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Cannot resolve regions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add-form.html]그대로 따라했는데 th:field=*{regions}에 에러가 생겼습니다. 원인이랑 해결 방법이 무엇일까요?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커넥트(Connect) 편
timestamp 방식에서 table index 필수 여부
안녕하세요, 각 테이블 생성 시 timestamp 칼럼에 대해 index를 생성해 주셨는데요, 이거는 필수로 지정해야 하는건가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SSR vs CSR
강의 영상 3분에 나온 SSR이 프론트 서버에 부담이 된다 라는 얘기가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립니다! 오히려 SSR은 프론트에서 모두 다운받아야 할 JS를 사전에 렌더링하고, query 코드를 읽지도 않기 때문에 더 부담이 안되지 않을까요...?? 또한 말씀하신 SEO 뿐만 아니라 suspense를 사용하거나 서버 액션을 통해 DB와 api 없이도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기에 자주 fetch를 해야 하는 작업이 아니라면 SSR의 장점이 더 많은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CSR을 사용했을때의 장점은 fetch를 자주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어떤게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Post에 edit 메서드 삼항연산자 질문
업데이트 관련 질문입니다!!PostEdit을 만들고 Post에 edit이라는 메서드를 만들어서 PostEdit자체를 받은 후에 삼항연산자를 쓰는 방식으로 해결해도 문제가 없을까요??@Data public class PostEdit { @NotBlank(message = "제목을 입력하세요.") private String title; @NotBlank(message = "내용을 입력하세요.") private String content; @Builder public PostEdit(String title, String content) { this.title = title; this.content = content; } }public void edit(PostEdit postEdit) { this.title = postEdit.getTitle() != null ? postEdit.getTitle() : this.title; this.content = postEdit.getContent() != null ? postEdit.getContent() : this.content;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CSS 선택자 id
수업에서 CSS 선택자의 id 같은 경우 한 html에서 하나만 사용가능하다고 하셨는데 boxmodel 실습에서는 다음과 같이 id를 두 번 사용했더라고요. 상관없는걸까요?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title>Document</title> <style> div { width: 80px; height: 80px; border: 1px solid red; } #contentBox { box-sizing: content-box; } #borderBox { box-sizing: border-box; } </style> </head> <body> <!-- 컨텐트박스 --> <div id="contentBox">박스1</div> <!-- 기본박스 --> <div>박스2</div> <!-- 보더박스 --> <div id="borderBox">박스3</div> </body> </html>
-
미해결남박사의 파이썬으로 실전 웹사이트 만들기
몽고디비아틀라스로 추가 공부해서 올립니다.
https://bumychoi.tistory.com/37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jdk , 인텔리제이의 버전을 맞췄는데도 오류가 뜹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EC%8A%A4%ED%94%84%EB%A7%81-mvc-1&unitId=71216&tab=community&category=questionDetail&q=1133756 ㄴ 위의 질문 올린 분과 같은 오류가 떠서 Gradle Projects를 Gradle로 바꿨더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네요 ,, 구글링 했더니 Build and Run을 인텔리제이로 바꾸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그렇게 하면 강의를 따라갈 수가 없어서요 ㅠㅠ 자바 버전을 맞추라는 내용도 있었지만 이미 다 맞춘 상태입니다 ,, 어디가 문제일까요 ?? 아래는 저의 환경설정 입니다
-
미해결초보자도 만들 수 있는 스크롤 인터렉션. 1편 자바스크립트
반응형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깡코딩님, 다름이 아니라 모바일 뿐만아니라 pc도 반응형이 필요할텐데 맥북프로같은 경우는 해상도가 크더라구요 ..이럴경우 처음부터 크게 작업하고 미디어 쿼리로 점점 작게 진행해야하는걸까요???1920까지만 신경쓰고 최소로 280까지만 신경썼는데 이렇게 큰게 나오니 또 조정을 해야하나 싶습니다.
