 설정 관련 질문(Entity Framework Code First One-to-Many Relationship)
public class UserData { //public int Id { get; set; } [Key] public string UserId { get; set; } public string? Token { get; set; } [MaxLength(32)] public string? UserName { get; set; } public DateTime? CreateTime { get; set; } public BanData BanData { get; set; } public List<MailData> MailDatas { get; set; } public List<GetMailData> GetMailDatas { get; set; } } public class BanData { public int Id { get; set; } public DateTime Start { get; set; } public DateTime End { get; set; } public int State { get; set; } public string DescKey { get; set; } // Foreign Key ////1:1 방향일 경우 한쪽이 아이디까지 물고 있어야함 public string UserDataUserId { get; set; } [JsonIgnore] public UserData UserData { get; set; } } public class MailData { /// <summary> 우편물 구분 값 </summary> public int Id { get; set; } /// <summary> 발송일 </summary> public DateTime SendDate { get; set; } /// <summary> 우편물 받아야하는 기간 </summary> public DateTime EndDate { get; set; } /// <summary> 우편 내용물 </summary> public string Body { get; set; } /// <summary> 보낸이 ex)GM, DEV 등등 </summary> public string Sender { get; set; } // Foreign Key public string UserDataUserId { get; set; } [JsonIgnore] public UserData UserData { get; set; } } 이렇게 코드가 있을 경우 MailData -> UserData로 연동은 잘 됩니다다만 DB 테이블에 MailData가 생성되는데 제가 원하는 것은 UserData 테이블에 MailDatas 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다만 위 코드처럼 처리를 할 경우 MailData 테이블에 모든 유저들의 메일 정보가 저장되고 UserData에서 긁어오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맞을까여?만약 이렇게하여 모든유저들의 정보를 처리하는게 더 좋은 방식인지 UserData 테이블에 JSON으로 메일을 처리하는것이 좋은 방식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vagrant up에서 unable to fetch the kubeadm-config ConfigMap이라는 에러가 나타납니다.
VirtualBox 6.1.18Vagrant 2.4.0 으로 실행하였습니다.virtual Box는 처음 설치한거라 기존 환경과는 충돌이 없을거라 생각합니다.치 중에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타났습니다w2-k8s-1.25.0: Running provisioner: shell... w2-k8s-1.25.0: Running: C:/Users/zzqq5/AppData/Local/Temp/vagrant-shell20231229-12208-b6gz2f.sh w2-k8s-1.25.0: [preflight] Running pre-flight checks w2-k8s-1.25.0: [preflight] Reading configuration from the cluster... w2-k8s-1.25.0: [preflight] FYI: You can look at this config file with 'kubectl -n kube-system get cm kubeadm-config -o yaml' w2-k8s-1.25.0: error execution phase preflight: unable to fetch the kubeadm-config ConfigMap: failed to get config map: Get "https://192.168.1.10:6443/api/v1/namespaces/kube-system/configmaps/kubeadm-config?timeout=10s": net/http: request canceled (Client.Timeout exceeded while awaiting headers) w2-k8s-1.25.0: To see the stack trace of this error execute with --v=5 or higherThe SSH command responded with a non-zero exit status. Vagrantassumes that this means the command failed. The output for this commandshould be in the log above. Please read the output to determine whatwent wrong. worker1은 잘되었는데 그 뒤부터 안된다는 게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worker2를 설정하다가 멈춘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worker3도 생성되지 않았구요.Master node에서 kubectl get nodes 명령어를 입력하면 w1밖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확인해보니 w2에 k8s_pkg_cfg.sh는 잘 실행되었는데 work_nodes.sh에 정의된 kubeadm join에서 timeout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Master모드에서 작업을 시도하는데 멈춰있네요... 질문을 구체적으로 하려고 이것저것 찾다보니 해결되어 자문자답하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Master 노드를 재부팅하여 해결하였습니다.Master노드에서 netstat -tuplen | grep 6443으로 kube-apiserver 동작하는 것까지 확인한 뒤에 2번노드에서 명령어를 통해 kubeadm join 성공하였습니다.이후 Master노드와 w1, w2를 건너뛰도록 Vagrantfile을 수정하여 vagrant up을 수행하여 정상적으로 w3을 확보하였습니다.
