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문제로 남겨주신 uuid에 대한 코드는 없는건가요 ?
UUID에 대해 제가 작성한 로직의 방향이 맞는지 확인해 보고싶은데, 문제관련 코드는 어디에 있나요 ?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hasIpAddress(), getRemoteAddr() 질문입니다.
이전에 이런 질문들((https://www.inflearn.com/questions/423204))이 있던 것을 확인하였으나 저는 해결이 되지 않아 질문을 남깁니다.postman으로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하려고 하면 401 Unauthorized가 나며 많이 보셨을 이런 에러가 나옵니다.java.lang.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public abstract java.lang.String javax.servlet.ServletRequest.getRemoteAddr() is not supported....이와 같은 에러의 질문과 답변을 보고 hasIpAddress()에서 .access("hasIpAddress('" + IP + "')")로 바꿔서 해보았는데도 또는 스프링 부트 버전을 바꾸어 시도해(2.6.2, 2.4.2 등)보았으나 해결이 되지 않아 질문을 드립니다.처음 설정한 spring boot 버전은 2.7.15입니다.build.gradle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5.RELEASE'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1'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ext { set('springCloudVersion', "2021.0.8")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starter-netflix-eureka-client'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runtimeOnly 'com.h2database:h2:1.3.176'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modelmapper:modelmapper:3.1.1'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security'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test'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dependencyManagement { imports { mavenBom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dependencies:${springCloudVersion}" }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WebSecurity은@Configuration @EnableWebSecurity public class WebSecurity extends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 private final Environment environment;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rivate final BCryptPasswordEncoder bCryptPasswordEncoder; private String IP = "192.168.1.2"; @Autowired public WebSecurity(Environment environment, UserService userService, BCryptPasswordEncoder bCryptPasswordEncoder) { this.environment = environment;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this.bCryptPasswordEncoder = bCryptPasswordEncoder; } @Override protected void configure(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http.csrf().disable(); http.authorizeRequests() .antMatchers("/**") // .hasIpAddress(IP) .access("hasIpAddress('" + IP + "')") .and() .addFilter(getAuthenticationFilter()); http.headers().frameOptions().disable(); } private AuthenticationFilter getAuthenticationFilter() throws Exception { AuthenticationFilter authenticationFilter = new AuthenticationFilter(authenticationManager(), userService, environment); return authenticationFilter; } // db password와 input password 비교 @Override protected void configure(AuthenticationManagerBuilder auth) throws Exception { auth.userDetailsService(userService).passwordEncoder(bCryptPasswordEncoder); } }2.7 이후 버전에서는 https://www.inflearn.com/chats/789887와 같이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를 상속하지 않고 configure함수 오버라이드 대신 SecurityFilterChain을 사용해보았으나 이렇게 해도 되지 않았습니다.AuthenticationFilter에 unsuccessfulAuthentication를 오버라이드하여 확인해본 결과org.springframework.security.authentication.BadCredentialsException: 자격 증명에 실패하였습니다. at org.springframework.security.authentication.dao.DaoAuthenticationProvider.additionalAuthenticationChecks(DaoAuthenticationProvider.java:80) at org.springframework.security.authentication.dao.AbstractUserDetailsAuthenticationProvider.authenticate(AbstractUserDetailsAuthenticationProvider.java:147) at org.springframework.security.authentication.ProviderManager.authenticate(ProviderManager.java:182) at org.springframework.security.authentication.ProviderManager.authenticate(ProviderManager.java:201) at com.example.userservice.filter.AuthenticationFilter.attemptAuthentication(AuthenticationFilter.java:46)라고 오류가 나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AuthenticationFilter.java:46 부분은 return ge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 부분 입니다.AuthenticationFilter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Slf4j public class AuthenticationFilter extends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rivate final Environment environment; public AuthenticationFilter(AuthenticationManager authenticationManager, UserService userService, Environment environment) { super.se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ionManager);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this.environment = environment; } @Override public Authentication attemptAuthentica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AuthenticationException { try { RequestLogin creds = new ObjectMapper().readValue(request.getInputStream(), RequestLogin.class); return ge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creds.getEmail(), creds.getPassword(), new ArrayList<>() ) ); } catch (IO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Override protected void successfulAuthentica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chain, Authentication authResult)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 log.debug(((User)authResult.getPrincipal()).getUsername()); String userName = ((User)authResult.getPrincipal()).getUsername(); UserDto userDetails = userService.getUserDetailsByEmail(userName); System.out.println("details :" + userDetails); String token = Jwts.builder() .setSubject(userDetails.getUserId()) .setExpiration( new Date((System.currentTimeMillis() + Long.parseLong(environment.getProperty("token.expiration_time")))) ) .signWith(SignatureAlgorithm.HS512, environment.getProperty("token.secret")) .compact(); System.out.println("token :" + token); response.addHeader("token", token); response.addHeader("userId", userDetails.getUserId()); } @Override protected void unsuccessfulAuthentica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AuthenticationException failed)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 super.unsuccessfulAuthentication(request, response, failed); failed.printStackTrace(); } } 어느 부분을 어떻게 수정하여 진행을 해야 할까요? AuthenticationFilter에서 attemptAuthentication 함수를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받는 것으로 수정하여 디버깅해보니 아래 코드의 authenticationToken 값은 잘 나옵니다. 그런데 위의 질문처럼 ge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은 Abstrac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의 저 부분으로 잡히며AuthenticationFilter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import com.example.userservice.dto.UserDto; import com.example.userservice.service.UserService; import com.example.userservice.vo.RequestLogin; import com.fasterxml.jackson.databind.ObjectMapper; import io.jsonwebtoken.Jwts; import io.jsonwebtoken.SignatureAlgorithm;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core.env.Environment;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authentication.AuthenticationManager;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authentication.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Authent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AuthenticationExcep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userdetails.User;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web.authentication.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 import javax.servlet.FilterChain;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Date; @Slf4j public class AuthenticationFilter extends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rivate final Environment environment; public AuthenticationFilter(AuthenticationManager authenticationManager, UserService userService, Environment environment) { super.se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ionManager);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this.environment = environment; } @Override public Authentication attemptAuthentica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AuthenticationException { try { RequestLogin creds = new ObjectMapper().readValue(request.getInputStream(), RequestLogin.class);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authenticationToken =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creds.getEmail(), creds.getPassword(), new ArrayList<>()); return ge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e(authenticationToken); } catch (IO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Override protected void successfulAuthentica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chain, Authentication authResult)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 log.debug(((User)authResult.getPrincipal()).getUsername()); String userName = ((User)authResult.getPrincipal()).getUsername(); UserDto userDetails = userService.getUserDetailsByEmail(userName); System.out.println("details :" + userDetails); String token = Jwts.builder() .setSubject(userDetails.getUserId()) .setExpiration( new Date((System.currentTimeMillis() + Long.parseLong(environment.getProperty("token.expiration_time")))) ) .signWith(SignatureAlgorithm.HS512, environment.getProperty("token.secret")) .compact(); System.out.println("token :" + token); response.addHeader("token", token); response.addHeader("userId", userDetails.getUserId()); } // @Override // protected void unsuccessfulAuthentica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AuthenticationException failed)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 super.unsuccessfulAuthentication(request, response, failed); // failed.printStackTrace(); // } } 해결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efault_batch_fetch_size: 100 으로 설정을 해줘도 쿼리가 한번에 가져오지 않습니다.
