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캠프] 시작은 프리캠프
2024년 html
2024년에 html이 새로 바뀌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이 강의를 들어도 되나요?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linux용 하위 window 기능 설정
wsl 패키지를 실행시키면 이런 오류가 뜹니다..이렇게 linux용 windows 하위시스템 부분이 체크되어 있는데도요ㅠ하위시스템 설치 완료되어 있다는데 왜 안되는 걸까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멤버서비스 클래스 만드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현재 위와 같은 상황입니다. 왜 굳이 MemberService 인터페이스 및 클래스를 작성해야 하나요? 예를들어, MemberServiceTest 클래스에서다음과 같이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Impl(); 대신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new MemoryMemberRepository(); 과 같이 하여도 되지 않나요? 굳이 MemberService 를 만드신 이유가 있을 것 같아 질문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Transactional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 중 트랜잭션 관련 부분을 보다 @Transactional과 직접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예제를 떠올려 생각중인데 제가 생각한것이 맞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Transactional이 적용된 A클래스의 메서드에서@Transactional이 적용되지 않은 B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하고B클래스 메서드의 내부는 직접 트랜잭션 매니져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롤백하는 로직이 포함되어 있는 상황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트랜잭션 처리 순서는A클래스에서 트랜잭션이 시작되고 B클래스는 @Transactional이 없어서 트랜잭션AOP 프록시가 생성되지 않는것과는 상관없이 트랜잭션 매니져로 직접 생성한 트랜잭션으로 인해 A클래스의 트랜잭션에 합류하게 되어 B클래스의 롤백으로 인해 결과는 모두 롤백되는게 맞는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에 대해서 궁금한 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서는 물리적으로, 논리적으로도 연관관계를 맺지만, 이렇게 물리적으로 연관관계를 맺을 시에 잘못하다 실수로 삭제를 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나, 속도적인 측면에서도 물리적으로 연관관계를 맺는 것은 좋지 않다(?) 라고 들은 적이 있습니다. 물론 연관관계를 직접 이렇게 맺는 것은 편하긴 하지만 실수로 발생하는 문제이나, 불 필요한 쿼리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서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맺지 않고 PK 값만 안 상태로 수동으로 다른 테이블 값을 찾는데, 그렇게 되면 굳이 불 필요한 쿼리문제도 해결이 가능하고, 실수로 삭제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서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혹시 실무에서는 강의처럼 물리적, 논리적으로도 다 연관관계를 항상 맺는 건가요?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함수와 재귀함수(1)이 가지는 반환값
#include <stdio.h>int start;int loop(int n);long recursive_factorial(int);int main(){ int b = recursive_factorial(5); printf("your final destination is % d", b); return 0;}long recursive_factorial(int n){ if (n != 0) { // recursion 함수 : it is called "재귀호출" and tail recurision in englishprintf("%d\n", n); return n * recursive_factorial(n - 1); } printf("hki"); // 이 줄 없을때는 그냥 120 출력된다. 그러나 이 줄 추가했더니 뭔가 다르다. //출력스트링의 길이가 반환값인가? hi 일때 최종값 240, hki일때 최종값 360이네(120씩 증가한다.), 근데 한글은 길이 한 번 늘때마다 240씩 증가하네? } 코드입니다.팩토리얼 예제를 얼떨결에 직접 풀었지만, 궁금증이 가시지 않아 질문 올립니다.첫 번째, recursive_factorial(2)는 2 * 동일한 함수의 (1)을 반환값으로 갖습니다. 이때 함수(1)의 반환값은 어찌 되나요?두 번째, 주석으로 남겨둔 내용의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Link와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
