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프로세스 관련 질문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강사님 프로세스 관련 질문 드립니다. 프로세스란 강사님이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것을 process라고 합니다. 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하지만이 부분을 보시면 프로세스의 상태에 준비라는 것이 있습니다.또는 봉쇄 라는 것도 있네요 그렇다면 프로세스란 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것 이 아니라 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 의 할당을 받을 수 있는 것 이 맞는 거 아닌가요?? cpu 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연산이 가능하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만약 프로세스의 정의가 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것 이라면 프로세스는 하나의 cpu 기준 1개만 존재해야하는 것인가요??결론은 프로세스의 정의 설명중에 실행파일(program)이 memory에 적재되어 CPU를 할당받아 실행이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여기서 실행이라는 단어가 이해가 안갑니다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노션 전자 책 동영상 문제
강사님 원래 노션 전자 책에 있는 동영상들이 다 볼 수가 없는건가요?? 몇개는 보이고 몇개는 안보여서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JSON으로 사이트맵
xml보다 JSON 형식이 더 가볍고 좋은 것 같은데 JSON 형식으로는 sitemap을 만들 수는 없나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브라우저 렌더링 부분 교재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우선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ㅎㅎ..브라우저 렌더링 관련되어 의문이 생겨 질문을 남겨보니 시간 여유있으실 때 답변해주시면 좋겠습니다.렌더 트리? 렌더 레이어 ?? 렌더객체??짧게 브라우저 렌더링 관련하여 공부를 하고 인강을 들으면서 다시 복기를 하였을 때 렌더레이어라는 말을 처음 들어보는 것 같아 추가적으로 정보를 찾아보려고 browser render layer 와 같은 키워드를 찾아보았습니다. [Naver D2 - 하드웨어 가속에 대한 이해와 적용] 글을 발견하였고 아래와 같은 설명이 있었습니다.DOM 트리: HTML 웹 페이지를 파싱한 트리로, HTML 문서의 각 요소를 쉽게 처리(추가, 삭제 등)하기 위하여 브라우저의 엔진이 사용하는 트리다. RenderObject 트리: DOM 트리로부터 만들어지는 트리로, DOM 트리의 노드 가운데 실제 화면에 표현되는 노드만으로 구성된 트리다. RenderLayer: 브라우저의 엔진이 하드웨어 가속 등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논리적인 레이어로, 각 RenderObject의 속성에 따라 RenderLayer에 할당된다. GraphicsLayer: 하드웨어 가속 처리를 위한 물리적인 레이어로, 레이어별 RenderObject를 GraphicsLayer 단위로 렌더링한 뒤 최종적으로 GPU를 통해 합성된다. 그리고 PDF 기준 150~151번째 페이지에 아래와 같은 코멘트가 있습니다. Q. 렌더객체와 렌더레이어는 1:1 대응일까요?- NO : display:none으로 사라지는 노드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하지만 DOM 트리와 렌더트리는 1:1대응이 됩니다. 이렇게 렌더트리가 생성된 후..제가 이해한 바로는 위 D2에서 이야기하는 RenderObject Tree 를 렌더트리라고 명명 하신 것 같습니다.(아니면 저의 이해력부족인 것 같습니다 🥲)DOM트리에서 렌더트리(RenderObject Tree)를 생성할때 이미 font-size의 상속 및 display:none에 해당하는 DOM 객체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지고 그렇게 된다면 1:1 대응이 되지 않는것이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문의를 드립니다!그렇다면 DOM트리와 렌더트리(Render Object Tree) 렌더레이어(Render Layer) 그 어느것도 1:1대응이 되지 않는 것이 아닐까요?질문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미해결카카오 퇴사자가 누설하는 [웹개발자 취업 비밀노트]
취업준비
현재 개발자를 목표를 두고 학원에서 교육 받고 있는 취준생 입니다. 목표를 대기업을 바라보고 공부 중 인데 제가 비 전공자이어서 기본적인 지식이 없이 시작했습니다. 현재 다른 언어는 거의 무지에 가깝고 저한테 많이 어렵다고 생각해서 약 3개월간? 공부한 파이썬을 가지고 준비를 하고 있으나 계속 파이썬만 공부해도 되는 건지 아니면 다른 언어도 같이 고민이 많이 됩니다. 지금으로써는 코테도 준비하고 다른 것을 준비 하기에 파이썬 적합하긴 하지만 프로젝트나 다른 업무를 볼때 많이 부족할 것 같아서 고민 중 입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언 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카카오 퇴사자가 누설하는 [웹개발자 취업 비밀노트]
노션 공유 이메일
안녕하세요 노션 공유 메일을 잘못 작성했습니다zerom980706@gmail.com으로 다시 공유해주실 수 있으신지요? 번거롭게 해드려서 정말 죄송합니다ㅜㅜ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안녕하세요 강사님!