@GetMapping("api/v2/orders/{id}") // batch_fetch_size 검색용 public ResultMany findByBatchFetch(@PathVariable("id") Long id) { Customer customer = customerService.findCustomerById(id);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Order(); return getOrderDtoList(orders); } public List<Order> findAllOrder() { return em.createQuery("select o from Order o", Order.class) .getResultList(); } private ResultMany getOrderDtoList(List<Order> orders) { List<OrderDto> orderDtos = orders.stream() .map(o -> new OrderDto(o))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new ResultMany<>(orders.size(), orderDtos); } @Data static class OrderDto { private Long id; private CustomerDto customer; private List<DiffuserProductRequestDto> diffuserProductRequest; public OrderDto (Order order) { id = order.getId(); customer = new CustomerDto(order.getCustomer()); diffuserProductRequest = order.getDiffuserProductRequests().stream() .map(diff -> new DiffuserProductRequestDto(diff)) .collect(Collectors.toList()); } } @Data static class DiffuserProductRequestDto { private Long id; private DiffuserDto diffuser; private int amount; private Deadline deadline; private ProductionStatus status; public DiffuserProductRequestDto (DiffuserProductRequest diffuserProductRequest) { id = diffuserProductRequest.getId(); diffuser = new DiffuserDto(diffuserProductRequest.getDiffuser()); amount = diffuserProductRequest.getAmount(); deadline = diffuserProductRequest.getDeadline(); status = diffuserProductRequest.getStatus(); } } 위에는 order클래스 연관된 클래스를 찾기위한 코드들인데 제가 27개의 오더를 만들고 get요청을 보내면 default_batch_fetch_size: 100으로 설정 해놓았기 때문에 27개를 한번에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결과는 그렇지 않습니다이렇게 두번의 쿼리로 찾아오는데 어떤게 문제인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상품 수정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질문 내용]섹션7의 상품수정 부분을 수강중입니다!강사님의 코드를 그대로 따라 쳤으나 상품 수정시 에러가 발생하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이 에러페이지가 나오나 홈으로 가서 다시 상품목록을 보면 수정이 반영되어었습니다... package jpabook.jpashop.controller; import jpabook.jpashop.domain.item.Book; import jpabook.jpashop.domain.item.Item; import jpabook.jpashop.service.Item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ModelAttribut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athVariab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 import java.util.List;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ItemController { private final ItemService itemService; @GetMapping("/items/new") public String createForm(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form", new BookForm()); return "items/createItemForm"; } @PostMapping("/items/new") public String create(BookForm form) { Book book = new Book(); book.setName(form.getName()); book.setPrice(form.getPrice()); book.setStockQuantity(form.getStockQuantity()); book.setAuthor(form.getAuthor()); book.setIsbn(form.getIsbn()); itemService.saveItem(book); return "redirect:/"; } @GetMapping("/items") public String list(Model model) { List<Item> items = itemService.findItem(); model.addAttribute("items", items); return "items/itemList"; } @GetMapping("items/{itemId}/edit") public String updateItemForm(@PathVariable("itemId") Long itemId, Model model) { Book item = (Book) itemService.findOne(itemId); BookForm form = new BookForm(); form.setId(item.getId()); form.setName(item.getName()); form.setPrice(item.getPrice()); form.setStockQuantity(item.getStockQuantity()); form.setAuthor(item.getAuthor()); form.setIsbn(item.getIsbn()); model.addAttribute("form", form); return "items/updateItemForm"; } @PostMapping("items/{itemId}/edit") public String updateItem(@PathVariable String itemId, @ModelAttribute("form") BookForm form) { Book book = new Book(); book.setId(form.getId()); book.setName(form.getName()); book.setPrice(form.getPrice()); book.setStockQuantity(form.getStockQuantity()); book.setAuthor(form.getAuthor()); book.setIsbn(form.getIsbn()); itemService.saveItem(book); return "redirect:items"; } }package jpabook.jpashop.controller;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Getter @Setter public class BookForm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price; private int stockQuantity; private String author; private String isbn;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findById 쿼리 질문