안녕하세요 제로초님.이제 막 Next 강의 시작해서 기초부터 보고 있는데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next/link에 관한 부분인데요.공식문서보니까 next/link 사용시에 클라이언트 사이드 라우팅이 된다고 하는데그 말인 즉슨 link에 해당하는 페이지 컴포넌트의 자바스크립트를 미리 받아놓고 사용자가 Link로 이동할 때 클라이언트에서 페이지를 생성한다는 뜻으로 이해했는데요. 그럼 이동하는 페이지 컴포넌트에 console.log("하이")가 있으면 클라이언트, 즉 브라우저에 console.log가 출력되어야하는 거 아닌가요? 하지만 제 예상과 다르게 Link로 이동한 페이지 컴포넌트의 console.log는 서버에 출력되네요. 1. "use client"를 명시하지 않은 컴포넌트는 모두 서버에서 렌더링 되는 컴포넌트다2. Link로 이동하면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을 한다. 이 두 가지 개념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위에 설명드린 케이스와 함께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ㅜ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프로메테우스 - {{ x86-64, arm64 }}
실습환경
기존에 쿠버환경에서 실습을 진행하려고하는데요.어떤 것들을 설치해야할지요?nfs-client, metrics-server, metallb, promethous 이정도 설치하면 되는지요?기존 쿠버강의를 듣지 않아서 실습환경이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hyxx95@naver.com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프로토타입 빈 프록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웹 스코프에서 프록시 모드를 사용했는데, 이것을 프로토타입 빈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 궁금해서 코드를 조금 수정해보았습니다.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prototype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SingletonBean.class); SingletonBean singletonBean = ac.getBean(SingletonBean.class); singletonBean.prototypeBean.addCount(); assertThat(singletonBean.prototypeBean.getCount()).isEqualTo(1); SingletonBean singletonBean1 = ac.getBean(SingletonBean.class); singletonBean1.prototypeBean.addCount(); assertThat(singletonBean1.prototypeBean.getCount()).isEqualTo(1); } @RequiredArgsConstructor static class SingletonBean { private final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Scope(value = "prototype", proxyMode = ScopedProxyMode.TARGET_CLASS)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수명이 다할 때까지 동일한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request 스코프 빈과 달리 prototype 빈은 메서드를 호출할 때마다 인스턴스 주소값이 달라지는 것 같아요. 가짜 프록시 객체도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을 가져오기 때문인가요?request 빈은 수명이 다할 때까지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리되지만, prototype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초기화 단계까지만 관여하므로, 가짜 프록시 객체가 해당 객체의 메서드가 호출될 때마다 새로운 인스턴스를 가져오는건가요?? 그럼 가짜 프록시 객체는 항상 스프링 컨테이너를 경유하는 건가요?
-
해결됨[최신] Vue 강의 끝판왕 : Nuxt 3 완벽 마스터
auto import
안녕하세요, auto import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 같아 문의드립니다.파일을 모두 닫고 npm run dev를 다시 실행해보기도 하고 vscode를 껐다키기도 했지만 import가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다른 확인해봐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 확장 플러그인을 동일하게 다운 받고 싶어서 vscode를 사용하고 있는데, 저는 원래 인텔리제이가 편해서요 ...웹스톰으로 해당 강의를 그냥 따라가도 괜찮을까요 ?
-
미해결멀티OS 사용을 위한 가상화 환경 구축 가이드 (Docker + Kubernetes)
ssh 접속
k8s-masterk8s-node01k8s-node02위 3개의 vm에 ssh접속할 때 내부 ip 로 접속하면 되는데,각 vm의 ip를 입력해서 접속하면 되지 않습니다.이 2가지 방식은 같은 거 아닌가요?ex)127.0.0.1 - 21022 (O)127.0.0.1 - 23022 (O)127.0.0.1 - 24022 (O)192.168.32.10 - 22 (X)192.168.32.11 - 22 (X)192.168.32.12 - 22 (X)
-
미해결SCSS(SASS)+FLEX 실전 반응형 웹 프로젝트 with Figma
장바구니페이지 관련 질문입니다.
수강신청 장바구니 화면에서 항목중 1개라도 선택이 해제되면 전체선택체크박스의 체크도 풀려야 하는거 아닌가요? 어떤 스크립트를 추가해야 적용이 되나요?
