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인텔리제이 자바버전 17버전..
스프링 공부떄매 17버전을 쓰고있는데 17버전에서는 해당 강의들으면서 실습 불가능한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repository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김영한님 강의를 듣다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 무료 강의 수강 후 해당 강의를 JPA 기본서와 함께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repository관련해서 어떤 방식이 맞는지 헷갈려서 질문드렸습니다. 무료 강의 기준에선 repositry안에 있는 interface를 상속받아서 엔티티이름Repository형식으로 구현하셨는데 해당 JPA활용1 강의에선 상속 없이 class파일로 만들어서 어떤 방식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ui component library 관련
안녕하세요, 현재 섹션4 라벨과 컨트롤그룹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보면 ui component library 예시로 보여주셨는데 공유를 해주시는 자료인가요? 열심히 수강 중인데 제가 놓친게 있나 해서 여쭤봅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R을 R려줘] R 기초다지기
스크립트 사이드바 x 표시
rstudio에서 script의 사이드바에 잘못된 문자열을 입력하였을 때 빨간색 x가 표시가 안되는데 표시가 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나요?
-
미해결파이썬으로 영화 예매 오픈 알리미 만들기
python-telegram-bot 2021년 20 버전 이후
python-telegram-bot 20 버전부터는 비동기 프로그래밍이 적용되어 강의와는 다른 코드가 필요합니다. https://github.com/python-telegram-bot/python-telegram-bot/wiki/Introduction-to-the-API 위 깃허브 python-telegram-bot 공식 위키 페이지로 가시면 필수적이고 간단한 용례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해결됨Flutter 앱 개발 실전
riverpod 코드 변경 질문
안녕하세요. Provider 로 된 코드를 Riverpod 로 변경 해보려고 하면 벽에 부딪쳐네요. class CartService with ChangeNotifier { List<CartItem> _cartItemList = const []; List<CartItem> get cartItemList => _cartItemList; // 상품 목록 // 선택된 상품 목록 List<CartItem> get selectedCartItemList { return _cartItemList.where((cartItem) => cartItem.isSelected).toImmutable(); // cartItemList에서 isSelected 값이 true 항목만 불변 배열로 반환하는 Getter를 구현 } // 상품 추가 void add(CartItem newCartItem){ _cartItemList = [..._cartItemList, newCartItem].toImmutable(); notifyListeners(); } // 상품 수정 void update(int selectedIndex, CartItem newCartItem) { _cartItemList = _cartItemList.asMap().entries.map((entry) { return entry.key == selectedIndex ? newCartItem : entry.value; }).toImmutable(); notifyListeners(); /*** * 업데이트하고 싶은 항목의 인덱스인 selectedIndex에 해당하는 항목을 * 새로운 newCartItem으로 변경하여 새로운 불변 배열을 생성하도록 구현 */ } // 상품 삭제 void delete(List<CartItem> deleteList){ _cartItemList = _cartItemList.where((cartItem) { return !deleteList.contains(cartItem); }).toImmutable(); notifyListeners(); /*** * 삭제하고 싶은 목록을 deleteList로 전달받고, * 해당 배열에 들어있지 않은 CartItem만 남긴 불변 배열을 생성하도록 구현 */ } } 위 코드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고자 일부 구현을 해보고 있습니다. 틀린 부분 수정 및 상품 수정 코드를 어떻게 추가해야 될까요?final cartProvider = NotifierProvider<CartNotifier, List<CartItem>>(CartNotifier.new); class CartNotifier extends Notifier<List<CartItem>> { @override List<CartItem> build() => const []; // 상품 목록 // 상품 추가 void add(CartItem newCartItem){ state = [...state, newCartItem]; // state 는 immutable 데이터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state 를 변경할 수 없다. } // 상품 삭제 void delete(List<CartItem> deleteList){ state = state.where((cartItem) => cartItem != deleteList).toList(); } // 상품 수정 void update(int selectedIndex, CartItem newCartItem) { // CartItem 에 유니크한 id 값이 없는 거 같고, 선택한 index 값으로 찾아서 update 해야 하는데 모르겠음. } /* state = [ for (final item in state) if (item.id == id) newCartItem else item, ]; */ // 선택된 상품 목록 List<CartItem> get selectedCartItemList { return state.where((cartItem) => cartItem.isSelected).toList(); } }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Content Brower 안뜨게 할순 없을까요?
안녕 하세요.언리얼 엔진을 처음에 구동하면Content Brower이 자동으로 뜹니다.이거 안뜨게 할순 없을까요?언리얼 에디터만 떴으면 좋겠습니다.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Exception Filter편에서 POST할 때 EntityMetadataNotFoundError에러가 납니다.