-
해결됨네트워크, 그림으로 이해하자(2022ver.)
전송 계층에서 연결 확립 및 종료 단계 관련 질문
전송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결 확립 과정과 연결 종료 과정을 거친다고 이해했습니다.연결 확립 과정은 3 way handshake를 통해서 진행되고, 연결 종료 과정은 4 way handshake 과정을 통해서 진행되고요. 그러면 이 과정도 캡슐화 와 역캡슐화가 이뤄지는 건가요? 그렇다면 연결 수립 과정과 종료 과정에서 데이터 신호가 서버측까지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이라 이해하면 될까요? 또한, OSI 7 layer 기준으로 session layer와 representation layer는 그러면 무슨 역할을 하는 건가요? 강사님께 여쭤보는 이유는 블로그마다 내용이 사뭇 다르고 정확도가 떨어져서 직접 여쭤봅니다.
-
해결됨[C#/.NET 7.0]어서와, WPF는 처음이지?
섹션3 > Data 입력 View Model개발(1) 강의가 계속play가 안되고 멈춤현상
Data 입력 View Model 개발 (1) 강의 약 20분21초 부분에서 계속 Hang이 걸려서강의를 못듣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집에 인터넷 문제인줄 알고 회사에서도확인해 보았는데 같은 부분에서 계속 멈춰서 강의를 들을수 없습니다.프로젝트가 시간이 없어서 부득이 주말에 강의를 다 들어야 하는 사정이 있어서제발 긴급히 확인 및 처리해 주세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find() 에서 password를 숨길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옵션 차이
안녕하세요.아래 두가지 어노테이션 차이가 궁금합니다.@Column({select: false}) password@Exclude() password차이가 뭔가요?둘중 어느것을 써도 find() 에서 password 를 숨겨지는거같은데 용도 차이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C#/.NET 7.0]어서와, WPF는 처음이지?
DB 스크립트 백업파일
섹션 2. PostgreSQL 및 pgAdmin4 설치 먼저! 여기서 8분 50초경 DB스크립트를 복원하시는데백업파일은 수업자료에 포함이 안되있는거같더라구요확인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혹시 강의 내용 개인 노션에 올려도되나요?
개인 노션에 공부한 내용을 작성하고 있는데 강의한 내용의 그림이나 글을 작성해도 되나요? 전부 복사 붙여넣기가 아닌 요약등으로 올리고있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회원가입과제. 이렇게하면될까요?
안녕하세요. 온라인강의 수강하는 학생입니다. 주중엔 짬짬이 강의만, 코딩학습은 주말만.. 학습 진도가 늦지만.장기간 걸쳐.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ㅎ 회원가입 과제 아래와 같이 해 보았습니다.(1) vector 부분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나요? figma에서 제공하는 svg소스를 복사,붙여 넣기만 했는데...(2) ellipse 부분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나요? checkbox나 radio 부분에 svg 소스 활용방법이 궁금합니다.(3) 과제에 대한 멘토님의 소스를 보고싶은데 , 제가 못 찾는 것인지 멘토님 소스 보는 방법을 가르쳐 주셨으면 합니다.멘토님의 의견 감사합니다.