@Test public void findMemberLazy(){ //given //member1 -> teamA //member2 -> teamB Team teamA = new Team("teamA"); Team teamB = new Team("teamB"); teamRepository.save(teamA); teamRepository.save(teamB);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1", 10, teamA));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2", 20, teamB)); //when Optional<Member> byId = memberRepository.findById(1L); }위와 같은 코드가 있을때 memberRepository.findById(1L); 를 하면 저는 em.find를 통해서 영속성컨테스트를 조회하기 때문에 select쿼리가 안나간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하지만 출력결과 select m1_0.member_id, m1_0.age, m1_0.team_id, 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select 쿼리가 나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1014206/%EA%B0%99%EC%9D%80-pk%EB%A1%9C-%EC%A1%B0%ED%9A%8C%EC%8B%9C-%EC%BF%BC%EB%A6%AC%EA%B0%80-2%EB%B2%88-%EB%82%98%EA%B0%80%EB%8A%94-%EC%9D%B4%EC%9C%A0제 예전 질문에서는 JpaRepository에서의 Method Naming Query의 경우 JPQL로 조회를 하기 때문에 실행전 em.flush()가 일어나서 Direct로 DB에 쿼리가 날아가고 findById는 JpaRepository Interface의 target인 SimpleJpaRepository에 있기 때문에 em.find를 한다고 보았는데 왜 select 쿼리가 나갔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Querydsl 배포시 질문입니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0.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0'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 //querydsl 추가 시작 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querydsl" querydsl {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 } sourceSets { main.java.srcDir querydslDir } compileQuerydsl{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querydsl 추가 끝 강의 들을 때는 아래와 같이 Gradle에 q파일 위치를 설정을 해 주었는데요이대로 배포를 진행하게 되면 실제 배포 단계에서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아래 링크를 찾아서 확인해 보았는데 이 경우는 배포가 문제 없이 잘 되었습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787440/querydsl-gradle-%EC%B6%94%EA%B0%80%ED%9B%84-%EB%8D%94%EB%B8%94%ED%81%B4%EB%A6%AD%ED%95%98%EC%97%AC-%EC%8B%A4%ED%96%89%ED%95%A0%EB%95%8C-%EC%98%A4%EB%A5%98.아래는 배포 문제없이 진행된 gradle 입니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0.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0'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5.6'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확인을 해 보면 QueryDsl 플러그인이 지워져 있고, q파일이 빌드 되는 위치를 따로 지정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할 경우 배포는 가능하지만 CompileQuerydsl 을 찾을 수가 없어서 Q파일 생성이 불가능 합니다.개발 시의 Gradle과 배포시 Gradle을 다르게 가져가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SIV OFF시 Sercice클래스 최적화
orderService.class를 예를들면 Order Entity를 저장하거나 find하거나 등 entity위주의 코드만 뒀습니다.허나 Order Entity뿐만 아니라 OrderForm, OrderDto를 변환해주는 코드가 필요하다면 각 형태를 변화해주는 Service를 따로 만들어야하는지 아님 하나의 Service클래스안에 다 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예로들어 OrderEntity => OrderForm 로바꿔주는서비스, OrderEntity => OrderDto로 바꿔주는 서비스,OrderEntity를 repository에 넘겨주는(DB에 저장하는) 서비스 이런식으로 각각 나눠서 여러개의 클래스로 만들어주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owMapper<Item> 질문있습니다.
수업에 나오는 RowMapper<Item>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RowMapper의 코드를 확인해보니@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RowMapper<T> { /** * Implementations must implement this method to map each row of data * in the ResultSet. This method should not call {@code next()} on * the ResultSet; it is only supposed to map values of the current row. * @param rs the ResultSet to map (pre-initialized for the current row) * @param rowNum the number of the current row * @return the result object for the current row (may be {@code null}) * @throws SQLException if an SQLException is encountered getting * column values (that is, there's no need to catch SQLException) */ @Nullable T mapRow(ResultSet rs, int rowNum) throws SQLException; }강의에서 구현한 (rs, rowNum) => T 의 메서드가 보이는데요 해당 메서드는 throws SQLException, 즉 체크 예외를 던지고있습니다. 검색해본결과 람다는 컴파일타임이 아니라 런타임에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하는측에서 컴파일시점에 예외체크를 하지않아도 컴파일이 통가된다라고 보았습니다. (throws SQLException 라고 적혀있는데 컴파일타임에 체크되어야하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은 하면서) 질문그렇다면 제가 jdbc의 RowMapper를 실무에서 사용한다면 매번 체크 예외를 위한 예외처리를 매번 다 해줘야한다는 의미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일 매핑 질문
안녕하세요 일대일 매핑 강의를 듣던 중에 '외래키에 null 허용'이라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돼서 질문드립니다. 어느 연관관계든, 예를 들어 유저한명이 게시글을 여러개쓴다고 하면 다대일 관계로 매핑할 수 있는데 그러면 유저가 게시글을 하나도 작성하지 않아도 null이 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대상 테이블에 외래키를 뒀을 때 '외래키에 null 허용'이 해결된다는 점도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어떤 부분을 이해 못하고 있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려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IDENTITY 전략에서 1차 캐시에 entity가 저장되는 시점은 언제인가요?
