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Backend 멀티쓰레드 이해하고 통찰력 키우기
임계영역에 2개 이상의 스레드가 올 수 있는지요?
안녕하세요섹션4 코드를 보면 requests 라는 오브젝트 키를 사용해서스레드1과 스레드2가 임계영역을 이용중인데서버 함수를 보면 일이 없으면 lock 안에서 wait 즉 대기 상태로 빠집니다 그리고 클라 함수를 보면 일을 넣어주고 다른 스레드를 깨웁니다여기서 의문인게 임계영역 안에서 대기중인 스레드와 실행중인 스레드가 공존할 수 있나요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046075제가 다른 수업에서 한 질문인데 답변에는 ai 답변이긴 하지만그럴 수 없다고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디지털포렌식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실기 시험대비 강의(Encase/Autopsy)
교수님 문의드립니다
포렌식 강의를 학습중에 있는데요! 너무나 친절하게 잘 알려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아직 강의를 다 듣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이 몇가지 해소되지 않은 걱정이 있어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1. 기출문제→연도별 기출문제가 있다면 정말 도움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2. 보고서 작성 방법→ [문제1] / [문제2] / [문제3]과 같이 별도의 폴더를 만들어서 답변을 하라고 해주셨는데, (기존 자격자 취득자 중)일부에서는 문제 구분없이 전체적으로 보고서를 작성해야한다는 의견을 들어서요. 어떤것이 맞는지 혼란스럽습니다ㅠㅠ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 내용에 나오는 부분을 추가 학습하고 싶은데 어떤 강의를 들어야 할까요?
쓰레드에 관한 개념을 서칭하는데 한계가 있어, 멀티 쓰레드 관련하여 강의를 듣고싶습니다.스프링 로드맵을 따라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 부분이 있을까요?아니면 김영한 강사님의 자바 강의에 따로 설명이 되어있다면 어떤 강의인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public FrontControllerServletV1() {} 생성자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public FrontControllerServletV1() 생성자가 실행되면,생성자 내부에서 url 주소와 컨트롤러가 매핑되도록 한다는 것은 알겠습니다. 근데 해당 (기본) 생성자를 실행시키려면,어디선가 new FrontControllerServletV1(); 라는 코드를 적어줘야 하지 않나요? 아래 코드를 실행한 결과, 서버클 껐다 킬 때마다 생성자가 1회 실행되던데,왜 자동으로 1회 실행되는거죠?그 어디에도 new FrontControllerServletV1(); 라는 코드는 없는데 말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해당 클래스 빈 조회 방법
스프링 컨테이너는 생성자에 클래스 정보를 받습니다. 여기에 클래스 정보를 넘기면 해당 클래스(SingletonBean)가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됩니다.여기서 등록된 빈을 조회하려고 하는데 저렇게 name을 singletonBean으로 조회하면 등록된 빈을 찾을 수 없다고 오류가 납니다. 빈 이름으로 조회하고 싶은데 무엇으로 조회해야하나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react-query ssr설정
react-query ssr 설정하기인데 어느 부분이 ssr 설정인지 잘모르겠습니다 어느부분인가요??export async function getPostRecommends({ pageParam }: Props) { const res = await fetch( `http://localhost:9090/api/postRecommends?cursor=${pageParam}`, { next: { tags: ["posts", "recommends"], }, } ); // The return value is *not* serialized // You can return Date, Map, Set, etc. if (!res.ok) { // This will activate the closest `error.js` Error Boundary throw new Error("Failed to fetch data"); } return res.json(); }
-
미해결
JAVA Scanner
package bufferTest;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uffer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a = scan.next(); String[] arr1 = {"a"}; System.out.println(System.identityHashCode(a));System.out.println(System.identityHashCode(arr1[0])); }} 왜 arr[0]과 a의 주소 값이 다른가요..???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7분 45초쯤에 쿼리키 잘 짜는 법 관련하여 문의합니다.
조금 있다가 잘 짜는법에 대해 설명한다 하였는데, 제가 놓친것인지 다음강의에 나오는 내용인지 못들은 기분입니다. 일단 다음 강의 보다가 까먹고 놓치지 않기 위해 문의합니다. 우선 앞에 ""으로 표기한것은 함수 이름 설정하듯이 자기가 의도한대로 넣을 수 있고 몇개를 입력하든 상관 없는 것인가요?params 같은 경우는 마지막에 한번만 객체나 특정 타입 형식으로 넣을 수 있는 것인가요?추가적으로 export default function SearchResult({searchParams}:Props){ ... 에서searchParams가 객체로 한번 더 묶여서 정의되어 들어가는 이유는 그냥 편의상 그런 것일까요?type SearchParams= { q: .....} 로 정의하고 export default function SearchResult(searchParams:SearchParams){ ... 같은 식으로 넣어도 문제 없이 진행할 수 있는지, 아니면 {}객체로 한번 더 묶는 이유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Flutter 중급 2편 - 실전 앱 개발 - 미국 주식 앱 (with 클린 아키텍처)
수업과 관련이 없지만 물을 곳이 없어...교수님께 여쭙니다..
