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메서드 영역에 static 변수?
자바 8부터 Heap 영역에 Static Object(Static Variable, static객체 , static method)이 존재하고MetaSpace에는 static reference만 저장한다고 아래 글에서 읽었습니다.https://openjdk.org/jeps/122어떤게 맞는건가요? 제가 오역한거같지는 않은게 다른 분들도 그렇게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https://jgrammer.tistory.com/entry/JAVA-Java8%EB%B6%80%ED%84%B0%EB%8A%94-static%EC%9D%B4-heap%EC%98%81%EC%97%AD%EC%97%90-%EC%A0%80%EC%9E%A5%EB%90%9C%EB%8B%A4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12장 퀴즈 runnableSet 질문
퀴즈 풀이 진행시저는 _03_JOIN 에서 사용한 것 처럼 클래스 내부에 함수를 만들어서 호출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했습니다. 코드package chap_12; public class _Quiz_1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kg pkg1 = new Pkg(); Pkg pkg2 = new Pkg(); Runnable a = 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String name = "A"; int number = 1; for (int i = 1; i <= 5; i++) { pkg1.pack("A"); } System.out.println(" -- A 상품 준비 완료 -- "); } }; Runnable b = 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String name = "B"; int number = 1; for (int i = 1; i <= 5; i++) { pkg2.pack("B"); } System.out.println(" -- B 상품 준비 완료 -- "); } }; Thread pkgA = new Thread(a); Thread pkgB = new Thread(b); pkgA.start(); pkgB.start(); try { pkgA.join(); pkgB.join();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Dmz(); } public static void Dmz() { for (int i = 1; i <= 5; i++) { System.out.println("세트 상품 포장 시작 " + i + "/5"); } System.out.println(" == 세트 상품 포장 완료 == "); } } class Pkg { public int number = 1; public void pack(String name) { // 직원 1 : 3번방 청소 완료 System.out.println(name + "상품 준비 " + number + "/5"); number++; } } 영상에서는 이전과 다르게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서? 하는걸 보았습니다결과는 똑같이 나오는데 기능적으로나 프로그램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Team 클래스에서 member를 List로 저장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다름아니라 Member 클래스에서는 List를 쓰지않고 Team team으로 객체를 저장하셨는데Team 클래스에서는 List를 사용하여 member를 저장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팀이 1이고 멤버가 N이여서 팀에 여러명의 멤버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List를 사용하신걸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한 부모테이블에 속한 자식 테이블들의 칼럼이 전부 NOT NULL일 경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Item 부모 클래스를 Album , Book , Movie 자식 클래스들이 상속받는 상황에서 해당 자식 테이블들 칼럼들이 전부 NOT NULL일 경우 단일 테이블 전략을 쓰고 데이터를 삽입할 경우 다른 자식 객체에 값에 NULL이 들어감으로써 NOT NULL 조건을 위배하여 오류가 발생즉 이럴 경우 JOINED 전략을 통해 칼럼들이 NOT NULL이어도 테이블이 자식 별로 분리돼서 생성됨에 따라 NOT NULL 조건을 위반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습니다.[핵심 질문]하지만 규모가 크지 않은 프로젝트에서 선생님께서는 단일 테이블 전략이 좋다고 하셨는데, 규모가 크지 않은 프로젝트에서라도 일반적으로 칼럼들이 NOT NULL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무조건적으로 조인 전략(JOINED)을 채택해야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붙여넣기 후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순수 JDBC영상 7분30초 쯤 파일참고해서 붙여넣기를 했더니 빨간줄이 어마무시하게 많이 그였습니다.원인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https://drive.google.com/file/d/16hfb328rA7fdLiE6oxILNIjL-gpDYSPL/view?usp=sharing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동적 의존성 주입과 Volatile
