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카카오 개발자와 함께하는 워크플로우 기반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 기법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전체적인 플로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이론 부분을 제가 이해를 잘 못해서 질문드리는 것 같은데요,Kafka와 Debezium 까지의 전반적인 그림은 그려지는데temporal(acitivity나 workFlow클래스 등) 까지 합쳐졌을 때의 플로우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구상하신 아키텍처를 모두 합친 플로우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면접 전에 알고 가면 좋을 것들 - 신입 Java 백엔드 개발자편
Drive by download 공격에 대해 찾아보았는데, 맞게 이해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4. 운영과 보안 - XSS와 CSRF 공격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강의를 보던 중에 drive by download 공격에 대해 공부해보라고 말씀해주셔서, 널널한 개발자님의 코멘트를 참고하고, LLM과 문답하며 이해한 내용을 적어보았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고 싶어 질문을 남깁니다. 🙇♂ Drive-by Download는 웹사이트를 방문만 해도 사용자의 클릭이나 동의 없이 악성코드가 침투될 수 있는 공격입니다. (cf. drive by : '지나가면서 쏘는' 의미) 이 공격이 가능한 이유는 브라우저가 iframe이나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제3의 서버에서 JavaScript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광고 네트워크나 외부 위젯이 해킹당하면, 정상적인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악성 코드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과거(~2010년대 초반)에는 Flash Player 같은 플러그인의 취약점을 통해 시스템에 직접 접근이 가능했습니다.(cf. 지금은 사라진 Flash Player 플러그인이 성능을 위해 C/C++ 코드로 구현되어, 브라우저에서 JS 엔진이 아닌 플러그인 API를 통해 로드되어 실행되었습니다. 그래서 운영체제 수준의 바이너리로 동작할 수 있어, 보안상 더 위험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에는 브라우저 샌드박스 덕분에 브라우저에서 js로 할 수 있는 작업이 제한적이어서, Drive-by Download로 인한 피해가 크게 줄어들었다고 이해했습니다. 강의 내용 뿐만 아니라 강의 중에 추천해주신 기술 블로그를 보며, 시야가 넓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유니온타입의개념 및 프로퍼티 접근
type Dog={ name:string, color:string } type Person={ name:string, language:string } let union1 : Dog | Person = { name:"", color:"", language:"" } console.log(union1.name) console.log(union1.color) 교집합은 이해가 너무 잘 됩니다. 질문1. 유니온타입이 온전히 Dog 이던가 / 온전히 Person 이던가 / 둘 다 포함된 객체이다 .제가 배운내용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질문2 .그런데 밑에 속성에 접근 할 때에는 왜 name 은 접근이 가능한데 color 는 접근이 안되는지 궁금해요질문3. 유니온타입은 Dog 또는 Person 둘 중 하나만 만족해야하는 건가요?? 다른자료를 찾다가 개념이 헷갈리네요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배달의 민족 문제에서 효율적인 탐색 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해당강의 : 2주차;2-10. 2주차 끝&숙제 설명 강사님 안녕하세요.강의 중 두 번째 문제인 ‘배달의 민족 - 배달 가능 여부’ 문제를 풀이하며,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보았습니다.def is_available_to_order(menus, orders): for order in orders: if order not in menus: return "주문 불가능" return "주문 가능"강의에서 설명하신 set()을 활용한 방식이 탐색 효율이 높다는 점은 잘 이해했습니다.이에 대해 생각해보며, 제가 작성한 방식도 리스트 탐색만으로 충분히 동작하여데이터 규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는 큰 성능 차이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두 방식 모두 평균적인 입력 크기에서는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은데,혹시 제가 사용한 방법도 일정 규모 이하의 데이터에서는 효율적인 접근으로 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또한, 실제 서비스 코드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set() 변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카카오 개발자와 함께하는 워크플로우 기반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 기법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Temporal에 대해서 더 알고 싶어요.
교육을 듣다보니 Temporal에 대해서 더 알고 싶은데Temporal 공식 사이트는 너무 방대하고, 사용법 위주로 설명되어 있어서, 혹시 내부 아키텍처 같은 내용을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강의에서 나온 IN 최적화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이번 복합 인덱스3 강의에서 인덱스 활용 팁으로 범위 조건을 IN절로 바꿔 최적화하는 부분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IN이 마치 OR처럼 변화될 수 있다고 설명해 주셨고 실제 쿼리 실행 시에 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강의 시간 18분 경) 그런데 이후 비유해주신 쿼리에서는 UNION ALL을 사용하셨습니다. 저는 OR과 UNION ALL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생각했지만 실제로 눈으로 확인하고 싶어서 다음 세가지 쿼리를 모두 EXPLAIN, ANALYZE 해보았습니다. 1) 기존 IN 쿼리EXPLAIN ANALYZE SELECT * FROM items WHERE category IN ('패션', '헬스/뷰티') AND price = 20000;2) OR로 풀어낸 쿼리EXPLAIN ANALYZE SELECT * FROM items WHERE (category = '패션' AND price = 20000) OR (category = '헬스/뷰티' AND price = 20000);3) UNION ALL 로 풀어낸 쿼리EXPLAIN ANALYZE SELECT * FROM items WHERE category = '패션' AND price = 20000 UNION ALL SELECT * FROM items WHERE category = '헬스/뷰티' AND price = 20000; 그 결과 2)의 처리 cost는 1.41, 3)의 처리 cost는 0.7로 나타났으며, 1)은 2)와 동일하게 실행되었습니다. 