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모두를 위한 파이썬 : 필수 문법 배우기 Feat. 오픈소스 패키지 배포 (Inflearn Original)
에러발생합니다2
#Context Manager and Contextlib, __enter__,__exit__ #Ex1 import time class ExcuteTimer(object): def __init__(self,msg): self._msg=msg def __enter__(self): self._start=time.monotonic() return self._start def __exit__(self,exc_type,exc_value,exc_traceback): if exc_type: print("Logging exception {}".format((exc_type,exc_value,exc_traceback))) else: print("{} {} s".format(self._msg, time.monotonic()-self._start)) return True with ExcuteTimer('Start! job') as v: print('Received start monotonic1:{}'.format(v)) for i in range(1000000): pass raise Exception('Raise! Exception!')
-
미해결모두를 위한 파이썬 : 필수 문법 배우기 Feat. 오픈소스 패키지 배포 (Inflearn Original)
Error발생합니다1
file=open('./testfile1.txt','w') try: file.write('Context Manager Test1 \nContextlib Test1.') finally: file.close() #Resource Allocated and return with open('./testfile2.txt', 'w') as f: f.write('Context Manager Test2\nContextlib Test2.') #EX3 Use class and Context Manager with exception Handling #class Enter and Exit MEthod class MyFileWriter: def __init__(self, file_name,method): print('MyFileWriter started : __init__') self.file_obj=open(file_name,method) def __enter__(self): print("MyFileWriter started : __enter__") return self.file_obj def __exit__(self,exc_type,value,trace_back): print("MyFileWriter started: __exit__") if exc_type: print('Logging exception {}'.format((exc_type,value,trace_back))) self.file_obj.close() with MyFileWriter('./testfile3.txt','w') as f: f.write('Conetext Manager Test3\nContextlib Test3.')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19:55초정도에 3명의 사용자중 메세지를 보낼려는 사용자가 "enter_room"에 메세지를 보내는데
아마 강사님 실수인듯합니다.User 1이 enter_room에 2번 채팅방에 참여 한다고 메세지를 보내는데 "enter_chat"이 맞습니다! 제가 실험 해보니까 결국 enter_chat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경우에 다른 사용자가 보낸 message를 제대로 리시브 받지 못하더라고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쿼리러너관련질문
안녕하세요쿼리러너 관련 질문드립니다 코멘트 생성시 Pid 에 일부러 엉뚱한 값을 넣는 경우QueryRunner를 쓰고 안쓰고에 차이가 있더라구요. 예를들어this.commentService.ceateComment(dto, pId, user, qr);qr repository 를 일부러 사용하지 않게 조작하면 pid 에 이상한 값을 넣어도 valitation 없이 create 가 되었는데Qr 을 넘겨주는 순간 아래와 같이 유효하지 않은 pk 에 대해 조작하려고 한다는 validation 을 해주더라구요. { "path": "/posts/{엉뚱한 값}/comments", "statusCode": 500, "message": "insert or update on table \"comment\" violates foreign key constraint \"FK_94a85bb16d24033a2afdd5df060\"", "timestamp": "1/21/2024, 4:06:08 PM"} 이런 차이는 어디서 나는것일지, 이런것들도 Query Runner 의 역할인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게임 엔진을 지탱하는 게임 수학
게임 엔진 개발과 게임 개발 수학
게임 엔진 개발과 게임 개발에서 수학은이 강의 수학만 알아도 문제가 없나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스프링 적용부터 오류가 납니다.
