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SyntaxError: Cannot use import statement outside a module
AntDesign만 사용하면 SyntaxError: Cannot use import statement outside a module 에러가 나옵니다.구글링 해서 package.json에 "type":"module"을 작성하면 된다고 하는데 작성하면 ReferenceError: module is not defined in ES module scope 에러가 나옵니다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
해결됨유니티 머신러닝 에이전트 완전정복 (응용편)
PPO 알고리즘을 ml-agents learn 명령어로 학습 및 추론할때 메소드 호출 순서 질문
안녕하세요!먼저 기초편에 이어서 응용편 강의를 공개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해당 강의를 들으면서 PPO 알고리즘을 ml-agents learn 명령어로 학습 할 때와 추론할 때 메소드 호출 순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이 내용이 궁금한 이유는 각 학습 또는 추론 과정에서 각 메소드별로 연산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입니다. 관련 자료를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onfiguration을 안 쓰고 @Bean만 쓴 경우
안녕하세요:) @Configuration과 Bytecode의 조작의 마법 강의에서 질문드리고 싶은 점이 있습니다. AppConfig에서 @Configuration을 안 쓰고 @Bean만 쓴 경우에 스프링 빈으로는 다 등록된다고 하셨는데요,그렇다면 스프링 빈으로 올라갈 때 memberRepository()가 세 번 호출되면서 이름은 memberRepository으로 존재하고 인스턴스 객체는 그때마다 덮어씌우기 되는 건가요??아니면 이름 한 개에 여러 개의 객체 인스턴스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는 걸까요?또는 프로토타입 스코프 빈처럼 요청할 때마다 새로 생성되는 건가요..?? 또 @Bean만 작성해도 스프링 빈으로는 등록되지만, memberRepository가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스프링 빈이 아니라는 말도 이해가 잘 안가서요..! 같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질문이 매끄럽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ㅠㅠ
-
미해결Vue 3 & Firebase 10 커뮤니티 만들기 풀스택 - "활용편" (with Pinia, Quasar, Tiptap, VueUse)
Tags를 옮긴 이후로 새 포스트 작성 버튼 클릭 시 에러가 뜹니다.
Tags를 옮긴 이후로 새 포스트 작성 버튼 클릭 시 에러가 뜹니다. 콘솔로그로 보면은 이렇게 뜨는데.. 제 지식으로는 찾기가 어려워요.. 알려주세요 ㅠㅠ PostForm.vue:25 [Vue warn]: Invalid vnode type when creating vnode: undefined.at <QCardSection class="q-gutter-y-sm" >at <QForm onSubmit=fn >at <PostForm title="" onUpdate:title=fn category="" ... >at <QCard style= {minWidth: '660px'} >at <BaseTransition appear=true persisted=false mode=undefined ... >at <Transition appear=true enterFromClass="q-transition--none-enter-from" enterActiveClass="q-transition--none-enter-active" ... >at <QDialog persistent="" modelValue=true onUpdate:modelValue=fn ... >at <PostWriteDialog modelValue=true onUpdate:modelValue=fn >at <QPage padding="" >at <Index onVnodeUnmounted=fn<onVnodeUnmounted> ref=Ref< Proxy(Object) {__v_skip: true} > >at <RouterView>at <QPageContainer style= {maxWidth: '1080px', margin: '0 auto'} >at <QLayout view="hHh lpR fFf" class="bg-grey-2" >at <Default onVnodeUnmounted=fn<onVnodeUnmounted> ref=Ref< Proxy(Object) {__v_skip: true} > >at <RouterView>at <App>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데드 애니메이션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6강에서 강의대로 코드를 작성했는데 NPC를 죽이는 순간 에디터가 멈추고 오류가 발생합니다.위와 같은 오류가 나오는데코드를 그대로 따라 썼는데도 어디가 잘 못 된 건지 못 찾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main에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https://drive.google.com/file/d/13rE7hYZaGExtkaosBGaEAIU4XVu3R9yU/view?usp=drive_link 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Factory; import javax.persistence.Persistence;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불러올 code em.close(); em.close(); } } 이 부분 코드에서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Factory; import javax.persistence.Persistence;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이렇게 코드 수정했더니 아래같은 에러가 뜹니다ㅠㅠjava: error: release version 5 not supportedModule jpa-basic SDK 11 does not support source version 1.5.Possible solutions:- Downgrade Project SDK in settings to 1.5 or compatible. Open project settings.- Upgrade language version in Maven build file to 11. Update pom.xml and reload the project. 이 부분 재질문했는데 답 없어서 새로 질문합니다.
