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Interrupted()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스레드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인터럽트에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isInterrupted()는 Thread.currentThread에서 실행할 수 있고,interrupted()는 Thread에서 실행할 수 있는데 그럼 혹시 다른 스레드에서 인터럽트를 실행해도Thread.interrupted()에 걸릴까 싶어 테스트를 해보니 그러지는 않더라구요.Thread.interrupted의 내부를 보니 currentThread()를 호출하긴하던데,Thread.currentThread.interrupted()가 안되는 이유는 스레드의 내부적인 부분으로 보면 될까요? 궁금해서 혹시하고 질문드렸습니다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notifyall에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마지막 notifyall에서 만약에 c1 다음에 p1이 락을 획득하면 나머지 c2, c3, c4, c5는 대기집합에 들어가나요 아니면 깨어있는 상태로 계속있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생성자 생성시 질문있어요
5분37초 영상입니다. 해당 main함수에서 Child c = new Child()를 생성시엔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부르지 않나요? Child() 생성자가 없기때문에 무시한 것인지 알고싶어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istinct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em.createQuery에서 distinct를 사용해도 DB에서 받아올 때는 뻥튀기된 데이터를 받아오는 것이 맞을까요?em.createQuery의 반환값으로 List<Order>에 담을 때 Order의 id 중복을 제거해서 담은 뒤 반환한다는 것이 맞을까요?결국 distinct를 사용하나 안 하나 DB에 나가는 쿼리는 같을까요?public List<Order> findAllWithItem()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distinct o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 " join fetch o.orderItems oi" + " join fetch oi.item i", Order.class) .getResultList(); } 참고한 질문과 답변입니다.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JPA-API%EA%B0%9C%EB%B0%9C-%EC%84%B1%EB%8A%A5%EC%B5%9C%EC%A0%81%ED%99%94&unitId=24332&tab=community&category=questionDetail&q=555554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인텔리제이 먹통
인텔리제이 무료버전이 다 끝나서 다시 지우고 무료료 쓸 수있는 학생버전으로 깔았는데 그 다음부터 김영한님의 파일들이 잘 작동이 안됩니다. 일텔리제이 버전은 아래와 같습니다:IntelliJ IDEA 2024.2.1 (Ultimate Edition)Build #IU-242.21829.142, built on August 29, 2024Licensed to xxSubscription is active until September 2, 2025.For educational use only.Runtime version: 21.0.3+13-b509.11 aarch64 (JCEF 122.1.9)VM: OpenJDK 64-Bit Server VM by JetBrains s.r.o. 김영한님의 폴더를 오픈하면 소스 파일이 안뜨고 이런식으로 뜹니다 또 어쩔때는 소스파일이 다 뜨지만 run을 하면 run이 실행되고 다시 프로젝트 목록의 소스파일들이 다 사라집니다
-
미해결스프링 기반 REST API 개발
스프링 부트 3버전에서의 실습
스프링 부트 3버전에서의 실습 관련 업데이트는 진행하지않는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시큐리티 완전정복(6.x 개정판) 쿠폰 저도 받을수 있을까요.. ㅜ
학습질문과 전혀 관련없는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ㅠ저와같이 할인쿠폰 만료일 지나신 분 쿠폰요청글을 보고 혹시나 저도 아직 가능한지 여쭙고 싶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글올립니다.oAuth하고 이전버전 시큐리티 강의 듣고 있습니다.저도 메일을 늦게 확인하여서 쿠폰 만료일이 지났는데받을수있을까요?발급받았던 이메일 주소 는laundryday@naver.com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어떻게 오버라이딩된 toString()의 형식으로 출력되는지 헷갈립니다ㅠ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위의 코드에서 WildCardEx.printGenericV1(dogBox); 의 결과로 T = Animal{name='멍멍이', size=100} 이렇게 Animal에 오버라이딩한 toString의 형태가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ㅠㅠ printGenericV1() 메서드에서는 box.get()을 사용하고 있지만, get() 메서드는 return 으로 그저 Dog 객체를 반환하는데 어떻게 오버라이딩 된 toString()의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는지 헷갈립니다ㅠ 기본적인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ynchronized lock 획득 질문, 스프링에서 synchronized 질문
이해 확인에 대한 질문입니다. synchronized는 메서드에서 현재 getBalance()랑 withdraw()에서 선언되었는데, lock은 객체가 가지고있다고 이해하고있습니다. synchronized 메서드가 실행시 lock을 가지고 간다면 synchronized가 선언되지 않은 메서드(동일 클래스)는 자유롭게 실행이 가능한거고,만약 synchronized withdraw가 스레드1에서 실행중이라면 스레드2가 synchronized getBalance()시 락을 획득할 수 없어서 대기해야하는 것이 맞나요? 2. 제가 스프링 DB2까지 강의를 듣고있는데, 스프링에서는 실제로 WAS의 스레드 풀에서 기본적으로 많은 스레드를 확보해두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해당 강의들에서 synchronized를 사용해본 기억은 없는 것 같아요. 기본적으로 스프링은 synchronized가 필요한 부분에 구현이 되어있는 걸까요?(싱글톤 빈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니면 멀티스레드의 측면도 개발자가 직접 테스트하면서 최적화가 필요할까요?(아마 제 예상으로는 개발자가 직접하는 부분도, 스프링이 해주는 부분도 있을 것 같은데...) 스프링 고급편, 부트편이나 JPA 학습 시점에 알 수 있는 부분일까요?
