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5부터...
섹션5부터 자바 프로젝트가 완전 바뀌어 있는데 만들어야될 db정보도 없고...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
미해결모바일 웹 제작 입문: Figma 디자인 완벽 구현하기 with Javascript
참조: https://creatie.ai/ 사이트가 바뀌었어요
11. login 페이지 - 폼 요소 작성 및 스타일9:58 수업노트보기에서 참조: https://creatie.ai/이 링크가 지금은 변경이 되어 https://readdy.ai/로 되어있어서요 이젠 유료이고 프롬프트로 이젠 제작하는 것 같습니다.그래서 대안은 피그에 플로그인에 AutoHTML | Components to Code나 다른 플러그인 추천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미해결Vue.js 끝장내기 - 실무에 필요한 모든 것
vue CLI 대신 vite를 사용해도
vue CLI 대신 vite를 사용해도 강의 내용을 잘따라갈수있을까요?회사 프로젝트를 리팩토링을 하려고합니다.eslint나 프리티어를 포함한 세팅부분에서 도움을 얻고자 강의를 구매하였는데 vite를 사용해도 강의 실습을 잘따라갈수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와 리액트로 구현하는 소셜 로그인
[소셜 로그인 16강] 로그인 실패 시 리다이렉트 관련 질문
16강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CustomLoginFailureHandler사용자가 로그인에 실패했을 때 호출되는 메서드에 대한 질문입니다. if(savedRequest != null) { String targetUrl = savedRequest.getRedirectUrl(); //사용자가 접근하려던 URL // 즉, 로그인에 실패했지만 사용자를 원래 있던 페이지로 보내줌 // 실패 시 사용자가 접근하려던 URL 로그 출력 log.info("[핸들러 - 사용자가 접근 시도한 URL]\n-> " + targetUrl); // 사용자가 접근하려던 URL로 리다이렉트 (로그인 실패 후에도 이동) response.sendRedirect(targetUrl); }그런데 if문의 마지막 줄을 보면 로그인 실패 후에도 targetUrl 즉, 사용자가 접근하려했던 페이지로 이동시킨다고 작성 되어 있는데 ... 로그인 실패 시에도 targetUrl로 리다이렉트시키는 이유가 뭔가요?? 로그인에 실패하면 로그인 페이지에 남아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
-
미해결
교육 스타트업에서 창업 멤버를 모집합니다.
- 대입 수시 비교과 & 탐구보고서 자동화 플랫폼 개발 - 서울대 출신이 주도하고, 대치동 학생부종합 전문팀이 함께합니다.10년간 축적된 학생부 평가 및 탐구보고서 생성 시스템을 기반으로,수시 학생부종합전형 맞춤형 AI 기반 데이터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현재 구성원기획 2 / 마케팅 1 / LLM 개발자 1 / 백엔드 개발자 2✅ 이런 일을 함께해요!학생 맞춤형 탐구보고서 계획표 생성-판매 플랫폼 (Open AI 기반)온라인 비교과 수업 플랫폼학생부 진단 → 처방 → 포트폴리오 자동화 시스템 개발2,000편 이상 탐구보고서 데이터 보유, 연내 유의미한 매출 가능 🛠 현재 개발 상황- 학생부 평가 AI 모델 1차 완성- 진단 → 포트폴리오 → 탐구보고서 자동화 체계 구축- 프리미엄 오프라인 수업 → 디지털 전환 중- 웹/앱 와이어프레임 + 비즈니스 로드맵 준비 완료 📌 모집 포지션 (6명 이내)- LLM 개발자- 기획-마케팅- 백엔드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UX/UI 디자이너 💡 이런 분을 찾습니다!- 생성형 AI 기반 프로젝트 경험자- 고교학점제 / 입시 전형에 관심 있는 분- 설탭, 콴다, 패스트캠퍼스 등 모델에 익숙하신 분- 스타트업과 함께 성장하고 싶으신 분 💸 수익 모델 & 준비된 인프라- 오프라인 진단/상담 프로그램(120만원) → 온라인 전환- 탐구보고서 계획표 수업(30만원) → 자동화- 현재 고등학생 100명 이상 시범 운영 완료- 오프라인 학원, SNS 채널, 마케팅 플랫폼 보유 📬 편하게 지원-문의 주시면 연락 드리겠습니다 !지원 폼 👉https://forms.gle/BjfX4zYPRC5dHNe26문의 오픈채팅 👉https://open.kakao.com/o/sbdF6Ioh
-
미해결프론트엔드 마스터클래스
Map 강의 누락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가 누락된 것 같아 글 작성합니다. 확인부탁드릴게요! 30강 Map 강의로부터 31강까진 문제없이 연결되는데, 32. WeakRef + FinalizationRegisty 강의시작부터 연결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뜬금없이 대안?에 대해서 나오는데 Map 예제부분과 WeakMap 부분이 누락된것같습니다.
