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링부트 기반의 API 템플릿 프로젝트 구현
applycation.yml 의 readTimeout 이 적용이 안됩니다.
Springboot 3.0.2ext { set('springCloudVersion', "2022.0.1")} 최신 부트 3.2 에서는 호환 버전이 없어서 그런지 잘 안되서 위 와 같은 버전으로 하니깐 동작을 하는데,타임아웃관련해서는 application.yml 에 설정한 부분이 적용안되는것 같습니다.아래 readTimeout 부분에 마우스 오버 해보니, "Cannot resolve configuration property 'feign.client.config.default.readTimeout' "라고 표시 되더라구요.혹시 버전에 따른 문제인지 코드부분을 점검해봐도 원인을 알 수 가 없네요.확인 좀 부탁드릴게요~ feign: client: config: default: connectTimeout: 5000 readTimeout: 5000 @GetMapping("/health") public ResponseEntity<HealthCheckResponseDto> healthCheck() { try { Thread.sleep(600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클러스터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카프카를 멀티 브로커로 구성하는 기준이 있을까요?예를 들면 어느정도 이상부터 멀티 브로커로 구성을 하는지에 대한 best practice가 있을까요?아니면, 단일 노드로 구성하고 scale out하는 방식으로 해야 하는 걸까요?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shift 곱셈
shift로 곱셈을 할 때 곱셈하는 수가 2의 제곱수이면 shift만 써도 되는데 2의 제곱수가 아니라면 shift와 덧셈을 사용한다고 들었는데 혹시 곱하기 7 같은 경우는 곱하기 8 하고 빼기 1을 하는 게 더 효율적이지 않나요? 강의에서는 shift와 덧셈을 같이 사용한다고 들어서 혹시 뺄셈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취업/이직에 성공할 수 밖에 없는 포트폴리오 전략 강의
UX 인스타그램
포트폴리오에 UX에 대한 생각 같은거 정리한 인스타그램을 넣으면 어떨까 고민중인데요, 원래 포폴에 넣는 메일은 실명기준으로 알아보기 쉽게 넣어야한다고 하잖아요 gildonghong@gmail.com 이런식으로요. 근데 키키님 인스타보면 그냥 닉네임으로 하신것 같던데 인스타그램 아이디 만들때는 굳이 실명기준으로 안 만들어도 되나요?그리고 포트폴리오에 그런 인스타그램을 첨부하는게 실제 취업에도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강의중에 정말 궁금한게 있습니다 mock data에 한글이 입력될 경우 msw에서 값을 못 보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api/postRecommends API 호출로 데이터를 부를시에 mock data의 content 부분에 한글이 입력이 될 경우 PostRecommends 파일의 useQuery data 부분이 undefined로 나옵니다 그래서 확인을 해보니 msw의 HttpResponse.json에서 한글이 입력될 경우 Syntax Error 뜨는 것 같은데요 하지만 영어로 작성할 경우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받아 옵니다 network 탭을 보아도 한글을 입력하든 영어가 입력되던 response에는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보이지만, React-Query Dev Tool에서는 data: null 처리가 되고 실제로 받아오는 data 또한 없습니다 아래는 그에 따른 이미지 입니다 content에 한글이 들어갈 경우content에 한글이 들어가지 않을 경우한글만 들어가면 Syntax Error가 뜹니다특정 버전에 대한 버그인지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이 강의에서 /status/[id] 폴더가 있는 것은 페이지가 여러개 필요해서겠죠?
개인 프로필 상세 페이지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인 것이기 때문이겠죠?[username]/status/[id]에서 id 값이 왜 필요한지 제가 트위터? X? 를 한번도 안써봐서 프로필 페이지가 사용자 이름 외에 또 id가 왜 필요한지 뜬금없이 궁금해져서 질문남기네요...앞의 내용 제대로 들었으면 당연한 소리를 질문 하는거 같습니다만...개발 강의랑 크게 관련 없는 질문일 수 있는데 혹시나 해서 남깁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NodeJS 의 single thread 와 event loop 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 봤는데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질문드렸어요!