-
해결됨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inner sequence context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해당 영상에서 예제 코드가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 inner Sequence 내부에서 Context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읽을 수 없다면 subscribe할 때 Context에 저장된 job은 inner 시퀀스에서 저장한 것이므로 읽을 수 없어야 한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근데 실행 결과에서는 job에 대한 데이터를 잘 읽어오길래 혼란이 왔습니다.제가 아직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동작 방식이 익숙치 않아서 그런데 확인해주시고 부연 설명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Slf4j public class ContextFeatureExample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String key1 = "id"; Mono.just("Kevin") // flatMap 내부: inner Sequence .flatMap(name -> Mono.deferContextual(ctx -> Mono.just(ctx.get(key1) + ", " + name) .transformDeferredContextual((mono, innerCtx) -> mono.map(data -> data + ", " + innerCtx.get("job"))) .contextWrite(context -> context.put("job", "Software Engineer")) ) ) .publishOn(Schedulers.parallel()) .contextWrite(context -> context.put(key1, "itVillage")) .subscribe(data -> log.info("onNext = {}", data)); Thread.sleep(100L); }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학습 방법에 대한 고민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현재 기본편 접근제어자를 학습하고 있는데 예제에서 이전에 공부했던 배열이나 생성자에 대한 내용에서 헤메이곤 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강의를 계속해서 수강하고 마지막까지 수강한 후에 다시 전체적으로 빠르게 수강하는것이 좋나요 아니면 헷갈릴때마다 다음 강의 보다는 전에 봤던 강의를 복습하는 방식이 좋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형성 - 역할과 구현예제2 강의만 재생이 안돼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새로고참도 해보고 여러가지 다 해봤는데 이 강의만 재생이 안됩니다. 오류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boundedElastic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해당 영상에서 Schedulers.boundedElastic() 이 아닌, newBoundedElastic() 예제를 보여주셨습니다.newBoundedElastic 예제는 어느정도 이해가 되었는데 boundedElastic() 실행 결과가 궁금하여 예제에서의 newBoundedElastic()을 boundedElastic() 으로 바꿔 실행해봤습니다.실행결과가 첨부한 사진처럼 나오던데 스레드 풀에 있던 스레드 6개가 사용된 것으로 보면 될까요?확인해주시고 답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부모클래스나 두개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있을 때 다른 부모에 있는 메서드가 실행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클래스와 인터페이스 활용 강의를 듣고 문득 하위클래스는 상위의 AbstractAnimal과 Fly인터페이스와 관련이 있다는 느낌을 받아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했습니다.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g dog = new Dog(); Chicken chicken = new Chicken(); Bird bird = new Bird(); AbstractAnimal bird2 = new Bird(); soundTest(dog); soundTest(chicken); soundTest(bird); flyAnimalTest(chicken); flyAnimalTest(bird); soundTest(bird2); flyAnimalTest((Fly)bird2); } private static void flyAnimalTest(Fly fly) { System.out.println("날기테스트시작"); fly.fly(); System.out.println("날기테스트종료"); } 그런데 마지막 줄 flyAnimalTest에서 bird2는 인스턴스는 Bird2지만 호출타입은 AbstractAnimal이라서 AbstractAnimal을 Fly타입에 대입할 수 있나라는 의문도 들었고 무엇보다 AbstractAnimal에는 fly()라는 메서드가 없어서 이걸 AbstractAnimal에서 찾으면 당연히 없고 상위 클래스에서 fly를 찾으려고 해도 AbstractAnimal이 최상위니까 실행이 안되겠지?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게 맞을까요? 그리고 한가지 더 궁금한게 있습니다. (Fly) bird2를 flyAnimalTest에 넣었는데 실행이 잘 됐습니다. bird2의 호출 타입은 Abstract이고 인스턴스는 Bird인데 (Fly)를 해주면 캐스팅 되는 과정이나 메모리상에서 fly함수를 어떻게 찾아가는지 과정을 알고싶습니다. bird2를 (Bird)로 다운캐스팅한 다음 flyAnimalTest메서드의 매개변수 Fly fly에 대입된 후에 작동하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Fly)로 캐스팅했을 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cmd - gradlew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왜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 걸까요? gradlew.bat build로 해도 똑같고gradle home도 잘 지정되어 있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설정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강의에선 maven으로 진행된거같은데 강의에서 나오는 설정들도 함께 알아두는게 맞겠죠...? 요즘도 pom.xml이나 persistence.xml 방식을 많이 사용할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 언어 기출문제의 변형
