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인텔리제이 콘솔창 한글입력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인텔리제이 콘솔창에서 한글입력이 안돼서 그런데 혹시 해결방법 아시는분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비즈니스로직 처리 위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지금까지 컨트롤러단에서 로직을 다 작성하셨는데요원래 비즈니스로직 같은 경우는 서비스 단에서 처리를 해야 되지 않나 생각이 들어 질문합니다.간단한 예시여서 컨트롤러 단에서 로직을 처리하고 dto를 이너클래스로 만드신 건가요?비즈니스로직 처리 위치를 컨트롤러에서 해야될지 서비스단에서 해야될지 기준이 잘안서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kafka Producer 실행 중 에러 시 redis count 정합성 이슈
안녕하세요! 섹션3 Producer 관련 강의를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redis를 활용해 count 증가 후 선착순에 들어 kafka 로 이벤트를 발행하는 도중 네트워크 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count 값만 늘어나고 쿠폰 생성이 안될 것 같습니다. 이 경우, 실무에서는 어떤 식으로 처리하시나요??(redis쿼리 -> kafka 이벤트 발행)의 원자성을 보장해줘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kafka의 이벤트 발행 부분을 try...catch로 감싸서 redis의 count를 감소시키는 로직을 작성하는게 가장 간단해보입니다.그런데, 해당 롤백 로직에서 에러가 발생할수도 있기 때문에 카운트 증가 -> 이벤트 발행의 원자성을 보장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추가) kafka 이벤트 발행 실패 시 userId, eventId, count 값을 로그로 남겨 추후 kafka 이벤트를 재발행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습니다.이때, 재실행은 로그에서 데이터를 추출 개발자가 수동 혹은 배치 등의 프로그램을 작성해 정합성을 맞추는걸까요?? 실무에서 어떤 식으로 실패한 요청을 다시 성공시키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에서 Service대신 Repository로 테스트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6강 스프링 DB 접근 기술.pdf 내용을 보면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에서는 MemberService로 join하고 Id를 찾는 내용은 Repository 를 통해 수행하는데요. service에 대한 테스트 코드기때문에 이전에 작성한 MemberServiceTest에서처럼 Service로 일관되게 사용하는게 맞지않나요?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java//When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Then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saveId).get(); assertEquals(member.getName(), findMember.getName()); MemberServiceTest.java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Service.findOne(saveId).get(); 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모든 스레드가 wait 상태
강의 4분대 그림에서 c0가 queue 가 비어서 wait 상태로 들어가면 notify를 호출하지 않기때문에 모든 스레드가 wait 상태에 들어가지 않나요? while문을 벗어나야 notify를 호출할 수 있잖아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회원 이름 필수 입력' 기능
안녕하세요. 웹계층 회원등록 부분 강의 따라서 코딩하고, HTML 파일도 복붙했는데홈페이지에 이름을 입력 안 해도 '회원 이름을 필수입니다' 메세지가 뜨는 반응이 없이 redirect됩니다. h2에는 이름이 비어 있는 상태로 데이터가 들어와 있습니다. @NotEmpty가 왜 작동하지 않는지 질문드립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jvu4wiWz3GwoZ3YazNDJWsFTOxgSqt-M/view?usp=sharing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혹시 다음강의는 언제쯤..