4.6.2 IDENTITY 키 생성 전략에서 1차 캐시에 저장할 때는 기본키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em.persist()를 호출하는 시점에 바로 DB에 INSERT SQL 이 실행된다고 적혀있습니다.그리고 Statement.getGeneratedKeys()를 사용해서 데이터 저장과 동시에 기본 키값을 얻어올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1차 캐시에는 DB에 INSERT SQL이 실행된 직후 entity가 저장되는건가요?아니면, em.find()를 하는 시점에 1차 캐시에 entity가 저장되는 걸까요?아래 사진에서 왼쪽일까요, 오른쪽일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t.members 값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String query = "select t.members From Team t";Collection result = em.createQuery(query, Collection.class).getResultList();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 결과값result = [hellojpa.Domain.Member@5b7aa898, hellojpa.Domain.Member@4e642ee1]위와 같은 코드로 출력했는데 영상과 같이 리스트의 값이 나오지 않고 get 메소드도 사용도지 않아서 원하는 값들이 제대로 출력되는지 확인이 되지 않는데 왜그런건가요?혹시 엔티티 설계할때 잘못했나 싶어서 아래에 엔티티 코드 남김니다.@Entitypublic class Member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MEMBER_ID")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int age;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private Team team;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Entitypublic class Team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TEAM_ID")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team")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궁금한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궁금한것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public void returnBook(String bookName) { UserLoanHistory targetHistory = this.userLoanHistories.stream() .filter(history -> history.getBookName().equals(bookName)) .findFirst() .orElseThrow(IllegalAccessError::new); //findFist()는 옵셔널로 반홚나다 targetHistory.doReturn(); }이 로직에서 만약 한 책을 빌렸다가 반납하면 그 히스토리를 반납완료 상태로 만들어주고 끝내고다시 그 책을 빌리려고 한다면 새로운 히스토리를 만들어서 List에 저장할텐데 그럼 다시 그책을 반납할 경우 findFirst()를 해서 그 히스토리를 찾아왔을때 이미 반납된 책을 다시 반납하는 행위가 되는것이 아닌건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현재 fetchResults(), fetchCount() deprecated
그렇다면 코드를 어떻게 짜야하나요 ? 내용과 카운트 쿼리 따로 해야하는 것은 이해했는데 따로 하려면 이제 어떻게 짜야하나요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ervice logic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현재 ItemService에서 update 로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혹시 Item Entity 에서 update 로직을 수행해도 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행시 오류가 생겨서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가 안되는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렇게 오류가 나는데 혹시 왜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Entity를 직접 반환할 때 Model에 담아서 보낸다면?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Entity 반환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영한님께서 보안적인 문제, API 유지보수 문제 등 때문에 DTO로 변환하여 반환 하여한다고 하셨는데, 만약 RestApi가 아니라 view로 직접 전달할 때 받아온 Entity를 DTO로 변환 하지 않고 그대로 model에 담아서 보낸다면 어떠한 문제들이 있을까요? 질문 드리기 전에 제가 먼저 생각 해봤을 때 장점은굳이 새로운 dto 객체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고단점으론 불필요한 데이터도 반환 되는 문제와 api의 확장 가능성이 힘들다 정도 있다고 생각되는 더 많은 단점이 있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ControllerTestSupport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현재 회사에서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ControllerTestSupport를 생성하여 controllerTest시 스프링부트를 띄우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였는데 테스트 속도가 줄어들거나 하지 않고 거의 똑같더라구요,, 그래도 스프링부트를 띄우는걸 최소화 하는게 나을까요? ControllerTestSupport 사용해야하는 더 나은 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테스트 하는 방법
참고 https://www.inflearn.com/questions/54688/%EC%84%B1%EB%8A%A5-%ED%85%8C%EC%8A%A4%ED%8A%B8-%EC%A7%88%EB%AC%B8페이징 성능 개선해보고 싶은데전체 데이터를 1000만개씩 넣어놓고 execution 속도 비교는 어떻게 하는지 질문드립니다메소드 테스트는 spring boot @profile( "test") 에서 진행하고 , jmeter 같은 툴로 외부 환경에서 테이블 만들고, 데이터 넣은후 , 메소드 실행 속도를 측정하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객체 그래프 탐색과 N+1 문제 질문
Repository 를 통해서 join 으로 데이터를 가져와서 처리하는것 Entity 에 비즈니스 모델을 넣어서 객체 그래프 탐색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는것. 예를들어 user(1) 과 article(n) 관계가 있다고하면,유저가 작성한 글의 개수를 구해야되는 문제가 있을때,ArticleRepository.getCountByUserId(Long user_id)user.articles.length 위 두가지 방법이 어느 차이가 있고 어느 방법이 더 선호되나요? 1번 방법은 DB 를 통해 가져와서 DB가 연산을 수행할거고,2번 방법은 엔티티에서 객체그래프탐색을 통해 FK데이터에 접근해서 메모리에서 길이를 연산한다는 차이가 있다는것까진 이해했습니다. 강의에서는 주문취소를 할때, order 에 orderItem 들을 취소처리하던데,그럼 N+1 문제가 발생하지 않나요?1개의 Order 에 OrderItem 이 N개면 추가적으로 쿼리를 계속 호출하는걸로 이해했습니다. 1번방법은 N+1 문제를 피할수있지만 모델에 비즈니스로직을 작성하지 못하고,2번방법은 모델에 비즈니스로직을 작성할수있지만 N+1 문제가 발생하는걸로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Entity에서 Wrapper class인 Long을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찾지 못했습니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entity의 id타입이랑 MemberJpaRepository클래스에서 public Member find(Long id){} 시그니처에도 Long wrapper class를 사용하셨는데! 그 이유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