-
해결됨[취업폭격기] 공공기관 전산직(IT) 취업 준비를 위한 정규과정 (기초~고급)
권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방금 인강 결제하고 구글폼에 작성완료 하였습니다. 확인하시고 권한 부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강의 정말 재밌게 잘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7: MMO 컨텐츠 구현 (Unity + C# 서버 연동 기초)
15:09 GenPackets.bat
15:09초까지 똑같이 따라하고그래서 최신 버전도 protobuf를 받아서 해봤지만아무리 다시 해보고 찾아 보려해도 아무것도 뜨지 않는데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ㅠㅠㅠㅠ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 연장 부탁드립니다
완강했는데 한번 더 복습하고 싶습니다! 연장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Verilog FPGA Program 2 (MicroBlaze, Arty A7-35T)
수업 자료 링크 오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Verilog FPGA Program 2 (MicroBlaze, Arty A7-35T) 의 수업다료 링크로 접속하면 사이트가 없다고 뜨네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최신 논문과 유튜브 동영상으로 만드는 2D Pose estimation 실전 프로젝트 따라하기
키포인트 추가관련
안녕하세요, dcpose에 발 키포인트를 추가하여 학습시키고 싶은데, 1. posetrack 데이터셋 없이 가능한지요? 그래도 posetrack 데이터셋이 필요해서 찾는데 공식 네트워크에서는 찾을 수가 없습니다. 확보할 수있는 방법이있을까요? 제 이메일은 valtop@gmail.com 입니다. 감사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은 일주일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3-way handshaking 시 Segment, MSS 질문
안녕하세요 널널한 개발자님. 우선 질 좋은 강의 제공에 감사인사부터 드립니다. 제목에 작성된 것처럼 2가지 질문이 있어 남깁니다! 질문에 해당하는 강의 제목은 [TCP 연결과정] 입니다. 3-way handshaking 동작을 설명해주시면서 클라이언트, 서버 간에 전달하는 데이터 단위가 Segment이고, 이 Segment 정보에 (데이터가 담긴) 페이로드는 없고 IP, TCP 헤더 정보만 있다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는 것은 3-way handshaking 동작은 뭔가 클라이언트가 서버쪽으로 데이터를 전달해서 서버에서 로직을 처리하고 응답을 받는 것이 목적이 아닌 단순히 클라이언트가 서버와의 연결이 정상인가를 확인하는 용도이기 때문인 건가요? 그러면 페이로드는 그럼 언제 전달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TCP 연결 시 랜덤하게 생성한 시퀀스 넘버를 교환하는 것 말고 기타 정책 중 MSS 라는 정보를 전달주신다고 하셨는데요. 그러면서 서버의 MSS가 클라이언트의 MSS 보다 작을 경우, 클라이언트 쪽에서 서버의 MSS에 맞게 축소시켜 전달한다고 하셨는데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MSS가 1.5KB 이고, 서버의 MSS가 1.4KB 라고 가정해봅니다. 클라이언트 쪽에서 서버의 MSS에 맞게 축소하려고 하는데,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려는 Segment의 용량이 맥시멈 사이즈인 1.5KB라고 한다면 어쩔 수 없이 용량을 1.4KB로 축소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는 건가요?(질문하다 보니 2번 질문은 3-way handshaking 과정에서 payload 부분이 전달 된다는 가정하에 질문일 수 있겠네요)질문이 다소 이해가 가지 않으시면 말씀 주세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Servcie, @Repository annotation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강의에서 @SpringBootApplication(scanBasePackages = "hello.itemservice.web") 로 controller 부분 package 만 componentscan하고 나머지 설정부분은 @Import 를 통해서 @configuration 파일을 componentscan하는걸로 이해하고있는데 service, repository의 package에 bean을 config 파일에서 직접 등록하고 의존주입하고있는 상태에서 @Service , @Repository annotation 생략해도 되는데 사용한 이유가 서비스계층, repository계층을 명시 해주기 위해서 사용한 것 인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