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Component로 핸들러 매핑에 핸들을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궁금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학습을 하다가 조금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이전에 MVC를 사용하지 않은 방식에서는 직접 Map으로 핸들러 이름과 핸들을 핸들러 맵에 등록했는데 MVC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Component("/springmvc/request-handler")가 어노테이션 안에 있는 문자열이 key가 되고 핸들 객체가 value로 핸들 맵에 등록되는 것인가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process의 버퍼 크기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tcpip 통신에서 process의 버퍼의 크기는 개발자가 결정한다고 하셨는데 고정인가요? 가변인가요?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타입스크립트로 리액트 프로젝트 만들면서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이미지 파일 import, 타입 추론 어디까지?)
안녕하세요. 이정환 강사님:)타입스크립트 강의를 듣고, 리액트에 적용하고 있는중 궁금한 사항이 생겨 질문을 올립니다.오늘도 많은 자료들을 찾아보고, 고민하는 시간도 가져봤는데 궁금증이 풀리지 않아서 글을 남깁니다 ㅠㅠ... 이미지 파일 import 질문리액트에서 이미지 파일(jpg, png 등...)을 사용할 떄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public폴더에 image폴더를 관리할 것인가, src폴더에 image폴더를 관리할 것인가에서 시작합니다. public 폴더에서 image폴더 관리아래 코드처럼 index.html에서 기준이 되어 절대경로로 바로 불러오기 편합니다.<img src="../image/이미지파일1.png"> src폴더에서 image폴더 관리아래 코드처럼 절대경로로 불러온 파일을 이미지파일1에 담아 src속성안에 객체로 형태로 전달해 사용합니다.import 이미지파일1 from "../image/이미지파일1.png" <img src={이미지파일1}> 위에 예시 이외에 많은 방법들이 존재하겠지만 제가 조사한 결과 두개가 대표적이며, 코드만 놓고 봤을때는 "public에서 관리하는게 편한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각각의 장단점이 있더라구요. 과연 어디에서 관리하는게 맞을까요? 라고 질문을 드리고 싶고 추가적으로 아래 코드에서 질문이 하나더 있을 예정입니다... (어디에서 관리하는게 좋을까? 참고사이트)https://velog.io/@rimo09/React-Create-react-app-%ED%94%84%EB%A1%9C%EC%A0%9D%ED%8A%B8%EC%97%90%EC%84%9C-%EC%9D%B4%EB%AF%B8%EC%A7%80-%EA%B2%BD%EB%A1%9C%EB%A5%BC-%EC%84%A4%EC%A0%95%ED%95%98%EB%8A%94-4%EA%B0%80%EC%A7%80-%EB%B0%A9%EB%B2%95 src폴더에서 image폴더 관리 ... 타입스크립트 적용우리는 src폴더에서 이미지 관리를 하며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할 떄 2가지를 신경 써줘야 할 것 같습니다. 첫번쨰는 확장자이고, 두번쨰는 타입입니다. 아래코드를 확인해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import 이미지파일1 from "../image/이미지파일1.png" import 이미지파일2 from "../image/이미지파일2.png" import 이미지파일3 from "../image/이미지파일3.png" type Item = { [key: string]: { name: string; src: ?(어떤 타입이 들어가야 할까요?); alt: string; }; }; const item: Item = { image1: { name: "이미지1입니다.", src: 이미지파일1, alt: "이미지1", }, image2: { name: "이미지2입니다.", src: 이미지파일2, alt: "이미지2", }, image3: { name: "이미지3입니다.", src: 이미지파일3, alt: "이미지3", }, }; 위에 예시를 보면 타입스크립트가 아니기 떄문에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있지만... 처음 저렇게 import해서 불러온다면 경로에서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그것은 png, jpg같은 확장자를 인식하지 못하기 떄문인데요 그래서 저희는 가장 최상위 루트 폴더에 d.ts파일안에 확장자를 추가해주고 시작해야합니다. 