스프링 부트 섹션2 수업 듣고 있었는데 스프링을 적용하면서 부터 이런 오류가 납니다. 21-Jan-2024 15:54:59.610 INFO [main] org.apache.catalina.core.AprLifecycleListener.lifecycleEvent 프로덕션 환경들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APR 기반 Apache Tomcat Native 라이브러리가, 다음 java.library.path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C:\Program Files\Java\jdk-17\bin;C:\WINDOWS\Sun\Java\bin;C:\WINDOWS\system32;C:\WINDOWS;C:\Program Files (x86)\NAT Service;C:\Windows\system32;C:\Windows;C:\Windows\System32\Wbem;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C:\Windows\System32\OpenSSH\;C:\Program Files\NVIDIA Corporation\NVIDIA NvDLISR;C:\WINDOWS\system32;C:\WINDOWS;C:\WINDOWS\System32\Wbem;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C:\WINDOWS\System32\OpenSSH\;C:\Program Files\nodejs\;C:\Program Files\Git\cmd;C:\Program Files\Java\jdk-17\bin;C:\Users\LNH\AppData\Local\Microsoft\WindowsApps;C:\Users\LNH\AppData\Local\Programs\Microsoft VS Code\bin;C:\Users\LNH\AppData\Roaming\npm;C:\Program Files\nodejs;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2023.2.2\bin;;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3.2.2\bin;;C:\Users\LNH;C:\Program Files\Java\jdk-17\bin;;C:\Program Files (x86)\ESTsoft\ALSee\x64;.]21-Jan-2024 15:54:59.864 INFO [main]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init 프로토콜 핸들러 ["http-nio-8080"]을(를) 초기화합니다.21-Jan-2024 15:54:59.883 INFO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load [507] 밀리초 내에 서버가 초기화되었습니다.21-Jan-2024 15:54:59.925 INFO [main]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startInternal 서비스 [Catalina]을(를) 시작합니다.21-Jan-2024 15:54:59.926 INFO [main]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startInternal 서버 엔진을 시작합니다: [Apache Tomcat/10.1.18]21-Jan-2024 15:54:59.940 INFO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 배치 descriptor [C:\Users\LNH\.SmartTomcat\server\server\conf\Catalina\localhost\ROOT.xml]을(를) 배치합니다.21-Jan-2024 15:55:00.118 SEVERE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 배치 descriptor [C:\Users\LNH\.SmartTomcat\server\server\conf\Catalina\localhost\ROOT.xml]을(를) 배치하는 중 오류 발생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자식 컨테이너를 시작하는 중 오류 발생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addChildInternal(ContainerBase.java:686)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addChild(ContainerBase.java:658)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addChild(StandardHost.java:712)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HostConfig.java:643)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run(HostConfig.java:1939)at java.base/java.util.concurrent.Executors$RunnableAdapter.call(Executors.java:539)at java.base/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264)at org.apache.tomcat.util.threads.InlineExecutorService.execute(InlineExecutorService.java:75)at java.base/java.util.concurrent.AbstractExecutorService.submit(AbstractExecutorService.java:123)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s(HostConfig.java:536)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Apps(HostConfig.java:426)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start(HostConfig.java:1661)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lifecycleEvent(HostConfig.java:309)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fireLifecycleEvent(LifecycleBase.java:114)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etStateInternal(LifecycleBase.java:402)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etState(LifecycleBase.java:345)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Internal(ContainerBase.java:893)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startInternal(StandardHost.java:845)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71)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hild.call(ContainerBase.java:1332)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hild.call(ContainerBase.java:1322)at java.base/java.util.concurrent.FutureTask.run(FutureTask.java:264)at org.apache.tomcat.util.threads.InlineExecutorService.execute(InlineExecutorService.java:75)at java.base/java.util.concurrent.AbstractExecutorService.submit(AbstractExecutorService.java:145)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Internal(ContainerBase.java:866)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startInternal(StandardEngine.java:240)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71)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startInternal(StandardService.java:433)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71)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er.startInternal(StandardServer.java:917)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Base.start(LifecycleBase.java:171)at 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start(Catalina.java:795)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이런 오류가 나고 404에러가 뜹니다. 이것저것 시도해봤지만 혼자서는 해결이 안 돼서요 ㅠㅠ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TransactionContext 관련 문의
[질문 내용]안녕하세요.@Rollback(false) 어노테이션을 달기 전에도 TransactionContext 로그가 뜨지 않는 것은 어떤 문제인가요?? 어노테이션 대신에 autowired한 엔티티매니저 flush를 해도 로그는 나타나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15:45 쯤에 "%"사용하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findByItemNameLike("%"+itemName +"%")여기에서 "%"를 넣어서 오류를 해결했는데 이게 잘 이해가 안됩니다.어디 부분에서 다시 공부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name = "", mappedby ="" 등에서 자동완성
강의영상을 보다 보면 제목에 적어 놓은 name = "" 의 " " 영역에 ctrl+space로 자동완성을 띄우셔서 클래스 같은 걸 바로 작성하도록 하시는데 혹시 어떻게 세팅을 해야 가능할까요? 다른 건 자동완성이 뜨는데 해당 " " 부분들은 자동완성이 되지 않아서요. JPA FACET 설정도 해놨습니다.