// users.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UsersService } from './users.service'; import { UsersController } from './users.controller';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import { Users } from '../entities/Users'; @Module({ imports: [TypeOrmModule.forFeature([Users])], providers: [UsersService], controllers: [UsersController], }) export class UsersModule {}// app.module.ts import { MiddlewareConsumer,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import { ConfigModule } from '@nestjs/config'; import { LoggerMiddleware } from './middlewares/logger.middleware'; import { UsersModule } from './users/users.module'; import { WorkspacesModule } from './workspaces/workspaces.module'; import { ChannelsModule } from './channels/channels.module'; import { DmsModule } from './dms/dms.module'; import { UsersService } from './users/users.service'; import * as process from 'process';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import { Users } from './entities/Users'; @Module({ imports: [ ConfigModule.forRoot({ isGlobal: true }), UsersModule, WorkspacesModule, ChannelsModule, DmsModule, TypeOrmModule.forRoot({ type: 'mysql', host: 'localhost', port: 3306, username: process.env.DB_USER, password: process.env.DB_PW, database: process.env.DB_NAME, entities: ['./entities/*.{js,ts}'], synchronize: false, logging: true, keepConnectionAlive: true, migrations: [__dirname + '/src/migrations/*.ts'], }), TypeOrmModule.forFeature([Users]), ],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UsersService], }) export class AppModule { configure(consumer: MiddlewareConsumer): void { consumer.apply(LoggerMiddleware).forRoutes('*'); } }// users.controller.ts import { Body, Controller, Post, Get, Req, Res, UseInterceptors,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iOperation, ApiResponse, ApiTags } from '@nestjs/swagger'; import { JoinRequestDto } from './dto/join.request.dto'; import { UsersService } from './users.service'; import { UserDto } from '../common/dto/user.dto'; import { User } from '../common/decorators/user.decorator'; import { UndefinedToNullInterceptor } from '../common/interceptors/undefinedToNull.interceptor'; @UseInterceptors(UndefinedToNullInterceptor) @ApiTags('USER') @Controller('api/users') export class Users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usersService: UsersService) {} //..... @ApiOperation({ summary: '회원가입' }) @Post() async join(@Body() body: JoinRequestDto) { await this.usersService.join(body.email, body.nickname, body.password); }import { HttpException,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InjectRepository } from '@nestjs/typeorm'; import { Repository } from 'typeorm'; import { Users } from '../entities/Users'; import bcrypt from 'bcrypt'; @Injectable() export class UsersService { constructor() {} @InjectRepository(Users) private usersRepository: Repository<Users>; getUser() {} async join(email: string, nickname: string, password: string) { const user = this.usersRepository.findOne({ where: { email } }); if (!email) { throw new HttpException('이메일이 없습니다.', 400); } if (!nickname) { throw new HttpException('닉네임이 없습니다.', 400); } if (!password) { throw new HttpException('비밀번호가 없습니다.', 400); } if (user) { throw new HttpException('이미 존재하는 사용자입니다.', 400); } const hashedPassword = await bcrypt.hash(password, 12); await this.usersRepository.save({ email, nickname, password: hashedPassword, }); } }// a-nest/src/entities/Users.ts import { Column, Entity, Index, OneToMany,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import { Channelchats } from "./Channelchats"; import { Channelmembers } from "./Channelmembers"; import { Dms } from "./Dms"; import { Mentions } from "./Mentions"; import { Workspacemembers } from "./Workspacemembers"; import { Workspaces } from "./Workspaces"; @Index("email", ["email"], { unique: true }) @Entity("users", { schema: "sleact" }) export class Users { @PrimaryGeneratedColumn({ type: "int", name: "id" }) id: number; @Column("varchar", { name: "email", unique: true, length: 30 }) email: string; @Column("varchar", { name: "nickname", length: 30 }) nickname: string; @Column("varchar", { name: "password", length: 100 }) password: string; @Column("datetime", { name: "createdAt" }) createdAt: Date; @Column("datetime", { name: "updatedAt" }) updatedAt: Date; @Column("datetime", { name: "deletedAt", nullable: true }) deletedAt: Date | null; @OneToMany(() => Channelchats, (channelchats) => channelchats.user) channelchats: Channelchats[]; @OneToMany(() => Channelmembers, (channelmembers) => channelmembers.user) channelmembers: Channelmembers[]; @OneToMany(() => Dms, (dms) => dms.sender) dms: Dms[]; @OneToMany(() => Dms, (dms) => dms.receiver) dms2: Dms[]; @OneToMany(() => Mentions, (mentions) => mentions.sender) mentions: Mentions[]; @OneToMany(() => Mentions, (mentions) => mentions.receiver) mentions2: Mentions[]; @OneToMany( () => Workspacemembers, (workspacemembers) => workspacemembers.user ) workspacemembers: Workspacemembers[]; @OneToMany(() => Workspaces, (workspaces) => workspaces.owner) workspaces: Workspaces[]; } 서버 실행 후 http://localhost:3002/api/users URL로 빈 값을 POST로 보내면 콘솔창에 400 이메일이 없습니다. 라는 문구가 뜬 이후에C:\Users\xxx\Documents\Project\NestProject\a-nest\src\data-source\DataSource.ts:448 if (!metadata) throw new EntityMetadataNotFoundError(target) ^ EntityMetadataNotFoundError: No metadata for "Users" was found. at DataSource.getMetadata (C:\Users\xxx\Documents\Project\NestProject\a-nest\src\data-source\DataSource.ts:448:30) at Repository.get metadata [as metadata] (C:\Users\xxx\Documents\Project\NestProject\a-nest\src\repository\Repository.ts:53:40) at Repository.findOne (C:\Users\xxx\Documents\Project\NestProject\a-nest\src\repository\Repository.ts:597:42) at UsersService.join (C:\Users\xxx\Documents\Project\NestProject\a-nest\src\users\users.service.ts:13:39) at UsersController.join (C:\Users\xxx\Documents\Project\NestProject\a-nest\src\users\users.controller.ts:37:29) at C:\Users\xxx\Documents\Project\NestProject\a-nest\node_modules\@nestjs\core\router\router-execution-context.js:38:29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5:5)위와 같이 EntityMetadataNotFoundError에러가 발생합니다. DB 커넥션 부분도 확인해보고, entities 부분이 문제인가 싶어 아래와 같이 변경도 해보았지만TypeOrmModule.forRoot({ entities: ['./entities/*.{js,ts}'], ],해결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추가적으로 \data-source\DataSource.ts 부분과\repository\Repository.ts부분은 실제 디렉토리에 없는 것들인데 왜 뜨는지도 모르겠습니다.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output에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output에 출력이 되지 않고, memory 창에도 어드레스가 없다고 나오는데 해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ㅠㅠ
-
해결됨[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타이틀바
저 앱실행시킬때 타이틀바를 없애는 부분을 보고있는데요. 저는 앱실행시키면 처음부터 타이틀 바가 안나오고 theme.xml도 영상과는 다르게 되어 있는데 그럼 굳이 안해도 상관 없는건가요?버전은 androidstudio hedgehog입니다.
-
해결됨CUDA 프로그래밍 (1) - C/C++/GPU 병렬 컴퓨팅 - CUDA 커널 kernel
hello-prrallel.cu 의 병렬처리에 관하여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병렬처리라면 일반적으로 다른 쓰레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수행이 될거라 생각이 됩니다.예제 코드에서 hello<<<1,8>>>();을 이용하여 쓰레드 8개를 병렬로 돌리는데 출력된 값은hello CUDA 0!hello CUDA 1!hello CUDA 2!,,,hello CUDA 7!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병렬로 처리된다면 출력 되는 숫자가 순차적으로 나올 수 없는 것 아닌가요?
-
해결됨곰책으로 쉽게 배우는 최소한의 운영체제론
멀티스레딩
안녕하세요, 선생님.(참고로 저는 C++언어를 모릅니다..)"멀티스레딩과 동기화 기본"강의에서main 함수가 부모 프로세스이고 차일드 프로세스로 별개의 프로세스고threadFuncton01,02,03은 하나의 _beginthread로 인해 멀티 스레딩이 되고 하나의 프로세스안에 threadFunction01,02,03이 있는 걸로 이해했습니다.맞을까요 ? Q1) Sleep()함수가 없을 때, threadFunction01,02,03이 실행되기도 전에 main함수가 종료되었는데, 그래서 threadFunction01,02,03이 실행이 되지 못해서 end가 안찍혔는데, main함수가 종료되었는데 threadFunction01이 나중에 종료될 수 있는지도 ... 설명 부탁드립니다.. Q2) 저는 큐가 한 개인 걸로 이해했는데요, 큐에 main함수 스레드를 m-1, threadFunction함수 스데드를 t-1, t-2, t-3로 한다면, [m-1, t-1, t-2, t-3] 순으로 큐에 있다가 sleep 때문에 m-1이 큐에서 빠졌다가 100ms 지나서 되돌아 올 때, 코어가 8개니까.. t-1, t-2, t-3가 임의의 코어가 나눠가졌는데.. 그 코어의 스케쥴링에 따라서 운이 좋게 t-3가 먼저 실행되어서 순서가 threandFunction01,03,02로 출력된 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Q3) 큐에 스레드가 쌓일 때, 함수의 실행 순서랑은 상관 없이 쌓이는 건가요...? Q4) 스레드의 실행 순서는 알 수 있다면.. 프로세스는 순서대로 실행되나요..?
