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하이버네이트가 실행되는 오류가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항상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강좌에서 프로젝트를 새로 생성하고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서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는데 어떤 원인이 때문인 그런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ainDiscountPolicy 적용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오류에는 애노테이션이 문제라고 하는 것 같은데..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4-F MAX 처리에 대한 질문
int go(int index, int k, int mask) { if (k < 0) return 0; if (index == 26) return count(mask); int ret = go(index+1, k-1, mask | (1 << index)); if (index != 'a'-'a' && index != 'n'-'a' && index != 't'-'a' && index != 'i'-'a' && index != 'c'-'a') { ret = max(ret, go(index+1, k, mask)); } return ret;}위 GO함수 내에서 마스킹할때는 ret에 max 처리를 하지 않았는데 마스킹하지 않을 경우에 ret에 max처리를 하신 이유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어떠한 차이가 있는건지 잘 이해가 안가네요 ㅜㅜ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4 -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언리얼 기본 제공 태스크 UAbilityTask_WaitTargetData
언리얼이 기본제공하는 태스크들이 정말 많아서 좀 둘러보다가 저희가 만든 AT_Trace랑 비슷한 "UAbilityTask_WaitTargetData"라는 게 있어서 좀 살펴봤는데요. Activate()에 있는 구현 내용이 중복되는 BeginSpawningActor()와 FinishSpawningActor() 함수가 있는데 임의로 블루프린트에서 이 태스크를 실행해보니 Activate()가 실행이 안되고 이 두 함수가 실행되는 걸 봤습니다.이런 식으로 그냥 실행해봤는데요.사실 코드에선 어빌리티에서 CreateTarget()을 하고 ReadyForActivation()까지 호출해야 AT의 Activate()가 실행되는데 블루프린트에서는 이 노드 호출만으로 어떻게 AT가 실행까지 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거기에 UAbilityTask_WaitTargetData 처럼 Activate() 대신에 BeginSpawningActor()/FinishSpawningActor() 가 실행되는 이유도 알고 싶습니다....이 두 함수 존재의 설명은 엔진 주석에 나와있어서 어느정도 파악이 됐는데 문제는 코드에서든 블루프린트에서든 호출되는 조건을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NestJS
pgAdmin 4에서 데이터 베이스 만들어주기 부분
안녕하세요5. Postgres & TypeORM 정리하기이부분에서PostgresSQL, pgAdmin을 설치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어주는 과정에서서버를 우선 만들고,BoardProject 하위 목록에Databases 에서 create -> Database에 들어가서 database 를 만들어주려고 하는데강의에서는 input 목록이Database, Owner, Comment 이 세가지만 있는데OID 라는것이 추가되어 있어요... 여기다가 어떤걸 적어줘야 하는지 모르겠고,비운 상태로 save 를 누르면이런 에러가 뜹니다.new locale provider (libc) does not match locale provider of the template database (icu) HINT: Use the same locale provider as in the template database, or use template0 as template.어떻게 해줘야할까요? ㅠㅠpgAdmin 4 를 다운받아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걸까요? 데이터베이스 자체를 만들지 못했으니 뒤로 넘어가지 못하고 계속 헤매는 중입니다 ㅠ 자세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ResponseBody 문자 반환은 JSON 형식으로 반환하는게 아닌건가요?