그 후 import한 이미지파일들을 객체에 담아서 사용하고 싶을 경우 const item과 같이 작성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는 item의 타입을 정해줘야하는데 저같은 경우 인덱스 시그니처 문법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면 src의 타입은 뭐라고 해줘야할까요? 타입 추론으로 두어도 상관은 없지만 어떤 타입으로 추론했는지 마우스를 올려보니 any...타입으로 추론하더라구요... 이것이 저의 두번쨰 질문이였습니다. (확장자 오류 해결방법 참고사이트)https://velog.io/@gabdol/%ED%83%80%EC%9E%85%EC%8A%A4%ED%81%AC%EB%A6%BD%ED%8A%B8-%EC%9D%B4%EB%AF%B8%EC%A7%80-%EA%B2%BD%EB%A1%9C-%EC%98%A4%EB%A5%98-%ED%95%B4%EA%B2%B0-%EB%B0%A9%EB%B2%95 타입추론 어디까지? 질문다음 질문입니다... 질문이 너무 많아서 죄송합니다ㅠㅠ...보통 저희가 수업에서 배울 떄 정말 많은 타입을 정해줬어야 합니다... 변수, 함수, 리액트에 적용한다면 Hook까지도요... 하지만 타입스크립트에는 타입추론 기능이 있기떄문에 모든곳에 다 적용할 필요는 없다고 배웠는데 과연 어디까지 그게 적용이 될지 궁금합니다... 아래코드를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const randomItem = (): string => { // 아이템 key 배열 let itemKey: string[] = Object.keys(item); // 랜덤 숫자 출력 let randomNumber: number = Math.floor(Math.random() * itemKey.length); // 아이템 key배열 중 랜덤 숫자에 해당하는 인덱스 아이템을 반영한다. return itemKey[randomNumber]; }; 위에 예시는 item이라는 객체에 key를 배열에 담아서, 랜덤 숫자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함수에 반환타입 string부터 함수 안에 모든 변수들에 타입을 지정해주었는데 안써줘도 코드에는 문제가 생기지 않았습니다. 과연 어디까지 써주고 안써줘도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useState Hook 타입질문이제 마지막 질문입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저희는 useState가 동일한 값을 가질떄 객체로 담아서 사용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const [Item, setItem] = useState({ userItem: null, // string 값이 들어올 예정 computerItem: null, // string 값이 들어올 예정 }); 위에 코드처럼 Item이라는 변수안에는 user와 computer에 해당하는 동일한 string값을 가지고 처음에는 빈값인 null값을 가집니다. 그러면 useState에 제네릭을 사용해줘야하는데 아래 코드처럼 작성해주면 되는 걸까요? const [item, setItem] = useState<string | null>({ userItem: null, // string 값이 들어올 예정 computerItem: null, // string 값이 들어올 예정 }); 그리고 만약 useState값을 로컬스토리지에서 가져와야 할 경우 어떻게 해줘야할지도 궁금합니다.아래코드는 useState에 삼항연산자를 작성한 형태입니다. 로컬스토리지에서 가지고 올 값이 없다면 null값을 반영하고 있다면 로컬스토리지값을 가지고 오는건데 아래같은 경우에는 타입을 어떻게 지정해주면 좋을까요? const [item, setItem] = useState( !JSON.parse(localStorage.getItem("item")) ? { userScore: null, computerScore: null, }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item")) ); 질문이 너무 많았습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NestJS Mapped types에 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NestJS 공식문서에 강의대로 여러가지 Mapped types들이 있더라고요.https://docs.nestjs.com/openapi/mapped-types#pick 강의에서는 PickType(UsersModel, [ 'nickname', 'email', 'password', ]) {이렇게 사용 되는데PickType(CreateCatDto, ['age'] as const)공식 문서에서는 as const 이게 붙더라고요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요?
