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long 반환타입
MemberJpaRepository의 count 함수에서 Long이 아닌 long 으로 반환타입을 작성 하는 이유가 뭔가요?Long으로 해도 상관 없는걸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homebrew와 m1 맥북으로 설치했다면 아래 명령어로 경로 확인 가능
mysql 접속 후 아래 명령어 2가지를 통해 알 수 있음.show variables like 'datadir';select @@datadir;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a_pdf 객체 조회 부분에서..
memberId를 파라미터로 받고 해당하는 단일 Member 객체를 반환하는 find 메소드와 연관지었을 때JOIN 뒤에 있어야 할 WHERE M.MEMBER_ID = ? 와 같은 where 절이 없는데.. 생략된 것인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서버 실행
이리저리 해봐도 에러는 없는거 같은데 서버 실행이 안되네요... 어떻게 해결할수 있을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램이 16기가인데 문제 없이 강의의 사비스들을 실행시킬 수 있나요?
램이 16기가인데 강의에 나오는 서비스들을 문제없이 실행시킬 수 있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BatchSize와 SQL Parsing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BatchSize라는 기능을 배워서 상당히 놀라웠는데요.해당 기능을 사용해 실행되는 쿼리를 보니IN (?, ?)와 같이 바인딩 변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이는데만약 말씀하신것처럼 BatchSize를 1000개로 잡았다 할 떄최악의 경우 IN절 내부의 ? 바인딩 변수가 계속 변하게 된다면 (1개 ~ 1000개 )소프트 파싱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나요 ??항상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컨트롤러에서 @Valid로 필드를 검증을 한 이후 질문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질문이 하나 있는데요.컨트롤러에서 @Valid로 필드를 검증이 되지 않으면 공통 예외처리에 걸려서 응답처리가 되고, 정상적으로 필드가 검증이 됐다면 서비스단에 로직을 처리할텐데요~서비스단에서는 다시 필드를 검증할 필요가 없을까요?컨트롤러, 서비스를 나눠서 테스트를 작성하다보니 서비스 단에서도 검증을 해야하나 궁금합니다.실무에서는 어떻게 보통 어떻게 진행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GetMapping에서 Required request body is missing 에러
안녕하세요UI와 GetMapping API 테스트를 하는데 로컬에서 테스트 할 때는 잘 되는데API 테스트를 하면 아래와 같이 Required request body 에러가 뜹니다.Client에서 보낸 JSON데이터를 로컬에서 테스트 하면 잘 되는데 GetMapping 만 쓰는 API에서는 @RequestBody 가 안되는걸까요..? (비슷한 내용의 코드인데 GetMapping, PUTMapping, POSTMapping이 있는 API에서는 또 잘되고 있어서 이런의문점이 듭니다.)아래 코드와 에러 내용 드립니다. . 코드 (Parameter 명과 Class명 수정했습니다.)@Slf4j@RestController@RequestMapping(value = "/", method = RequestMethod.GET)public class SchoolController {@AutowiredClassService cs; @GetMapping("/School") public List<Event> School( @DateTimeFormat(pattern = "yyyy-MM-dd HH:mm:ss") @RequestBody Class class ) throws Exception { List<Class> ClassList = new ArrayList<Class>(); ClassListt = cs.selectClassBySearchCriteria(class.getId(), class.getName(), class.getCreateTime(), class.getUpdateTime());} . 에러내용 Resolved [org.springframework.http.converter.HttpMessageNotReadableException: Required request body is missing: public java.util.List<mes.sdc.mads.vo.Event> mes.sdc.mads.controller.DetectionController.anomalyEvent(mes.sdc.mads.vo.Event,org.springframework.ui.Model) throws java.lang.Exception]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 Cancel 기능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주문 취소하는 로직을 Post 말고 Put으로 하려고 하는데 Resolved [org.springframework.web.HttpRequestMethodNotSupportedException: Request method 'GET' not supported] 이런 오류가 뜹니다. 제가 한건 controller에서 @postMapping -> @PutMappingcacel 함수에서 form.setAttribute("method", "put") 으로 변경 이렇게 두개로 바꿧는데 post에서는 잘 동작하는 로직이 put에서는 잘 동작하지 않아 이부분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test 소스에서 @Autowired EntityManager em; 시 오류가 납니다 ㅠㅠ
java 소스에서는 EntityManager em 사용시 오류가 안나는데,test소스에서 EntityManager em @Autowired 시 빨간줄로 오류가 생깁니다 ㅠㅠ.. build.gradel, tsetd의 application.yml 같이 올립니다 무슨이유 인지 모르겠습니다 ㅜㅜ..buildscript { ext { queryDslVersion = "5.0.0" } }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0' //querydsl 추가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 group = 'saft'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7'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 NotEmpty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1.4.199' implementation 'com.h2database:h2'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queryDslVersion}"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queryDslVersion}"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 //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apt:5.0.0' // 추가 ↓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p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파라미터 확인 라이브러리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5.8' // MapStruct implementation 'org.mapstruct:mapstruct:1.4.2.Final' annotationProcessor "org.mapstruct:mapstruct-processor:1.4.2.Final"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org.projectlombok:lombok-mapstruct-binding:0.1.0' ) //test추가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test { useJUnitPlatform() } /* //querydsl 