이펙티브시리즈2탄까지나왔었죠?한1년기다린거같은데 아직 안나와서 한번 질문을 여기서..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생산자 소비자 문제2] Lock(ReentrantLcok) 강의 화면의 이미지와 강의 자료가 다르게 나와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ReentrantLock 의 대기 큐까지 포함된 이미지로 설명을 하시는데, 강의 자료에서는, 대기 큐가 빠진 상태로 나와 있습니다. [강의 화면] [강의 자료]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날짜와 시간, 파싱과 포맷팅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날짜와 시간, 포메팅 및 문자열을 날짜로 파싱하는것 에 대해서 궁금중이 생겨서 질문을 남깁니다.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317439 여기 노뚜님의 글을 보면 문자를 날짜로 바꾸는 데에서 'T'라는게 나와서 의문이 생기셧고. David님이 포메팅으로 해야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그리고 David님의 댓글 에서 toString()이 어떻게 되어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링크를 보여줘서 해주는것을 보았습니다.이것(링크를)을 보고 새로운 클래스 를 만들고 LocalDateTime이라는 클래스를 상속 받아서 오버라이딩 해서 "T"를 없애고 "T" 대신에 " " 공백문자를 넣으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이 사진에 나와있는 방식을@Overridepublic String toString() {return date.toString() + ' ' + time.toString();}이렇게요.이런게 가능할까요? 그리고 이런 방식 으로 해보신적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추가저가 노뚜님의 글을 이해 하기에 이렇 다는 거지. 노뚜님의 의견이 저랑 다를수 있고, david님의 글을 저가 해석한게 틀릴 수도 있습니다.(저가 이해력이 부족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좀 양해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추가2시간이 있어서 한번 해볼까 하고 상속 받을려고 하니. LocalDateTime이 final이라서 상속을 못 받네요. 그냥 저가 LocalDateTime의 클래스 성격을 몰라서 생겨난 문제라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해결로 바꿔놓을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자바 고급19. 생산자 소비자 문제2 (8~9page)BoundedQueueV5 영상내용과 문서 불일치 합니다.put, take 메소드 내부 문장이try ~ finally (영상기준)try ~ catch ~finally(문서기준)영상이 맞는 거 같네요.검토 바랍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Transactional을 사용한 테스트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ㅎㅎ@Transactional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Test @Transactional public void 상품주문()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Book book = createBook("시골 JPA", 10000, 10); int orderCount = 2; //when Long orderId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book.getId(), orderCount); //then Order get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assertEquals("상품 주문시 상태는 ORDER", OrderStatus.ORDER, getOrder.getStatus()); assertEquals("주문한 상품 종류 수가 정확해야 한다.", 1, getOrder.getOrderItems().size()); assertEquals("주문 가격은 가격 * 수량이다.", 10000 * orderCount, getOrder.getTotalPrice()); assertEquals("주문 수량만큼 재고가 줄어야 한다.", 8, book.getStockQuantity()); }해당 코드는 강의에서 작성한 테스트 코드 입니다.지만 저는 지금까지 @Transactional을 테스트 코드에 작성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Transactional을 깜빡하고 작성하지 않는 문제를 테스트 코드에서 잡아 낼 수 있고, 테스트 트랜잭션의 롤백 정책으로 인해 실제 로직과 다르게 작동하기 때문입니다.아래는 제가 @Transactional을 제거하고 코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Test public void 상품주문()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Book book = createBook("시골 JPA", 10000, 10); int orderCount = 2; //when Long orderId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book.getId(), orderCount); //then Order get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assertEquals("상품 주문시 상태는 ORDER", OrderStatus.ORDER, getOrder.getStatus()); assertEquals("주문한 상품 종류 수가 정확해야 한다.", 1, getOrder.getOrderItems().size()); assertEquals("주문 가격은 가격 * 수량이다.", 10000 * orderCount, getOrder.getTotalPrice()); //Transactional이 없기 때문에 객체를 다시 불러와서 조회 Item findBook = itemRepository.findOne(book.getId()); assertEquals("주문 수량만큼 재고가 줄어야 한다.", 8, findBook.getStockQuantity()); } private Book createBook(String name, int price, int stockQuantity) { Book book = new Book(); book.setName(name); book.setPrice(price); book.setStockQuantity(stockQuantity); itemService.saveItem(book); // service에서 저장 return book; } private