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테스트시 로그가 뜨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테스트 시 로그가 뜨지 않습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length에서 min값만 설정하고 싶을 때 max 없이 validationOptions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나요..?
length에서 max값을 전달 안해주고 min만 설정하고 싶을때if(args.constraints.length===2){} else}{ }여기서 else 가 실행되어야 하는데 max 값 없이 validationOptions만을 전달하면 validationOptions가 두번째 인자로 전달되는 것 아닌가요..? 이렇게 하면 에러 나는데.. max 값에 undefined나 null을 넣어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max 값 없이 validationOptions를 실행할 수 있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보일러 플레이트 확인
안녕하세요! 제가 설치도구들을 다운 받고 강의를 이어 듣는데, 제 플레이터와 선생님이 보여주신 초기 화면이 달라서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확인 받고 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this 생성자를 꼭 첫줄에만 넣어야만 하는 이유가 있나요?
생성자를 공부중인데 this 생성자는 꼭 첫줄에만 넣어야 하고 넣지 않으면 컴파일 오류가 난다고 하는데꼭 첫줄에만 넣어야만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MemberConstruct(String name, int age) { System.out.println("hello"); this(name, age, 50); }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List 컴포넌트 생성하기' 따라하다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List.js로 나눈 다음 data. 도 지우고 했는데 List.js에서 key={id} 부분에서 계속 오류가 발생합니다.List.js:22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draggableProps') at List (List.js:22:1) at renderWithHooks (react-dom.development.js:16305:1) at mountIndeterminateComponent (react-dom.development.js:20074:1) at beginWork (react-dom.development.js:21587:1) at HTMLUnknownElement.callCallback (react-dom.development.js:4164:1) at Object.invokeGuardedCallbackDev (react-dom.development.js:4213:1) at invokeGuardedCallback (react-dom.development.js:4277:1) at beginWork$1 (react-dom.development.js:27451:1) at performUnitOfWork (react-dom.development.js:26557:1) at workLoopSync (react-dom.development.js:26466:1) Lists.js 코드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DragDropContext } from "react-beautiful-dnd"; import { Droppable } from "react-beautiful-dnd"; import { Draggable } from "react-beautiful-dnd"; import List from "./List"; export default function Lists({todoData, setTodoData}) { const handleEnd = (result) => { if(!result.destination) return; const newTodoData = todoData; const [reorderedItem] = newTodoData.splice(result.source.index, 1); newTodoData.splice(result.destination.index, 0, reorderedItem); setTodoData(newTodoData); }; return ( <div> <DragDropContext onDragEnd={handleEnd}> <Droppable droppableId="todo"> {(provided) => ( <div {...provided.droppableProps} ref={provided.innerRef}> {todoData.map((data, index) => ( <Draggable key={data.id} draggableId={data.id.toString()} index={index} > {(provided, snapshot) => ( <List key={data.id} id={data.id} title={data.title} completed={data.completed} todoData={todoData} setTodoData={setTodoData} provided={provided} snapshot={snapshot} /> )} </Draggable> ))} {provided.placeholder} </div> )} </Droppable> </DragDropContext> </div> ); } List.js 코드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List = ({ id, title, completed, todoData, setTodoData, provided, snapshot }) => { const handleClick = (id) => { let newTodoData = todoData.filter((data) => data.id !== id); setTodoData(newTodoData); }; const handleCompleteChange = (id) => { let newTodoData = todoData.map((data) => { if(data.id === id) { data.completed = !data.completed; } return data; }); setTodoData(newTodoData); }; return ( <div key={id} {...provided.draggableProps} ref={provided.innerRef} {...provided.dragHandleProps} className={`${ snapshot.isDragging ? "bg-gray-400" : "bg-gray-100"} flex items-center justify-between w-full px-4 py-1 my-2 text-gray-600 border rounded`} > <div className='items-center'> <input type="checkbox" onChange={() => handleCompleteChange(id)} checked={completed} /> <span className={completed ? 'line-through' : undefined}> {title} </span> </div> <div className='items-center'> <button className="px-4 py-2 float-right" onClick={() => handleClick(id)}> X </button> </div> </div> ) } export default List;
-
해결됨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 janyjeon@naver.com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자바 과목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 지금 JAVA 가장 낮은 레벨 단계 의 수업을 잘 듣고 있습니다. 근데 제가 다니는 학교에서 지금 linear search, binary search , selection short 에 대해서 가르쳐주시고 계시는데, 이거는 어떤 과목을 공부해야하나요 ? 아무리 자바 관련 과목에서 찾아봐도 나오지 않아서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단건조회에서의 fetch join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단건 조회를 할때, 예를 들어서 member 1개만 가져오고 싶을 때는 fetch join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지 여쭈어보고 싶습니다!member가 orderitem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을때 orderitem을 조회해야 한다면 fetch join을 사용해야할것같아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목록 들어갔을 때 콘솔창에서 에러가 뜹니다!