dto랑 이미지 파일을 dio로 이용하여 post 하려는데 뭘해도 400, 415 등등 에러가 나옵니다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수업내용이 아닌 질문 죄송합니다. Future<void> postUser(UserInfo userDto, XFile? imageFile) async { try { // Dio 인스턴스 생성 Dio dio = Dio(); // 멀티파트 요청 생성 FormData formData = FormData(); // Add userDto as a JSON part formData.fields.add(MapEntry('userDto', jsonEncode(userDto.toJson()))); // Add image file if (imageFile != null) { formData.files.add(MapEntry( 'image', await MultipartFile.fromFile(imageFile.path), )); } // Dio를 사용하여 POST 요청 보내기 Response response = await dio.post( 'http://43.200.217.158:8080/bookstore-0.0.1-SNAPSHOT/user', data: formData, options: Options( headers: { "Content-Type": "multipart/form-data", }, ), ); // 응답 확인 if (response.statusCode == 200) { print("User Data sent successfully"); } else { print('response.statusCode: ${response.statusCode}'); throw Exception("Failed to send data"); } } catch (e) { print("Failed to send post data: $e"); } } ------------------------------------------------------------------------------- 서버 코드 스프링 @PostMapping(value = "/user", consumes = {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MediaType.MULTIPART_FORM_DATA_VALUE}) public ResponseEntity<ApiResponse> save(@RequestPart UserDto userDto, @RequestPart MultipartFile image) { try { log.info("유저 생성 입장!!"); Long save = userService.save(userDto, image);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new ApiResponse("Created", "유저 생성 성공", save)); } catch (Exception e) { log.error("e={}", e);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NOT_FOUND).body(new ApiResponse("NotFound", "유저 생성 실패", null)); } }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8:15] GetBytes, GetByteCount 문자열 파싱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GetBytes로 문자열을 파싱하는 과정에서 질문이 있습니다.위의 이미지를 보면 GetBytes 후 Length를 가져와도 8바이트가 나오는데 바이트를 먼저 가져온 후 Length를 가져오면 안 되는 것인가요? 길이를 파싱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돌려 보았는데 결과는 잘 나오는 것 같았습니다.여러 번 강의를 돌려봤지만 '몇 바이트가 와야 조립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두 단계로 나눈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이 순서가 반대가 되면 조립 가능성 확인을 못하게 되는 것이 이해가 안 가서 질문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수업 자료 관련 문의
선생님~ 안녕하세요,강의 자료로 제공해주시는 PDF를 아이패드에 담아서 보고 있는데요,강의마다 pdf가 첨부되어 있어서 60강이 넘는 pdf를 매 번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것이 너무 번거롭습니다.혹시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로 합쳐진 통합본 pdf 제공 가능하실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loadbalancer 문의 드립니다.
로컬 우분투 환경에서는 외부 IP 가 PENDING 상태에서 변하지 않습니다.꼭 실습환경은 구글크라우드 환경에서 해야 하는지, 아니면로컬환경에서는 LoadBalancer를 사용하지 못하는건지,못하면 다른 방법은 없는 건지 궁금합니다.참고로 우분투에서 로드밸랜서를 만들지는 못하나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X 시간초과 질문입니다!
https://www.acmicpc.net/source/74215560안녕하세요 ㅠ시간 초과가 왜 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제가 계산한 것에 따르면1. 모든 경우의수 4^82. 기준 방향 설정 x43. 기준 방향을 중심으로 4방향 탐색 후 감시 방향 기록 (최대 3방향, 가로,세로 8칸) x (64+64(복사))=> 34백만 정도맞왜틀일까요..ㅠㅠ
-
해결됨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LIS/LCS 2번 문제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추가강의 LIS/LCS 2번 문제(#9251)를 백준에서 채점을 하다가 발견한 사실인데요 아래 정답 코드에서 import sys sys.stdin = open('/Desktop/dev/BackJoon/추가강의/LIS/9251.txt','r') sys.setrecursionlimit(999999) input = sys.stdin.readline A = str(input()) N = len(A) B = str(input()) M = len(B) dp = [[0]*(M+1) for _ in range(N+1)] for i in range(1,N+1): for j in range(1,M+1): # if A[:i][-1] == B[:j][-1]: if A[i-1] == B[j-1]: dp[i][j] = dp[i-1][j-1]+1 else: dp[i][j] = max(dp[i-1][j], dp[i][j-1]) print(dp[N][M]) import sys sys.stdin = open('/Desktop/dev/BackJoon/추가강의/LIS/9251.txt','r') sys.setrecursionlimit(999999) input = sys.stdin.readline 위의 이 부분을 지우고 돌리면 성공하는데, 위의 부분이 있을 때 채점 초반에 틀렸다고 하네요. 혹시 이번 문제에서는 input이 띄어쓰기가 없는 문자열이라서 input = sys.stdin.readline부분 때문에 에러가 난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파이썬 백엔드와 웹기술 입문 (파이썬 중급, flask[플라스크] 로 이해하는 백엔드 및 웹기술 기본) [풀스택 Part1-1]
가장빠른 Vue와 flask, 그리고 REST API 1 강의 질문입니다.