-
해결됨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Container Runtime의 역할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감사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 설명해주시는 것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Container Runtime : 컨테이너 생성해주는 역할ContainerD, CRI-O, 미란티스 컨테이너 런타임이 있다. 의문점이 생긴 부분은 다음 내용입니다. 강의를 진행하시면서 "Docker로 만든 이미지가 CRI-O에서 잘 돌아갈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라고 부연설명을 해주셨는데, Container Runtime이 Container의 실행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인가요? 혹은 Docker로 만든 이미지와 CRI-O를 통해서 만든 이미지는 같다라고 말씀하고 싶으셨던 걸까요?컨테이너 런타임은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주체라고 이해하면서 해당 부분이 헷갈려 추가적으로 찾아보기도 했는데, 명확하게 무엇인지 혹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려주는 레퍼런스가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질문] SimpleProducer.java 실행 시 SLF4J(W): No SLF4J providers were found.
안녕하세요. confluent kafka 에서 consumer 뛰운 상태 입니다.SimpleProducer.java 작성 후, Run 하면 아래 로그 발생 합니다.SLF4J(W): No SLF4J providers were found. consumer에서 메시지 출력 하지 않습니다. 검색해 보니, This warning, i.e. not an error, message is reported when no SLF4J providers could be found on the class path. Placing one (and only one) of the many available providers such as slf4j-nop.jar slf4j-simple.jar, slf4j-reload4j.jar, slf4j-jdk14.jar or logback-classic.jar on the class path should solve the problem. 어디를 수정 해서, 적용 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강의 내용 따라서, Gradle 설정 하고, jdk를 확인 해보니, 17 oracle jdk 가 보이지 않아, jbrskd-17로 설정해서 빌드 했습니다. (제 intellij에서 add > oracle 17jdk가 안 보입니다???) 검토 하시고 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
강의자료 오탈자 제보
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강의자료 중섹션 3. 연산자 18p 오탈자 제보합니다첫 줄의 package variable.ex; -> package operator.ex; 로 들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다른 문제들은 잘 표기되어 있습니다올해 안에 모든 자바 강의 수강할 수 있도록 열심히 달리겠습니다!
-
해결됨[2025 리뉴얼]플러터플로우로 코딩 없이 한달 안에 앱 만들기
특정강의 사운드가 한쪽만 들립니다.
다 그런건 아닌것 같구 가장 기본이자 가장 많이 활용하는 Column, Row 강의에서 사운드가 한쪽만 들리는데 저만 그런가 해서요.스피커가 아니라 헤드셋을 써서 강의들 듣다보니 한쪽만 들려요..ㅎㅎ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정규화 엑셀자료
안녕하세요, 09-데이터 정규화 1에서 구글 시트를 사용하시는데 이 주소 어디서 접속 가능할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Transactional의 유무에 따른 프록시 생성이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7:20 쯤에 @Repository 제거 시에도 프록시가 적용되는데영한님께서는 @Transactional때문에 프록시가 동일하다고 하셨는데 트랙잭션 커밋이 된 상황이라서 그렇게 말씀하신 건가요?@Transactional의 유무와 프록시 생성에 연관관계가 궁금해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입문] 9시간만에 끝내는 코드팩토리의 Javascript 무료 풀코스
선생님 저 멍청한거 맞죠?