-
해결됨빠르게 배우는 Spring Cloud 기초(MSA)
코드 살펴보던 중에 발견한 것
왜 accesstoken 처음 발급시에는 id를 claims에 넣고, 왜 재발급시에는 email을 넣나요?수업과 관련없는 질문이긴한데,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질문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React.js 소개 부분을 보며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화면 업데이트 관련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은 React.js뿐 아니라 Vue.js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나요? 예를들면, Virtual Dom에서 한번에 모아 Actual DOM에 적용되는 방식등이요
-
미해결'향로' 와 함께하는 추석 완강 챌린지
오픈카톡 링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추석 때 일행이 같이 달려보고자하여 수강신청하였는데, 신청접수가 9월30일로 되어있는데, 금일자로 신청하였는데 혹시 참여가 불가능한 것일까요??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Kafka 입문
Connection -1
이 에러가 자꾸 뜨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감이 안 잡혀 질문 들빈다.서버를 다시 키고 해도 똑같은 에러가 계속 발생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자바 고급 1,2,3편 같이 진행해도 문제없나요
[질문 내용]고급 1편을 들으면서 2편과 3편을 동시에 같이 들어도 되나요?고급 2편이나 3편에서 앞서 배운 부분을 활용하거나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람다나 어노테이션 같은 개념을 빨리 보고 싶은데 강의 순서와 독립적으로 들어도 이해에 문제 없을지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
미해결Power Automate Level 4 - 휴가 신청/관리 시스템 만들기
이미 신청한 연차를 취소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기존 신청한내역을 리스트에서 삭제하는건 이상한것같고..연차신청취소신청을 해서 연차개수를 차감이 아닌 +1로 로직을 짜야할지요?
-
미해결[입문] 프리미어 프로로 '요즘' 영상 만들기
자막 제작 관련
[실습]1초만에 만드는 자막 템플릿편을 보고 있습니다.3분 45초 경에 같은 텍스트 레이어 안에 자막1개를 편집해서 사용하는 장면이 나오는데요,해당 시간에 텍스트가 변경되도록 수정을 어떻게 하나요..? 저는 "여유"에서 "재택"이라고 써두었다면 그 텍스트 자체가 0초부터 "재택"으로 변경이 되어서요..
-
미해결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현업에서 LangChain 사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듣고 이젠 스스로가 재밌어서 LangChain 문서들 혼자서 읽고 학습중입니다 ㅎㅎ강의를 들으면서 몇개 질문들이 있는데요현업에서 LangChain이 많이 쓰이나요?해외 reddit이나 개발자 커뮤니티에서도 랭체인이 오히려 불편하다고, 실제 서비스에서는 안쓴다고 하는 분들이 있어서 현업에서도 잘 쓰는지 궁급합니다LangChain 공식 문서를 보면 너무 자주 바뀌는데, 어떻게 해결하시나요?특히 API에서 말하는 예제랑 공식 문서에서 소개하는 예제가 너무 다릅니다 (retrieval chain 등)현재 2025년 10월 기준, 강의 내용은 0.2 기반이고 현재 랭체인 버전은 0.3, 그리고 10월 말에 1.0이 정식 출시된다고 해서 너무 혼란스럽네요바뀔 떄마다 코드를 수정하시는건가요?
