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영상 5분 7초 EAGER 패치 전략
비슷한 게시글을 봐도 이해가 잘 가지 않아서 재차 질문 드립니다제가 이해하는 상황이 맞는지 고견 부탁드립니다1. fetch = EAGER 쿼리가 두 번 실행이것이 프록시 강의영상에서 말씀하시는 (N+1) 문제인지 궁금합니다첫 번째 쿼리는em.flush(), em.clear() 실행되면 영속성 컨텍스트가 비워지고 이후 jpql 쿼리가 실행되면서 EAGER 패치 전략에 따라 Team도 함께 조회가 됩니다. 두 번째 쿼리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비워졌고 EAGER 패치 전략으로 조회되어야 합니다. 실제 엔티티로 조회되어야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하지만 특정 시점에서 Team이 프록시로 로드 되었고 이후 프록시가 초기화되면서 다시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면서 발생한 쿼리로 생각이 듭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BeanFactory 의존관계
@Configurationpublic class ObjectFactory { @Bean public PaymentService paymentService () { return new PaymentService(exRateProvider()); } @Bean public ExRateProvider exRateProvider() { return new WebApiExRateProvider(); }} 여기서 Bean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paymentService가 호출되지 않아도 paymentService와 exRateProvider의 의존관계가 설정이 되는게 맞나요?? 만약 exRateProvider에만 Bean 어노테이션을 붙이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메서드 영역에 있는 상수풀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자바 8이후로는 힙 영역에 있다고 하는데 맞나요?? 자료에는 메서드 영역에 있길래 여쭤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개념이랑 원리는 이해하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실사용은 Executor(멀티스레드), Look(동시성)을 위주로 사용하는 거죠?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네임드락 부모에(facade) 트랜잭션이 없을때
자식 service 메서드에 Propagation.REQUIRES_NEW속성은 그럼 필요 없는건가요? public class NamedLockStockFacade { private final LockRepository lockRepository; private final StockService stockService; public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try { lockRepository.getLock(id.toString()); stockService.decrease(id, quantity); } finally { lockRepository.releaseLock(id.toString()); } } } ----------- @Transactional public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Stock stock = stock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stock.decrease(quantity); stockRepository.saveAndFlush(stock); }이렇게 자식에만 트랜잭션이 걸려있으면, 커밋이 다되고 lock 풀리는거아니에요? 굳이 부모에 트랜잭션 붙이고 자식트랜잭션에서 NEW하는 이유가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unlock()을 호출 했을 때
ReentrantLock에서 lock.unlock()을 호출하면, 대기 중인 스레드들이 락을 획득하려고 서로 경쟁하게 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unlock이 호출된 후 스레드들중 락을 획득한 한개의 스레드는 RUNNABLE 상태로 전환되고, 나머지 락을 획득하지 못한 스레드들은 다시 WAITING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스레드들이 경쟁하는 순간의 상태가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경쟁순간에는 락을 획득하려는 스레드들 모두 RUNNABLE 상태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intellij JVM설정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인텔리제이의 설정화면 두곳이 있습니다.하나는 settings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build Tools > Gradle > 맨 하단 Gradle JVM 다른 하나는 project Structure > project settings > project > sdk 위 두 곳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 것인지 알고싶습니다.둘다 JDK경로를 지정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Dependency requires at least JVM runtime version 17 에러를 마주했을 때 후자에서 해결을 해보려고 해도 해결이 안됐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build.gradle에 queryDSL 설정이 잘되지 않습니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1'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5'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롬복 셋팅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implementation 'junit:junit:4.13.1'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1'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hibernate5' implementation 'javax.persistence:javax.persistence-api:2.2'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 롬복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jvmArgs '-Xshare:off' // JVM 아규먼트 설정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이렇게 설정해둔 상태인데 gradle을 다시로드했음에도 other에 compilequerydsl 설정이 생기지 않는 상황이고, 다른방식으로 설정도 했었는데, 그때는 또 우측 gradle의 other에 compileQeurydsl 설정이 보여서 설정을 진행했고 프로젝트 generated 디렉토리가 생성되긴 했지만, generated 디렉토리 하위 파일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커뮤니티의 내용들을 다 참고했지만 되지 않네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기본형과 참조형 문제풀이] 코드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항상 선생님께서 진행하시는 문제 풀이를 수강한 이후에, 혼자 좀 더 나은 방식으로 만들 수는 없을까 고민을 하는데요,Method를 배우고 난 이후로, 코드를 대부분 Method로 넘겨서 작성하다 보니 '기능을 전부 Method로 넘겨서 작성하는 것이 진짜 잘 작성한 코드가 맞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아래는 마지막 문제를 제가 코딩한 내용인데요,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실무적인 관점과 비교해서 아래의 코드처럼 작성하는 방식(모든 기능을 Method에 집약한 방식)이 괜찮은 방식인가요?코드의 개선점이 있다면 어떤 점을 개선하면 좋을까요?