-
해결됨손에 익는 Next.js - 공식 문서 훑어보기
SSR과 RSC의 차이점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기존의 Server Side Rendering(SSR)과 다른 점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SSR은 서버에서 페이지 단위로 정적인 리소스를 생성하지만 RSC는 컴포넌트 단위로 정적인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여기서 RSC의 가장 큰 장점이 나옵니다. 클라이언트로 내려보내는 JavaScript 번들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죠.라고 하셨는데, RSC가 단순 컴포넌트 단위로 정적인 리소스를 생성한다고 해서 왜 SSR보다 클라이언트로 내려보내는 JS 번들 크기를 줄일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AWS 배포 완벽가이드 (feat. Lightsail, Docker, ECS)
https 적용(SSL/TLS 인증서 발급)과 비용에 관련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AWS를 통한 SSL/TLS 인증서 발급에 대해 한 가지 의문이 들어서 질문 남깁니다.SSL/TLS 인증서는 CA(인증기관)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고,CA는 도메인과 소유자의 세부 정보를 확인하고 '이 웹사이트는 믿을 수 있음'이란 의미로 인증서를 발급해주는 기관이며,AWS는 CA 중 하나로서 도메인과 SSL/TLS 인증서를 판매할 수 있다고 이해했는데요,의문이 생기는 지점은 AWS가 이 SSL/TLS 인증서를 무료로 발급해준다는 점입니다.유/무료 인증서의 차이는 유료 인증서가 웹사이트에 대해 더 높은 신뢰를 보장하고, 보안 사고에 대해 보상금을 지급할 의무를 지는 반면 무료 인증서는 그런 제약이 없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DNS 검증만 통과하면 AWS에서 인증서가 발급되고, 어떤 보안 사고에 대한 보장 같은 건 언급이 되어 있지 않으니... AWS에서 발급받은 인증서를 예를 들면 회사 홈페이지 도메인에 적용해도 되는 걸까요?무료라고 해도 그 AWS가 '신뢰할 수 없는' 것을 제공할 것 같지는...? 않아서 아리송합니다.강의 내용을 좀 벗어나는 것 같긴 하지만ㅠㅠ 여기저기 검색을 해봐도 적절한 답변을 찾을 수가 없어서요.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11:54초에 보면 HandlerAdapter에 의해서 handle 메소드가 실행되고, 우리가 앞서 정의했던 핸들러가 호출이되는데 여기서 핸들러 어댑터 안에 있는 ((HttpRequestHandler) handler).handleRequest(request,response); 이 부분은 우리가 메소드를 스프링 빈에 등록해서 생성된 것인가요? 아니면 우리가 메소드 이름을 일부러 맞춰준건가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강의교재126 int형 우선순위큐
while(pq.size()){ cout << pq.top() << " : " << pq2.top() << " : " << pq3.top() << '\n'; pq.pop(); pq2.pop(); pq3.pop(); } 이코드에서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pq.size()는 5이고 참이니깐 while문 안에있는 조건은 계속 돌아가서 무한루프가 되는게 아닌가요?그리고 코드마지막에 있는 pq.pop(); pq2.pop(); pq3.pop(); 는 왜 한번씩 더 써주는건가요? 위에 있는 코드로도 충분하지 않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num
짧은 지식이지만 db에서 enum을 사용을 줄이라고 알고 있는데 엔티티에서 enum타입으로 필드를 구성해도 크게 영향이 없나요?? 프로젝트 중인데 엔티티의 상태코드 타입을 String으로 할지 eunm으로 할지 고민입니다.엔티티에서 언제 enum타입을 사용할지 String타입을 사용할지 기준이 무엇인지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공주 구하기 문제 풀이 시간 복잡도 질문
안녕하세요 제가 푼 코드와 강의의 풀이가 차이가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문제를 풀어 봤는데요. 강의와 제 풀이의 시간 복잡도가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제 풀이는 while문이 하나 있으니 O(n)으로 표시하면 되는 것일까요? 강의 풀이는 while문 안에 for문이 있는데 그럼 O(n^2) 인건가요? 아니면 K를 상수로 보고 O(n) 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걸까요..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k) { int answer = 0;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for (int i = 1; i <= n; i++) { queue.add(i); } int cnt = 1; while (queue.size() > 0) { if (cnt == k) { answer = queue.poll(); cnt = 1; } else { queue.add(queue.poll()); cnt++; } } return answer; } 두 코드 중 어떤 것이 더 효율적인 코드인지 궁금합니다. 실행 시간을 비교해서 더 짧게 나오는 것이 효율적인 코드라고 봐도 되는 걸까요?