API가 객체를 JSON 형태로 바꿔서 반환하는 방식인데ResponseBody 문자 반환의 경우 HTTP 바디에 문자 그대로 반환.ResponseBody 객체 반환의 경우 컨버터를 이용해 JSON 형태로 바꿔 반환결국 두 경우 다 API 방식이지만 JSON 형태로 바꾸는건 객체 반환의 경우만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아니면 후자만 API 방식인걸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안녕하세요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복습하는데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Convertible converter = new KRWConverter(); // 다형성을 활용 convertUSD(converter, 1); static void convertUSD(Convertible converter, int USD) { converter.convert(USD); // KRWConverter.convert(USD)와 같음추상메서드는 오버라이딩을 강제하기 때문에 위의 로직을 적용해서 강사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인라인 함수를 converter에 대입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convertUSD( public void convert(int USD) { // 1달러 = 1400원 System.out.println(USD + " 달러 = " + (USD * 1400) + " 원"); }, 1);그리고 람다식을 활용해서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구요.convertUSD( (USD) -> System.out.println(USD + " 달러 = " + (USD * 1400) + " 원"), 2 );이 람다식 변환과정에서 인터페이스 변수인 converter와 람다식의 로직이 동일하기 때문에 람다식을 아예 인터페이스 변수에 다음과 같이 넣을 수 있구요Convertible convertible = (USD) -> System.out.println(USD + " 달러 = " + (USD * 1400) + " 원"); convertible.convert(2); // 2 달러 = 2800 원여기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추상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 람다식을 인터페이스 변수에 넣는 것이 이전 시간에 배운 익명 클래스를 참조 객체에 넣는 것과 비슷하다고 느꼈는데요, 람다식이 익명 클래스로부터 발전되서 그런건가요? 제가 머리가 나빠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많이 오래 걸렸습니다 ㅠㅠ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test 중 빌드 오류 - java.io.IOException: Unable to delete directory
안녕하세요. 영한님 덕분에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번 강의를 수강하던 중에 test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럽게 빌드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java.io.IOException: Unable to delete directory~~이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되는데 프로젝트 내의 build 폴더와 관련이 있는 듯 하여 삭제 후 다시 작동하면 처음엔 잘 돌아갈 때도 있지만, 한번 더 test를 실행하면 같은 오류가 다시 발생했습니다. (주로 build/test-result/test/binary가 지목되었습니다.)그 후로는 나름대로 구글링해보며 재부팅부터 시작해서 gradle 폴더 삭제, java 프로세스 중지, invalidate caches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간혹 해결된 경우에도 위의 상황과 같이 두 번째로 다시 돌려봤을 때는 오류가 반복됩니다. 혹시나 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수정하지 않은 채 test만 작동해 보았는데, 이 역시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현 상황에서는 test를 실행하려면 실행 전에 매번 수동으로 문제를 해결해주어야 합니다..수업 내용과 관계가 없는 듯 하여 가급적 제 선에서 해결하고 싶었지만 저와 같은 사례가 흔치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조언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svg를 public으로 빼지않고 그대로 컴포넌트에 넣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svg를 public으로 빼지않고 그대로 컴포넌트에 넣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저는 public에 사용되는 svg를 다 넣어놓고 svgr을 이용해서 필요한 컴포넌트마다 import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 next를 시작할 때 알려주신 분이 이렇게 사용하셔서)그런데 Section 2까지 강의를 들으면서 보니 제로초님은 컴포넌트에 바로 svg를 삽입하시던데 혹시 성능에 차이가 있을까요? 두 방법중 어떤 것이 나을까요? 혹시 성능에 큰 차이가 없다면 제로초님의 방식이 편해보이는데.. 고민입니다.
-
미해결유니티 Addressable 을 이용한 패치 시스템 구현
다운로드 후 InGame에서 스프라이트 이미지 반영이 바로 되지않는 현상
앱 실행 > 첫 다운로드 시작 > 다운로드 완료 > InGame 신으로 넘어가면 이미지가 반영되지 않네요.앱을 재 실행 > 다운로드 없이 바로 게임시작 > InGame 신으로 넘어오면 이미지가 반영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어떤 문제인지 모르겠네요.