-
해결됨[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현재는 Stream 프로바이더 생성 되는것 같습니다! 강의 들으시는분들 참고해보셔요~
@riverpod Stream<int> gStateStream(GStateStreamRef ref) async* { await Future.delayed(Duration(seconds: 2)); for (int i = 0; i < 10; i++) { await Future.delayed(Duration(seconds: 1)); yield i; } }현재시각 기준으로 Stream 프로바이더도 생성 되는것같네요~
-
해결됨ESXi 가상 인프라 구축과 보안 솔루션을 활용한 이상징후 탐지 모니터링
window 11 home vmware workstation 설치가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window 11 home 운영체제를 사용 중인 수강생입니다.window 10, 11에서는 대부분 vt가 활성화 되어 있으며, 확인해본 결과 vt가 활성화 되어 있었습니다.powershell에서 systeminfo를 확인하니, hyper -v가 검색되지만, 기능은 표기되지 않았습니다.Hyper-V 요구 사항: 하이퍼바이저가 검색되었습니다. Hyper-V에 필요한 기능이 표시되지 않습니다.제어판에서 window 기능 끄기/켜기에서 설정하려고 했으나 hyper -v 항목이 보이지도 않았구요. 그래서 hypervisor를 off로 설정하여 vmware workstation 위에 중첩되는 vm을 설정할 수 있도록 bcdedit을 이용하여 비활성화시켰으나, window 11 home (window 11 edition과 enterprise는 가능) 에서는 hyper -v 자체가 제공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실습이 불가한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래서 배치 파일로 설치하려고 했는데, 제가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악성 파일로 분류된다고 자꾸 설치에 실패하네요. cpu 설정에서 중첩 이용하는 체크를 해제하면 vcenter는 정상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그 위에 vm을 생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합니다.그리고 궁금한 점이 있는데Q1) vt를 활성화시키면 제 하드웨어와 가상 플랫폼과의 상호작용을 도와준다고 하는데,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에는 vm workstation 자체가 설치되지 않는 게 맞나요?Q2) hyper -v를 비활성화하는 이유를 구글에 찾아보니, 비활성화해야 vcenter에 vm을 생성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비활성화해야 중첩 동작이 되는지 잘 모르겠어요.esxi인 경우 제 h/w -- hypervisor -- vmware (guest os 위에 app) 이런 식의 구조인데 hypervisor를 비활성화시키는 작업을 왜 하는지 모르겠어요. 느낌 상 활성화되어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이유가 있나요? 위의 2가지 질문과 또,, workstation이 생성되지 않아 실습을 못 하게 되는 경우에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딥러닝 이론 + PyTorch 실무 완전 정복
Google Drive 에서 Colaboratory 항목이 안보이는 경우
연결할 앱 더보기에서 검색해서 연결을 해주면 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무한스크롤 구현시 발생하는 문제
강의 수강중에, 배운 무한스크롤을 바탕으로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중입니다. 위의, 데이터를 받아오는 것을 보면, 처음에는 2개를 불러오고, 그 이후에는 계속 5개를 불러오는데, 제가 원하는 방식은 처음부터 끝까지 5개씩 계속 일정하게 불러오는 것을 원합니다. 이유를 찾을려고 여러가지 검색을 해보며 해봤는데도, 해결되지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이 경우 의심해볼 수 있는 부분은 어떤 부분이 있을까요?최상위 페이지에서 아래와 같이 prefetch를 해오고type HomeProps = { params: { category: string; }; }; const CategoryDetailPage: React.FC<HomeProps> = async ({ params }) => { const { category } = params;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const college = category; // 서버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의 리액트 쿼리가 물려받음.