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 -ORDER 테이블 에서 JoinColumn 에 관련
Member.java@OneToMany @JoinColumn(name="member") private List<Order> orders = new ArrayList<>();Order.java@ManyToOne @JoinColumn(name="member_id") //맵핑할 컬럼 private Member member;Member 의 joinColumn 은 member 객체 자체이고 Order의 joinColumn은 db의 컬럼 명인데 member 의 joinColumn 을 member_id, 즉 db의 컬럼명으로 또는 그냥 id 라고 하면 안되나요? 안된다면 이유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PDF DB 다이어그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DF에 나와 있는 DB 다이어그램 어떤 사이트나 프로그램 사용하셔서 만든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부트 실행이 안됩니다.
[질문 내용]강의 보면 이상한게 떠서 그거 누르면 실행이 되던데 저는 그런게 뜨지않아요 도와주세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detach(entity) 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em.detach(entity) 을 할 경우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 캐시에서 entity도 날라가고 쓰기 지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던 entity에 의해 발생한 변경 관련 쿼리문도 삭제 되는건가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에서 쿼리 보내는 시점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수정, 삭제, 삽입 같은 경우에는 데이터 변경이라 영속성 컨텍스트의 쓰기 저장소에 보관되어 있다가 커밋 직전에 한번에 보내지는 반면 em.find()를 통해 발생하는 조회 쿼리는 find() 사용시 바로 디비에 전송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em.find()를 통해 발생한 조회 쿼리는 트랜잭션 커밋 종료에 상관없이 디비에 바로바로 전송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테스트 코드 문의
DTO 쿼리 작성 시 join fetch로 작성하는 경우는 에러가 발생하고 join으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는데요. join fetch의 개념은 결국 지연로딩을 작동시키지 않고 한 번에 연관된 것들 다 가져온다는 것인데 왜 여기선 안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엔티티 @Query문하고 DTO @Query 테스트 코드를 돌렸는데 서로 영향을 미쳐 테스트가 실패라고 뜹니다. @Transactional을 붙여 롤백이 되게끔 하여 해결은 했지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스프링 데이터 JPA 테스트를 돌릴 때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 붙이면 자동으로 롤백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package study.springdatajpa.repository;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udy.springdatajpa.domain.Member; import study.springdatajpa.domain.Team; import study.springdatajpa.dto.MemberDto; import java.util.List; @SpringBootTest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TeamRepository team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void testQuery() { Member m1 = new Member("AAA", 10); Member m2 = new Member("BBB", 20); memberRepository.save(m1); memberRepository.save(m2); List<Member> result = memberRepository.findUser("AAA", 10); Assertions.assertThat(result.get(0)).isEqualTo(m1); } @Test @Transactional void testDtoQuery() { Team team = new Team("teamA"); teamRepository.save(team); Member m1 = new Member("AAA", 10); Member m2 = new Member("BBB", 20); m1.setTeam(team); m2.setTeam(team); memberRepository.save(m1); memberRepository.save(m2); List<MemberDto> dtoList = memberRepository.findUserDto(); Assertions.assertThat(dtoList.size()).isEqualTo(2); }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양방향 매핑 제거시 - fetch join/enityGraph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모르겠습니다..ㅜㅜ 안보이더라고요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사님 fetch join과 entityGraph에 대해서 공부를 해서, 연관된 객체에 대해서 가져올때, fetch join을 통해서 한방에 가져오는 법을 배웠는데, 만약 양방향 매핑을 풀고, 단방향 매핑으로 코드를 작성하려고 하는데, @Data @NoArgsConstructor @Entity(name ="team") public class TeamJpa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tea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myTeamId") private List<MemberJpaEntity> memberJpaEntityList = new ArrayList<>(); } ---------- @Data @NoArgsConstructor @Entity(name = "user") public class MemberJpa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us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myTeamId; }일때, 양방향 매핑을 끊어서, 단반향 매핑만 되게끔 수정을 했는데, 이렇게 되면 패치조인을 못 하지않나여? 궁금해서 질문을 올립니다...ㅜ 순환참조를 삭제하려고 없애고, TeamJpaRepository.findById(teamId)로 팀이 필요할때 조회할 수 있게 만들었는데, 한방으로는 못 가져오나여?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Run JpashopApplication 시간 초과