-
해결됨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쇼핑몰 사이트 만들기[전체 리뉴얼]
redux thunk 관련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ㅎ 이번에 새로 업데이트 된 강의를 들으면서 redux 강의 부분을 듣고 있다 이전 john ahn님의 로그인 강의 예제에서 질문이 생겼습니다.john ahn님의 로그인 강의에서export function loginUser(dataToSubmit) { const request = axios.post('/api/users/login', dataToSubmit) .then(response => response.data) return { type: LOGIN_USER, payload: request } } 이런식으로 로그인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 때는 이 방법이 redux-thunk를 사용한 방법인 줄 알았는데, 강의를 들어보니 이것은 redux-thunk를 이용하지 않은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근데, axios를 사용해서 비동기로 처리했는데도 제 기억에 login 강의는 잘 동작했었습니다.왜 잘 동작했는지 chat GPT를 통해 질문하니 답변으로 이것은 잘 동작하지 않는 코드이고 "이 코드에서 axios.post는 비동기 함수이고, .then(response => response.data)를 통해 HTTP 요청의 결과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request 변수는 이제 비동기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응답 데이터를 갖게 됩니다. 그러나 여전히 request는 프로미스입니다. 프로미스는 비동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미래의 값"을 나타내는 객체입니다." 이런 답변을 해주었습니다. 제가 생각해도 이것이 맞는 말 같은데 redux-thunk를 사용하지 않아도 왜 잘 동작한걸까요?? 굳이 redux-thunk를 사용하지 않아도 돼는 건가요?? 아니면 이번이 특별한 경우인가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시간 복잡도(7.소수의 개수(에라토스테네스 체))
안녕하세요해당 문제의 답을 스스로 작성해보았는데요이렇게 했더니 n의 숫자가 작을 때는 잘 작동 되지만 숫자가 커지면 작동이 안됩니다. 선생님의 코드처럼 이중 for문을 사용했는데 선생님의 코드는 잘 작동이 되고 제 코드는 잘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 선생님의 코드는 배수를 활용해서 더 빠를 것이라고 생각이 되긴 하는데, 제 코드를 어떻게 수정하면 좋을까요n = int(input()) cnt =[0] * (n+1) count =0 for i in range(1,n+1): for j in range(2,n+1): if i % j == 0: cnt[i] = cnt[i] + 1 if cnt[i] == 1: count = count +1 print(count)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Component로 핸들러 매핑에 핸들을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궁금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학습을 하다가 조금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이전에 MVC를 사용하지 않은 방식에서는 직접 Map으로 핸들러 이름과 핸들을 핸들러 맵에 등록했는데 MVC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Component("/springmvc/request-handler")가 어노테이션 안에 있는 문자열이 key가 되고 핸들 객체가 value로 핸들 맵에 등록되는 것인가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process의 버퍼 크기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tcpip 통신에서 process의 버퍼의 크기는 개발자가 결정한다고 하셨는데 고정인가요? 가변인가요?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타입스크립트로 리액트 프로젝트 만들면서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이미지 파일 import, 타입 추론 어디까지?)