추가 시작 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querydsl" querydsl {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 } sourceSets { main.java.srcDir querydslDir } compileQuerydsl{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querydsl 추가 끝 */ def generatedDir = "src/main/generated" clean { delete file(generatedDir) }spring: profiles: active: test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saft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use_sql_comments: true 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에서 submit시 /orders 페이지에서 Whitelabel page 에러가 발생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구글 드라이브 주소 : https://drive.google.com/file/d/11uKs63KBKfCIPAPzVZNzSKVzehlHZ_nO/view?usp=drive_link강의 내용을 따라하던 중 /order 페이지를 통해 상품 주문 후 submit 버튼을 누를 시 이동하는 /orders 페이지에서 사진과 같은 Whitelabel page가 발생합니다.에러 메세지 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Whitelabel Error Page This application has no explicit mapping for /error, so you are seeing this as a fallback. Sun Jul 30 16:11:18 KST 2023 There was an unexpected error (type=Internal Server Error, status=500). An error happened during template parsing (template: "class path resource [templates/order/orderList.html]") org.thymeleaf.exceptions.TemplateInputException: An error happened during template parsing (template: "class path resource [templates/order/orderList.html]") at org.thymeleaf.templateparser.markup.AbstractMarkupTemplateParser.parse(AbstractMarkupTemplateParser.java:241) at org.thymeleaf.templateparser.markup.AbstractMarkupTemplateParser.parseStandalone(AbstractMarkupTemplateParser.java:100) at org.thymeleaf.engine.TemplateManager.parseAndProcess(TemplateManager.java:666) at org.thymeleaf.TemplateEngine.process(TemplateEngine.java:1098) at org.thymeleaf.TemplateEngine.process(TemplateEngine.java:1072) at org.thymeleaf.spring5.view.ThymeleafView.renderFragment(ThymeleafView.java:366) at org.thymeleaf.spring5.view.ThymeleafView.render(ThymeleafView.java:190)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render(DispatcherServlet.java:1406)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processDispatchResult(DispatcherServlet.java:1150)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doDispatch(DispatcherServlet.java:1089)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doService(DispatcherServlet.java:965)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processRequest(FrameworkServlet.java:1006)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doGet(FrameworkServlet.java:898) at javax.servlet.http.HttpServlet.service(HttpServlet.java:529)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service(FrameworkServlet.java:883) at javax.servlet.http.HttpServlet.service(HttpServlet.java:623)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209)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53) at org.apache.tomcat.websocket.server.WsFilter.doFilter(WsFilter.java:51)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78)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5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RequestContextFilter.doFilterInternal(RequestContextFilter.java:100)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7)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78)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5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FormContentFilter.doFilterInternal(FormContentFilter.java:9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7)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78)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5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doFilterInternal(CharacterEncodingFilter.java:201)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7)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78)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53)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WrapperValve.invoke(StandardWrapperValve.java:167)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Valve.invoke(StandardContextValve.java:90) at org.apache.catalina.authenticator.AuthenticatorBase.invoke(AuthenticatorBase.java:481)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Valve.invoke(StandardHostValve.java:130) at org.apache.catalina.valves.ErrorReportValve.invoke(ErrorReportValve.java:93)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Valve.invoke(StandardEngineValve.java:74) at