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Blocked 되지 않는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쓰레드의 동시성이슈를 syncronized로 해결하였을때로그를 보면, 00:53:11.012 [ t1] 거래 시작: BankAccountV300:53:11.012 [ t2] 거래 시작: BankAccountV300:53:11.020 [ t1] [검증 시작] 출금액: 800, 잔액: 100000:53:11.021 [ t1] [검증 완료] 출금액:800, 잔액: 100000:53:11.489 [ main] t1 state: TIMED_WAITING00:53:11.490 [ main] t2 state: TIMED_WAITING00:53:12.021 [ t1] [출금 완료] 출금액:800, 잔액: 20000:53:12.021 [ t1] 거래 종료00:53:12.021 [ t2] [검증 시작] 출금액: 800, 잔액: 20000:53:12.022 [ t2] [검증 실패]00:53:12.024 [ main] 최종 잔액: 200이런식으로 t1, t2 두 쓰레드중 하나가 blocked 되는 것이 아니라 모두 time_waiting상태로 유지 됩니다.뭔가 느낌으로는 큰 상관은 없을 것 같고, 시스템 환경에 따른 차이인 거 같은데, 혹시나 제가 세팅을 잘못했거나 코드를 잘못 짰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메인 클래스를 반복해서 실행해보니t1, t2 스레드 모두 time waiting 상태이거나 모두 blocked 상태가 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동일한 엔티티를 2개의 필드 타입으로 정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JPA를 이용해서 스터디를 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우선 요구사항은 아래 내용입니다.신규 회원은 1명의 회원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회원은 본인이 추천받은 총 횟수를 알 수 있습니다.위 내용을 기반으로 엔티티를 Customer, Referee 2개를 생성 했습니다.그리고 Referee 엔티티에서 추천한 회원 ID와 추천받은 회원 ID를 필드로 가지려고 합니다. 추천한 회원 ID 필드는 OneToOne 관계로, 추천받은 회원 ID는 ManyToOne 관계로 풀고 싶습니다.이런 경우에는 어떤식으로 정의를 해야 할까요?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Entity public class Referee extends CreatedDateTim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referee_id") private Long id;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customer_id") private Customer customer;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customer_id") private Customer refereeCustomer; }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서비스테스트 질문
MemberServiceTest에서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의 memberService부분에서 밑줄이 그어지며 Cannot resolve symbol 'memberSerivce' 오류가 납니다.캐쉬도 지워봤습니다. 각각 MemberServiceTest와 MemberService 파일 화면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annerWhileEx3
왼쪽화면: 강의영상 / 오른쪽: 제 코드 강사님이 하셨을 땐 엔터로 여러 숫자들 입력하고 그 숫자들의 합과 평균을 입력할 수 있는데, 저는 똑같이 쳐도 숫자를 한개씩만 입력할 수 있어요..제 코드는 package 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cannerWhile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sum = 0; int count = 0; int input = 0; System.out.println("숫자를 입력하세요. 입력을 중단하려면 -1을 입력하세요: "); while(true){ input = sc.nextInt(); if(input == -1){D break; } sum += input; count++; double average = (double) sum / count; System.out.println("입력한 숫자들의 합계: " + sum); System.out.println("입력한 숫자들의 평균: " + average); } } }이와 같은데 무엇이 강사님과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remove 메소드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에서 removeNode를 null값으로 처리하는 이유가 있을까요?removeNode를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 같은데, 해당 노드의 item과 next를 null값으로 처리해야만 GC 대상이 되는건가요? null값으로 명시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 추가 코드 public Object remove(int index) { Node removeNode = getNode(index); Object removedItem = removeNode.item; if (index == 0) { first = removeNode.next; } else { Node prev = getNode(index - 1); prev.next = removeNode.next; } removeNode.item = null; removeNode.next = null; size--; return removedItem;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질문 ㅠㅠ 초보적인거라 죄송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 인터페이스에 구현된 save findById findByName findAll 이 4가지는 메서드로 정의된건가요 ...?인터페이스는 앞에 접근제어가 없이도 메서드로 정의하는게 가능한건가요 ..?
-
미해결백엔드 개발자 성능 개선 초석 다지기
프로젝트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프로젝트를 디벨롭하려고 수강한 학생입니다.현재 자바17버전을 사용하여서 프로젝트를 완료하였고 ngrinder에서 스크립트를 사용하기 위해 11버전으로 낮추었는데 프로젝트 코드의 많은 부분을 수정해야해서 17버전을 사용해서 적용할 수는 없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원자적 연산을 확실히 알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i++ 은 1줄이지만 , 2~3개의 cpu 연산이 필요하므로 원자적 연산이 아닙니다.cas 도 상식적으로는 2개 이상의 cpu 연산이 필요한데 cpu 차원에서 1개의 cpu 연산처럼 제공해주기에, 원자적 연산이라고 보는것 같습니다.아래와 같은 경우 원자적연산인데,int count = 3; 그렇다면 아래의 코드는 원자적연산인가? 생각해보면, max 값을 가져오고 그걸 대입해야 하므로 2개 이상 cpu 연산이 필요한것 같은데 확신은 들지 않습니다.int count = max; --그래서... 어디까지가 원자적 연산인지 확실히 알수 있는 방법이나 이와 관련된 스펙문서 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클래스의 관심사는 하나인게 이상적인가요?