-
미해결
빈 직접 등록 후 테스트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입문 강의를 들으면서 같이 코딩하는 중인데 여쭈어 보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빈을 직접 SpringConfig에 등록했고, Service나 Repository에서 @Service, @Repository 등등 어노테이션을 제거까지는 잘 따라했습니다. 강사님이 친절하게 알려주셨기 때문에 서버도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문제는 전에 했던 MemberServiceTest에서 테스트를 돌릴 때 NullPoint 오류가 뜨고 있습니다. 훨씬 전에 했던 MemoryMemberRepositoryTest 클래스에선 아래처럼 등록했기에 오류가 없었습니다.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만약 직접 빈을 등록 한 뒤 테스트를 돌려보려면 memberService나 memberRepository는 위처럼 new 로 생성해주어야 하나요??class MemberServiceTest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테스트 코드 }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엑셀자동화다 - 기본편
네이버 자동화 실습 관련 질의
Copy Selector를 이용하여 받는사람 구역의 Selector를 복사해서 가져왔으나 코드 실행 중 에러가 발생합니다. no such element라는 것으로 보아 Selector를 못받는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될까요?driver.find_element(By.CSS_SELECTOR,"#recipient_input_element").send_keys("xxxx@naver.com") time.sleep(0.5)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File "c:\Excel\02. 데스크탑 자동화\2.네이버 로그인 자동화.py", line 44, in <module>driver.find_element(By.CSS_SELECTOR,"#recipient_input_element").send_keys("xxxx@naver.com")^^^^^^^^^^^^^^^^^^^^^^^^^^^^^^^^^^^^^^^^^^^^^^^^^^^^^^^^^^^^^^^File "C:\Users\thkim\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2\Lib\site-packages\selenium\webdriver\remote\webdriver.py", line 742, in find_elementreturn self.execute(Command.FIND_ELEMENT, {"using": by, "value": value})["value"]^^^^^^^^^^^^^^^^^^^^^^^^^^^^^^^^^^^^^^^^^^^^^^^^^^^^^^^^^^^^^^^^^File "C:\Users\thkim\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2\Lib\site-packages\selenium\webdriver\remote\webdriver.py", line 348, in executeself.error_handler.check_response(response)File "C:\Users\thkim\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2\Lib\site-packages\selenium\webdriver\remote\errorhandler.py", line 229, in check_responseraise exception_class(message, screen, stacktrace)selenium.common.exceptions.NoSuchElementException: Message: no such element: Unable to locate element: {"method":"css selector","selector":"#recipient_input_element"}(Session info: chrome=120.0.6099.217); For documentation on this error, please visit: https://www.selenium.dev/documentation/webdriver/troubleshooting/errors#no-such-element-exceptionStacktrace:GetHandleVerifier [0x00007FF675932142+3514994](No symbol) [0x00007FF675550CE2](No symbol) [0x00007FF6753F76AA](No symbol) [0x00007FF675441860](No symbol) [0x00007FF67544197C](No symbol) [0x00007FF675484EE7](No symbol) [0x00007FF67546602F](No symbol) [0x00007FF6754828F6](No symbol) [0x00007FF675465D93](No symbol) [0x00007FF675434BDC](No symbol) [0x00007FF675435C64]GetHandleVerifier [0x00007FF67595E16B+3695259]GetHandleVerifier [0x00007FF6759B6737+4057191]GetHandleVerifier [0x00007FF6759AE4E3+4023827]GetHandleVerifier [0x00007FF6756804F9+689705](No symbol) [0x00007FF67555C048](No symbol) [0x00007FF675558044](No symbol) [0x00007FF6755581C9](No symbol) [0x00007FF6755488C4]BaseThreadInitThunk [0x00007FFA3FB2257D+29]RtlUserThreadStart [0x00007FFA40FEAA5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