안녕하세요, 마지막 커리큘럼 웹계층 강의를 따라하면서 JpashopApplication.main()을 실행시켰는데 5분이 지나도 계속 실행중이고 콘솔도 어느 지점에서 멈춰서 해결방법 질문드립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vK3NAMKt6E7nTU69Rb0F6qELZEF3pCwU/view?usp=drive_link -실행 중지시키면 아래와 같이 뜨는데 제가 빨간색 강조해놓은 부분이 원인일까요? Execution failed for task ':JpashopApplication.main()'.> Build cancelled while executing task ':JpashopApplication.main()'*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8/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BUILD FAILED in 5m 56s3 actionable tasks: 2 executed, 1 up-to-date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Querydsl) orderby 에 집계함수
영한님 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는데, 서브쿼리를 사용하려다.. where, having절에만 사용가능하기에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다가 질문드립니다.. <문제>현재 엔티티는Post(게시글) 엔티티 필드 : postId, content, createdAt , 조회수,댓글 수, 좋아요 수Post view(게시글 조회) 엔티티 필드 : postViewId, user,post, 조회수,댓글수,좋아요수이렇게 있습니다. ( post view 엔티티는 특정 유저그룹이 어떤 게시글을 본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그 히스토리를 통해 게시글의 인기도를 측정하기 위함입니다.)이러한 상황에서 ,게시글의 조회수, 댓글 수, 좋아요 수, 특정 유저그룹이 해당 게시글을 조회한 수, 특정 유저그룹이 해당 게시글에 댓글 단 수, 특정 유저그룹이 해당 게시글에 좋아요한 수 로 정렬하고, (where 조건 절은 다 구현됐다는 가정)groupby는 게시글의 pk 로만 하지만, 실제로 dto에 projections.bean()활용해서 매핑할 필드들은 content, createdAt 등 여러가지 컬럼이 추가로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라면, 우선 특정 유저그룹이 해당 게시글에 댓글 단 수, 특정 유저그룹이 해당 게시글에 좋아요한 수로 정렬하려면, 집계함수 sum을 활용해야하기 때문에 orderby절에 집계함수가 써야하고, 그러면 당연히 groupby를 써야하는데 이 때, post의 모든 필드들로 groupby 하는 것보다 pk로만 group by하는게 의미 있다고 생각해서 select 절에는 select postId 만 올 수 있을텐데그렇다면 이 postId의 리스트를 받아서 다시 이 postId로 다시 post entity를 조회해서 나머지 content, createdAt 값을 받는것이 최선일까요?(이 방법도 그런데 정렬이 유지되지않아서 결국 다시 집계함수로 정렬해야만할까요?) 이렇게 하면 두 번 쿼리를 날리기 때문에 별로 좋지 않은 방법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지만 jpa는 from 절 서브쿼리를 지원하지않고, 다른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여쭤봅니다. 조금 중구난방으로 질문한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영한님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19강 질문
1. 유저 컨트롤러에서 jdbc를 설정해준적이 없다고 하셨는데 여기서 jdbc클래스설정 이라는게 무슨말인가요?jdbc에 대한 생성자를 말하는건가오?생성자를 설정안해 줘서 탬플릿을 설정안해준거라면 userservice나 userRepositry 모두 다 템플릿에 대해 설정 안해줬는데 저 둘은 스프링빈도 아닌데 어떻게 jdbc템플릿 가져온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getter메소드에 락관리
3:05에서 getBalance()에서 계속 동시성 관리를 하는 이유가 메모리가시화 문제 때문인가요? 만약 그런거라면 앞으로 멀티스레드환경에 노출된 인스턴스변수들은 단순 반환만하는 getter메소드에서도 무조건 volitile이나 락관리를 해야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타입과 불변객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임베디드 타입과 그 후 강의 값 타입과 불변 객체를 들으면서 궁금증이 생겨 게시판에 올립니다. 임베디드 타입에서 엔티티를 가질 수도 있다고 되어있는데 임베디드 타입의 역할은 단순한 값을 나타내기 위한 용도로 불변 객체로 설계되어야한다고 배웠습니다(다음 강의). 근데 만약 임베디드 타입안에 엔티티를 넣으면 불변 객체의 특성이 깨지는거 아닌가요...? 만약 엔티티를 넣으려면 엔티티 또한 수정자를 제거해서 불변 객체로 만들어야할거 같은데 이렇게 설계를 하는 이유를 정확히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임베디드 타입안에 엔티티를 넣으면 좋은 이점 등을 모르겠습니다). 또한 임베디드 타입 안에 엔티티를 넣는 예제를 따로 생각해도 떠오르지 않네요.. 실무에서 이런 경우가 많이 있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가 있는 엔티티 save 시 영속성 관련 질문입니다.