안녕하세요!!알고리즘 강의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강의 소개보면 77000원 에서 가격 올린다고 적혀있던데업데이트 들어갈때마다 가격을 올리신다는거죠?현재 백준 골1비전공자, 작년 4월 사설부캠다니면서 개발공부시작했고, 알고리즘은 7월부터 브론즈 문제 풀면서 시작했습니다.대략 이정도 풀었고 노씨면접 강의가 너무좋아서 알고강의도 구매하고싶네요...후 구매해도 후회안하겠죠?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교제를 따로 사야하나요?
CS지식의 정석 | CS면접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강의를 수강했는데 강의 교안 만 가지고 가능한가요?교제와 강의 교안이 많이 다르다면 따로 사는게 좋나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클라우드 아키텍쳐에서 토폴로지 설계
안녕하십니까 큰돌쓰앵님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토폴로지 내용을 듣다보니, 왜 현업에서는 토폴로지를 고려하여 설계한적이 없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생각해보니 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떤 토폴로지로 설계할지 고민한적이 없었습니다.Q. 그렇다면 토폴로지 설계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땐 고려대상이 아닌 것인지, 온프레미스를 사용할 때만 토폴로지를 고려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로컬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용량 초과하면 어떻게 되나요?
용량 초과하면 어떤 상황이 생기나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Linked List 시간 복잡도
선생님. Linked List의 추가/삭제 시에 노드 간의 데이터 주소만 연결하여 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가 O(1)이며, index까지 도달하는데 O(n)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추/삭의 경우에도 O(n)의 시간이 걸린다고 볼 수 있다고 하셨는데,, 둘 다 내포한다고 생각하면 되나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학습 순서가 정해져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CS 부족한 부분을 메꾸기위해 얼마전 강의를 구매해서 수강중에 있습니다.제가 디자인패턴은 들어본적이 없어서 학습속도가 느리다는 걸 느끼고 있는데, 각 CS 과목마다 학습 순서가 정해져있는건지 궁금합니다..하루에 디자인패턴 하나에 다른 과목들을 섞어서 들어도 상관없을까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TCP/IP 4계층, OSI 7계층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공부하다가 잘 모르겠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TCP/IP 4계층과 OSI 7계층을 공부하다가 두개로 나눠진 이유에 대해서 궁금해졌습니다.구글링을 해도 명확하게 답변이 있는 곳이 없어 질문드립니다. 강의와 책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링크 계층을 OSI 7계층에서 조금 더 세분화한 것과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이름의 차이로 확인됩니다.하지만, 근본적으로 두 가지가 나눠진 이유와 명확한 장단점, 실제로는 어떤 방식으로 통신이 이뤄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TCP/IP OSI 두가지로 나눠진 이유각각의 명확한 장단점각 계층을 나누는 이유는?이 부분은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이상이 생기면 대응하기 쉽기 때문이다. " 라고 생각합니다.실제 환경에서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지 예시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책과 강의를 통해 항상 큰 도움받고 있습니다!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서브넷마스크 할당 퀴즈가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덕분에 살면서 처음으로 즐겁게 네트워크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강의교안 1번 133p에서 10개의 사무실이 있고 사무실당 12개의 장치를 연결해야 할 때, 16개(두 개 제외해서 14개) 만큼의 공간만 확보하면 12개를 할당할 수 있다는 부분은 이해했는데, 그렇다면 서브넷 마스크의 마지막 주소가 11110000->240이 되는 게 아닌가 헷갈립니다. 혹시 공간이 남아야 하는 건가요? 강의에서는 마지막 주소가 224가 된다고 하셨어요.열심히 듣는다고 들었는데 만약 이미 설명하신 부분임에도 제가 질문하는 거라면 다시 듣고 오겠습니다ㅠㅠ 아침이라 멍해서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개발자 취업 올인원 가이드 [취업편]
Tech Interview Handbook 404
https://yangshun.github.io/tech-interview-handbook/404 뜨네요 ㅠ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Linked List의 시간 복잡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일반적으로 연결 리스트의 시간 복잡도를 설명할 때 삽입/삭제의 시간복잡도를 O(1)이라고 말하기는 하고, 면접때도 이렇게 답변하는 게 맞겠지만 그냥 궁금증 때문에 여쭤봅니다! 실질적으로 봤을 때는 예를 들어 현재 10개의 노드를 가진 연결리스트의 4번째와 5번째 노드에 데이터를 추가하고 싶다고 가정하면4번째 노드까지 O(n)의 시간 복잡도로 이동한 뒤 O(1)의 속도로 삽입하기 때문에 head, 혹은 tail(원형 더블 링크드 리스트이라면)를 제외한 다른 곳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속도를 O(N)이라고 봐도 무방한 게 맞을까요?반대로 삭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HTTP 메서드 #1. 질문있습니다.
4분 30초에 왜 post 메소드인데 상태코드가 201이 아닌 200인가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jwt 토큰
안녕하세요서버에서 set-Cookie로 토큰들을 쿠키에 저장하면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인가가 필요한 페이지에 요청을 할 때 Bearer 이라는 것을 어떻게 붙이나요?서버에서 따로 access토큰 데이터를 받아서 클라이언트에서 따로 저장한 후에 요청마다 그 저장소에 있는 토큰 데이터를 가져와 Bearer을 붙이는 방식으로 하는건가요?클라이언트단에서 access토큰을 어떻게 저장하고 어떻게 보내야하는지 이해가 잘 가지 않네요ㅠ...
