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샐러리(Celery)
docker-compose
docker-compose.yml 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를 직면하여 질문 드립니다.. base 프로젝트 설정 부분이 대략적으로만 말씀주셔서 우선 github 보면서 따라하긴 해봤는데 제 경로 설정에 문제가 있는 것 같네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인피니트 스크롤링 강좌] prefetchInfiniteQuery에 전달되는 queryFn과 useInfiniteQuery에 전달되는 queryFn을 항상 똑같이 설정해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다가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 상위 QueryProvider를 만들 때 ReactQueryStreamedHydration로 미리 감싸면 강의에서 소개 해준 dehydrate(queryClient)로 감싸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나요? <QueryClientProvider client={client}> <ReactQueryStreamedHydration>{children}</ReactQueryStreamedHydration> </QueryClientProvider> dehydrate와 HydrateBoundary가 정확히 어떤 역활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const dehydratedState = dehydrate(queryClient); return ( <HydrationBoundary state={dehydratedState}> <MoreListView keyword={keyword} /> </HydrationBoundary> ); prefetchInfiniteQuery의 queryFn과 useInfiniteQuery의 queryFn은 똑같이 작성해야 하나요??만약 이렇게 하면 안된다면 전달하고자 하는 매개변수를 client component에서 전달하고자 할 때 어떻게 해야할 지 고민이 됩니다. (전달하는 상태 값은 useContext로 만든 상태 값입니다..)// prefetch 부분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await queryClient.prefetchInfiniteQuery({ queryFn: fetchMoreList, });// client component 부분 useInfiniteQuery<Dummy[], Object, InfiniteData<Dummy[]>, [_1: string, _2: string], number>({ queryFn: ({ pageParam, queryKey }) => fetchMoreList({ pageParam, queryKey, sort }),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 오류
[질문 내용]복습 중 테스트 오류가 났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entityrepositoryapplication.ymltestbuild.gradletest code하기 전에 main()을 run 했을 때는 제대로 실행되고 h2 웹 콘솔에서도 Member 테이블이 생긴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뜹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에러
-
해결됨[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오류 질문
안녕하세요! 잘 나오던 그림들이 rvAdapter.notifyDataSetChanged()를 추가하자 안 나옵니다. 뭐가 문젠가요?!mingreen0107/mango_contents (github.com)
-
미해결STM32 FFT 구현
디버그 모드에서 LIVE expression 변수가 보이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 자료대로 구현하여 잘 사용 중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디버그 모드에서 live expression 탭의 변수값이 실시간으로 보여지지 않고 있어요. 혹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요? Release 모드에서 Debug 모드로 변경하여도 되지 않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디자인 시스템 with 피그마
Tailwind Color Generator가 검색이 안됩니다.
Tailwind Color Generator가 아예 검색이 되지 않네요 ㅠ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css.ts 파일은 어디에 만드는게 좋아요?
style 폴더를 따로 만들어서 관리해도 되나요?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call by reference 시 퍼포먼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과제로 내주신 것 중 std::thread와 std::promise를 사용하는 것을 먼저 해보고 divide and conquer를 std::thread를 이용해서 구현하는 것을 해봤는데,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렸습니다.강의 영상 막바지에 보여주셨던 std::async와 std::future를 사용했던 예제를 참고해서, 하나의 변수에 여러 스레드가 값을 누적시키는 것이 아닌 각자의 local sum에 값을 누적시킨 후 마지막에 모두 더하는 방식으로 구현해봤습니다. // TODO #1 : use divide and conquer strategy for std::thread cout << "thread" << endl; { const auto sta = chrono::steady_clock::now(); unsigned long long sum = 0; vector<std::thread> threads; vector<unsigned> sums; threads.resize(n_threads); sums.resize(n_threads); const unsigned n_per_thread = n_data / n_threads; for (unsigned t = 0; t < n_threads; t++) { threads[t] = std::thread(dotProductThread, std::ref(v0), std::ref(v1), t * n_per_thread, (t + 1) * n_per_thread, std::ref(sums[t])); } for (unsigned t = 0; t < n_threads; t++) { threads[t].join(); sum += sums[t]; } const chrono::duration<double> dur = chrono::steady_clock::now() - sta; cout << dur.count() << endl; cout << sum << endl; cout << endl; }그리고 처음에는 std::thread가 사용할 함수인 dotProductThread의 구현을 call by reference를 반환값처럼 사용하도록 아래와 같이 구현했습니다.auto dotProductThread(const vector<int>& v0, const vector<int>& v1, const unsigned i_start, const unsigned i_end, unsigned& local_sum) { for (unsigned i = i_start; i < i_end; i++) { local_sum += v0[i] * v1[i]; } }그런데 실행해봤더니 정답은 제대로 나오지만 속도가 제가 구현한 std::thread와 std::promise를 사용한 예제보다 훨씬 느렸고, 심지어 std::innerproduct보다도 느렸습니다.뭐가 문제일까 싶어 여러가지를 바꿔보다가 아래와 같이 dotProductThread함수에서 매번 레퍼런스에 값을 더하지 않고 변수를 하나 선언해 누적하다가 마지막에만 넘겨주도록 하였습니다.auto dotProductThread(const vector<int>& v0, const vector<int>& v1, const unsigned i_start, const unsigned i_end, unsigned& local_sum) { unsigned t = 0; for (unsigned i = i_start; i < i_end; i++) { t += v0[i] * v1[i]; } local_sum = t; }실행했더니 속도가 std::thread와 std::promise를 사용한 예제와 거의 비슷하게 나와주었습니다.call by reference로 전달된 참조에 너무 빈번하게 접근해도 퍼포먼스 저하가 일어난다고 봐도 될까요?그리고 시험삼아 출력문을 dotProductThread 내에 작성해봤더니 race condition은 일어나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이런 경우 굳이 std::atomic이나 뮤텍스를 사용할 필요는 없나요? 또는 작업이 더욱 복잡해진다면 안정성을 위해 사용해줘야 하는 걸까요?(프로그래머가 미처 고려하지 못한 상황이라거나)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다른 방법으로 풀이했는데 삽입 정렬이 맞을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function solution(arr) { let answer = arr; for (let i = 0; i < arr.length; i++) { for (let j = 1; j < arr.length; j++) { if (arr[j - 1] > arr[j]) { [arr[j - 1], arr[j]] = [arr[j], arr[j - 1]]; } } } return answer; } // test case console.log(solution([11, 7, 5, 6, 10, 9]));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Live Coding을 써야하는 이유
Live Coding을 쓰면 헤더파일 수정을 할때 에디터를 끄고 해야해서 불편한 것 같은데 VS에서 빌드하거나 컴파일 버튼을 누르지 않고 Live Coding을 쓰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kubectl apply 와 create 차이점
안녕하세요.강의들 듣다 보면 지금까지는 pod를 생성할때 kubectl create ~~ 했는데지금은 kubectl apply ~~ 차이점이 있을까요?
-
미해결[켠김에 출시까지] 유니티 방치형 키우기 게임 (M1 + C1)
AttackBuff.ClearEffect() 메서드 문의
버프류 스킬 AttackBuff.ClearEffect() 메서드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public override bool ClearEffect(EEffectClearType clearType) { if(base.ClearEffect(clearType) == true) RemoveModifier(Owner.Atk, this); return true; } 여기서 base.ClearFffect() 는ObjectManager.Despawn()을 호출하고, 이건 또ResourceManager.Destroy()를 호출함으로써AttackBuff가 붙어있는 EffectBase 프리팹을 날려버리면서 true를 반환하는걸로 이해하는데요,이 경우 AttackBuff 인스턴스가 날라가게 되는데 그 다음줄 RemoveModifier가 실행되고, 또 자기 자신을 인자로 넘겨줄 수가 있나요?RemoveModifier(Owner.Atk, this);
-
미해결
피그마 플랜에 대해 궁금해요
이번에 회사에서 피그마를 사용하려고 하는데요.Pro 플랜 사용시, 디자이너만 구매를 하면 다른 기획자나 개발자분에게 공유가 가능한가요? (특히 개발자 모드에서 보는게 Zeplin 처럼 디자인 확인할 수 있는 그런 기능인것같은데... 이게 무료 버전에서는 안되더라고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emberApp과 AppConfig 분리 이유 질문
1.AppConfig와 MeberApp를 분리한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MemberApp에서 MemberService의 구현체 확인이 안되고 확인하려면 다시 AppConfig를 열어야하는데, 분리한 이유가 있나요?(예제 코드이다 보니깐 AppConfig의 장점이 와닿지가 않네요..현재로선 득보다 실이 더 큰 느낌이 들어요)2. MemberApp의 역할의 경계를 어디까지 잡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ResponseBody와 ResponseEntity를 같이 써도 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선 @RestController로 이미 모든 컨트롤러에 @ResponseBody 응답을 하는데 JSON 응답 컨트롤러에선 반환 타입을 ResponseEntity로 하여 둘 간의 충돌이 있지 않을까해서 질문드립니다 !