안녕하세요, “Java 언어 기출문제의 변형” 수업 수강 중 이해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4:30~) class A {A() {System.out.print(‘A’);}A(char x) {System.out.print(x);}} class B extends A {B() {super();System.out.print(‘B’);} B(char x) {this();System.out.print(x);}}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 s1 = new A(‘X’);A s2 = new B(‘Y’); A s2 = new B(‘Y’); 이 부분을 실행할 때부모생성자를 먼저 실행한 후 B(char x)를 실행하지 않고B(char x)를 먼저 실행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동일 질문에 파라미터가 있는 것을 이미 실행했다면, 기본 생성자는 실행되지 않는다고 답변 주셨는데,왜 이 코드에서는 파라미터가 있는 것을 실행하기 전에 부모 생성자를 먼저 실행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DB 연결 오류 : MemberRepositoryTest 실행 시
[질문 내용]MemberRepositoryTest 실행 시 자꾸만 오류가 나네요....... 어찌 해야할지 ㅠ 오류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Cannot invoke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convert(java.sql.SQLException, String)" because the return value of "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backend.jdbc.internal.JdbcIsolationDelegate.sqlExceptionHelper()" is null at 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backend.jdbc.internal.JdbcIsolationDelegate.delegateWork(JdbcIsolationDelegate.java:116) ~[hibernate-core-6.5.2.Final.jar:6.5.2.Final]JdbcIsolationDelegate.java:116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getJdbcEnvironmentUsingJdbcMetadata(JdbcEnvironmentInitiator.java:290) ~[hibernate-core-6.5.2.Final.jar:6.5.2.Final] jpashop/src/main/resources/application.yml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MVCC=true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database-platform: org.hibernate.dialect.H2Dialect hibernate: ddl-auto: create #Application 실행 시점에 Entity 삭제 & 재생성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생성한 SQL 이 다 보임 :) System out 을 통해 출력. format_sql: true logging: level: org.hibernate.SQL: debug #sql 을 전부 DEBUG 모드로 남긴다는 뜻. Logger 를 통해. server: port: 8092 MemberRepository.java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Repository //DAO 랑 그냥 똑같은거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 { @PersistenceContext private EntityManager em; //starter-jpa-start 에 포함! // EntityManagerFactory ENTITY_MANAGER_FACTORY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JPA_DEMO");// // EntityManager em = ENTITY_MANAGER_FACTORY.createEntityManager(); public Long save(Member member) { // System.out.println("em:: "+em.toString()); System.out.println("save"); em.persist(member); //영속성. 영원히 저장한다 (=DB SAVE) return member.getId(); } //커맨드와 쿼리를 분리하는 정책 설계때문에 Id 만 리턴한다구 함 public Member find(Long id) { System.out.println("find"); return em.find(Member.class, id); } } MemberRepositoryTest.java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Test;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Runner;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 import org.junit.Before;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public void test() throws Exception{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A"); System.out.println(member.toString()); //when Long saveId = memberRepository.save(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saveId); //then System.out.println("Then");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Id()).isEqualTo(findMember.getId()); }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실무에서 try - catch로 예외를 잡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 궁금합니다.
실무에서 공통으로 예외를 처리하는 부분 말고 try - catch로 예외를 잡아 처리하는 경우는 보통 어떤 경우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4년 3회 시험..
2회 시험을 보면 필기부분엔 거의 시간을 쏟지 않아도 될정도로 쉽게 나왔는데요.. 필기 비중을 어느정도 잡아야 할지 모르겠어요 무조건 외워서 간다 라는 마인드로 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