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아키텍처 패턴 with iOS - GUI Architecture Patterns(이론)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솔직히,, MVC나 MVP나 MVVM이나 머가 그렇게 다른지 잘 이해가 안가긴합니다..모델과 뷰를 분리하고 이를 컨트롤하는 영역을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 하는데서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구분하려는게 목적인 걸까요. 뷰모델이라 한다해도 처리해야할 복잡성이 올라가면 결국 복잡해지는 건 똑같아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IKit을 사용할 때 NVVM을 쓸라고 하는건 테스트가 용이하다는 이유랑, 그냥 옵저버 패턴 쓰고 싶어서인 것 같습니다. Combine이 나온 것도 뭔가 너네가 옵저버 방식 좋아하는 것 같으니까 만들었어 같은 느낌인 것 같고,, SwiftUI를 공부하면서 보니까 자연스럽게 Combine 쓰게되고 쓰다보니 자연스레 아래처럼 구조가 분리되는 것 같은데 이게 NVVM이 맞는 걸까요?뷰(들어오는 데이터 대로 그려지는 뷰 구조체 모음)모델(타입 or 인터페이스 모음)로직(뷰의 로직 처리 함수모음)스토어(상태 데이터모음)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questBodyStringController - requestBodyStringV3메소드 반환값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RequestBodyStringController - requestBodyStringV3메소드에서 반환값을 String으로 하면에러가 나는이유 + HttpEntity<>로 해야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에러가 나는 코드 @PostMapping("/request-body-string-v3") public String requestBodyStringV3(HttpEntity<String> httpEntity) throws IOException { String messageBody = httpEntity.getBody(); log.info("messageBody={}", messageBody); return "ok"; // return new HttpEntity<>("ok");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form태그의 action과 button의 onclick의 사용시기?
<div class="col"> <button class="w-100 btn btn-secondary btn-lg" type="button" th:onclick="|location.href='@{/items}'|"> 상품 관리 </button> </div> <div class="col"> <form th:action="@{/logout}" method="post"> <button class="w-100 btn btn-dark btn-lg" type="submit"> 로그아웃 </button> </form> </div> 상품관리 버튼에서는 button의 onclick을 이용해서 링크를 보내주고 로그아웃 버튼에서는 form태그의 action을 사용해서 링크로 보내주었는데 post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보내줘야할때는 form의 action을 통해서 보내주고 get방식으로 보내줘야할때는 onclick을 이용해서 보내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혹시 단계별로 완성된 코드를 받을 수 있을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검증부분부터 듣고싶은데 코드가 다 완성되어있어요!혹시 단계별로 완성된 코드가 올라간 깃허브가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테스트 오류 납니다.
finadAllBean() 테스트 오류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iscountPolicy': Failed to instantiate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Specified class is an interface basicScan() 테스트 오류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available 오류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모든 WAS가 멀티쓰레드를 지원하는게 맞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WAS가 멀티쓰레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쓰레드 관리에 신경을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고 하셨는데, 톰캣뿐만 아니라 모든 WAS는 멀티쓰레드를 지원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서블릿 내장객체 관련 질문 드립니다
저는 request, response가 서블릿 내장 객체라고 알고 있었는데요, 강의 내용에 따르면 request와 response는 요청마다 새로 생성되고 서블릿 객체는 요청마다 생성되지 않고 싱글톤으로 재사용한다고 알게 되었습니다.그럼 서블릿 내장 객체와 서블릿 객체가 다른 것인가요? 지금까지는 서블릿 내장 객체라는 것이 서블릿 객체 안에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건 아닌 것 같고 ..서블릿 컨테이너가 서블릿 객체를 관리하는 것이면 서블릿 내장 객체는 누가 관리해주나요? 서블릿 내장 객체와 서블릿 객체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V1과 V2의 차이
V1은 컨트롤러에서 바로 렌더링을 진행하는 거고 V2는 MyView 객체를 생성해서 MyView에서 렌더링을 진행하는데요 이러면 얻는 이점이 뭐가 있나요? 코드만 더 작성해야되는데 손해 아닌가요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Map에 들어가는 ControllerV1 객체
는 싱글톤이 아닌 것인가요 ? 스프링 빈으로 저장도 안해줬고, static을 선언해서 클래스 변수도 아닌데 이럴 경우에는 호출 할 때마다 ControllerV1 객체가 생성되고 process를 진행되는 형식인가요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Locale 관련 질문입니다.