save를 통해 A라는 엔티티를 하나 저장하려고 합니다.그 엔티티는 ManyToOne으로 B라는 엔티티와 연관관계를 맺고 있습니다.A를 save할 때, B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어야 하는 상태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질문
이런 문제들 너무 너무 좋은데, 혹시 영한님이 직접 손수 만드신 문제인가요?아니면 이런 문제들 풀 수 있는 전문적인 사이트라던가 참고할수 있는 링크나 문제집이나 강의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 연결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현재 H2 database에 연결하고 목록을 확인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자꾸 회원목록을 들어가거나 회원가입을 실행시 whitelabel 에러가 뜹니다. 제 생각으로는 H2 DB와의 연결 상태때문인 것 같은데, spring boot 실행중에는 아무런 에러가 뜨질 않습니다. 스프링 3.0이상을 사용해서 H2버전 문제인것 같아 1.4.200에서 최신버전을 써보았는데도 똑같은 결과가 나옵니다.밑에 프로젝트 파일 링크 공유드립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Wg2OAv5FmdglAZDtUCYDypa1cprIUTda/view?usp=drive_link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 gradle 파일 질문
안녕하세요 스프링부터 3.x 버전대 이상 그래들 설정에서clean {delete file('src/main/generated')} 요부분 은 먼 기능이고 왜넣은건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stack의 괄호문자제거 문제, 질문 이제안보시나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문제 조건에서 소괄호 사이의 존재하는 문자는 제거한다고 했는데 만약 소괄호 쌍이 안맞고 '(' 나 ')'가 남게되는 경우는 감안을 안해도되는건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ServiceTest 실패
OrderServiceTest에서 assertEquals("주문 가격은 가격 * 수량이다")에서 실패가 뜨는데 원인을 찾기 어려워 질문 드립니다. 26000원이 나와야 하는데 0원이 나와서.. 총 가격을 구하는 for문이 안 돌아갔나 싶은데 코드에 오류는 없는 것 같아서 원인을 찾기 어렵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SSJFsd6F2hikp7T3MONt5QvklxY-EX3B/view?usp=sharing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LockSupport.park()의 isInterrupted()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님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바보 같은 질문일 수 있지만, Thread.sleep()과는 다르게 LockSupport.park()는 interrupt()를 이용해서 깨어나도 isInterrupted()가 true인 이유가 궁금합니다.그냥 단순히 InterruptedException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일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Batch size의 작동 순서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프록시 부분도 있어 조금 복합적이긴 한데 Batch size의 작동 순서가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예를 들어 수업과 같이 Member 엔티티는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TEAM_ID") Team team; }Team 엔티티는 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BatchSize(size = 100)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위와 같다고 할때select t from Team t해당 JPQL로 Team 엔티티들을 조회한다면 t.members의 객체들은 프록시로 존재하여 id 값만을 가지게 되고for (Team result : resultList) { 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getMembers().size()); for (Member member : result.getMembers()) { System.out.println("member = " + member); } }이 처럼 실행하면서 result.getMembers()가 처음 호출 될때select m1_0.TEAM_ID, m1_0.id, m1_0.age, 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TEAM_ID in (?, ?...)다음과 같은 쿼리를 호출해 Member 프록시들의 target에 알맞게 주입 해주게 되나요? 이 부분이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