Member createMember()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회원1"); member.setAddress(new Address("서울", "강가", "123-123")); memberService.join(member); // service에서 저장 return member; } @Repository public class Order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OrderRepository(EntityManager em) { this.em = em; } // fetch join으로 LazyLoding 문제 해결 public Order findOne(Long id)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join fetch o.orderItems where o.id = :id", Order.class ) .setParameter("id", id) .getSingleResult(); }위와 같이 코드를 수정해서 @Transactional이 없어도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코드는 모든 객체를 테스트 작성자가 신경써야 하고 JPA가 관리하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또한 rollback 기능을 사용하지 못해 테스트 작성자가 일일이 DB에 저장된 값을 지워줘야 합니다.영한님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어떤 선택이 좋다고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Java] 문과생도 이해하는 DFS 알고리즘! - 입문편
graph 만들때 boolean[][] 으로 만드는 경우랑 int[][] 나 ArrayList<Integer>[] 로 만드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강의 영상마다 질문이 있으면 언제든 그리고 바로 질문 남겨주세요! 질문할 때 가장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해당 영상과 관련된 질문들을 해주실 때 제가 가장 정확히 답변 드릴 수 있습니다!취업 전반의 상담이나, "제 코드가 왜 틀렸는지 알려주세요"와 같이 광범위한 질문은, 질문자의 상황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는 멘토링 항목으로 별도 제공하고 있으니, 다음 링크를 참고해주세요!이 링크를 통해서는 본인의 코드가 왜 틀렸는지 모를 때 질문을 주셔도 좋고, 취업 전반(면접 준비, 자소서, CS 면접 등)에 관련한 질문을 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이 질문은 해도 되나?"라는 생각이 드신다면 우선 남겨주세요! 제가 답변 드리기 어려운 건 멘토링에 올려 달라고 재요청 드리겠습니다 🙂 graph 만들때 boolean[][] 으로 만드는 경우랑 int[][] 나 ArrayList<Integer>[] 로 만드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도저히 모르겠서용;;;;;
8월 11, 2024 1:23:56 오전 org.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logPersistenceUnitInformation INFO: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 name: hello ...] 8월 11, 2024 1:23:56 오전 org.hibernate.Version logVersion INFO: HHH000412: Hibernate Core {5.3.10.Final} 8월 11, 2024 1:23:56 오전 org.hibernate.cfg.Environment <clinit> INFO: HHH000206: hibernate.properties not found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xml/bind/JAXBException at org.hibernate.boot.spi.XmlMappingBinderAccess.<init>(XmlMappingBinderAccess.java:43) at org.hibernate.boot.MetadataSources.<init>(MetadataSources.java:86)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init>(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212)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init>(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74) at org.hibernate.jpa.boot.spi.Bootstrap.getEntityManagerFactoryBuilder(Bootstrap.java:76)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getEntityManagerFactoryBuilder(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171)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getEntityManagerFactoryBuilderOrNull(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119)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getEntityManagerFactoryBuilderOrNull(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61)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createEntityManagerFactory(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50) a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79) at javax.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54) at hellojpa.JpaMain.main(JpaMain.java:12) 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javax.xml.bind.JAXBException at java.base/jdk.internal.loader.BuiltinClassLoader.loadClass(BuiltinClassLoader.java:641) at java.base/jdk.internal.loader.ClassLoaders$App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s.java:188) at java.base/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526) ... 