(하이드레이트) await queryClient.prefetchInfiniteQuery({ queryKey: ['posts', college], queryFn: ({ pageParam = 1 }) => getFilteredPosts(college, { pageParam }), // searchParams 전달 // 커서 값 initialPageParam: 0 }); // hydrate라는 것은 서버에서 온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서 그대로, 물려받는 것 이다. const dehydratedState = dehydrate(queryClient); return ( <HydrationBoundary state={dehydratedState}> <Container> <ListingContainerTest /> </Container> </HydrationBoundary> ); }; export default CategoryDetailPage; 실제 무한스크롤을 사용하는 곳은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use client'; import { getFilteredPosts } from '@/app/lib/getFilteredPosts'; import { useInfiniteQuery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usePathname } from 'next/navigation'; import { Fragment,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InView } from 'react-intersection-observer'; import ClimbingBoxLoader from 'react-spinners/ClimbingBoxLoader'; import EmptyState from '../EmptyState'; import ListingGrid from './ListingGrid'; const ListingCard = () => { const path = usePathname(); // ['', chss] const college = path.split('/')[1]; const { data: listings, fetchNextPage, hasNextPage, isFetching, isError } = useInfiniteQuery({ queryKey: ['posts', college], queryFn: ({ pageParam = 1 }) => getFilteredPosts(college, { pageParam }), initialPageParam: 0, // 가장 최근에 불러왔던 게시글 getNextPageParam: (lastPage) => lastPage.studyList.at(-1)?.id, staleTime: 60 * 1000, gcTime: 300 * 1000 }); // lastPage.jobList.at(-1)?.id, const { ref, inView } = useInView({ // div가 보이고나서 몇픽셀 정도의 이벤트가 호출될 것 인가? 보이자마자 바로 호출.그래서0 threshold: 0, // 몇초후에 딜레이 보일것인지. delay: 0 }); console.log(listings); useEffect(() => { if (inView) { !isFetching && hasNextPage && fetchNextPage(); } }, [inView, isFetching, hasNextPage, fetchNextPage]); if (isError || listings?.pages?.length === 0) { return <EmptyState />; } return ( <> <div className="pt-24 grid grid-cols-1 sm:grid-cols-2 md:grid-cols-3 lg:grid-cols-4 xl:grid-cols-5 2xl:grid-cols-6 gap-8"> {listings?.pages.map((page) => // Assuming each page has a 'studyList' property page.studyList.map((listing: any) => ( <Fragment key={listing.id}> <ListingGrid data={listing} /> </Fragment> )) )} <div ref={ref} style={{ height: 50 }}></div> </div> {isFetching && ( <div className="flex items-center justify-center"> <ClimbingBoxLoader color="#36d7b7" size={20} /> </div> )} </> ); }; export default ListingCard;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네트워크
스위치 강의 중 질문있습니다.