-
미해결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링부트 기반의 API 템플릿 프로젝트 구현
리프레시 토큰 사용 관련 문의 건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의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현재 강의 내용에선 액세스 토큰과 리프레시 토큰을 DTO에 담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달하고 있습니다.1) 이 경우, 사용자 또한 네트워크 탭에서 전달되는 토큰을 모두 확인할 수 있는건가요? 보안 문제는 없을지요?2) 프로젝트에 리프레시 토큰을 적용하는 중인데, 위 사항을 감안하고도 DTO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해도 될지요? 또한 이 경우가 가장 일반적인 경우일지요?3) 만약 액세스 토큰은 쿠키에 담아 웹브라우저가 컨트롤하게 하고,리프레시 토큰만 서버에서 DTO에 담아 전달하는 방식은 어떤지요? 프로젝트 진행 기준으로 안내주시면 참고하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
해결됨[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잘 실행되던 코드가 갑자기 실행이 안됩니다..
트와이스 앱 만들기를 끝냈는데분명 잘 실행됐던 코드인데 지금은 저 상태로 멈춰서 실행이 안됩니다.오른쪽 상단에 계속 로딩 표시가 뜨고 test 에뮬은 저 화면에서 멈춰있습니다.프로그램을 껐다 켜보기도하고 컴퓨터도 리부팅해봤는데 도무지 모르겠어요..에뮬을 새로 만들어보려고했는데 아래와 같이만 뜨고 device manager가 없어요..가상 디바이스는 하나만 되는건지..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 클래스 배열과 C/C++의 이중포인터
강사님! 클래스 배열을 힙메모리에 할당하고, 할당된 힙 영역의 클래스배열 각각의 인덱스가 객체를 가리키는 것은C++에서 힙영역의 클래스 배열을 가리키는 이중포인터힙 영역에서 생성된 클래스 배열에서 각각의 인덱스는 객체를 가리키는 단일포인터로 저는 이해를 했는데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403 에러 뜹니다.
POST http://localhost:8080/api/loginHTTP/1.1 403Vary: OriginVary: Access-Control-Request-MethodVary: Access-Control-Request-HeadersX-Content-Type-Options: nosniffX-XSS-Protection: 0Cache-Control: no-cache, no-store, max-age=0, must-revalidatePragma: no-cacheExpires: 0X-Frame-Options: DENYContent-Length: 0Date: Wed, 28 Feb 2024 07:00:26 GMTKeep-Alive: timeout=60Connection: keep-alive<Response body is empty>Response code: 403; Time: 3ms (3 ms); Content length: 0 bytes (0 B)Cookies are preserved between requests:> C:\Users\JOSOYA\IdeaProjects\corespringsecurityfinal-master\core-spring-security\.idea\httpRequests\http-client.cookies 필터체인이 다중처리가 안되는걸로 확인됩니다..ㅠ ajaxAuthenticationProvider 도 타지 않고 403 에러만 나오네요..csrf 도 disabled 했습니다.왜 403 뜨는지 찾아봐도 모르겠습니다..ㅠㅠ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깃 주소 입니다.https://github.com/soyajo/core-spring-security.git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타입스크립트 A-Z
브라우저에 쿠키, 로컬스토리지에 서버에서 내려받은 값은 전부다 스트링 타입인가요?
브라우저 개발자도구탭 열면 보이는 쿠키나, 로컬스토리지에 박혀있는 값들도 string인지 궁금합니다.제가 알고 있기로는, 프론트에서 서버로 값 전달할때 string으로 변환해서 보내야 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반대로 서버에서 전달받은 값들도 전부 string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