-
미해결3D 모델링 입문을 위한 라이노(Rhino) '꿀팁' Part.1
레고블락모델링에서 163 x 73직사각형을 센터에서 만들때
수고하십니다. 교수님 레고블럭 모델링1에서 0,0을 센터로 하여 4각형을 만들때 162,73을 입력하여 커브를 만든 후에 가로와 세로를 측정해 보니 2배인 324와 146이 됩니다. 센터로 할때를 1사분변의 좌표를 찍어 주어야만 하는가요? 원래길이의 절반으로..아니면 제가 뭘 잘못한 것인가요?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source map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next ^13.5.6 버전 사용중입니다.next.config.js 설정에서 devtool hidden-source-map 설정이 ^13.5.6 버전에서도 필요할까요? 아래 공식문서 보면 productionBrowserSourceMaps 설정이 동일한 역할을 하는것같은데 맞을까요?development 에서는 true 라서 source map이 보여지고 build시 자동으로 false가 되어서 hidden-source-map이 적용되는것같은데 그럼 ^13.5.6 버전에서는 따로 hidden-source-map 설정 안해도 되는걸까요?https://github.com/vercel/next.js/blob/v13.5.6/docs/02-app/02-api-reference/05-next-config-js/productionBrowserSourceMaps.mdx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커넥트(Connect) 편
key 값의 필요성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JDBC Sink connector에 config 옵션으로 pk.mode를 통해 record key 값을 지정해주어야 하니, source connector 쪽에서도 transform을 통해 record key 값으로 pk를 추출해야 한다는 명분은 이해했는데요, value에 pk 값이 이미 있고, config를 통해 pk 필드가 무엇인지 까지 지정해줬는데 value를 통해 값을 획득하지 않고 record key에 다시 추출해야하는 이유가 뭘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강의 수강 관점에 관련한 고민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하며 고민이 생겨 이렇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강의 수강을 시작할 당시 학생으로 데이터 분야 중 특히 데이터 분석에 가장 큰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연한 기회로 데이터 엔지니어로 취업하게 되었고,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ETL, 대시보드 설계를 위주로 업무를 배우고 있는 한달차 신입입니다….ㅎㅎ 현재 저의 상황에서 카일님의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어떤 관점으로 수강하는 것이 도움이 될지에 대한 고민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벌크연산관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벌크연산에서 정의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1] pk를 지정한뒤 jpql query문에서 insert, update, delete를 하면 이것은 벌크연산이 아니고 영속성컨텍스트의 영향을 받고, [2] pk를 지정하지 않고 한꺼번에 insert(hibernate),update,delete을 하게 되면 영속성컨텍스트와 상관없이 db와 상호작용하며 이것을 벌크연산이라고 한다.[1],[2]가 제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것이 맞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강의 내용은 아니지만 진도와 체득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영한 선생님 강의를.. Http부터 시작해서 지금 실전 2편까지 쭉 로드맵대로 왔는데요.. 실전 2편부터는 지금까지 MVC와는 다르게 API개념이 익숙지 않다보니 머리가 많이 뒤죽박죽이고 과열(?) 된 상태입니다..영한쌤이야 워낙 쉽게 설명해주시고 이해도 잘 되서 강의 들을 땐 좋지만 막상 누가 강의 후에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되 강의 소스코드 보지말고 복붙하지 말고 새로운 코드를 짜봐! 하면 사실 자신 없다라는게 제 솔직한 심정인데.. 여기서 어떻게 방향을 잡아야 할지 모르겠네요.. 시간이 걸리더라도 완강한 강의 중 부족한 부분을 다시 듣고 토이프로젝트 반복 후에 실전 2편과 나머지 querydsl이나 data jpa를 들어가는게 나을지 아니면 일단 쭉 로드맵 끝낸 후에 복습으로 들어가는게 나을지 고민이 됩니다.물론 시간 충분한 학부생이면 모르겠지만 취준생 입장이라 고민이 더더욱 크네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입문] Dart 언어 4시간만에 완전정복
4강 마지막 yield* -> yield
4강 마지막 끝날 때요//stream 사용 위해 패키지 불러와서 써야 함 import 'dart:async'; void main() { playAllStream().listen((val){ print(val); }); } Stream<int> playAllStream() async* { //yield* 뒤에 따라오는 stream의 값이 다 return 될 때까지 기다린다. yield* calculate(1); yield* calculate(1000); } Stream<int> calculate(int number) async* { for(int i=0; i<5; i++){ yield i * number; //async* 로 await를 쓸 수 있다. await Future.delayed(Duration(seconds: 1)); } } playAllStream() 여기 안에 yield* 를 yield로 바꾸면 결과가001100022000이렇게 나올거라고 하셨거든요. 이론적으로 이해는 됐는데, 코드 실행이 안되어서요.어디서 문제인지 모르겠어요.에러는 아래와 같습니다.Error: A value of type 'Stream<int>' can't be assigned to a variable of type 'int'. - 'Stream' is from 'dart:async'. yield calculate(1);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섹션7의 PRG Post/Redirect/Get 질문입니다.