궁금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flask_test.py파일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위 사진은 flask_test.py파일의 내용입니다. 해당 코드를 실행하면 boostrap_test.html파일이 실행이 되는거같은데요,flask_test.py파일에 템플릿을 렌더하는 경로가 없는데도 어떻게 boostrap_test.html을 찾아서 실행하는지가 궁금합니다.flask_test.py파일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이 됩니다.강의 내용에서는 부스트랩을 활용해서 HTML의 내용을 GET, POST, PUT, DELETE로 변경하고, 8082포트로 접속을 하면 HTML의 내용이 GET, POST, PUT, DELETE가 출력이 되지만, 제 경우에는 위와같은 화면이 출력이 됩니다.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을 해야될지를 모르겠습니다. 위와같이 2개의 사항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강사님 몇일동안 구글 검색만 100개 했는데도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수강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스프링과 시큐리티 버전업해서 미리 해보고 있는데 form 로그인을 할 경우에는 쿠키가 자동으로 생성되는데ajax로 로그인할 경우에는 session 로그인 처리는 되나 쿠키가 생성되지를 않습니다..정말 모르겠습니다....제발 부탁드리겠습니다..ㅠㅠ감사합니다.. https://github.com/KMSKang/springboot-jpa-board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4분50초 쯤부터 5분대에서
강의이기 때문에 react-queary, zustand, context.API 세가지를 보여주지만 실제로는 하나만 쓰면 된다하여서 처음 강의에 나오던 context.API로만으로 코드를 짜려고 다른 것들은 대충 넘겨 들었는데요.어느정도 코드 짜보다가 react-query 부분을 다시 듣고나서보니 react-query는 또 느낌이 다른것 같네요.그런데 혹시 서버액션 쪽에서 첫번째 동작 이후에 쓰로틀이 들어가게 코드를 짜두면 context내의 서버 데이터 갱신할 때도 react-queary의 stale 같은 기능을 만들 수 있는 거겠죠? 해당 기능은 그렇게 구현한다고 하여도, 지금 앞뒤로 강의 다시 들어보니 캐싱 관리같은건 또 다른 차원이거 같아서 결국에 react-queary를 병행해야만 하는건가 싶네요.다른 질문 답변을 보니 강사님도 react-queary는 데이터 패칭용으로 다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와 병행해서 쓰시는것 같고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엔티티 매핑 오류 - 실전 예제1
섹션 4 - 엔티티 매핑 에서 실전예제1 관련 질문입니다. 강사님께서 jpashop 프로젝트를 하고 계신데 저도 열심히 따라 하고 있었습니다. 근데 지금 H2 가 연결이 계속 안된다라고 뜨는데 혹시 이유 아시는 분 계실까요.......ㅠㅠㅠㅠ사진 첨부하겠습니다.제발 꼭 좀 도와주세요ㅜㅜㅜ!!!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NavigationSystemV1 을 추가하기만 했는데 오작동이 나는데 왜이런걸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JSj9CRH42NE&ab_channel=%EC%A1%B0%EC%A4%80%EC%88%98실습에서 Attak 부분에 네비게이션을 사용해보려고 저렇게 불러오는 코드를 넣기만 하였는데도 링크의 영상처럼 Behavior Tree 가 오작동을 일으킵니다. 딱히 오류나 그런것도 없는데 왜이러는건지 알고싶습니다...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포인터와 배열의 이름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상수 포인터와 배열의 이름은 유사한 개념이라고 파악하고 있었는데, sizeof(배열의 이름)은 배열의 크기를 출력해준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또한, 참조 연산자를 통한 결과 또한 포인터의 경우, 메모리를 확인한 결과 해당 주솟값을 가리키고 있는 다른 주소의 값을 가지고 있었지만, 배열의 이름은 동일한 주솟값이 결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제가 이해한 바로는 배열의 이름 자체는 배열의 시작 주소이기에 'test2' 는 'H'라는 배열의 시작 주소를 가리키고, '&test2'는 "Hello World"라는 배열 자체 주소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판단을 했는데, 이것이 맞는 이해인지 궁금합니다.두 개념이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 같은데 이 차이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