동작하는 원리와 각 키워드의 역할에 대해 제가 알고 있는 점을 정리해 봤습니다.어디가 틀리고 맞는지 확인하기 어려워서 질문드렸습니다! 원리모든 task는 Call Stack(Execution Context Stack) 에 쌓인다. main thread는 Call Stack에 있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그런데 오래 걸리는 요청이 들어오면 main thread가 blocking 된다. 그래서 nonblocking 이 되도록 event loop 와 background, event queue, micro task queue 등 막히는 작업을 해결 해줄 공간이 존재한다.사용자가 요청을 보내면 오래 걸리든 아니든 우선은 Call Stack 에 쌓이게 된다.main thread 가 요청을 하나씩 해결 하는데 오래 걸리는 task를 해결할때 blocking 되지 않도록 CPU의 가용 가능한 main thread 이외의 다른 Thread(background)에 Task를 던진다. 그 후 다음 동작을 진행한다.main thread 와 background 는 동시에 task 를 동작하기에 nodejs 는 그 자체로 single thread 는 아니다. 사용자의 요청과 응답을 하는 task를 실행하는 thread가 1개라는 의미이다.이 background thread에서 작업이 완료된 task는 event queue와 micro task queue 에 순차적으로 들어가게 된다. promise, nextTick 등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들은 micro task queue에 쌓인다.Event Loop는 Call Stack에 모든 요청이 실행 완료되면 micro task queue, event queue에 있는 작업을 순서대로 Call Stack에 하나씩 담는다. micro task queue 에 task 가 있으면 event queue 보다 우선순위가 높아서 먼저 Call Stack 으로 이동한다.event loop는 non-blocking을 위해서 task를 background에 던지고 반환되면 event queue, micro task queue에 던지고, call stack을 observing 하다가 비어 있게되면 task를 순서대로 하나씩 넣는다.main thread는 call stack에 있는 task를 실행한다. 역할main thread는 call stack에 있는 task를 실행한다. (얘는 이것만 하는 놈이다.)background는 event loop에서 오래 걸리는 작업을 던짐 당한 곳이고 작업이 완료되면 event loop 에게 알리는 작업을 한다.여기서 Stack과 Queue는 모두 작업이 저장되는 공간인 메모리이다.(call stack, event queue, microtask queue)이 메모리의 작업을 수행하고 던지고 받고 등의 작업을 하는 thread는 main thread와 background 이다.background 는 CPU 에서 가용 가능한 모든 thread 를 말하고 1개일 필요는 없다.
-
미해결자바 코딩테스트 - it 대기업 유제
5. "최대 길이 바이토닉 수열" 에서 설명해주신 방법과 제가 직접 구현한 방법이 달라, 확인 한번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업 강의를 보다가, 풀어주신 방법이 저와 다르고 for 문 하나만으로 해결이 가능하지 않나 싶어서 확인차 질문 드려봅니다.pdf 상의 정답은 모두 맞춘 상태입니다. 간단하게 하라도 피드백 주신다면 감사합니다class Solution5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nums){ // answer : 정답 // len : 현재 수열 길이 // d : 현재 수열의 방향 ( 0: 증가, 1: 감소) // prevNum : 이전 숫자 int answer = 0, len = 0, d = 0, prevNum = Integer.MIN_VALUE; for (int num : nums) { if (d == 0) { // 1. 현재 수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 // 2. 수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if (prevNum > num) { // 이전 숫자보다 작을 경우, 수열의 방향을 감소로 변경 d = -1; } else if (prevNum == num) { // 이전 숫자와 값이 같을 경우, 바이토닉 수열이 아니므로 길이 초기화 len = 0; } // 길이 증가 len++; } else { // 1. 현재 수열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 // 2. 수열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if (prevNum > num) { // 2-1. 이전 숫자보다 작을 경우, 길이 증가 len++; } else { // 2-2. 이전 숫자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수열이 끝났다고 판단 // 2-2-1. 현재까지의 길이를 계산하여 더 길면 정답으로 변경 if (answer < len) { answer = len; } // 2-2-2. 초기화 len = 1; // 현재 숫자부터 다시 시작하므로 값은 1 d = 0; // 2-2-3. 현재 숫자 이전의 값을 비교했을 때, 증가하고 있었다면 길이 하나 증가 if (prevNum < num) { len++; } } } prevNum = num; } // 현재 진행중이던 수열이 감소하고 있고 길이가 정답보다 크다면, 정답으로 변경 if (answer < len && d == -1) { answer = len;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olution5 T = new Solution5(); System.out.println(Solution5.solution(new int[]{1, 2, 1, 2, 3, 2, 1})); System.out.println(Solution5.solution(new int[]{1, 1, 2, 3, 5, 7, 4, 3, 1, 2})); System.out.println(Solution5.solution(new int[]{3, 2, 1, 3, 2, 4, 6, 7, 3, 1})); System.out.println(Solution5.solution(new int[]{1, 3, 1, 2, 1, 5, 3, 2, 1, 1})); } }
-
해결됨CloudNet@ - Amazon EKS 기본 강의
hostpath간에 마운트하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안녕하세요! 멋진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문득 강의를 보다 든 생각인데, 파드가 다른 노드에 재 생성되었을 때 다시 해당 hostPath로 생성된 볼륨을 사용하기 위해 hostpath간에 마운트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인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으로 노드의 생명주기에 종속적으로 만들어진 hostPath가 A노드의 hostPath 볼륨을 B노드가 마운트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말 그대로 hostPath인데 이렇게 되면 결국 그냥 노드하나 볼륨으로 희생시키고, 각 host의 스토리지간에는 독립적이지 못한 상황인 것 같이 보였습니다.차라리 nodeAffinty를 써서 해당 노드에 다시 배포되도록 하는 게 맞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생 초보라 이런 상황을 안 겪어봐서 어떤 경우에 hostPath간 마운트하는 지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넥스트14 질문입니다.
