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 equals() 메소드에 대한 물리적 동일성, 논리적 동등성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김영한 자바 중급1의 섹션2에서 equals의 동일성과 동등성에 대한 내용의 퀴즈내용중에서 질문이 있습니다.(이미지 참조) 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연산자와 equals()메소드는 "물리적 동일성"으로 println을 했을때 둘 다 false로 잡히는것으로 이해가 되고 있는데요. 오버라이드를 별도로 생성해야 물리적 동일성과 논리적 동등성에 대한 euqals메소드를 차이점을 갖고 사용할 수 있는것으로 이해했습니다. 맞을까요?그렇다면, 위의 섹션2 퀴즈 내용에서의 문제같은 경우는 좀더 세부적인 명시가 있어야 하는게 아닌지 아니면 제가 이해를 잘 못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지 조언이 필요하여 Q&A에 질문을 남깁니다. 좋은 가르침 항상 감사합니다 ( _ _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
4번 스레드 제어와 생명 주기2 PDF의 24페이지 "그리고 스캐줄링 큐 ..." -> "그리고 스케줄링 큐 ..." 7번 고급동기화 PDF의 1페이지 "LockSupport의 대표적인 기능은 가능과 같다" -> "LockSupport의 대표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강의록 오타 제보
[제보 내용]대상 강의록:7. 중첩 클래스, 내부 클래스1.pdf위치:p.3의 두 번째 코드 블록(= process() 있는 곳)오타 내용:수정 전: int lcoalVar = 0;수정 후: int localVar = 0;궁금한 내용이 생겨 복습하러 왔다가 겸사겸사 오타도 발견하고 가네요.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한글이 깨질 떄 어떻게 해야 하나요?
Configuration UTF-8 로 돌려도 똑같습니다.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2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통합 에셋
이번 강의는 통합 에셋이 따로 제공되지 않을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생성자 자동주입 관련해서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new FixDiscountPolicy();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falsemember = memberService.findMember(memberId);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itemName,itemPrice,discount); } } 2회독이라서, 15강을 들으면서 자동주입관련해서 생각이 나서, 강의를 들으면서 자체적으로 작성해봤습니다. MemberRepository를 주입해서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려고 여러방면으로 고민하던중 왜 falseMember를 구하는 로직 중 MemberService 부분에서 계속 널 포인터익셉션이 터지는지 이해가 가지않아 질문드립니다.MeberServie의 구현체에도 레포지토리를 주입받아서 널포인터 익셉션이 안터지는 것이 정상이라고 생각되는데 원인 말씀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의 기본 클래스들에 관하여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자바 강의로 프로그래밍 입문을 하게되어 처음 질문 드립니다.배우다보면 자바의 다양한 기본 클래스랑 메서드가 있는것 같은데 이를 작성하는 방법을 일일이 외워야할까요?아니면 일종의 도구처럼 추상적으로 이해하고 필요할때 복붙해서 쓰는 정도로 넘어가면 될까요?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오타제보] 6-4. 캡슐화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사소하지만 더 나은 품질을 위해 제보 드립니다. 6-4. 캡슐화 강의 = 7분19초SOLID 원칙 개방-폐쇄 원칙 약어 수정 필요LSP > OCP개방-폐쇄 원칙의 약어가 이전 설명의 리스코프 치환 원칙의 약어로 잘 못 표기된것으로 보입니다.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리스코프 치환원칙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6-4 캡슐화에서 서브타입이 슈퍼타입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SOLID 원칙 중 리스코프 치환원칙이라고 하셨는데 제가 알고있는 리스코프 치환원칙은 서브타입은 슈퍼타입을 대체 할 수 있어야 하고 슈퍼타입에서의 행위를 서브타입에서도 동일한 결과값이 예상될 수 있어야한다로 알고있습니다!e.g) Collection의 add 메소드는 어떤 서브타입이여도 "추가"한다는 행위가 되어야한다"서브타입이 슈퍼타입을 대체할 수 있다" 도 리스코프치환원칙의 특징이 맞지만 해당 원칙이 전하려는 주된 내용은 행위의 같은 예상 결과값으로 보여서요!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runnable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섹션 3에서 runnable를 인터페이스로 불러서 사용할 때 static으로 정의하는 이유가 있나요? 그리고 간간히 왜 이거는 생성자를 받아오지 않고 바로 써야 하는지, 이건 왜 static을 써야 하는지 등등의 의문이 드는데 제가 자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그런 걸까요? ㅜㅜ 중급편 내용이 아는 내용이라 건너뛰었는데 중급도 수강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자바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도
동작원리자체는 동일할까요?닷넷에서 테스트코드 작성해도 동일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생성자 직접 호출 vs 팩토리 메서드 패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해당 질문 자체가 질문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것일지 고민되어서 먼저 찾아봤지만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지 못하여서 질문을 남겨봅니다..애초에 질문거리가 되지 못하는 것이었다면, 제가 어느 부분에서 잘못 생각한 걸까요?🥲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new FixDiscountPolicy()); } }위 AppConfig처럼 생성자를 직접 호출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과 팩토리 메서드 패턴처럼 생성자를 간접적으로 호출하는 방식 중 어느 방식이 더 객체 지향적으로 좋은 방식일까요?