-
해결됨15일간의 빅데이터 파일럿 프로젝트
gcc, tcl 설치 에러
안녕하세요 "4.실시간 적재 파일럿 실행 2단계 03 - Redis 설치 " 강의 중, gcc와 tcl 설치 도중에 에러가 발생해서 질문 드립니다. $ yum install -y gcc*해당 에러가 url 변경으로, 에러가 발생해서 echo "https://vault.centos.org/6.10/os/x86_64/" > /var/cache/yum/x86_64/6/base/mirrorlist.txt echo "http://vault.centos.org/6.10/extras/x86_64/" > /var/cache/yum/x86_64/6/extras/mirrorlist.txt echo "http://vault.centos.org/6.10/updates/x86_64/" > /var/cache/yum/x86_64/6/updates/mirrorlist.txt 로 변경하여 설치를 시도했습니다.하지만 아래 사진과 같이 여전히 gcc가 설치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tcl에 대해서도 설치 과정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위 사진에 대한 내용도 아래에 작성해놓겠습니다. [root@server02 ~]# echo "https://vault.centos.org/6.10/os/x86_64/" > /var/cache/yum/x86_64/6/base/mirrorlist.txt [root@server02 ~]# echo "http://vault.centos.org/6.10/extras/x86_64/" > /var/cache/yum/x86_64/6/extras/mirrorlist.txt [root@server02 ~]# echo "http://vault.centos.org/6.10/updates/x86_64/" > /var/cache/yum/x86_64/6/updates/mirrorlist.txt [root@server02 ~]# rpm -q gcc package gcc is not installed [root@server02 ~]# [root@server02 ~]# [root@server02 ~]# yum install -y tcl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refresh-packagekit, security Setting up Install Process 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stfile https://archive.cloudera.com/cm6/6.3.1/redhat6/yum/repodata/repomd.xml: [Errno 14] PYCURL ERROR 22 -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4 Not Found" Trying other mirror. To address this issue please refer to the below knowledge base article https://access.redhat.com/articles/1320623 If above article doesn't help to resolve this issue please open a ticket with Red Hat Support. Error: Cannot retrieve repository metadata (repomd.xml) for repository: cloudera-manager. Please verify its path and try again [root@server02 ~]# [root@server02 ~]# [root@server02 ~]# 감사합니다.
-
미해결냉동코더의 알기 쉬운 Modern Android Development 입문
Coroutine, Flow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아래 질문이랑 거의 비슷한 질문이긴한데 확실히 하고싶어 문의드립니다 import kotlinx.coroutines.*import kotlinx.coroutines.flow.*fun main() = runBlocking<Unit> { // Launch a concurrent coroutine to check if the main thread is blocked launch { for (k in 1..3) { println("I'm not blocked $k") delay(100) } } // Collect the flow simple().collect { value -> println(value) } // println("test") }fun simple(): Flow<Int> = flow { // flow builder for (i in 1..3) { delay(100) // pretend we are doing something useful here emit(i) // emit next value }} runBlocking{} 내부에서 launch {} 로 코루틴이 생성그다음 simple().collect{} 코드가 실행되는데 이것도 코루틴으로서 생성launch 로 생성한 코루틴이 실행 -> println("I'm not blocked $k") 코드 출력flow 코루틴 실행-> collect 된 value 출력3,4 반복이해한게 맞을까요? 그리고 타이밍에 따라서 결과값이1I'm not blocked 12I'm not blocked 2 3I'm not blocked 3 이렇게 나올수도 있나요? 챗지피티는 타이밍 때문에 출력 순서가 바뀔수 있다고 해서요 ..
-
미해결MySQL 성능 최적화
섹션 4 Theory 영상에서 계속해서 노션의 화면 위치가 이동
섹션 4 Theory 영상에서 계속해서 노션의 화면 위치가 이동되는데 크게 불편하지는 않지만 발견해서 한번 적어봅니당
-
해결됨
스프링 빈 과 @BeforeEach
public class MemberServiceTest{ @BeforeEach public void beforeEach(){ memberRepository= new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Service=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외부에서 memberRepository의 값을 주입 받음 : 생성자 주입 public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위의 두 코드를 작성할 때 @Controller, @Service,@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MemberService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memberRepository 객체가 없기 때문에 직접 memberRepository의 객체 값을 넘겨준건가요??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지 않아 @Autowired를 사용할 수 없다면, @BeforeEach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생성자를 호출할 때 직접 객체의 값을 주입해줘야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profile 여러개 설정방법
안녕하세요@Profile 어노테이션 사용할때 여러개의 환경일때 빈을 가져오고싶다하면@Profile(“test1”, “test2”), @Profile(“test1|test2”)위의 예시중에 어떤방식이 맞는건지 그리고 어떻게 가져오는건지 내부를 확인하고싶으면 어디를 확인하면 좋을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안녕하세요 .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hjhj2101@naver.com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persist 수행시 덮어 씌워져 버리는 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네[질문 내용]영한님 강의에서는 위와 같이 두 행의 데이터가 잘 조회되는데, 2024 버전으로 설치한게 잘못인건지 두번 쿼리를 날렸는데 이전 행에 덮어 씌워져 버리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모르겠네요 혹시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려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SSR 적용이 안되어 있다면 어떤 부분을 체크해보면 좋을까요?