[질문]2024.08.07 까지는 정액할인, 2024.08.08 부터는 비율할인 정책이 반영되어야 하는 비즈니스 로직이 있고, 이를 스케줄러를 활용하여 2024.08.08 00:00:00에 Setter를 활용하여 비율할인을 구현한 Bean을 Injection 하여 처리하도록 구현했다고 가정하면, 이런 경우에도 아주 아주 엄밀하게 00:00:00에 모든 할인 정책이 완벽히 적용되어야 한다면, 인스턴스 변수에 volatile을 반드시 명시해줘야 하는 것인가요? 경험이 미천하여 웹프로그래밍 할 때 volatile를 사용한 것을 거의 보지 못하였고, 위의 가정처럼 아주 엄밀한 동작을 요구하는 경우는 없었고 그간 별다른 일도 없긴 하였는데, 개념을 듣고 복기해보니 장애의 요인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여쭙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Controller를 통한 페이지 화면이 안 보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정적 페이지는 잘 랜딩되는데, Controller를 통해 랜딩하는 페이지들은 에러 페이지라고 뜹니다.8080/ 페이지만 잘 나오고, 나머지 controller를 통한건 다 안 나옵니다.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안녕하세요 scope function 에 receiver 가 없는 경우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아래 처럼 receiver 없이 사용이 가능하더라구요? 근데, apply 시그니처는 분명히 확장함수인데, receiver 를 안주는 경우, SomeTest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receiver 로 되는거 같아요. 아무리 찾아봐도, 이런 동작에 대해서는 공식문서상에 안보이는거 같은데, 왜 이런건지 알 수 있을까요? (레퍼런스도 같이 제공해주시면 저도 한번 보고싶습니다 ㅠㅠ) class SomeTest { @Test fun test() { val found = apply { hello() val user = User("kim") println(user) } } fun hello() { println("hello") } } data class User( val userName: String,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형성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ackage poly.ex3.car0; public class CarDrive { private Driver driver; public void setDriver(Driver driver){ //Driver driver = K3car k3 = new k3Car() System.out.println("자동차를 설정합니다 :" + driver); this.driver=driver; } public void drive(){ System.out.println("자동차를 운전합니다"); driver.stop(); driver.move(); driver.engine(); } }public class Car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rDrive car=new CarDrive(); K3Car k3=new K3Car(); car.setDriver(k3); car.drive(); Driver porches =new Porche(); car.setDriver(porches); car.drive();main 함수에서 porches는 Driver 타입으로 업케스팅을해서 넘어가고 K3Car는 업케스팅을하지않은상태로 setDriver 함수에 넘어갑니다 그리고 setDriver 함수의 매개변수인 (Driver driver)에서 첫번쨰인 k3는 업케스팅이 이루어지고 Driver driver=new K3Car();두번쨰인 porches 는 이미 업케스팅이 이루어진 Driver 타입 객체이기때문에 그냥 넘어가는것으로 이해했는데 이게 맞는건지 햇갈려서 질문드립니다 그리고 이렇게 미리 두번쨰처럼 업케스팅을해서 매개변수로 넘겨주는것이 올바른접근법인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다운로드 소스코드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다운로드 소스코드 실행하는데 사진과 같이 오류가 뜨는데 이미 사용되고 있다던데 왜 이런 오류가 뜨는지 잘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랜덤함수 질문드립니다.