여기서 다음 의문이 나타났습니다. 1) IN 최적화는 OR 또는 UNION ALL 방식으로 옵티마이저가 상황에 따라 선택하나요? 혹은 OR 방식으로만 처리하나요?2) OR, UNION ALL을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때, 언제 각각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 그리고 위 경우에서는 왜 UNION ALL이 더 cost가 작았을까요?3) 만약 새로운 카테고리가 추가된다면 모든 IN 쿼리에 해당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계층(JPA 등으로)에서 category >= '패션'인 SELECT DISTINCT쿼리 1번, 해당 값을 통해 IN에 넣어주는 쿼리 1번, 총 2번 쿼리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바꾼다면 기존 쿼리를 수정하지 않아도 괜찮을 것 같은데 실무면에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긴 질문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아키텍쳐 선택의 순수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토비님! 순수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아키텍처마다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의 규모나 확장성 여부에 따라 어울리는 아키텍처가 다를 것 같은데요, 토비님은 현업에서 어떤 기준을 가장 중점적으로 두고 아키텍처를 선택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 느린쿼리나 벡엔드 성능 테스트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75강 인덱스 설계 - 실습 관련강의 중에 느린 쿼리를 로그 분석을 하거나 성능 테스트를 통해서 실제 쿼리 패턴과 성능을 측정해서 특정 컬럼에 인덱스를 적용해야 한다고 하셨는데요.로그를 하나씩 확인하면서 각 쿼리별로 비교하기가 조금 불편하고 어려울 것 같습니다. 또한 몇가지 쿼리 케이스만으로 성능을 일반화하기도 쉽지 않을 것 같구요.실무에서 느린쿼리나 다양한 벡엔드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는 별도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이나 방법론이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또한 저희 실습에서 사용한 MySQL에서는 어떤 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팩토리 메서드 패턴과 일반 생성자 사용의 장단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기본형과 참조형 - 참조형과 메서드 호출 - 활용 강의 자료 보고 생긴 궁금증입니다!자바에는 객체 생성 시 초기화를 담당하는 "생성자(Constructor)"가 있는데, createStudent()와 같은 팩토리 메서드 패턴과 일반 생성자를 사용하는 것의 장단점이나, 어떤 상황에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SQL
OR 조건 간소화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있는 인프런 학습자입니다!중복이 없는 시티 필드를 출력하는 DISTINCT 예제 중 select city From station where city like 'a%'or city like 'e%'or city like 'o%'or city like 'i%'or city like 'u%';이라는 구문이 있는데 or 조건은 항상 각각 조건을 명시해줘야하는걸까요?정규식을 제외하고 따로 간소화가 불가할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오픈소스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in C
vi 명령어
중간에 shift k 로 malloc 에 대한 man 페이지 띄운건 알겠는데 오픈소스 헤더파일로 넘어가는 명령어는 무슨 커맨드인가요?
-
미해결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카프카에 대해 더 공부하고 싶은데 병행할만한 좋은 책이 있을까요?혹시 강사님이 추천하시는 책이나, 수강생분들이 공부하면서 도움이 된 책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문제에 어떤 알고리즘을 적용할지 빠르게 결정하는 팁이 있을까요?
코딩 테스트 문제에 어떤 알고리즘을 적용해야 할 지 빠르게 결정할 수 있는 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가장 확실한 방법은 많이 풀어보는 방법이겠지만딩코딩코님만의 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코테 준비
안녕하세요!현재 코딩테스트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백준에서 현재 문제 유형 별로(DFS, 백트래킹 등등..) 풀어 보고 있습니다. 문제는 구현같은 유형은 몰라도 풀 수 있지만 DP, N-queen문제는 해당 문제를 접해보지 않고서는 풀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하루에 한 유형씩 제대로 이해하기 vs 한 유형만 쭉 풀어서 마스터하기 둘 중에 어떤게 더 좋은 접근법이라고 생각하시나요?막상 유형별로 풀자니 구현, DFS, BFS, DP유형이 코테에 많이 보이는거같아서 고민입니다.
-
미해결[Sionic MCP 시리즈 1] Model Context Protocol 을 이용하여 IntelliJ 와 코딩해보자!
연결 안되는 이유 모르겠습니다 ㅠㅠ
Jetbrains 러닝이라로 뜨는데, 허용하겠습니다 라는 안내문구는 안뜹니다. 그리고 연결이 안됩니다혹시 pc방에서는 안되는 건가요? node.js 최신버전, 인텔리제이 최신, 플로그인 설치, json 변경 했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혹시 프로젝트 전체 코드를 확인 할 수 있는 깃헙이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가 있을까요??
-
미해결공식 엠버서더가 알려주는 노션 엑기스
표보기 > 계산
안녕하세요, "[보기] 나만의 관점을 설계하는 방법" 강의를 클론 하면서 생성하고 있는데 제 노션에선 하단의 표보기의 계산(통계) 기능이 안보이는데 제가 설정을 뭔가 잘 못했을까요!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슈퍼셋 사용이 처음이라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회사에서 데이터 관리를 위해 슈퍼셋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을 하려면 스스로 sql을 공부해서 직접 쿼리를 작성하는 방법이 최선일까요? 우선 개발자분들께 기본적인 항목은 요청드린 상태입니다. 추가로 카일님의 spl 기본 + 중급 강의를 들으면 원활하게 사용이 가능할까요?
-
미해결강의 하나로 끝내는 백엔드 모든 지식!
22강 마지막 영상 짤림
큰 문제는 아닙니다만 22강이 마지막에 갑자기 종료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로 어디에 말씀드려야 할지 모르겠어서 Q&A 게시판에 남깁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오브젝트와 인스턴스
안녕하세요. 오브젝트와 인스턴스에 대해 제가 기억하고 있는 비유가 하나 있습니다."오브젝트가 소나타라면, 돌아다니는 소나타 하나 하나가 인스턴스이다."이 비유는 적절한 비유인가요? 혹은 오해의 여지가 있는 비유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