12 more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JpaMain.java를 실행시키면 저렇게 나옵니다.잘 되는건줄 알았는데, 에러가 떠서 서버에 HelloA이게 저장이 안됩니다. 그리고 ======================== **javax jakarta 패키지 이름 변경 예)** **JPA 라이브러리** `import javax.persistence.*` **JPA 애노테이션** `javax.persistence.Entity` **persistence.xml 설정** `javax.persistence.jdbc.driver` `jakarta.persistence.jdbc.driver` `javax.persistence.jdbc.user` `jakarta.persistence.jdbc.user` `javax.persistence.jdbc.password` `jakarta.persistence.jdbc.password` `javax.persistence.jdbc.url` `jakarta.persistence.jdbc.url` **H2 데이터베이스 관련해서 이슈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음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docs.google.com/document/d/1j0jcJ9EoXMGzwAA2H0b9TOvRtpwlxI5Dtn3sRtuXQas/ edit#heading=h.3ryn0qha48vi 이거는 수정을 해주라는건가요??? 어디에 어느부분을 수정 해줘야 할까요?? 구글링해서 스스로 해결해보고 싶었는데 도저히 안되서 질문 두가지 남깁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변경감지(dirty checking) 관련 기본적인 질문
안녕하세요.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변경 감지 (dirty checking) 부분 수강 중 질문이 있습니다. 변경감지란,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조회(em.find)한 값을 변경하면, 1차 캐시도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위의 코드와 같이 em.find로 조회하는 경우 1차 캐시에도 Id=memberA 인 엔티티가 저장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1차 캐시에 저장되는 엔티티의 주소가 x001이라고 했을 때, em.find로 가져온 객체 memberA도 같은 객체 (x001)를 가져오기 때문에, memberA의 값을 업데이트하면 1차 캐시 값도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프로젝트 초기 설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서 Gradle JVM에서 Project SDK(openjdk-21)로 할까요? 아니면 다른 선택지인 21 (Oracle OPenJDK 21.0.2)로 해야 하나요?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조건문 부분 강의에서 낚시라고 한 부분이 궁금해요
자세한 설명이 궁금합니다.a = 10, b=5, c=8if(a!=b!=c)에서 a!=b를 먼저 계산한 값이 false(0)그럼 후에 비교하는값이 0 != 8이 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의 순서 질문
기본편 들은 상태인 지금 활용 1만듣고, data jpa 강의 들어도 되나요?jpa를 당장 써야돼서 data jpa 들은 후에 활용2를 들으려고 하는데요, 괜찮을련지 궁금하네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공부전에 미리 공부해야할 것이 있을까요?
자바 공부를 마치고 스프링공부를 하려고 강의를 듣는도중 뭔가 한두단계를 건너뛰고 스프링 공부를 시작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지금 쓰고 있는 annotation, 라이브러리들이 뭔지 하나도 감이 잡히지 않았네요 저런 지식들은 스프링 공부하면서 외우거나 익히는 건가요? 아니면 선행 학습이 필요한 과목이 있나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정리 했는데 맞게 정리한건지 궁금합니다.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따라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를 생성합니다. 이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는 오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하나만 존재해야 합니다.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의 주요 기능은 엔티티 매니저를 생성하는 겁니다. 사용자의 요청이 디비로 쿼리를 보내는 경우라면 요청과 1:1로 매핑 되는 엔티티 매니저를 생성합니다.엔티티 매니저엔티티 매니저의 핵심 기능은 엔티티를 관리하는 것입니다.엔티티 매니저에는 영속성 컨텍스트라는 논리적 공간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엔티티를 관리합니다.저장persist()를 할 경우 엔티티 매니저에 엔티티를 저장합니다. 이때 1차 캐시에 키는 엔티티의 pk값, 값은 엔티티를 값으로 저장 합니다. 저장 시 전략이 identity인 경우 insert 쿼리를 DB로 바로 전송합니다. 그 외는 쓰기 저장소에 보관합니다.조회find()를 할 경우 처음에는 1차 캐시에서 조회하고 없으면 DB에서 조회합니다. 주의할점은 즉시로딩과 지연로딩입니다.즉시로딩은 A 조회시 A와 연관관계에 있는 데이터들도 한번에 조회하는 방식입니다.지연로딩은 A 조회 후 A와 연관관계에 있는 데이터 사용 시 조회하는 방식입니다.수정더치 체킹 덕분에 값만 변경해도 JPA가 알아서 update 쿼리를 보냅니다.플러시플러시가 발생 시 우선 더티 체킹이 발생합니다.값이 변경된 부분이 있으면 update, delete 쿼리를 생성하여 쓰기 저장소에 저장합니다. 더티 체킹이 끝나면 쓰기 저장소에 보관했던 SQL문들을 DB로 한번에 전송합니다.쓰기 저장소em.persist()에 의해 발생한 insert 쿼리더디 체킹에 의해 발생한 update 쿼리em.remove()에 의해 발생한 delete 쿼리위 상황에서 발생한 쿼리들을 보관하는 저장소입니다.플러시 발생 시 위 쿼리들을 DB에 한번에 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Repository와 MemberService 중복 관련
MemberRepository에 findAll과 findOne이 있는데 MemberService에 findMembers와 findOne의, 실상 같은 역할을 하는 메소드를 중복으로 만들어주는 이유가 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