-
미해결Verilog ZYNQ Program 1 (Zynq mini 7020)
42p .elf 파일 저장위치
안녕하세요.Run As나 Debug As 의 Launch Hardware로 실행했을 때, .elf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가 Zynq와 연결된 DDR에 저장이 되는 것인지 Zynq 칩 내부의 RAM이 따로 있는 것 인지 궁금합니다. 또 저장되는 번지수는 정해져 있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ps의 memory map이 따로 영역이 지정 되어있는 걸까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Package path ./browser is not exported from package...모듈을 찾을수 없다는 문구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양질의 강의 잘 수강중입니다.https://github.com/mswjs/msw/issues/1801 종종 발생하는 이슈 같은데 (제로초님 코멘트도 있네요!) 저도 제로초님 코드 그대로 따라해보았지만 해당 이슈가 계속 발생하네요ㅠㅠ어떤 문제 때문인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데 MSW를 다운그레이드 하는 방법 밖에 없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ㅠ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강의를 보고 나니 Restful한 api를 설계 하기 위해선
강의를 보고 나니 Restful한 api를 설계 하기 위해선Profile 에 해당하는 프로퍼티가name: string;age: number;address: string;있을때 1. patch[client 요청]{ name: 'codefactory', age: 98000, address: '판교'}프로퍼티를 전체 수정 또는 생성 한다. 해당 resource id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에러를 던지지 않고 새로 생성한다.모든 프로퍼티를 기입 해야하고 전체 수정이 발생하거나 새로 생성 된다.2. patch[client 요청]{ name: 'codefactory2',}수정 하고자 하는 프로퍼티만 기입해당 resource id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찾을 수 없다는 error를 던져준다. 제가 이해한것을 정리 해보았고, 궁금한점을 한가지 질문을 적어 보자면그렇다면 만약, 모든 프로퍼티를 보내지만, 데이터가 없을때 새로 생성하지 않고 에러를 던지는 api가 필요하면 이것은 put인가요 patch 일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apigateway-service netty 서버 실행 안됨
apigateway 실행할 때 netty 서버가 아니라 tomcat으로 연결이 되는데 왜 그런 건가요?? netty서버로 작동할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용어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남겨보아요
java와 spring을 공부 할때 당시에 사용 했던게 Annot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 했던걸로 기억합니다.(@Controller, @Service 등) 근데 typescript와 Nestjs를 검색 해보니까 Annotation이라는 용어보다는 Decorator라는 용어로 많이 사용하는것 같던데 Annotation vs Decorator가 같은거라고 보면 될까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for문 범위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섹션 2의 3번 문제에서는 첫번째 for문에 n을 넣어서 돌렸는데섹션 2의 4번 문제에서는 첫번쨰 for문에 a를 넣어서 돌렸습니다. 두 문제가 비슷한 유형인거같아서 왜 같은 방식으로 for문을 돌리지 않는지 헷갈려서 질문남깁니다
-
미해결[파이토치] 실전 인공지능으로 이어지는 딥러닝 - 기초부터 논문 구현까지
예측 그래프
예측 그래프가 이렇게 나오는데, 뭐가 문제인지를 모르겠어요... 도와주세요...
-
해결됨블렌더 3D 아이소메트릭 방 만들기
마룻바닥이 삭제되어있어서 다시 했는데 실린더에 array가 걸려요...
안녕하세요 다 만들고 렌더 설정 강의만 남았는데 알고보니 마룻바닥이 삭제되어 있더라구요...ㅠㅠ 다시 만드려고 진행하니 자꾸 실린더에 모디파이어가 걸려요... 큐브를 선택한 상황에서도 실린더에 array가 걸려서 저렇게 되네요....삭제하고 다시 만들어도 실린더에 모디파이어가 잡히네요....어떻게 수정이 가능할까요?ㅜㅜ
-
해결됨[C#/.NET 7.0]어서와, WPF는 처음이지?
섹션3 Data 입력 View Model 개발(1) 실행 오류
섹션 3. Data 입력 View Model 개발(1)재생 중 20:10 이후로 동영상이 끊겨서 이후 부분이 재생이 안됩니다.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5장 RSS의 이해중.