AOP까지 적용하여 HelloProjectApplication을 돌리고 회원목록으로 들어갔는데 오류가 뜹니다. 오류 내용은 MemberController와 TimeTraceAop에서 발생했는데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아래는 MemberController.java와 TimeTraceAop.java 소스 코드 첨부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AWS PrivateLink 강의 관련
안녕하세요AWS PrivateLink 강의가 등록이 되어있던거 같은데요오랜만에 수강하려고 보니 해당 챕터가 안보이는데 혹시 삭제하신것인지요?감사합니다.
-
미해결[하루 10분|Web Project] HTML/JS/CSS로 나만의 심리테스트 사이트 만들기
select 배열 이해를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알고리즘 개선하기 강의를 들은 이후, 새로 짜여진 알고리즘의 원리(?)에 대해 공부하는 중입니다. 그런데, select 부분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 질문 올려봐요 ㅠㅠ answer.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answer' 버튼을 클릭했을 때 4 var children = document.querySelectorAll('.answerList'); for(let i = 0; i < children.length; i++){ children[i].disabled = true; // 버튼 비활성화 children[i].style.WebkitAnimation = "fadeOut 0.5s"; // 0.5초동안 main 섹션이 사라지면 children[i].style.animation = "fadeOut 0.5s" // 사용자가 어떤 한 버튼만 클릭해도, 다른 버튼들은 다 무시가 되고 모든 버튼들이 사라진다. } setTimeout(() => { var target = qnaList[qIdx].a[idx].type; // 우리가 선택한 버튼이 가지고 있는 타입이 target에 할당됨. //버튼을 클릭하는 순간에 바로 값 증가 for(let i = 0; i < target.length; i++){ select[target[i]] += 1; // 이 반복문이 돌고나면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였을 때, 12간지의 순서대로 해당하는 type의 값이 1씩 증가 } for(let i = 0; i < children.length; i++){ children[i].style.display = 'none'; // 버튼이 보이지 않게 } goNext(++qIdx); console.log(target); console.log(children.length); },450); //450 경과 시 }, false); 저는 이 for문 안에 들어있는 select[target[i]] += 1; 이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calResult() 부분에 console.log(select);를 작성하였고, 임의로 선택된 모든 버튼에 대한 select값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 console.log(select); [2, 4, 3, 4, 4, 3, 4, 4, 2, 5, 1, 6]우선 저는 처음에 이 숫자들이 select 값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으나 진짜 무엇을 의미 하는 지 알 수 없어 수기로 디버깅을 해보았습니다. 모든 버튼에 대한 type 값을 추적해가며 적어보았는데 qIdx 선택한 버튼 type 0 a [1, 2, 4, 9] 1 c [7, 4, 9, 11] 2 b [7, 9 ,11] 3 c [0, 3, 6, 5] 4 c [2, 5, 8] 5 b [0, 3, 6, 10] 6 a [1, 7, 11] 7 c [1, 7, 11] 8 b [1, 3, 6, 11] 9 a [4, 9, 11] 10 c [2, 5, 8] 11 a [3, 6, 4, 9]선택한 버튼에 대한 type 값의 누계를 도출해보니 [2, 4, 3, 4, 4, 3, 4, 4, 2, 5, 1, 6] // select console에 제가 요청했던 select 값과 동일한 배열이 나왔습니다. 