@Test void formattingConversionService() { DefaultFormattingConversionService conversionService = new DefaultFormattingConversionService(); conversionService.addConverter(new StringToIpPortConverter()); conversionService.addConverter(new IpPortToStringConverter()); conversionService.addFormatter(new MyNumberFormatter()); IpPort ipPort = conversionService.convert("127.0.0.1:8080", IpPort.class); assertThat(ipPort).isEqualTo(new IpPort("127.0.0.1", 8080)); assertThat(conversionService.convert(1000, String.class)).isEqualTo("1,000"); assertThat(conversionService.convert("1,000", Long.class)).isEqualTo(1000L); }여기서 따로 Locale을 설정하지 않았는 데도 자동으로 Locale.KOREA가 들어가서 1000을 넣었을 시 "1,000"으로 나오는 것 같은 데 이 Locale 값은 스프링이 자동으로 넣어주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th:value=""; 로 이전 데이터 가져오지 못하는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nullable로 잡혀있는 rejectedValue 을 addItemV1에서 new FieldError 매개변수에 넣지 않으니 가격이나 수량에 넣어줬던 값이 error 발생 시 그대로 저장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구글링 후에bindingResult.addError(new FieldError("item", "price", item.getPrice(), false, null, null, "상품가격 범위 초과(1000~1000000)"));이런 식으로 넣으니까 강의처럼 값이 그대로 넘겨지긴 하네요. 영상에서는 해당 부분말고 상품명까지만 확인한거같은데 참고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directAttribute Url인코딩여부
return에 redirect:/ + 값 위와같이 URL매핑주소에 파라미터를 그대로 넘겨서 반환하게 된다면 URL 인코딩에 대한 위험성을 함께 지적하시면서 RedirectAttribute수업을 진행하였는데요.수업 중 status를 통한 유효성 검증 처리만 하고 인코딩 여부를 어떤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 생략된거 같습니다.혹시 따로 글로라도 확인시켜주실수는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애플리케이션 런 했을때 에러 발생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vs코드에서 자바 배우려고 intellj(무료버전)를 설치 후 강의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HelloSpringApplication을 런 했을때 3가지 에러가 발생하는데 핸들링 부탁드립니다.크게는 이 3가지가 나오고, 이건 첫번째 에러인데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ㅠㅠ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회원등록을 하지 않았으 때 회원 조회를 하게되면 # 이름은 뜨게 되는데 회원등록을 하고 난 후 회원조회를 하게되면 오류가 뜹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https://github.com/JongchanJeon/starter_Spring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Component, @RequestMapping에 관하여
@Controller를 클래스 레벨에 붙이면 스프링에서 애노테이션 기반 컨트롤러로 인식한다고 학습했습니다.강의 10분 쯤에서 @RequestMapping과@Component를 같이 클래스 레벨에 쓰면 @Component에 의해 스프링 빈에 등록돼서 매핑정보로 인식된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이것도 애노테이션 기반 컨트롤러로 인식되는 건가요? 그렇다면 스프링 빈에 등록될 때 빈 이름은 무엇으로 등록되나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log.info("item.open={}", item.getOpen()); 에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NotReadablePropertyException: Invalid property 'item' of bean class [hello.itemservice.domain.item.Item]: Bean property 'item' is not readable or has an invalid getter method: Does the return type of the getter match the parameter type of the setter?에러가 발생합니다. Item.java 파일에 private Boolean open; 라고 쳤는데도 오류가 발생하는데 어디서 문제가 생긴걸까요? @Data도 넣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8080/hello에 에러가 계속 생깁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에 나온 코드를 그대로 복사 붙여 넣기하여 작성한 코드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localhost:8080/hello에서 이 오류가 발생합니다.몇번을 봐도 문제는 없는거 같은데 왜 이럴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의존성관련 질문
의존성에 대해 갑자기 헷갈려서 총 4가지 질문드립니다.MemberService에 아래와 같은 메서드(Member findMemberById(Long id))가 있고 PostService(다른 Service 클래스)에서 memberId로 Member를 조회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이 경우 아래 메서드를 이용하기 위해 PostService 클래스에서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형태로 멤버변수로 포함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memberService.findMemberByMember(id) 로 이용하기위해)public Member findMemberById(Long id) { return memberRepository.findById(id) .orElseThrow(() -> new BusinessLogicException(MEMBER_NOT_FOUND)); } Q1) PostService에서 MemberService를 생성자 주입을 통해 받아서 이용할 경우 MemberService의 의존성(예를 들면 MemberRepository 등의 MemberService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클래스들)까지 PostService에 포함되는 것일까요? Q2) 의존성이라는게 단순히 생성자 주입으로 받았던 멤버 클래스들 뿐 아니라 내부 메소드에서 매개변수로 받은 클래스가 있다면 이 또한 의존성인가요?(import 로 포함된 클래스들을 모두 의존클래스로 보면 될지, 아니면 내부에서 사용하는 모든 객체를 의존성으로 보면될지 >> 같은 패키지의 경우 import 안하는걸 고려했을때 내부에서 객체로 이용하지만 같은 패키지라 import 안되는걸 고려) Q3-1) Q1의 답변에서 MemberService의 의존성까지 PostService에 포함되는 거라면 PostService에서 Member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memberService.findMemberById(id) 로 조회하기 보단 MemberRepository를 주입받아서 member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 new BusinessLogicException(MEMBER_NOT_FOUND)); 형태로 변경하는게 맞을지? Q3-2) Q1의 답변에서 MemberService의 의존성까지 PostService에 포함되는게 아니라면 PostService에서 MemberService가 아닌 MemberRepository로 조회하는게 맞을지? Member 조회가 여러곳에서 사용되고 Member findMemberById(Long id) 메소드의 내용이 여러곳에서 중복되는 걸 생각했을때처음에는 단순히 member 조회가 여러곳에서 일어나고 공통된 내용이 반복되어 MemberService의 findMemberById 로 묶어서 사용하는게 맞다고 생각했는데 의문이 들었고 예전에 의존성은 최대한 줄이라고 하셨던게 생각나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아이디중복확인 ajax
아이디 중복확인 ajax작성할때 /memRegisterCheck.do에서 리턴값 1 또는 0 받는데 ajax에 dataType 안적는 이유는 뭔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자바 17, 스프링 3 버전이용중인데 에러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cmd창으로 실행을 하였는데 강사님이 알려주신대로 해봤는데 gradlew.bat 이 실행이 안되네요저는 windows, 자바 17버젼이고 스프링은 3.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