usePathname , useSelectedLayouysegment,패러렐라우트,인터셉팅라우트등 해당 기능들은 넥스트14 기능인지, 넥스트14 app 라우터에 기능인지 궁금합니다. app라우터에 기능이라면 어떤식으로 구분 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Local vaeriable initialization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사용 운영체제: M1 MacJava version: openjdk 17---문제: 상품 주문 시스템 개발 - 리팩토링 부분을 풀다가 약간 저의 개념이 애매모호한거 같아 질문드립니다.여기서 32번째 줄에 대한 내용입니다.local variable을 +=연산자를 적용하려면 꼭 초기화를 해야되는지에 대한 겁니다. 기본적으로 primitive type의 int형은 0으로 자동 초기화가 됩니다. 그런데 local 범위에서 compile error가 납니다. 그 이유가 더 밖의 범위에서 totalAmount가 초기화가 되거나 할 때 버그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compile에러가 일부러 나게끔 설정한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Nullpoint exception 문제 발생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옵션처리 강의까지 강의를 잘 따라 가다가 모든 테스트 파일의 코드들을 실행시켰을때 2가지 오류가 납니다. 첫번째는 다음과 같은 nullpointexception이 뜹니다.두번째는 BeanNotOfRequiredTypeException오류가 발생합니다.어디를 어떻게 고치면 좋을까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Modal 관련해서
모달 만드는 방법이야 많겠지만. 넥스트14 강좌를 위하셔서 인터셉터 라우팅이나 패러렐라우팅 이용하시는건지, 실제로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하셔서 사용하는건지 질문드립니당 만약 그런 이유시라면 제로초님이 좋아하시는 모달 만드는 패턴 같은게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데이터지도 ERD를 그려보자, MySQL 워크벤치
[관계선 안쪽 작도의 의미](1:22) titles 테이블 작성관련
안녕하세요. titles 테이블을 만들때 emp no컬럼을 만들지 않고 1:n 관계도를 클릭 후 titles, employees 테이블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emp no fk를 추가하였는데요. 통일성을 위해 컬럼이름을 emp_no로 바꿔주고, indexes 탭에서도 이름을 fk_emp_no_idx로 바꿔주었습니다만.Foreign_Keys탭으로 가서 보면 Foreign Key 는 기존대로 남아 있고 함께 이름이 바뀌지 않던데요.Foreign keys 의 기존 이름 "fk_titles_employees1" 을 "fk_emp_no_idx" 로 맞춰주긴 했는데요. indexes 에 표시되어 있는 이름과 foreign key 이름을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을까요??
-
해결됨[켠김에 출시까지] 유니티 방치형 키우기 게임 (M1 + C1)
유니티에서 internal 클래스가 사용되는 예
강의를 들으며 코드를 훑어보던중에 PoolManager.cs에서 Pool 클래스가 internal 접근제한자로 작성되어있는 부분이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현재 코드에서는 어셈블리가 나눠진게Assembly-CSharp, Assembly-CSharp-Editor 인데Pool 클래스가 internal로 작성되는 이유가 있는가요? Editor 어셈블리에서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것 인가요? 그리고 유니티에서 internal 접근 제한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어떤 경우가 있나요? 간혹 게임 에셋이나 코드드를 보며 공부할때 특정 클래스들이 internal로 되어있는 경우를 보는데이유가 뭔지 궁금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소스코드는 어디있나요
위치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
소스코드는 어디있나요 ? (html 이런거)
소스코드 위치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Transactional 적용 (Spring Data JPA, JPA 상황에 따른..)
섹션 8의 <실용적인 구조> 강의에서 질문드립니다.JPA의 모든 데이터 변경은 트랜젝션 안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JPA를 사용할 때는 리포지토리 계층에 @Transactional을 붙여야한다고 배웠습니다.그런데 Spring Data JPA는 @Transactional을 붙이지 않아도 @Transactional 처리를 자동으로 한다는 것 같은데 맞는 얘긴가요?원래 트랜젝션 적용은 서비스 계층에서 이뤄저야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서비스 계층에서 @Transactional을 붙여왔고요. 그런데 해당 강의의 8분 지점에서 ItemServiceV2의 경우 Spring Data JPA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리포지토리 계층에서는 @Transactional을 적용하지 않았고 서비스 계층인 ItemServiceV2에서 @Transactional을 적용한 것 같은데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public static void 클래스 run이 안되요
위와 같이 선생님처럼 코드 왼쪽에 초록색 run 버튼이 안나오고, 오른쪽 상단에도 그 버튼이 활성화가 되지 않고 this file in editor is not runnable 이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8 > API 서버에서 소셜 회원처리
안녕하세요, 강사님.섹션8 > API 서버에서 소셜 회원처리18분 26초까지 영상을 보고로그인을 시도했는데 DB 테이블에 계정이 생성이 안되네요...어디쪽이 문제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