-
미해결타입스크립트로 배우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최신 기술까지 완벽하게
Context API 리랜더링 방지를 위한 Memoization에 대한 질문
계속해서 학습을 진행중인데, 함수값을 넘길때에는 useCallback을 사용해야한다는 것으로 알고있었는데,>>밑에는 실제 강의 중 공유해 주신 ContextProvider 안에 함수들 const increment = () => { setCount((count) => count + 1); }; const decrement = () => { setCount((count) => count - 1); }; const reset = () => { setCount(0); }; const memoization = useMemo(()=>({ increment, decrement, reset }),[]);>>제가 생각했던 방식const increment = useCallback(() => { setCount((count) => count + 1); },[]); const decrement = useCallback(() => { setCount((count) => count - 1); },[]); const reset = useCallback(() => { setCount(0); },[]); const memoization = useMemo(()=>({ increment, decrement, reset }),[increment, decrement, reset]);저는 밑에 memoization 변수를 빼고 바로 useCallback을 이용해서 객체값으로 넘겨주는 식으로 작성해야 한다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에는 정답은 없지만, 당장은 기본에 입각한 학습을 해야하기에 어떤 방법이 조금 더 효율적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
추석 때 할 없는 사람~?
https://open.kakao.com/o/sRVa4Avh
-
미해결C# 처음부터 배우기
3강 강의를 듣는 중에 질문사항이 생겨 글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3강 강의를 듣는 중에 질문사항이 생겨 글 남깁니다. Long type의 변수를 선언하고 끝에 L을 붙여주셔야 한다고 하셨는데 L을 붙이지 않아도 제대로 나오는것같습니다. 혹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
미해결[입문] 프리미어 프로로 '요즘' 영상 만들기
효과 > 알파경사 없음
pd님! 안녕하세요.[실습] '요즘'영상 자막 디자인의 비밀 강의 편 보고있는데 3분20초쯤에 효과 > 알파경사 적용하시는 부분이 나오거든요? 그런데 저는 해당 효과가 없는데..어떻게 확인이 가능할까요?ㅠㅠ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응급🔥] 미스터 KILL-9 트랜잭션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다!
앞선 질문에 대한 답변 고맙다 미스터 KILL-9덕분에 손쉽게 엑셀을 처형(처리)할 수 있었지 하지만 그 다음 관문이 존재하는군 후후..각 STEP 마다 RepeatStatus 에 따라서 트랜잭션이 보장하는건 이해했다하지만 여러 관계가 존재하는 테이블 데이터 적재 시트랜잭션을 어떻게 보장할지 감이 안온다 미스터 KILL-9 예를 들어 설명하지..FILE-A, FILE-B 각각 다른 컬럼을 가진 파일들이지FILE-A는 TABLE-A에 적재하고FILE-B는 TABLE-B에 적재한다각 FILE 당 ROW 100개씩 읽으면서 적재하고 문제가 생기면 해당 100건만 롤백할텐데문제는 TABLE-A 와 TABLE-B의 관계다TABLE-A 가 부모고 TABLE-B자 자식 테이블인 상황에서특정 TABLE-B 데이터 롤백 시 TABLE-A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롤백 해야할거 같은데 이런 경우 어떻게 원자성을 보장할 수 있는가에 답변할 수 있겠는가..? 현재 내가 떠오른 방안은 결국은 모든 데이터 처리이니 특정 부분 처리 실패하면 데드 DLQ (Dead Letter Queue)에 담아서 나중에 처형(처리)하도록 해야하나 싶다!
-
미해결
강의 수강 기간 연장 문의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현재 제 수강 기한이 10월 16일까지인데, 다가오는 실기 시험(11월 29일)까지 강의 수강을 연장할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늘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리며, 확인 후 회신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메일 주소를 함께 전달드립니다. (dabin644@naver.com)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