반복문 강의보다가 6x6 크기에 정사각형 모양을 *로 채워봐라 퀴즈 내주시길래 영상 바로 멈추고 생각해봤는데도저히 떠오르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다 과정은 틀리더라도 결과만이라도 어떻게든 만들어 보자 해서 20분동안 고민해서 쓴게// 6x6 의 크기로 정사각형에 *을 채워 넣어야 한다. for (let i = "******"; i === i; i++) { for (let a = "******"; i === i; i++) { for (let b = "******"; i === i; i++) { for (let c = "******"; i === i; i++) { for (let d = "******"; i === i; i++) { for (let e = "******"; i === i; i++) console.log("\n", i, "\n", a, "\n", b, "\n", c, "\n", d, "\n", e); } } } } }이따구 ㅋㅋㅋㅋㅋㅋㅋㅋ 혹시나 해서 영상 틀어서 보니 차원이 다른 코드 진짜 개쪽팔린데 혹시라도 저같은 사람이 있는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진짜 이론 빠삭해도 활용해서 구현할줄 모르면 땡이라는게 맞는거 같습니다.물론 전 이론을 아직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서버에서의 공격 동기화 질문입니다.
언리얼에서 얼마나 정확히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네트워크동기화를 잘 해주는지 모르겠어서 여쭈어봅니다.주황 녹색 모두 서버(제3의 호스트 또는 데디케이티드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입니다.서버로의 핑은 200ms라 모두 가정하고 주황캐릭터가 움직이는 녹색 캐릭터를 공격하는 경우내 클라이언트에서는 내 주황이 잘 조준해서(Line trace나 Collision overlay) 녹색을 맞추었는데서버에서는 녹색이 이미 주황이 조준한 위치를 벗어나 계속 움직이고 있는 상황이 생기지 않나요? 캐릭터가 사람처럼 100m를 20초에 움직이면200ms 면 1미터의 오차가 생길수 있어서 충분히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공격 오차가 발생할수 있다고 보는데요. 언리얼엔진이 이러한 핑에 따른 오차들을 보정하여 공격에 대한 충돌체크를 해주는 기능이 있나요?없다면 어떻게 처리를 하는게 좋을지 팁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leafy 애플리케이션 구성 강의중 db 문제
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중 db를 실행시키고 10분이자나도 ready가 안 된다면어떠한 문제가 있는 건가요?두세번 반복해서 실행해도 올라오지 않습니다.
-
해결됨2025년 CPPG 개인정보관리사 자격증 취득하기 (개정안 반영)
cppg 참고자료 업데이트
혹시 cppg 참고 자료https://smartstore.naver.com/csroadmap/products/6394915947여기에 있는 자료는 업데이트 예정 없으신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라이브러리 추가하는 법은 어디서 알 수 있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gradle 추가 하실 때 4줄이나 추가 하시더라구요.//JSP 추가 시작 implementation 'org.apache.tomcat.embed:tomcat-embed-jasper' implementation 'jakarta.servlet:jakarta.servlet-api' implementation 'jakarta.servlet.jsp.jstl:jakarta.servlet.jsp.jstl-api' implementation 'org.glassfish.web:jakarta.servlet.jsp.jstl' //JSP 추가 끝 이렇게 추가해야 한다는 건 어디서 알 수 있나요? jakarta홈페이지를 봐도 영 알 수 가 없어서...MVNRepository에서 찾아도 한 줄 만 추가하는 거 밖에는 안 보이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