-
해결됨프론트엔드 마스터클래스
배포 관련 내용 추가될 예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혹시 CDN 등 배포 관련 섹션이나 내용이 추가될 예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4-2 값 객체 질문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값 객체에 대한 내용을 듣고 궁금했던 점이 있었는데, 섹션 4 퀴즈를 풀면서 해소되는 동시에 새로운 질문이 생겼습니다.값 객체를 사용하는 메소드를 과도하게 호출하여 OOM(Out of Memory)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이를 어떻게 회피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아직 강의를 전부 듣지 않아서 이후에 나올 내용일 수도 있겠지만, 지금 드는 생각으로는 Map을 이용해 내부적으로 캐시를 구현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이 떠오르는데, 이 접근법이 맞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책임주도 설계 적용에 대한 간단한 질문 남겨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호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DB 스키마가 이미 정해져 있거나, 기존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해야 해서 새롭게 설계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DBA가 별도로 관리하는 환경에서는 책임주도 설계를 적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객체지향적인 설계를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DAO를 중간 계층으로 두면 어느 정도 해결될까요? 아니면 도메인 레이어와 퍼시스턴스 레이어는 분리된 영역이니 크게 상관없을까요? 반대로, 두 레이어가 지나치게 달라지면 오히려 유지보수가 더 어려워지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도 듭니다.)그리고, 책임주도 설계가 이론적으로는 유지보수에 강하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아직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느껴져서 오히려 유지보수성을 해칠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런 복잡함은 설계 패턴에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해소될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실전 자바 중급 - 2편 후 추천 강의
안녕하십니까 ?현재, 실전 자바 중급 2편을 듣고 있는 2년차 개발자입니다. 평소에 아무런 생각없이 사용하고 있던 자료 구조들에 대해 공부하게 되니까, 어떻게 사용해야하는 지와 왜 해당 자료구조가 시간복잡도 상 좋은 지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새롭게 느끼고 있습니다. 혹시, 자바 관련해서 강의를 더 듣는 다면, 어떤 강의가 실무에 도움될지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혹시나 더 추천하는 강의가 있으실까여?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pring에서 SessionScope와 RequestScope는 함께 사용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pring에서 SessionScope와 RequestScope는 실제로 어떤 관계로 동작하나요?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세션이 유지되는 동안에도, 각 요청(Request)마다 RequestScope 빈이 새로 생성되는 구조인가요?아니면 JWT 기반 인증처럼 세션과 관계없이 매 요청마다 인증 로직이 수행되는 방식인가요?또 실제 실무에서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상태를 SessionScope로 유지하면서 RequestScope 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주니어 개발자가 더 나아가기 위한 조언을 부탁 드려도 될까요?
선배 개발자로서 알려주시는 강의 내용들이 정말 좋았는데요, 그와 더불어 앞으로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로서 어떤 역량을 조금 더 집중해서 키우면 좋을지 조언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또, 아직 이를 수도 있지만 이직을 준비할 때 도움이 될 만한 공부 방향이나 추천해주실 만한 책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중간중간 소개해주시는 책들이 많아서 최근에 또 추천해주실 책이 생기셨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객체지향 설계에서 메서드를 설계할 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메서드를 설계할 때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려요.예를들어 메서드를 설계할 때 (Long customerId, Long screeningId, Integer audienceCount) 파라미터에 이렇게 ID 식별자를 넣어줘야는지 혹은 객체를 넣어줘야하는지를 설계할 때는 어떤 점을 판단하는 것이 좋을까요?
-
해결됨C개발자를 위한 최소한의 C++
임시 객체 복사 생성자 질문드립니다
30강 19분에서 TestData result = testFunc( 10); 에서 10은 리터럴 상수인데, TestData 객체로 변환될 때 값이 아닌 상수형 참조로 처리되는 건가요? 상수형 참조로 처리되기 때문에 컴파일러가 내부적으로 TestData(10) 라는 임시 객체를 생성해서 그 객체를 testFunc() 의 인자로 넘기는 과정이 맞는 건지 헷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