org.apache.catalina.connector.CoyoteAdapter.service(CoyoteAdapter.java:343)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service(Http11Processor.java:390)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cessorLight.process(AbstractProcessorLight.java:63)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ConnectionHandler.process(AbstractProtocol.java:926)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SocketProcessor.doRun(NioEndpoint.java:1791) at org.apache.tomcat.util.net.SocketProcessorBase.run(SocketProcessorBase.java:52)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91)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59)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askThread$WrappingRunnable.run(TaskThread.java:61)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4) Caused by: org.attoparser.ParseException: Exception evaluating SpringEL expression: "item.orderDate" (template: "order/에러 메세지를 살펴보니 html의 item.orderDate 이 부분이 문제인 것 같아서 연관된 부분을 전부 살펴봤는데도 어디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찾지 못했습니다..혹시 원인을 알 수 있을까요ㅠ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ntity & 기본생성자와의 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emeber Entity에 기본생성자가 없으면 실행 후 회원 목록 조회를 하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하더라구요!! 혹시 기본생성자가 하는 Entity에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세요 압축프로그렘을 다운받은후에 compile해보니 오류가 발생해서 질문드립니다
이유가 뭘까요 사진 첨부해드릴게요 이거는 다른 글을 보니 추가해주니 해결되었다던데 저는 여젼히 컴파일에서 오류가 발생하네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oinTable 기본키, 복합키
안녕하세요 @JoinTable 사용 중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연습중에 course와 category를 다대다로 연결하기 위해 @JoinTable을 사용했습니다. 추가적인 필드가 필요없다 생각해서 우선 다대다 관계를 풀어주는 엔티티를 만들지 않고 @JoinTable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서 질문 입니다. 검색을 해본 결과 @JoinTable은 들어온 fk를 복합키로 사용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제 생각에는 예를들면 @JoinTable인 course_category에 (course_id = 1 , category_id = 1)인 데이터가 존재하면 (course_id = 1 , category_id = 1)라는 데이터가 중복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중복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이 이유가 왜인지 궁금합니다!! @ManyToMany @JoinTable(name = "COURSE_CATEGORY", joinColumns = @JoinColumn(name = "course_id"), inverseJoinColumns = @JoinColumn(name = "category_id")) private List<Category> categoryList = new ArrayList<>(); @Id 필드를 사용하기 위해 category_course 엔티티를 따로 만드는 방법으로 수정 중에 있는데 위의 질문 내용을 짚고 넘어가고 싶어서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Deprecated
안녕하세요 queryDsl의 기본 문법에 대해서 듣고 있는데요.현재 기준, fetchResults(), fetchCount() 가 deprecated 되었네요.(자바11, springboot 2.7 버전에 맞는 queryDsl)강의 끝부분에서 말씀하신, 복잡한 페이징 & 쿼리 부분에서는 coun와 select 쿼리가 다르니까 따로 작성해서 해야된다는 말씀 것과 연관되어서 그런 것 맞을까요? 그러면 @Deprecated 된 현재는 fetchResults(), fetchCount() 는 사용을 지양하고 별개의 쿼리로 각각의 값들을 얻어 조합해서 response 해주는 것이 맞죠?
-
해결됨실전! Querydsl
생성자
안녕하세요jpa 인강 다 듣고 querydsl 강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기본생성자의 접근제한자를 PROTECTED 로 제한한 이유가 있을까요? 기본생성자 자체가 필요한 이유는 프록시 객체 생성시 필요하다고 알고 있는데요, 굳이 PROTECTED 로 설정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주인을 FK로 잡는 구체적 이유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
강의의 예제에서 Team 엔티티의 List members를 주인으로 잡게되면 insert시 Member측에선 update가 날라갈 수 있다라고 강의에서 설명이 된 것 같은데 왜 insert시 update가 일어나지?라는 생각이 들어서 혹시 이부분 첨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페치 조인1 강의에 대한 질문있습니다.
try { Team teamA = new Team(); teamA.setName("팀A"); em.persist(teamA); Team teamB = new Team(); teamB.setName("팀B"); em.persist(teamB);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회원1"); member1.setTeam(teamA); em.persist(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Username("회원2"); member2.setTeam(teamA); em.persist(member2); Member member3 = new Member(); member3.setUsername("회원3"); member3.setTeam(teamB); em.persist(member3); em.flush(); em.clear(); String query = "select m from Member m"; List<Member> result = em.createQuery(query, Member.class) .getResultList(); for (Member member : result) { System.out.println("member = " + member.getUsername() + ", " + member.getTeam().getName()); }Hibernate: /* select m from Member m */ select member0_.id as id1_0_, member0_.age as age2_0_, member0_.TEAM_ID as team_id5_0_, member0_.type as type3_0_, member0_.username as username4_0_ from Member member0_ Hibernate: select team0_.id as id1_3_0_, team0_.name as name2_3_0_ from Team team0_ where team0_.id in ( ?, ? ) member = 회원1, 팀A member = 회원2, 팀A member = 회원3, 팀B회원1을 조회하면서 회원과 팀에 대한 select 쿼리가 나가고 회원1을 조회하면서 teamA가 영속성 컨텍스트에 올라갔으니 회원2는 1차 캐시에서 가져온다고 했습니다. 