안녕하세요.강의 내용 중 제가 알고있는 것과 차이가 있는것 같아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비용함수와 RSS와 경사하강법의 이해의 RSS의 이해에 나와있는 RSS수식이 아니라 RMSE 내용이지 않는건지..1/N은 삭제되어야하지 않을까요? nRSS=∑ (y i −(β 0 +β1* xi1 +β2* xi2 +…+βn*xin )) ^2i=1아니면 비용함수에서는 RSS를 RMSE 개념으로 사용하는것일까요? 강의 내용이 좋아서 다른 강의도 미리 결재 했습니다. 많은 나이에 관심이 생겨 공부 중인데 너무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하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form Import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ame for argument of type [long] not specified,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not available via reflection. Ensure that the compiler uses the '-parameters' flag.이렇게 오류 떠서@GetMapping("/{itemId}/edit") public String editForm(@PathVariable Long itemId, Model model) {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ById(itemId); model.addAttribute("item", item); return "form/editForm"; }위 부분을@GetMapping("/{itemId}/edit") public String editForm(@PathVariable(name="itemId") Long itemId, Model model) {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ById(itemId); model.addAttribute("item", item); return "form/editForm"; }이렇게 @PathVariable(name="itemId") 속성을 모든 메소드에 적용 했더니 정상 동작합니다.다만 어떤 설정을 해야 기존 코드 기대로 동작하는지 정말 궁금하네요 기존처럼 네임속성 안주고 하려면 따로 설정해야하는게 어떤걸까요?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5분 20초경 질문
영상에서 5분 20초경에 int는 4바이트인데 여기에 쌓인 것은 보니까 차이가 4가 나는 게 아니고 더 큰 숫자만큼 차이가 나고있죠라고 말씀을 하시는데쌓였다는 것이 n의 주소번호가 쌓인 거라고 말씀하시는 게 맞죠? 근데 이걸 왜 쌓였다고 표현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스택을 쌓을 때 변수가 사용할 메모리가 쌓이게 된다고 했던 거 같은데 메모리가 아닌 메모리의 주소를 쌓인다고 표현하는 게 이해가 안됩니다.그리고 int는 4바이트인데 여기에 쌓인 것은 보니까 차이가 4가 나는 게 아니고 라고 말씀을 하시는데 int가 4바이트인 것과 주소번호의 숫자가 차이가 4가 날거라고 예상하는 것이 무슨 연관이 있는 건지 이해가 안됩니다.연관이 있으니 연관이 있는 것처럼 말씀을 하시는 거라 생각은 하는데 도통 이해가 안되네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로그인 처리하기 - 세션 동작 방식 파트 질문입니다.
중요한 정보는 모두 서버에 저장해야 한다고 써있는데, 만약 서버가 공격받게 된다면 이 정보가 모두 노출될텐데, 서버가 공격받는 것은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요? 예시 몇 가지만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개정판 2023-11-27] Spring Boot 3.x 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
Spring AOP를 이용한 Exception Handling
@ExceptionHandler(UserNotFoundException.class) public final ResponseEntity<Object> handleUserNotFoundException(Exception ex, WebRequest request) { ExceptionResponse exceptionResponse = new ExceptionResponse(new Date(), ex.getMessage(), request.getDescription(false)); return new ResponseEntity<>(exceptionResponse, HttpStatus.NOT_FOUND); } 강의에서 WebRequest를 이용하여 exception handling을 하고 있는데, 아래처럼 BindingResult를 사용하는 방법과 어떤 부분이 다른가요? 개발 스타일에 따라 사용하면 될까요? @ExceptionHandler(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ponse> handle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e) { List<String> errorMessages = e.getBindingResult().getFieldErrors() .stream() .map(FieldError::getDefaultMessage) .collect(Collectors.toList()); String combinedErrorMessage = String.join(", ", errorMessages); return ResponseEntity.badRequest().body(new ErrorResponse(combinedErrorMessage)); }
-
미해결
인텔리제이 깃허브 레파지터리 내 폴더에 저장하는 방법
인텔리제이에서 깃허브 레파지터리에 바로 저장하는 방법 말고레파지터리 내 폴더에 저장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localhost에서 화면이 깨집니다.
수업을 듣고 혼자서 만들어 보는 중입니다 ㅠㅠ https://drive.google.com/file/d/1xmnERIQk89uE6iP8skTuS2jElKDXfPqp/view?usp=sharing드라이브에 올린 제 파일입니다. save.html 파일이 절대경로로 브라우저에서 열면 문제 없이 열리는데 localhost:8080/member/save 로열면 화면이 깨집니다. css 경로도 정확한 거 같은데 왜 이러는걸까요 ㅠㅠ<link href="css/styles.css" rel="stylesheet" /><link href="../templates/css/styles.css" rel="stylesheet" /><link href="./css/styles.css" rel="stylesheet" />다 해봤습니다!! index.html을 제대로 잘 열립니다!! (index파일의 css를 복사해서 약간 수정 후 이름만 다르게 저장한게 save.css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