4분 전후로... 스위치에 맥 주소 table이 있을 때,pc4가 pc1로 파일을 보낼 때 맥주소는 앞에 연결된 허브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거 아닌가요??어떻게 1번인지 알고 바로 보내나요??이런 이유로, 1,2번 pc 로는 스위치가 바로 콕찝에 보낼 수 없는게 아닌가 긍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쿼리..질문
안녕하세요,,김영한님 강의를 열혈 수강하고 있는 김주영이라고합니다.. 다름아니라, 제가 개인 프로젝트 중 아래 쿼리문을 작성을 했는데DB조회 개수가 7개 일때, 아래의 쿼리를 실행시키면 select User문에서 쿼리가 7번 나가더라구요,, 도통 이유를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Query("select distinct new ..패키지명...user.UserScrapUserQueryDto(us, coalesce(scrap.status, false), us.selectedFirstAt) " + "from User us " + "left join fetch Work work on work.user.id = us.id " + "left join fetch UserScrap scrap on scrap.targetId = us.id and scrap.user.id = :userId " + "where us.userStatus = 'PERMITTED' and " + " us.id not in (select block.targetId from Block block where block.user.id = :userId and block.status = true) " + "and us.id != :userId and us.role = 'USER' " + "order by us.selectedFirstAt desc")내 userid에 해당하는 user는 제외,block한 유저는 제외,UserScarp과 Work는 fetch join으로 갖고오는 쿼리인데, 혹시 왜 select절이 DB 반환 개수만큼 나오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ㅠㅠ 아래처럼 쿼리가 한번 나간 후에Hibernate: select distinct user0_.user_id as col_0_0_, coalesce(userscrap2_.status, false) as col_1_0_, user0_.selected_first_at as col_2_0_ from "user" user0_ left outer join "work" work1_ on ( work1_.user_id=user0_.user_id ) left outer join "user_scrap" userscrap2_ on ( userscrap2_.target_id=user0_.user_id and userscrap2_.user_id=? ) where user0_.user_status='PERMITTED' and ( user0_.user_id not in ( select block3_.target_id from "block" block3_ where block3_.user_id=? and block3_.status=true ) ) and user0_.user_id<>? and user0_.role='USER' order by user0_.selected_first_at desc select 쿼리로 db에서 갖고온 개수만큼 반환합니다.. Hibernate: select user0_.user_id as user_id1_7_0_, user0_.created_at as created_2_7_0_, user0_.modified_at as modified3_7_0_, user0_.behance as behance4_7_0_, user0_.detail as detail5_7_0_, user0_.device_token as device_t6_7_0_, user0_.email as email7_7_0_, user0_.first_work_id as first_wo8_7_0_, user0_.info as info9_7_0_, user0_.instagram as instagr10_7_0_, user0_.magazine_view_count as magazin11_7_0_, user0_.notion as notion12_7_0_, user0_.role as role13_7_0_, user0_.scrap_count as scrap_c14_7_0_, user0_.selected_first_at as selecte15_7_0_, user0_.tag as tag16_7_0_, user0_.user_name as user_na17_7_0_, user0_.user_status as user_st18_7_0_, user0_.view_count as view_co19_7_0_, user0_.work_thumb_nail as work_th20_7_0_ from "user" user0_ where user0_.user_id=?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다 단방향 의문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중 정리가 잘 되지 않아서 확인차 질문을 남깁니다. 설명에 MEMBER 테이블에 id, name이TEAM 테이블에 id, name, members가 존재하는데 이건 객체 관점에서는 존재하지만 DB관점에서 FK가 MEMBER 테이블에 존재할 수 밖에 없어다른 형태로 즉, MEMBER 테이블에 TEAM_ID 속성이 생성되는걸로 확인이 됩니다. 여기서 FK가 MEMBER 테이블에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TEAM테이블에 FK 존재 시 FK가 다수의 값을 가지게 되어서 존재가 불가능한 것인지, 맞다면 그렇기 때문에 @JoinColumn(name = "TEAM_I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JPA에서 자동적으로 MEMBER테이블에 TEAM_ID 컬럼을 생성하는 건지 확인하고자 질문을 남깁니다.