또한 0~11까지의 띠 순서 그대로 오름차순으로 배정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제가 부족한 지식을 동원하여 생각한 바로는 type값을 누계할 때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라는 어떤 메세지가 있지 않으면 [4, 2, 3, 4, 4, 3, 1, 4, 2, 6, 4, 5] 이런식으로 순서에 상관없이 해당 값에 대한 누계만 select에 담길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오름차순으로 배열이 정리되어 정렬 원리가 궁금하였습니다. select[target[i]] += 1; 이 부분에서 자동으로 저희가 선택한 버튼들의 type을 select 배열에 넣을 때, 각 누계 값이 0 부터 11까지의 오름차순으로 자동 정렬되나요? const select = [0, 0, 0, 0, 0, 0, 0, 0, 0, 0, 0, 0];아니면 저희가 초반에 select에 0값으로 총 12개의 빈자릿수를 만들어 주었을 때부터각 자리당 0부터 11까지의 인덱스 주소가 자동 배정되는 건가요?아니면 이 배열(select)의 정렬방식에 대하여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도와주세요 ㅠㅠ
-
해결됨장애 없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Resilience4j - CircuitBreaker
n 대의 서버간 서킷 브레이커의 상태를 동기화 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가상의 상황외부 연동의 책임을 가진 external-interface 서버기상청에서 제공하는 api 로부터 오늘의 날씨 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n 대로 스케일 아웃 될 수 있습니다.현재 구성은 각 서버별로 독립적으로 서킷 브레이커를 관리하고 있습니다.ex)기상청 api 장애 상황에서1번 서버로 요청이 집중되어 1번 서버는 open 되었지만2번 서버는 요청이 별로 들어오지 않아 아직 close 상태일 수 있습니다.이 때 n 대의 서버간 서킷 브레이커의 상황을 필수적으로 공유해야 된다면 어떻게 할 것 인가? 생각하는 안redis pub/sub 기능을 통해 구현한다.1번 서버는 외부 연동 실패로 서킷브레이커가 open 되었다.1번 서버는 onStateTransition 의 로직으로 open 상태를 redis 에 pub 한다.2번 서버는 sub 하여 자신의 상태를 open 으로 동기화 한다.하지만 우려되는 맹점이 있습니다.pub, sub 방식은 서버간 동기화의 간극이 있습니다.결과적 일관성은 보장될지 언정 이 간극은 또 다른 이슈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ex)1번 서버는 open 상태를 pub 했습니다.2번 서버는 open 상태를 pub 했습니다. (1번 서버의 open 을 sub 하기 전에)1번 서버는 close 상태가 되었지만 (외부 연동이 정상적으로 복구되었음에도 불구하고)2번 서버에서 pub 한 open 정보에 의해 자신을 open 상태로 변경하였습니다. 동기화의 간극으로 인해 서로의 open 상태를 공유하는 것이 무한히 반복 됩니다.물론 실제 실패로의 event 만 pub/sub 하고,redis 의 상태 공유는 pub/sub 하지 않으면 될 것 같기도 합니다.하지만 가능/불가능 여부를 떠나 여전히 위험할 것 같다는 직감이 듭니다.redisson 과 같은 공유락까지도 생각을 해보았는데, 배보다 배꼽이 큰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그외만약 actuator api 호출을 통해 명시적인 변경을 하고 싶다면실무라면 대표 도메인에 elb 나 ingress 등을 설정할 것 입니다.그러면 n 대의 서버에 상태 변경 명령을 어떻게하면 api 로 보낼 수 있나요?혹시 이건 아예 불가능한 생각일까요?사실 실무라면 굳이 서버간 서킷 브레이커의 상태를 공유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장애 상황이 자주 발생하지도 않을 것이거니와서킷 브레이커 발동을 위한 window 크기를 충분히 작게 설정한다면회복을 방해할 정도의 트래픽이 더 들어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 입니다.오히려 이런 공유 로직으로 인해 복잡도만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해서 입니다. 하지만 실무를 떠나 기술적인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인사이트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build 가 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빌드하려는 과정에서 해당 폴더에 접근할 수 없다고 뜹니다.어떻게 하면 접근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기간 연장 부탁드립니다.