섹션 7의 PRG Post/Redirect/Get에서요, 7:30에retrun "basic/item";이 부분을 리다이렉트로 수정하시는데요, 혹시 basic/item 뷰페이지로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남는 이유가,포스트요청이라서 리턴값을 뷰페이지로 취급하지 않는 것 아닌가해서요.겟요청이였으면 저렇게 리턴을 했어도 뷰페이지로 자동 리다이렉트까지 되었지 않았을까요...? 그대로 남는 이유를 새로고침으로 인한 중복 오류를 중심으로 말씀해주시지만 리턴값과 연결해서 설명해주시지 않으셔서 헷갈리네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url을 통한 반응과 state를 이용한 반응 차이 관련 질문
수업을 진행하다가 그 당시에도 궁금즘이 생겨 개인적으로 알아봤던 부분인데, 확신이 안가서 강사님께 여쭈어봅니다. 수업 내용에서는 정확한 위치가 기억이 나지 않아서 다른 예시로 대체하겠습니다. 흰색 배경의 button group이 있고 각각의 button은 클릭할 시 url을 변경시킵니다.또한 현재 선택된 button은 색상이 칠해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useState를 통해서 button의 state를 관리하고 있었고, button을 클릭했을때setState를 통해 선택하는 button을 변경함router을 통해 url 경로를 변경함이렇게 두가지 액션을 취했었습니다. 그 때 생겼던 궁금중은 어차피 url과 button은 mapping 할 수 있으니까, 버튼을 클릭하면 url만 변경시키고, url을 읽어서 button에 다시 값을 주면 기능적으로 똑같지 않나? 그러면 하나의 액션으로 기존의 두가지 액션을 대체할 수 있지 않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조금 찾아보니까 url을 바꾸고 그 값을 통해 button의 상태 관리를 다시 하는건 즉각적인 반응이 아니고, 영상에서 봤던 것 처럼 url과 button state를 각각 바꾸는게 더 인터랙티브하다 라는 글을 읽었습니다. (신빙성이 있는 글은 아닙니다.) 실제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url만 바꾸고, 그 값을 받아와 button 값을 할당하는게 아니라, 두가지를 모두 동시에 바꾸는게 더 좋은 방법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모듈 핀에 꽂는 플라스틱 장치
강의 중에 '스위치' 라고 설명하시는 이 모듈의 핀에 꽂는 플라스틱은 무슨 용도로 사용하는 건가요?? 그리고 정확한 명칭이 뭔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8시간만에 끝내는 코드팩토리의 Typescript 완전정복 풀코스
이런 오버로딩의 개념은 실무에서 언제 사용하나요?
본 예제로만 판단했을 때는 그냥 조건문을 변경해서 하는게 더 직관적이라고 보여져서요. 이런 오버로딩의 개념을 실무 어떤 부분에서 사용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핸즈온 리액트 네이티브
unable to resolve module 에러
수업중에 만들었던 컴포넌트를 팀원들에게 사용하라고 깃허브에 올렸는데 이런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수업과는 상관 없는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항상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컴포넌트 내용은 똑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