안녕하세요. 하나의 클래스는 무조건 하나의 관심사만 가지는 것이 좋나요? 여러 가지의 관심사를 가지는 경우는 무조건 피해야 하나요? 수업에서 Client가 두 가지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고 하셨고 (PaymentService 이용해서 비즈니스 로직 처리 + PaymentService의 내부 의존관계 설정), 후자의 책임은 오브젝트 팩토리로 옮겨버리셨는데요.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관심사만 처리하도록 코드를 짜는게 좋다'라고 이해해도 괜찮을까요? 하나의 클래스가 여러 가지 관심사를 가져도 되는 경우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key value 값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key value에서 key값은 제가 임의로 설정해서 넘길수있는건가요??예를들어 지금 key의 이름이 data라고 되어있는데 그냥 key라고 설정하고 resourses에 있는 hello 파일에 있는 data를 key로 바꿔서 설정해도 괜찮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ynchronized가 붙은 메소드를 정말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리며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멀티 코어라는 가정하에, synchronized가 붙은 메소드를 정말 동시에 호출하는 경우에는 어떤 스레드가 Lock을 가져가는지 궁금합니다. 정말 동시에 호출되면 두 스레드 모두 Lock을 획득할 수 있는지 조회할 때 획득할 수 있다고 조회가 될 것 같아서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BankAccountV5 lock.unlock() 작성 여부
BankAccountV5에서 lock.tryLoc()을 사용하는 경우, lock을 얻지 못하면 WAITING하지 않고 바로 return false;하므로 finally { lock.unlock(); }라는 코드가 필요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이 코드가 꼭 필요한 코드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 db 미생성 및 NullPointerException 문의
build.grade 파일application.yml 파일Member 파일MemberRepository 파일MemberRepositoryTest 파일Assertions.assertThat 가 안되는부분은 QnA를 통해 해결하였습니다.h2 데이터베이스 접속은 되는상태이며 실행시 member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습니다.그리고 아래와 같은 NullPointerException 이 발생하여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문제 4번 관련 질문입니다.
public class ItemPrice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p<String, Integer> map = new HashMap<>(); map.put("사과", 500); map.put("바나나", 500); map.put("망고", 1000); map.put("딸기", 1000); // 코드 작성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 for (Map.Entry<String, Integer> entry : map.entrySet()) { if (entry.getValue().equals(1000)) { list.add(entry.getKey()); } } System.out.println(list); } } 여기서 entry.getValue() 의 비교를 == 으로 바꿔도 돌아가는데 상관없을까요? 객체의 경우 == 이냐, equals냐에 따라 동일성, 동등성 비교로 나뉘는거같은데 이와같이 값 비교 할 땐 둘 다 사용할 수 있는걸까요? == 을 사용해도 망고, 딸기가 출력되어 여쭤봅니다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실전 jOOQ! Type Safe SQL with Java
kotlin mapping error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ㅎㅎ자바 기반으로 강의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코틀린으로 전환하여 다시금 학습하고 있습니다.그러던 도중 매핑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움을 요청드리고자 합니다.fun findFilmWithActorList(page: Long, size: Long): List<FilmWithActor> { val FILM_ACTOR = JFilmActor.FILM_ACTOR val ACTOR = JActor.ACTOR return dslContext.select( FILM, FILM_ACTOR, ACTOR ) .from(FILM) .join(FILM_ACTOR).on(FILM.FILM_ID.eq(FILM_ACTOR.FILM_ID)) .join(ACTOR).on(ACTOR.ACTOR_ID.eq(FILM_ACTOR.ACTOR_ID)) .offset((page - 1) * size) .limit(size) .fetchInto(FilmWithActor::class.java) }코틀린에서 위의 코드처럼 TABLE.fields()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fun findFilmWithActorList(page: Long, size: Long): List<FilmWithActor> { val FILM_ACTOR = JFilmActor.FILM_ACTOR val ACTOR = JActor.ACTOR return dslContext.select( DSL.row(*FILM.fields()), DSL.row(*FILM_ACTOR.fields()), DSL.row(*ACTOR.fields()) ) .from(FILM) .join(FILM_ACTOR).on(FILM.FILM_ID.eq(FILM_ACTOR.FILM_ID)) .join(ACTOR).on(ACTOR.ACTOR_ID.eq(FILM_ACTOR.ACTOR_ID)) .offset((page - 1) * size) .limit(size) .fetchInto(FilmWithActor::class.java) }자바와 같이 TABLE.fields()를 사용하였을 때는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Caused by: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Parameter specified as non-null is null: method com.example.jooq.film.FilmWithActor.