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상속 질문이요
30강 9:44에서 부모 자식 기본 생성자가 출력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super에 파라미터가 있어서 그 값을 출력했다 라고 이해했는데 만약super()이런식으로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부모 자식 기본 생성자가 호출 되는 건가요?Car()이런 식으로요10:26에서는 왜 부모 기본 생성자는 출력하는데 자식의 기본 생성자인 ECar()은 출력 하지 않나요?부모자식 다 출력하는게 아니라 조건이 없을때 부모만 출력하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30:15
문자열이 비어있는지 판단하는것이 string str = "Hello"; 가 있냐 없냐로 판단하는 것인가요???설명란에 Hello라는 문자열이 변수에 들어가 있고 그것이 비었는 지를 물어보는 기능이 참값이 나온다는데 비어있으면 참값이고 그렇지 않으면 거짓값인데 답이 거짓값이 나와서 이해가 조금 부족합니다..ㅠ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length 질문
18:25NULL은 아예 값이 없는 공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Hello, World!" 중간에 띄어쓰기도 길이 포함되는 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9:25 생성
시간대는 9분 25초이구요, 기본 생성자를 거치지 않고 ElectricCar(String model, int year, int batteryCapacity) { super(model, year); this.batteryCapacity = batteryCapacity; System.out.println("ECar(" + batteryCapacity + ")"); } }해당 코드에서 super(model, year); 을 타고 Car(String model, int year) { this.model = model; this.year = year; System.out.println("Car(" + model + ", " + year + ")"); } }해당 코드가 실행되어 println 되고,다음 자식 생성자가 실행되어서 ECar(75) 의 값이 나오는 걸로 보여지는데 Q. new electricCar에서 기본 생성자를 거치지않고 어째서 2번째 자식 생성자로 바로 가버려서 코딩이 되지요?? 이게 명시적 호출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같지만 다른것들
같지만 다른것들 1분 42초에 나오는 프린문 중 str2==str3로 나와야하는거 아닌가요? 출력 2번줄 오타인거 같아서 말씀드려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6번째 문제 질문입니다
이전까지 업캐스팅에서 부모의 기본생성자를 먼저 출력하고 다음에 자식의 생성자를 실행한다고 배웠는데 여기선 빼고 바로 B의 생성자로 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앞 문제와 파라미터가 들어간 메인함수는 똑같은데 오버로딩과 무슨 관련이 있나요B의 기본생성자에서 명시적으로 파라미터가 들어간 부모 생성자를 호출하기에 부모 기본생성자를 생략해도 되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PI라는 단어로 값 대신하기 질문
전처리기 24에서 5번째에 printf("\n"); 이 있더라고요 그러면 답이 Radius 1: 5.00Circumference 1: 31.42Area 1: 78.54Volume 1: 523.60Radius 2: 10.00Circumference 2: 62.83Area 2: 314.16Volume 2: 4188.79이 아니라 4번째 출력 값이랑 5번째 출력 값 사이에 빈 행을 넣어야 하는게 맞는거죠?Radius 1: 5.00Circumference 1: 31.42Area 1: 78.54Volume 1: 523.60 Radius 2: 10.00Circumference 2: 62.83Area 2: 314.16Volume 2: 4188.79이런식으로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피보나치
피보나치(n) 의 값이 인덱스랑 왜다르죠? 헷갈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0:46 자식의 기본생성자를 건너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파라미터 3개짜리 함수를 입력하는 것은 이해했지만부모 기본생성자 다음에 자식 기본생성자를 출력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출력값에 생성자가 왜 나오는건가요
7:30에서 출력시 부모생성자를 먼저 출력한다는 개념은 이해했으나. 메인 함수에서는 메소드만 나와있는데 (start, stop, checkBattery) 어째서 생성자값까지 출력해야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9:27 Python 삼항연산자 해설 질문드립니다!