항상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package ref.ex;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ProductOrderMain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orderCount(); ProductOrder[] orders = new ProductOrder[num]; createOrder(orders); orderPrint(orders); } static int orderCount()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 상품 등록 시스템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입력할 주문의 개수를 입력하세요: "); int num = scan.nextInt(); System.out.println(); return num; } static void createOrder(ProductOrder[] order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for(int i = 0; i < orders.length; i++) { orders[i] = new ProductOrder(); System.out.println((i+1) + "번째 주문 정보를 입력하세요"); System.out.print("상품명: "); orders[i].productName = scan.nextLine(); System.out.print("가격: "); orders[i].price = scan.nextInt(); System.out.print("수량: "); orders[i].quantity = scan.nextInt(); scan.nextLine(); System.out.println(); } } static void orderPrint(ProductOrder[] orders) { int total = 0; for(ProductOrder P : orders) { System.out.println("상품명: " + P.productName + ", 가격: " + P.price + ", 수량: " + P.quantity); total += (P.price * P.quantity); } System.out.println("총 결제금액: " + total); } }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Section 10. 동전교환 반례
32 3 51 테스트케이스를 위와 같이 입력할 경우 정답 코드대로 하면 Intger.MAX_VALUE인 2147483647이 답으로 나올 것 같아서요. 이렇게 추가코드를 넣어야 하는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import java.util.*; class Main{ static int n, m; static int[] dy; public int solution(int[] coin){ Arrays.fill(dy, Integer.MAX_VALUE); dy[0]=0; for(int i=0; i<n; i++){ for(int j=coin[i]; j<=m; j++){ dy[j]=Math.min(dy[j], dy[j-coin[i]]+1); } } /* 추가코드 for (int i = 0; i <= m; i++) { if (dy[i] == Integer.MAX_VALUE) { dy[i] = 0; } } */ return dy[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Main T = new Main();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n=kb.nextInt(); int[] arr=new int[n]; for(int i=0; i<n; i++){ arr[i]=kb.nextInt(); } m=kb.nextInt(); dy=new int[m+1]; System.out.print(T.solution(arr)); }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의에서의 회원가입 테스트를 JUnit5 방식으로 바꾸면 이게 맞을까요?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dId = memberService.join(member); Member joinedMember = memberRepository.findOne(savedId); //then assertThat(member).isEqualTo(joinedMember); } 이렇게 진행하면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nerationType.IDENTITY 의문점
[질문 내용]Long 으로 잡았을땐 db에 데이터가 들어가지는데 왜 String으로 하면 오히려 테이블이 사라지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c언어 기출문제변형
36분45초. 출력값작성하는 문제입니다.X를 먼저 출력하면 기존의 20값이 출력되는게 아닌가요??순서상에서도 그렇구요..반영이 다된후에 X,Y값을 출력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링크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VfZnK2GoZrg7pMOsahW0ERZVXFL_w_6X?usp=drive_link강의를 듣다가 의문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코드를 작성하여 table에 값들을 저장하고 이후에 update를 em.find()를 통해 하려하거나 그동안 저장했던 member값들을 em.createQuery하려할 때 모두 테이블 값이 초기화되면서 아무것도 값을 가져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설정 문제인지 계속 롤백이 되도록 되어있는 것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링크도 첨부하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yield()를 추가해도 무한반복은 계속해서 발생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MyPrinterV4에서 yield()를 추가해도 인터럽트 되지 않은 상태에서 while문에서 무한 반복이 발생(성능저하의 근본 원인)하는 것은 V3와 동일하기 때문에 때문에 성능 향상이 있을까 싶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ddress 질문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질문이 있어서 올리게되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address는 엔티티가 아닌 값타입이라고 하셨는데주소를 수정하는개념이 아닌회원 하나당 주소를 여러개를 가져야 할 경우 주소를 entity로 사용해도 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사용 이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연관 관계 편의 메소드 team의 addMember 혹은 member의 changeTeam메소드를 사용한 이후로는 em.flsush와 em.clear 따로 호출하지 않아도 정상작동한다고 이해햇는데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엔티티를 외부에 노출하면 안 된다는 의미
안녕하세요.엔티티를 파라미터로 받으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말씀해주셔서 이해하였습니다.엔티티에 화면 검증 로직이 들어가는 문제엔티티를 변경하면 API 스펙이 변경되는 문제그리고 엔티티를 외부에 노출하면 안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엔티티에서 필요한 변수만 사용하거나, 추가 변수를 사용하고자 해서 DTO로 반환하는 걸로 추측했습니다. 그런데 뭔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 같아 직접 설명을 듣고 싶어 질문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중첩 내부 클래스 문제풀이2 - 코드 리뷰 좀 해주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중첩 내부 클래스 문제풀이2 풀긴 했는데 좀 부분들이 좀 달려서 이것도 괜찮은가? 싶은 게 있습니다.이 코드를 보고 좀 고쳐야 할게 있을까요?참조는 inner클래스 car클래스를 참조했습니다.addBook() 메서드에서 new book(내용) 이게 더 낳은것 같으니 이거 빼고요.추가1.문제풀이1 문제4 AnonymousMain을 인텔리제이 자동완성으로 풀게 되었는데 이것은 괜찮은지 묻고싶습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db순서가 이상해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db순서가 영어 알파벳 순서대로 바뀌네요 왜 그러는건지이해가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