<init>, parameter film at com.example.jooq.film.FilmWithActor.<init>(FilmWithActor.kt)매핑에 문제가 있는 것 같아 아래와 같이 코드를 수정하였더니 정상 동작하였습니다.fun findFilmWithActorList(page: Long, size: Long): List<FilmWithActor> { val FILM_ACTOR = JFilmActor.FILM_ACTOR val ACTOR = JActor.ACTOR return dslContext.select( *FILM.fields(), *FILM_ACTOR.fields(), *ACTOR.fields() ) .from(FILM) .join(FILM_ACTOR).on(FILM.FILM_ID.eq(FILM_ACTOR.FILM_ID)) .join(ACTOR).on(ACTOR.ACTOR_ID.eq(FILM_ACTOR.ACTOR_ID)) .offset((page - 1) * size) .limit(size) .fetch() .map { record -> FilmWithActor( film = record.into(FILM).into(Film::class.java), filmActor = record.into(FILM_ACTOR).into(FilmActor::class.java), actor = record.into(ACTOR).into(Actor::class.java) ) } }DTO 클래스는 아래와 같습니다.data class FilmWithActor( val film: Film, val filmActor: FilmActor, val actor: Actor, ) { val filmId: Long get() = this.film.filmId!! val title: String get() = this.film.title val actorFullName: String get() = "${this.actor.firstName} ${this.actor.lastName}" }Film, FilmActor, Actor는 Flyway 기반으로 생성된 pojo 클래스들입니다. implicitPathJoin, explicitPathJoin 시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여 문의드리고자 합니다 ㅜ 위의 방법처럼 매핑할 수 있지만,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 같아 혹시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또한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8080이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 중인 것같아요
안녕하세요~localhost:8080이 사용중인 것 같습니다.처음 테스트로 실행시키고 초기화까지 된 것 같은데해당 localhost로 들어가면 로그인 화면이 뜨네요...일전에 다른 강의 보다가 다른 프로젝트를 실행시켜서 그런 것 같네요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 DB 연결시 Table not found
[질문 내용]섹션 6 JDBC 연결 과정h2 DB 연결 과정에서 h2 환경 구축, memebr 테이블 생성까지 에러없이 잘 됐구요. h2 콘솔에서도 테이블 확인 해 보면 잘 보입니다.근데 이제 강사님이 알려주신 방법대로 DB를 MemoryMemberRepository -> JdbcMemberRepository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JdbcMemberRepository 클래스 파일과 SpringConfig 파일 코드 복붙 해왔는데 실행시키면 회원가입과 회원 목록 조회시 자꾸 member라는 테이블을 못찾는 오류가 뜹니다...ㅠ 왜 그런걸까요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bat해도 실행이 안돼요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자바 배치파일이 아니라고 뜨는데 왜이러는걸까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테스트시 DB 사용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강사님께서 강의 중에 언급해주신 거 같은데 제가 이해를 잘 못해서 다시 질문드립니다. 통합 테스트 시 이전 강의에서 쌓아 둔 데이터를 DELETE query를 통해서 없애고 진행을 했는데, 그렇다면 테스트 코드와 실제 코드가 같은 DB를 공유하고 있다고 봐도 되나요? 만약 같은 DB를 공유하게 된다면, 원래 있던 데이터를 항상 날려야 되는데 문제가 생긴다고 생각이 들어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을 찾고 싶어 질문을 드렸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1강 유저 정보 가져오기에서 질문 있습니다
유저 정보를 가져올 때 orElseThrow를 사용하면 userRepository에 입력되어 있는 findByName이 Optional로 선언되어야 한다고 문구가 뜹니다!근데 Optional<User>로 바꾸면 UserServiceV2에 @Transactional public void deleteUser(String name){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name); if(user == null){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userRepository.delete(user); }user의 타입을 User로 할 수 없다고 떠서 Optional<User>로 바꾸면 userRepository.delete(user)가 파라미터가 적절하지 않다고 뜹니다ㅜㅜ일단, 구현은 하고 싶어서 userRepository에 findByName은 User 타입으로 정의하고// 4. 유저 정보를 가져온다 if(user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UserName()) == null){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else{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UserName()); // 5. 유저 정보와 책 정보를 기반으로 UserLoanHistory를 저장 userLoanHistoryRepository.save(new UserLoanHistory(user.getId(),book.getName())); }bookService를 이렇게 바꾸었는데 상관없을까요?어떤식으로 해결하는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