이렇게 처리했을때 콘솔화면 처럼 숫자가 0이 나오는데 왜그런지 알 수있을까요?아래는 메인 소스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지향프로그래밍 문제1번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return this.width == this.height <--- 이부분에만 this가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6. synchronized 문제 1 log출력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Counter counter = new Counter(); Runnable task = 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for (int i = 0; i < 10000; i++) { counter.increment(); log(counter.getCount()); // 로그 출력 추가!!!!!!!!!!!!!!! } } }; Thread thread1 = new Thread(task); Thread thread2 = new Thread(task); thread1.start(); thread2.start(); thread1.join(); thread2.join(); log(counter.getCount()); } static class Counter { private int count; public void increme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 문제를 푸는 도중 count의 값을 확인해보고 싶어서 MyLogger.log(counter.getCount());를 호출했더니 문제 없이 20000이 계속 출력됩니다.synchronized를 사용하지 않아서 여전히 동시성 문제는 발생할텐데 어떻게 20000이라는 값이 나오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즉시 로딩 상황에서 select문 호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ember 클래스의 team이 즉시 로딩으로 설정된 상황에서 아래 코드와 같이 실행 했을 때, team 엔티티의 select문이 한번 밖에 호출 되지 않습니다.저는 member 엔티티를 다 순회하면서 select문을 호출 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 경우는 어짜피 각 member들의 team이 모두 같기 때문에 JPA에서 알아서 해당 team만 호출 하는 것인가요? 이부분이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Team team = new Team(); team.setName("Team 1"); em.persist(team); Team team2 = new Team(); team2.setName("Team 2"); em.persist(team2);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user1"); member.setTeam(team); em.persist(member);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Username("user2"); member2.setTeam(team); em.persist(member2); em.flush(); em.clear(); List<Member> members =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Member.class).getResultList(); tx.commit();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서비스 네이밍
서비스는 join, 메모리에서는 save 이런 식으로 표현을 한다면, 서비스 즉 비즈니스 관점은 다른 말로 “유저입장“ 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강의노트 질문있습니다.
들었던 강의를 정리하는 중인데, 혹시 블로그에 강의 노트의 일부를 올려도 되나요?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 작성 중인데 강의 노트 안에 collection, list, queue, set의 의존관계가 정리된 깔끔한 그림을 인용하고 싶어서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목록 404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회원 웹 기능 - 조회 영상을 따라하다 회원 목록을 누르니#이름 이 아닌 화이트라벨404 오류가 떠서 질문드립니다. 영상38초쯤에 작성하신 findmembers를 입력하면 영상에선 좌측에 List<Member> members =가 자동완성이 되던데 저는 안되길래 직접 타이핑하여 문제가 된건지 다른 이유가 있는것인지 알고싶습니다. 아래 링크입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Gx9K-pAn1YogtFvby-9sfCVsmB8WiHUg/view?usp=sharing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Runnable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ttps://javatrainingschool.com/multithreading/thread-lifecycle/위 링크에서는 Runnable과 Running 상태를 분리하는데 혹시 두개의 차이가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섹션2의 정적 컨텐츠 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를 한번 돌리고 복습중입니다 섹션2. 정적 컨텐츠 강의에서 위와 같이 /hello-static.html을 입력하여 요청하면 우선 1번과 같이 hello-static관련 controller에서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 2번과 같이 정적 컨텐츠를 내려준다고 설명하셨습니다.이와 관련하여 궁금증이 uri요청 자체가 hello-static.html로 요청자체에 .html을 요청하였기 때문에 .html을 찾아야 하는게 흐름상 맞지 않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gpt를 통해 알아보니 .html을 처리하는 controller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hello-static.html을 요청할 경우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는 controller의 이름이 어떻게 되나요??dispatcher servlet처럼 논리 이름만을 생각하여 .html을 제외한 hello-static이라는 controller의 이름을 찾을 것 같은데 맞는지 궁금하네요질문 요점: /hello-static.html로 요청했을 경우 1번 경우의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controller를 찾을때 찾는 이름의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
-
해결됨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공유] setName 시 threadName이 1부터 시작하는 이유
해당 강의 10분 경 나온 설명으로, setName 메소드 자체가 스레드 이름에 영향을 주나? 싶은 궁금증이 들어서 확인해 보았고, 저와 비슷한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이 계실 것 같아 공유드립니다. setName은 Thread name 생성 로직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다만, 해당 예제에서는 new Thread()로 이름 없는 스레드를 생성 후(이 때 Thread-0으로 생성), 해당 Thread를 setName을 통해 Thread name을 바꿔주고 있어서, setName을 사용하면 1부터 카운트되는 것 처럼 보였던 것입니다. -> 새로 생성된 스레드의 이름은 Thread-0-> Thread-0이 yourThread로 치환됨 yourThread를 생성하는 부분에서 Thread의 이름을 임의로 넣어주고, 아래에서 스레드를 생성하면 0번부터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