현재 Home 페이지를 확인해보면 작성된 게시글들이 아닌 Spinner가 돌고 있는것을 보아 SSR 적용이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유저 페이지의 경우에도 게시글들이 보이지 않아서 어떤 부분을 보고 수정해야할지 궁금합니다. 현재 Home 페이지와 [username]의 페이지에서 Hydrate 해주는 코드가 있으면 SSR 적용이 되는걸로 알고 있었는데 코드 부분에서 이상을 못느끼겠습니다ㅠㅠ// src\app\(afterLogin)\home\_component\TabDeciderSuspense.tsx import TabDecider from "@/app/(afterLogin)/home/_component/TabDecider"; import { dehydrate, HydrationBoundary, QueryClient,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 getPostRecommends } from "@/app/(afterLogin)/home/_lib/getPostRecommends";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TabDeciderSuspense() {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await queryClient.prefetchInfiniteQuery({ queryKey: ["posts", "recommends"], queryFn: getPostRecommends, initialPageParam: 0, }); const dehydratedState = dehydrate(queryClient); return ( <HydrationBoundary state={dehydratedState}> <TabDecider /> </HydrationBoundary> ); } // src\app\(afterLogin)\[username]\page.tsx import style from "./profile.module.css"; import { dehydrate, HydrationBoundary, QueryClient,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UserPosts from "@/app/(afterLogin)/[username]/_component/UserPosts"; import UserInfo from "@/app/(afterLogin)/[username]/_component/UserInfo"; import { getUserPosts } from "@/app/(afterLogin)/[username]/_lib/getUserPosts"; import { getUserServer } from "@/app/(afterLogin)/[username]/_lib/getUserServer"; import { auth } from "@/auth"; import { User } from "@/model/User"; type Props = { params: { username: string }; }; export async function generateMetadata({ params }: Props) { const user: User = await getUserServer({ queryKey: ["users", params.username], }); return { title: `${user.nickname} (${user.id}) / Z`, description: `${user.nickname} (${user.id}) 프로필`, }; }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Profile({ params }: Props) { const { username } = params; const session = await auth();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await queryClient.prefetchQuery({ queryKey: ["users", username], queryFn: getUserServer, }); await queryClient.prefetchQuery({ queryKey: ["posts", "users", username], queryFn: getUserPosts, }); const dehydratedState = dehydrate(queryClient); return ( <main className={style.main}> <HydrationBoundary state={dehydratedState}> <UserInfo username={username} session={session} /> <div> <UserPosts username={username} /> </div> </HydrationBoundary> </main> ); }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Vitis Classic 2023.2 기준 data 값 비정상 출력 해결 방법
data가 위 사진처럼 비정상적으로 출력 되는 경우main_lab8_rev_2022_1.c 에서 MYIP_BASE_ADDR로 정의한 XPAR_PS7_PMU_0_S_AXI_BASEADDR을 xparameters.h에서 찾습니다.그럼 다음과 같은 값으로 정의되어 있는 것을 찾으실 수 있는데, 이 값을 vivado의 Adress Editor의 Master Base Address의 값과 일치시켜 줍니다.그 후에 xparameters.h를 저장하고 Build Project, Launch Hardware를 하시면 data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미해결[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 사용법 및 환경설정 강의 > 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필요한 부분만 정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웹디자인 기능사 실기 준비 중인 강의 수강자입니다.>>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 사용법 및 환경설정 해당 강의 수강 중인데 실무자 팁과 섞여있어 시험 시 필요한 부분 구분이 어려운 상황입니다.시험자 환경에 맞춰 실제 시험에 필요한 세팅 부분만 모두 알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