-
미해결스프링 배치
incrementer 관련 구현체 생성 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스프링부트에서 기본 제공하는 RunIdIncrementer에서 마지막 반환값 코드를 보면 return new JobParametersBuilder(params).addLong(this.key, id).toJobParameters(); 기존 paramers에 파라미터를 새롭게 add해주는 것으로 보이는데, 수업 10분쯤, 커스텀 클래스에서는 return new JobParametersBuilder().addString("run.id", id).toJobParameters();이렇게 JobParametersBuilder 안에 params를 넣어주지 않았는데 왜 잘 동작하는 지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를 못 했거나, 빠트린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함수 포인터 질문
std::function<bool(const int&)> fcnptr = isEven; cout << fcnptr << endl;이 방식의 초기화에서는 오류가 뜨고bool(*fcnptr)(const int&) = isEven; cout << fcnptr << endl;이 초기화에서는 오류가 안 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뜨는 에러 :E0349 no operator matches these operands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class interface 질문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다른 비슷한 질문에서 다음과 같은 답변을 하셨어요 런타임에 있어서 런타임에도 타입체크를 수행하길 원하면 class로 선언하면 되고, 런타임에는 없길 원하면 interface를 쓰시면 됩니다. 런타임이 실제 코드가 실행될때라고 이해하고 있는데 런타임에 타입체크등 코드가 남아있으면 좋은점이 와닿지 않아서요!실제로 어떤 경우에 런타임에 코드가 남아있서서 좋은지, 타입체크가 되면 좋은지 여쭤봐도 될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a.cpp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a.cpp 파일을 visual studio code로 만들면 되는걸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Static 변수 값 관리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tatic 변수 강의를 듣고 코드를 만져보다가 궁금증이 발생하여 문의드립니다.특정 인스턴스(Data)를 생성하여 필드값 초기화시 필드값을 static변수(Data.staticCount)로 선언 후 또다른 static변수(StaticData.staticCount) 값으로 초기화 했습니다. 그 후 StaticData.staticCount 값을 증가하는 코드를 추가하였는데요,여기서 의문점이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할때마다 Data.staticCount 변수의 값은 증가된 또다른 static 변수의 값으로 수정이 되어야한다고 생각이 되는데 로그로 확인해보면 증가가 되지 않습니다. 혹시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아래에 코드내용과 로그 첨부드립니다.Main Class :package staticVariable; public class StaticVariable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aticData.staticCount = 1; Data data1 = new Data("data1"); System.out.println("data1 staticCount : " + Data.staticCount); Data data2 = new Data("data2"); System.out.println("data2 staticCount : " + Data.staticCount); } }*로그내용 : Data Class :package staticVariable; public class Data { String name; static int staticCount = StaticData.staticCount; public Data(String name) { this.name = name; System.out.println("StaticData.staticCount : " + StaticData.staticCount); System.out.println("Data.staticCount : " + staticCount); StaticData.staticCount++; } } Static Classpackage staticVariable; public class StaticData { static int staticCount; }
-
해결됨Flutter로 SNS 앱 만들기
firebase collection 및 사진 등록 문제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근데 오류 난 거 없이 잘 따라가고 있는데 collection에서 users가 생성이 안되고, 사진이 안 나옵니다. 사진 안 나왔을 때 코드 긁어서 넣었는데도 안 나오는데,혹시 firebase test기간 30일이 지나서 그런가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PromiseUnpack<Promise<number>> 코드 질문드립니다.
type PromiseUnpack<T> = T extends Promise<infer R> ? R : never; type PromiseA = PromiseUnpack<Promise<number>>; // number타입 type PromiseB = PromiseUnpack<Promise<string>>; // string타입안녕하세요 선생님. 8:40~부터 나오는 실습코드입니다.타입스크립트의 타입 정의에 관해 헷갈리는 개념이 있습니다.PromiseUnpack<Promise<number>>에서 Promise는 정의해주지 않았는데 갑자기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type Promise = 블라블라이게 없어서 궁금합니다. Promise라는 타입을 정의해준 적은 없지만 '그런 타입이 존재하는구나' 라고 타입스크립트에서 추론이 되어 Promise의 타입 정의 없이 예시로 코드를 작성하신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