안녕하세요. 이정환 강사님:)타입스크립트 강의를 듣고, 리액트에 적용하고 있는중 궁금한 사항이 생겨 질문을 올립니다.오늘도 많은 자료들을 찾아보고, 고민하는 시간도 가져봤는데 궁금증이 풀리지 않아서 글을 남깁니다 ㅠㅠ... 이미지 파일 import 질문리액트에서 이미지 파일(jpg, png 등...)을 사용할 떄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public폴더에 image폴더를 관리할 것인가, src폴더에 image폴더를 관리할 것인가에서 시작합니다. public 폴더에서 image폴더 관리아래 코드처럼 index.html에서 기준이 되어 절대경로로 바로 불러오기 편합니다.<img src="../image/이미지파일1.png"> src폴더에서 image폴더 관리아래 코드처럼 절대경로로 불러온 파일을 이미지파일1에 담아 src속성안에 객체로 형태로 전달해 사용합니다.import 이미지파일1 from "../image/이미지파일1.png" <img src={이미지파일1}> 위에 예시 이외에 많은 방법들이 존재하겠지만 제가 조사한 결과 두개가 대표적이며, 코드만 놓고 봤을때는 "public에서 관리하는게 편한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각각의 장단점이 있더라구요. 과연 어디에서 관리하는게 맞을까요? 라고 질문을 드리고 싶고 추가적으로 아래 코드에서 질문이 하나더 있을 예정입니다... (어디에서 관리하는게 좋을까? 참고사이트)https://velog.io/@rimo09/React-Create-react-app-%ED%94%84%EB%A1%9C%EC%A0%9D%ED%8A%B8%EC%97%90%EC%84%9C-%EC%9D%B4%EB%AF%B8%EC%A7%80-%EA%B2%BD%EB%A1%9C%EB%A5%BC-%EC%84%A4%EC%A0%95%ED%95%98%EB%8A%94-4%EA%B0%80%EC%A7%80-%EB%B0%A9%EB%B2%95 src폴더에서 image폴더 관리 ... 타입스크립트 적용우리는 src폴더에서 이미지 관리를 하며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할 떄 2가지를 신경 써줘야 할 것 같습니다. 첫번쨰는 확장자이고, 두번쨰는 타입입니다. 아래코드를 확인해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import 이미지파일1 from "../image/이미지파일1.png" import 이미지파일2 from "../image/이미지파일2.png" import 이미지파일3 from "../image/이미지파일3.png" type Item = { [key: string]: { name: string; src: ?(어떤 타입이 들어가야 할까요?); alt: string; }; }; const item: Item = { image1: { name: "이미지1입니다.", src: 이미지파일1, alt: "이미지1", }, image2: { name: "이미지2입니다.", src: 이미지파일2, alt: "이미지2", }, image3: { name: "이미지3입니다.", src: 이미지파일3, alt: "이미지3", }, }; 위에 예시를 보면 타입스크립트가 아니기 떄문에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있지만... 처음 저렇게 import해서 불러온다면 경로에서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그것은 png, jpg같은 확장자를 인식하지 못하기 떄문인데요 그래서 저희는 가장 최상위 루트 폴더에 d.ts파일안에 확장자를 추가해주고 시작해야합니다. 그 후 import한 이미지파일들을 객체에 담아서 사용하고 싶을 경우 const item과 같이 작성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는 item의 타입을 정해줘야하는데 저같은 경우 인덱스 시그니처 문법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면 src의 타입은 뭐라고 해줘야할까요? 타입 추론으로 두어도 상관은 없지만 어떤 타입으로 추론했는지 마우스를 올려보니 any...타입으로 추론하더라구요... 이것이 저의 두번쨰 질문이였습니다. (확장자 오류 해결방법 참고사이트)https://velog.io/@gabdol/%ED%83%80%EC%9E%85%EC%8A%A4%ED%81%AC%EB%A6%BD%ED%8A%B8-%EC%9D%B4%EB%AF%B8%EC%A7%80-%EA%B2%BD%EB%A1%9C-%EC%98%A4%EB%A5%98-%ED%95%B4%EA%B2%B0-%EB%B0%A9%EB%B2%95 타입추론 어디까지? 질문다음 질문입니다... 질문이 너무 많아서 죄송합니다ㅠㅠ...보통 저희가 수업에서 배울 떄 정말 많은 타입을 정해줬어야 합니다... 변수, 함수, 리액트에 적용한다면 Hook까지도요... 하지만 타입스크립트에는 타입추론 기능이 있기떄문에 모든곳에 다 적용할 필요는 없다고 배웠는데 과연 어디까지 그게 적용이 될지 궁금합니다... 아래코드를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const randomItem = (): string => { // 아이템 key 배열 let itemKey: string[] = Object.keys(item); // 랜덤 숫자 출력 let randomNumber: number = Math.floor(Math.random() * itemKey.length); // 아이템 key배열 중 랜덤 숫자에 해당하는 인덱스 아이템을 반영한다. return itemKey[randomNumber]; }; 위에 예시는 item이라는 객체에 key를 배열에 담아서, 랜덤 숫자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함수에 반환타입 string부터 함수 안에 모든 변수들에 타입을 지정해주었는데 안써줘도 코드에는 문제가 생기지 않았습니다. 