-
해결됨비전공자를 위한 개발자 취업 올인원 가이드 [통합편]
부트 캠프 수료 후, 스터디 방향 상담
소개한정수님의 해당 커리어 강의를 여러 많은 분들에게 전파하고 있는 수강 수료한 백엔드 개발자를 희망하는 김제하입니다!<br>현재 상황한정수님 따라서 hugo로 기술 블로그 만들고 해당 강의 수강 수료 후, 6개월 이상이 지났는데요. 개인적으로 정수님 강의를 보고 정리한 것들을 계속 되새기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코테나 이력서 작성이나, 기술 면접 공부나 말씀하신 방향대로 학습하고 있습니다.python / django 커리어로 시작하기 위해서 작년 9월 달부터 12월까지 해당 기술 스택의 부트캠프가 거의 없었다가 1기로 유료 부트캠프가 생겨서 4개월 과정을 마치고 수료하게 되었습니다. 학습한 기술 스택은 django, docker, docker-compose, AWS EC2, S3, RDS 정도입니다. 그런데, 백엔드 부트캠프임에도 불구하고 프론트까지 신경써서 하느라 백엔드의 완성도가 높지 않은 상황입니다. (풀스택으로 진행하여 백엔드의 완성도는 높지 않지만, 프론트와의 흐름이 어떻게 흘러갈지 알게 되어 기획, 설계, 프론트 개발과 백엔드 개발, 배포까지 경험하게 되어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그리고, 여러 군데 이력서 던지면서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더 높일려고 합니다. 그리고 두 군데에서 리크루터로부터 이력서를 넣어볼 생각이 없냐고 제의가 온 상황입니다. 하지만 아직 프로젝트 완성도가 제가 원하는 수준이 아닙니다.부트캠프를 수료해보니 왜 우테코 같은 코스를 추천하신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유료 무료도 있지만 무엇보다 장기간 동안 뛰어난 멘토 밑에서 협업하며 프로젝트 경험을 키울 수 있는 건 최고의 성장 환경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python/django는 별로 없더라구요. 싸피는 비전공 과정으로 가게되면 python을 너무 기초부터 알게되어 좋지 못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깊이 있게 학습은 못한다고 들었습니다.금전적으로는 슬슬 돈이 부족해서 나라에서 주는 수당과 알바를 병행할 예정입니다.<br>python / django를 선택한 이유python/django를 선택한 이유는 이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DevOps나 Data engineering 커리어 방향으로 흘러가기 위해서 입니다. 그리고 해외 취업에는 java/spring보다는 python/django가 공고가 훨씬 많아서 이기도 합니다.고민확실히 node.js나 java/spring으로 취업 공고가 압도적으로 많아서 python/django 으로 취업을 할려면 확실히 준경력직만큼의 실력을 갖쳐야될 걸로 예상됩니다.강의에서도 계속 말씀하신 바이지만 바로 취업하기 보다는 더 준비해서 선순환을 일으키는 곳으로 가라고 말씀하신 걸 기억합니다.그래서 몇 가지 고민이 있습니다.SW 마에스트로 과정에 지원해서 합격한다면 취준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이 과정을 겪자원하는 연봉 수준(대략 4천만원)이 아니어도 배울 수 있는 회사면 빨리 취업한다.3월에 DevOps 부트캠프가 있는데 이를 신청해서 백엔드 개발자로서 인프라 설계 관한 경쟁력을 추가한다.프로젝트를 별도로 진행하면서 알바를 병행하여 부트캠프 할부를 빨리 갚아버리고, F-lab이라는 유료 멘토링 과정을 지원한다.현재 제 나이는 만으로 29살입니다. 이번 년도 6월이 지나면 만 30이 됩니다. 나이는 안본다고 하지만, 한국이라서 그런지 계속 신경쓰게 되네요..ㅠㅠ 취준 기간은 작년 22.02 부터 공부를 제대로 시작했으니, 이제 1년 되어 갑니다.어떤 방향을 강하게 추천하시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hank you for awesome lecture마지막으로 한정수님에게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부트캠프를 수강하면서 느낀 것은 다른 여러 사람들과 비교해서 한정수님 덕분에 남들보다 훨씬 몇 보 빠른 방향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학습한 게 느껴집니다. 처음에는 이 강의 비용이 비싸게 느껴졌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너무 잘했다는 게 느껴집니다. (그럼에도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후회는 남는 것 같습니다.)감사하다는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 예시 중에 제가 본 것 중 제일 고품질이네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기존에 외우고 있던 내용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는데이게 더 기술적으로 잘 알고 있다는 것을 어필할 수 있으면서도 불필요하게 많은 내용을 담지도 않아서 1분 내외로 빠르게 답변하기에도 정말 좋네요제가 지금까지 본 설명 중에 최고입니다강의가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