다른 자격증과 병행하여 준비하다보니 준비기간이 모자르네요.. 연장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로그인 모달 리다이렉트를 다른 방식으로 구현했는데 문제 없을까요?
강의에서 알려주신 router.replace() 를 사용하지 않고// @/app/(beforeLogin)/@modal/(.)login/page.tsx import { redirect } from "next/navigation"; export default function Login() { redirect("/i/flow/login"); }기존의 이 코드를 인터셉트 라우팅으로 줘서홈페이지 -> 인터셉트 라우팅된 /login -> 인터셉트 라우팅된 /i/flow/login 으로 이동하도록 폴더를 구성해서 구현해 봤습니다. 이 방식으로 구현해도 문제 없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자바 버전이 다르게 나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현재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jdk21 을 intellij 내에서 설치하고, 커뮤니티에 있는 질문을 살펴보며 환경변수를 설정하고, 빌드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전 분명 환경 변수에 jdk21을 설정했는데 cmd 창에 java -version 을 입력하면 openjdk11u ~~ 가 나옵니다. 예전에 다운 받았던 것이 잘못 나왔나 싶어 모두 찾아 삭제해봤는데 여전히 있습니다. intellij 에서 확인해봤을 때도 build.gradle 은 자바 버전이 21이고, 그에 따라 jdk 버전 21을 설정해놨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자바 버전이 21로 나올까요?환경변수로 지정해놓은 JAVA_HOME을 눌러 해봤는데도 자바 버전이 21로 나오지 않습니다.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도메인 대신 탄력적 ip연결 후, 프론트 ip가 연결이 안되는 문제
상황)도메인 연결하면 돈이 나간대서 탄력적 ip만 연결헤줘도 원래 로그인까지 화면은 잘 나왔었는데요, s3연결하기부터 따라하기 전에 강의를 보았는데 prepare에 레파지토리 한개만 연결하길래, 기존에 front, back 경로에 레파지토리를 각각 만들어서 커밋중이여가지고 기존 레파지토리를 다 지우고 초기화한 다음 새 레파지토리와 새 인스턴스를 연결해서 s3까지 따라했거든요. 그런데 그 뒤로 back ip는 화면에 hello express라고 잘 나오는데 front탄력적 ip를 입력하니까 화면이 연결이 안되는 상황입니다. (DB 테이블 대소문자 잘 되어있습니다, env는 ubuntu에도 비밀 엑세스키까지 4가지 똑같이 입력해놓았습니다, S3에 나오는 내용까지 설치는 완료한 상태입니다. img관련 코드에서 backUrl 지워주었습니다. ubuntu에서도 git pull, npm i , npm run build해주었습니다.) 질문)프론트 ip가 화면에 안나오는데 log와 콘솔에 아무것도 안떠서, 이럴 때 화면이 안나오는 원인과 해결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보안자격증명의 액세스키에 선생님거는 리전, 서비스가 나와있는데 제거는 코드에 작성한 내용과 연결이 안되서 N/A라고 나오는게 맞나요?시도해본 것)back에서 배포용일 때 if문에 도메인 주소를 빼고 실행해보기도 하고, 도메인 주소 대신 origin front 탄력적 ip를 넣어서 실행도 해보았지만 연결이 되지 않았습니다.if(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app.use(morgan('combined')); app.use(hpp()); app.use(helmet()); // app.use(cors({ // origin: 'http://nodebird.com', // credentials: true, // })); } else { app.use(morgan('dev')); }작성한 코드 일부) app.js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cors = require('cors'); const session = require('express-session'); const cookieParser = require('cookie-parser'); const passport = require('passport'); const dotenv = require('dotenv'); const morgan = require('morgan'); const postRouter = require('./routes/post'); const postsRouter = require('./routes/posts'); const userRouter = require('./routes/user'); const hashtagRouter = require('./routes/hashtag'); const db = require('./models'); const passportConfig = require('./passport');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hpp = require('hpp'); const helmet = require('helmet'); dotenv.config(); const app = express(); db.sequelize.sync() .then(() => { console.log('DB 연결 성공'); }).catch(console.error); passportConfig(); if(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app.use(morgan('combined')); app.use(hpp()); app.use(helmet()); // app.use(cors({ // origin: 'http://nodebird.com', // credentials: true, // })); } else { app.use(morgan('dev')); } app.use(cors({ origin: ['http://localhost:3060', 'http://nodebird.com', 'http://13.125.122.77'], credentials:true })); app.use('/', express.static(path.join(__dirname, 'uploads'))); app.use(express.json()); app.use(express.urlencoded({extended:true})); app.use(cookieParser(process.env.COOKIE_SECRET)); app.use(session({ saveUninitialized: false, resave: false, secret: process.env.COOKIE_SECRET, // cookie: { // httpOnly: true, //자바스크립트로 접근하지못하게 // secure: false, //일단 false로 하고 https적용할 땐 ture // domain: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nodebirdcom' //도메인 사용할 경우 // }, })); app.use(passport.initialize()); app.use(passport.session()); app.get('/', (req, res) =>{ res.send('hello express'); }); app.use('/posts', postsRouter); app.use('/post', postRouter); app.use('/user', userRouter); app.use('/hashtag', hashtagRouter); app.listen(80, () => { console.log('서버 실행 중'); }); routes/post.js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Post, Image, Comment, User, Hashtag} = require('../models'); const {isLoggedIn} = require('./middlewares'); const router = express.Router(); const multer = require('multer');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fs = require('fs'); const multerS3 = require('multer-s3'); const AWS = require('aws-sdk'); try { fs.accessSync('uploads'); } catch(error) { console.error('uploads폴더가 없으므로 생성합니다.'); fs.mkdirSync('uploads'); } AWS.config.update({ accessKeyId: process.env.S3_ACCESS_KEY_ID, secretAccessKey: process.env.S3_SECRET_ACCESS_KEY, region: 'ap-northeast-2', }); const upload = multer({ storage: multerS3({ s3: new AWS.S3(), bucket: 'react-saga-nodebird-s3', key(req, file, cb){ cb(null, `original/${Date.now()}_${path.basename(file.originalname)}`) } }), limits: {fileSize: 20 * 1024 * 1024} //20MB }); router.post('/images', isLoggedIn, upload.array('image'),(req, res, next) => { //POST /post/images res.json(req.files.map((v) => v.location)); });backUrl남아있는 부분 config.jsexport const backUrl = 'http://13.209.144.99';profile.jsimport { backUrl } from '../config/config'; const Profile = () => { const { data: followersData, error:followerError } = useSWR(`${backUrl}/user/followers?limit=${followersLimit}`, fetcher); const { data: followingsData, error:followingError } = useSWR(`${backUrl}/user/followings?limit=${followingsLimit}`, fetcher); export default Profile;sagas/indeximport { backUrl } from '../config/config'; axios.defaults.baseURL = backUrl;back/package.json{ "name": "react-nodebird-back", "version": "1.0.0", "description": "", "main": "index.js",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start": "cross-env NODE_ENV=production pm2 start app.js" }, "author": "luckyhaejin", "license": "ISC", "dependencies": { "aws-sdk": "^2.1538.0", "bcrypt": "^5.1.1", "cookie-parser": "^1.4.6", "cors": "^2.8.5", "cross-env": "^7.0.3", "dotenv": "^16.3.1", "express": "^4.18.2", "express-session": "^1.17.3", "helmet": "^7.1.0", "hpp": "^0.2.3", "morgan": "^1.10.0", "multer": "^1.4.5-lts.1", "multer-s3": "^3.0.1", "mysql2": "^3.6.5", "passport": "^0.7.0", "passport-local": "^1.0.0", "pm2": "^5.3.0", "sequelize": "^6.35.2", "sequelize-cli": "^6.6.2" }, "devDependencies": { "nodemon": "^2.0.22" } } front/package.json{ "name": "react-nodebird-front", "version": "1.0.0", "description": "", "main": "index.js", "scripts": { "dev": "npx browserslist@latest --update-db && NODE_OPTIONS=--openssl-legacy-provider next -p 3060", "build": "cross-env ANALYZE=true NODE_ENV=production next build", "start": "cross-env NODE_ENV=production next start -p 80", "lint": "eslint ." }, "author": "luckyhaejin", "license": "ISC", "dependencies": { "@ant-design/icons": "^4.2.1", "@next/bundle-analyzer": "^14.0.4", "antd": "^4.2.1", "axios": "^1.6.2", "babel-plugin-styled-components": "^2.1.4", "cross-env": "^7.0.3", "eslint-config-airbnb": "^19.0.4", "immer": "^10.0.3", "moment": "^2.30.1", "next": "^9.5.5", "next-redux-wrapper": "^6.0.2", "pm2": "^5.3.0", "prop-types": "^15.8.1", "react": "^16.14.0", "react-dom": "^16.14.0", "react-redux": "^7.2.9", "react-slick": "^0.29.0", "redux": "^4.2.1", "redux-devtools-extension": "^2.13.9", "redux-saga": "^1.3.0", "saga": "^4.0.0-alpha", "shortid": "^2.2.16", "styled-components": "^6.1.1", "swr": "^2.2.4" }, "devDependencies": { "babel-eslint": "^10.1.0", "eslint": "^8.56.0", "eslint-plugin-import": "^2.29.1", "eslint-plugin-jsx-a11y": "^6.8.0", "eslint-plugin-react": "^7.33.2", "eslint-plugin-react-hooks": "^4.6.0", "faker": "^5.5.3" } } 사용중인OS) macOS
-
미해결HTML+CSS+JS 포트폴리오 실전 퍼블리싱(시즌1)
제이쿼리 연결을 어떻게 하라는건지 이해를 전혀 못했습니다.
제이 쿼리 연결, 제일 처음 강의에서 파일을 왜 새로 만들고, 왜 첫번째 파일 이름은 3.2어쩌구고 Custom파일에 왜 쓰는건지,연결은 아래 바디 맨 마지막에 3.어쩌고를 먼저 쓰고그 다음에 custom 쓰라는 부분만 이해하고인터넷 찾아보니 무슨 링크를 찾아서 넣고 뭐 방법이 여러가지인데 무슨 말인지 당췌 이해가 안갑니다…설명이 좀 필요할 것 같아요…도와주세요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이 부분에 오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문제를 풀다 보니 이런 식으로 항A 값에 식을 만들어 버렸습니다.오류 없이 잘 진행되고 값도 잘 나오고 해서 문제 없다고는 생각합니다만혹시 제가 모르는 오류가 있을까봐 질문드립니다.미리 감사드립니다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request.getAttribute(ERROR_STATUS_CODE)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위 코드에서 result.put에는 ERROR_STATUS_CODE를 그대로 사용하였는데, return문 바로 윗줄에서는 RequestDispatcher.ERROR_STATUS_CODE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둘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