과연 어디까지 써주고 안써줘도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useState Hook 타입질문이제 마지막 질문입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저희는 useState가 동일한 값을 가질떄 객체로 담아서 사용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const [Item, setItem] = useState({ userItem: null, // string 값이 들어올 예정 computerItem: null, // string 값이 들어올 예정 }); 위에 코드처럼 Item이라는 변수안에는 user와 computer에 해당하는 동일한 string값을 가지고 처음에는 빈값인 null값을 가집니다. 그러면 useState에 제네릭을 사용해줘야하는데 아래 코드처럼 작성해주면 되는 걸까요? const [item, setItem] = useState<string | null>({ userItem: null, // string 값이 들어올 예정 computerItem: null, // string 값이 들어올 예정 }); 그리고 만약 useState값을 로컬스토리지에서 가져와야 할 경우 어떻게 해줘야할지도 궁금합니다.아래코드는 useState에 삼항연산자를 작성한 형태입니다. 로컬스토리지에서 가지고 올 값이 없다면 null값을 반영하고 있다면 로컬스토리지값을 가지고 오는건데 아래같은 경우에는 타입을 어떻게 지정해주면 좋을까요? const [item, setItem] = useState( !JSON.parse(localStorage.getItem("item")) ? { userScore: null, computerScore: null, }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item")) ); 질문이 너무 많았습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NestJS Mapped types에 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NestJS 공식문서에 강의대로 여러가지 Mapped types들이 있더라고요.https://docs.nestjs.com/openapi/mapped-types#pick 강의에서는 PickType(UsersModel, [ 'nickname', 'email', 'password', ]) {이렇게 사용 되는데PickType(CreateCatDto, ['age'] as const)공식 문서에서는 as const 이게 붙더라고요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요?
-
미해결Verilog ZYNQ Program 1 (Zynq mini 7020)
42p .elf 파일 저장위치
안녕하세요.Run As나 Debug As 의 Launch Hardware로 실행했을 때, .elf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가 Zynq와 연결된 DDR에 저장이 되는 것인지 Zynq 칩 내부의 RAM이 따로 있는 것 인지 궁금합니다. 또 저장되는 번지수는 정해져 있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ps의 memory map이 따로 영역이 지정 되어있는 걸까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Package path ./browser is not exported from package...모듈을 찾을수 없다는 문구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양질의 강의 잘 수강중입니다.https://github.com/mswjs/msw/issues/1801 종종 발생하는 이슈 같은데 (제로초님 코멘트도 있네요!) 저도 제로초님 코드 그대로 따라해보았지만 해당 이슈가 계속 발생하네요ㅠㅠ어떤 문제 때문인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데 MSW를 다운그레이드 하는 방법 밖에 없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ㅠ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강의를 보고 나니 Restful한 api를 설계 하기 위해선
강의를 보고 나니 Restful한 api를 설계 하기 위해선Profile 에 해당하는 프로퍼티가name: string;age: number;address: string;있을때 1. patch[client 요청]{ name: 'codefactory', age: 98000, address: '판교'}프로퍼티를 전체 수정 또는 생성 한다. 해당 resource id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에러를 던지지 않고 새로 생성한다.모든 프로퍼티를 기입 해야하고 전체 수정이 발생하거나 새로 생성 된다.2. patch[client 요청]{ name: 'codefactory2',}수정 하고자 하는 프로퍼티만 기입해당 resource id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찾을 수 없다는 error를 던져준다. 제가 이해한것을 정리 해보았고, 궁금한점을 한가지 질문을 적어 보자면그렇다면 만약, 모든 프로퍼티를 보내지만, 데이터가 없을때 새로 생성하지 않고 에러를 던지는 api가 필요하면 이것은 put인가요 patch 일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apigateway-service netty 서버 실행 안됨
apigateway 실행할 때 netty 서버가 아니라 tomcat으로 연결이 되는데 왜 그런 건가요?? netty서버로 작동할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