그러면 teamB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없기 때문에 team에 대한 쿼리가 발생해야 하는데 발생하지 않습니다. 왜 강의와 다르게 쿼리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pring Security 를 포함한 WebMvcTest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덕분에 테스트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스프링 시큐리티를 포함한 테스트와 관련해서 질문을 드려보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강의에서는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하지 않지만 테스트와 관련해서 물어볼 곳이 마땅치 않아 이 곳에 글을 남기는 점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quiredArgsConstructor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 @Slf4j public class AuthController { private final AuthService authService; @PostMapping("/auth/sign-up") public String signUp(@RequestBody SignUpRequest request) { authService.signUp(request); return "회원가입 성공"; } }현재 회원가입을 하는 컨트롤러의 메서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class Auth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rivate final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Transactional public void signUp(SignUpRequest request) { if (userRepository.findByEmail(request.getEmail()).isPresent()) { throw new AlreadyExistException("이미 존재하는 이메일입니다."); } if (userRepository.findByNickname(request.getNickname()).isPresent()) { throw new AlreadyExistException("이미 존재하는 닉네임입니다."); } User user = User.builder() .name(request.getName()) .email(request.getEmail()) .password(request.getPassword()) .nickname(request.getNickname()) .role(UserRole.USER) .build(); user.passwordEncode(passwordEncoder); userRepository.save(user); } }그리고 실제 회원가입이 진행되는 로직은 이렇습니다. 그리고 제가 WebMvc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건 다음과 같습니다.@ActiveProfiles("test") @AutoConfigureMockMvc @WebMvcTest(AuthController.class) class AuthControllerTestWithWebMvcTest { @Autowired protected MockMvc mockMvc; @Autowired protected ObjectMapper objectMapper; @MockBean private AuthService authService; @MockBean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DisplayName("회원가입 한다.") @CustomMockUser // 회원가입을 해야되는데 인증이 필요하다? ->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됨 -> 올바른 테스트? @Test void signUp() throws Exception { // given SignUpRequest request = SignUpRequest.builder() .name("zun") .email("zun@test.com") .password("12345") .nickname("zunny") .build(); // then mockMvc.perform(post("/api/auth/sign-up") .content(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request)) .contentType(APPLICATION_JSON) .with(csrf()) ) .andExpect(status().isOk()) .andDo(print()); } }보시다시피 회원가입 API에 요청이 제대로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CustomMockUser 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어노테이션은 테스트에서 인증을 처리하기 위해 만든 어노테이션입니다. 호돌맨님 강의를 참고해서 만들었습니다.)제가 혼란스러운 부분은 테스트코드에 써놓은 주석처럼 회원가입이 제대로 되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컨트롤러 코드인데 이걸 통과시키기 위해 인증을 담당하는 @CustomMockUser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테스트인가 하는 의문입니다.@WebMvcTest를 사용하지 않고 @SpringBootTest를 사용하면 다음처럼 할 수가 있습니다.@ActiveProfiles("test") @AutoConfigureMockMvc @SpringBootTest class AuthControllerTest {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ObjectMapper objectMapper; @Autowired private MockMvc mockMvc; @BeforeEach void tearDown() { userRepository.deleteAllInBatch(); } @DisplayName("회원가입 한다.") @Test void signUp() throws Exception { //given SignUpRequest request = SignUpRequest.builder() .name("zun") .email("zun@test.com") .password("12345") .nickname("zunny") .build(); //expected mockMvc.perform(post("/api/auth/sign-up") .content(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request)) .contentType(APPLICATION_JSON) ) .andExpect(status().isOk()) .andDo(print()); } } 혹시 이와 관련해서 우빈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컨트롤러 쪽 테스트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rollback(false) 로 회원 추가 후, rollback(false) 없애고 다시 동일한 회원 추가 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위의 회원가입 함수를 처음에 rollback(false)로 실행하면 데이터베이스에 Name이 "kim"인 데이터가 들어가는걸 확인했습니다. 질문1이후에 rollback(false)를 제거하고 다시 회원가입 함수를 실행하면 join에서 기존에 db에 "kim" 이라는 회원이 존재하기 때문에 예외가 발생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왜 정상적으로 join되었다가 롤백되는건지 궁금합니다.질문2예외가 발생한다고 예상했지만 오히려 기존의 "kim" 회원 또한 사라졌습니다. 기존의 데이터조차 사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테스트 하기 전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있던 데이터들은 롤백되어도 그대로 있어야 하는것 아닌가요? *혹시 테스트 메서드를 실행할때,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비우고 시작하는 건가요? 그렇다면 다시 롤백했을때 비어있는 데이터베이스로 돌아오게 되고, 그러면 위 궁금증이 해소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