29:27삼항 연산자 한 줄로 되어있는 부분 해석해주실 때,if level % 2 != 0:위 부분이 이해가 안됩니다.if node else 0이 부분은 "if 부분이 참이면 return을 하고"라고 해석을 해주셨는데요왜 if level % 2 != 0: 이 부분 해석해주실 때에는 != 같지 않다라고 해석을 해주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C언어 기출문제의 변형 22:50 printf 5번 질문입니다.
arr+1의 값이 22가 나오는 이유가 arr의 배열은 4번까지 진행됐을때 {21, 31, 40, 50, 60}이고, 1번, 3번, 4번까지는 ptr의 포인터 변수의 값을 물어보는 의미이기 때문에 5번의 *arr+1은 arr배열의 초기값인 21에서 1을 더한것을 출력하기 때문에 22가 맞는건가요?
-
미해결(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range 질문
반복문과 range 강의 챕터 4:51for i in range(3): j=0 while j<3: print("*", end=" ") j+=1print() 위 구문에 대해서 range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range(3)이니까 0~2까지 해서 3개가 된다는 것은 이해가 됐고, 개행이 2번 되어 행이 3개가 된다는 것은 이해가 됐습니다.하지만 왜 각 행마다 개수가 range의 어떤 역할 때문에 *이 3개씩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typedef 키워드 / 5:45 / 구조체 변수명 선언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직전 강의인 구조체 강의에서 구조체 선언 방법에 대해 알려주셨는데, 거기서는 typedef 없이도 구조체 선언, 멤버 선언, 구조체 변수 선언을 한번에 다 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구조체 강의 약 1:20)예1: struct{int year;float price;}Bag1;그런데 이번 강의에서는 typedef 없이 struct만 쓰는 경우에는 타입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설명해 주셨습니다.이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는데요. 예2: typedef struct Bag{int year;float price;}Bag1;위에 예1과 예2의 차이점이 뭔가요?예2는 struct Bag 자료형(타입)의 변수인 Bag1을 선언하는 것이라고 확실하게 이해했는데, 예시1번도 동일한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실기 언어(코딩) 문제 비중 관련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고 있는데코딩 문법은 보통 크게 C언어, 자바, 파이썬 이렇게 3가지가 있습니다. 강의자님께서 생각하시기에 3개 중요 또는 비중 우선 순위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주 단기 학습 최적화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처음으로 3회차 11월 8일 시험을 준비하는 비전공자 학생입니다.현재 지금 파이썬까지 섹션 5 강의까지 수강을 진행 완료한 상황입니다.2주도 안남은 빠듯한 기간에 [한주는 4시간 공부, 막주는 계속 공부 전념]합격을 최선을 다해서 해야하는 상황인데아직 이론 공부도 시작을 못한 상황이여서남은 기간안에 남은 섹션들의 강의를 수강해서 기출문제를 풀어야 하는지가 궁금한 상황입니다.각각 남은 기간에 실기 준비와 이론 준비를 어떻게 준비를 하면 좋을지를 조언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포인터의 개념
15강 10:19왜 출력값이 42가 아닌가요?넘버의 주소값을 물어봐서 그런건가요?답이 42가 되려면 *number이여야지 되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5년 1회 시험 결과
아직 강의는 안들었구요 2025년 1회 모의고사 가채점40점 나왔는데 저 가능할까요..?코드 너무 어렵게 나왔던데..;;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7. 함수와 재귀함수(v2) / 0:53:40 / \"%s\" 출력 결과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char myString[]="Hello, World!";인 경우printf("문자열\"%s\"의 길이는 %d입니다.\n", myString, strLen(myString));의 출력 결과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strLen(myString) 값은 13임) 출력 결과값을 문자열 "Hello, World!"의 길이는 13입니다. 로 적어주셨는데, 명령어 내의 \" \" 이건 왜 생략되나요?문자열 \"Hello, World!\"의 길이는 13입니다.이렇게 출력돼야 하는거 아닌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캐스팅 출력 관련
업캐스팅(부묘 형태, 자식 생성자) 강의 챕터 업캐스팅 관련하여 단순히 출력 부분만 본다면부모 형태 = new 자식(업캐스팅 O)자식 형태 = new 자식(업캐스팅 X)출력 구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1번 이든 2번 이든둘 다 new 자식에 해당하는 클래스로 이동해서 출력 값을 구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1, 2번 차이가 저렇게 저는 인식하고 있어서 해당 내용이 맞는지와 뭐가 다른지 문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