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http://localhost:8080/v1/index.html을 입력했을때, 하얀페이지와 오류가 생겨요!
강사님과 똑같이 했는데, 오류가 생겨요.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사용할 경우:server.port=6000위처럼 입력하고 검색도 되나요??안되서 server.port=6000를 지워서 기본 디폴트값 8080으로 만든후 실행했어요!그리고http://localhost:6000/v1/index.html으로 검색하면 아래처럼 떠요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http://localhost:6000/v1/index.html의 웹페이지가 일시적으로 다운되었거나 새 웹 주소로 완전히 이동했을 수 있습니다.ERR_UNSAFE_PORT어떻게 하면 포트번호도 바꾸면서, http://localhost:8080/v1/index.html가 아닌 http://localhost:6000/v1/index.html 을 검색하면서, 도서관리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나오게 할 수 있나요?netstat -ano을 입력해서 8080의 pid을 찾아taskkill /pid 번호 /f를 입력해서 지워야 작동이 되나요? 지우고 다시 작동해도 바뀌질 않아요.http://localhost:6000/v1/index.html을 입력해도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http://localhost:6000/v1/index.html의 웹페이지가 일시적으로 다운되었거나 새 웹 주소로 완전히 이동했을 수 있습니다.ERR_UNSAFE_PORT가 떠요. 기본값 8080으로 바꿔도 변경이 안되요! 무엇이 문제인가요?기본값에서 포트번호 6000으로 변경해도 강사님이 보여주신 http://localhost:8080/v1/index.html에서 로컬호스트 번호만 변경해도 똑같이 되나요? 아니면 강사님과 똑같이 기본값 8080으로 사용해야하나요?포트번호를 6000번으로 바꾸면서도 도서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작동했으면 좋겠어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인텔리제이의 포트번호를 8080에서 다른 번호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제가 대학교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고, 스프링부트, STS, oracle database, 이클립스 등을 사용하니까 8080포트를 중복해서 사용하는것 같아요.그래서 아래 방법으로 해결했어요!윈도우버튼 누르고, CMD입력해서 실행창 띄우서, 아래 코드를 입력해서 8080포트의 PID를 알아냈어요!netstat -ano그다음 8080의 pid 2032를 지우고 다시 실행하니까 해결이 되는데, 매번 이렇게 하기 어려우니, 인텔리제이의 포트번호를 바꾸고, 포스트맨이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바꾼 포트번호를 설정해서 사용하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인텔리제이의 8080포트번호를 다른 번호로 변경해도 작동하는데 문제가 없습니까?taskkill /pid 2032 /f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추가질문, 프로젝트에서 사용위치를 찾을 수 없데요!
package com.group.library_app.controller.calculato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Param;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CalculatorController { @GetMapping("/add") // GET /add public int addTwoNumbers( @RequestParam int number1, @RequestParam int number2 ) { return number1 + number2; } }Execution failed for task ':com.group.library_app.LibraryAppApplication.main()'.> Process 'command 'C:\Users\Student\.jdks\corretto-17.0.12\bin\java.exe''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1s3 actionable tasks: 1 executed, 2 up-to-date 제거는 0개의 사용위치라는 문구가 뜨고, ("/add")안에 지구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는 메뉴가 안떠요!0개의 사용 위치를 클릭하면 "프로젝트 파일에서 사용 위치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이게 가장 큰 문제인것 같은데, 아까전에 답변주신 것으로는, 제가 질문을 하기 위해 참고한 사이트를 똑같이 링크를 올려주셨더군요. 해결이 안됩니다. 무엇인가 설정은 안해준걸로 아는데, 어떤것을 설정을 안해주거나 빌드.그래들안에서 디펜던시 같은 곳에 입력을 안해준것이 있거나 할건데, 어떤 것인지 모르겠어요! 강사님 동영상과 똑같이 따라했는데, 오류가 해결이 안됩니다. 직접 이 동영상의 강사님이 해결해주실 수 있나요?빌드 및 실행과 테스트 실행을 Gradle로 설정하면 오류가 생겨요!의 답변을 참고해서 다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LS-3-multi-module 진행하다 에러발생하여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따라 멀티모듈 구성 후 gradle reload 후 아래 사진과 같이 에러가 확인되어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 입문
이해
bean인 생성자 내에 bean인 파라미터가 있으면 @Autowired를 생략하고 의존성을 가질 수 있다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빌드 및 실행과 테스트 실행을 Gradle로 설정하면 오류가 생겨요!
강사님 200 OK랑 30이 나와야 하는데, 저는 오류가 떠요. 아래 오류는 강사님 코드를 다운받고 실행시킬 처음부터 발생했습니다!500 Internal Server ErrorThe server has encountered a situation it does not know how to handle.{ "timestamp": "2024-09-20T07:29:31.340+00:00", "status": 500, "error": "Internal Server Error", "path": "/add" }위에거는 인텔리제이 코드가 아니라 포스트맨에서 나오는 오류 코드입니다.인텔리제이 빌드.그래들을 실행시키면 아래 오류가 뜹니다. 아래 오류는 설정에서 Build and run using과 Run tests using을 인텔리제이 IDEA로 바꿔야 해결되는데, 그러면 포스트맨에서 코드가 안나옵니다.정답은 30, 200OK가 저는 안나와요!아래 참고 사이트:https://dev-emmababy.tistory.com/86https://velog.io/@blackbean99/Java-finished-with-non-zero-exit-value-1-%EC%97%90%EB%9F%AC-%ED%95%B8%EB%93%A4%EB%A7%81 Execution failed for task ':com.group.library_app.LibraryAppApplication.main()'.> Process 'command 'C:\Users\Student\.jdks\corretto-17.0.12\bin\java.exe''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2s3 actionable tasks: 1 executed, 2 up-to-date
-
해결됨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Scheduler의 종류 강의] Schedulers.newParallel 메서드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Scheduler의 종류 강의를 수강하고 공부를 하던 와중에 newParallel 메서드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하게 됐습니다. 예제 코드에서는 newParallel의 parallelism변수 값을 4를 주셨는데 저는 3을 줘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해당 코드로 실행을 하면, 다음과 같은 로그가 나오게 됩니다.public class SchedulersNewParallelExample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ono<Integer> flux = Mono .just(1) .publishOn(Schedulers.newParallel("Parallel Thread", 3, true)); //쓰레드 할당 flux.subscribe(data -> { TimeUtils.sleep(5000L); Logger.onNext("subscribe 1", data); }); //쓰레드 할당 flux.subscribe(data -> { TimeUtils.sleep(4000L); Logger.onNext("subscribe 2", data); }); //쓰레드 할당 flux.subscribe(data -> { TimeUtils.sleep(3000L); Logger.onNext("subscribe 3", data); }); //쓰레드 할당 flux.subscribe(data -> { TimeUtils.sleep(2000L); Logger.onNext("subscribe 4", data); }); TimeUtils.sleep(8000L); } } 16:18:03.554 [Parallel Thread-3] INFO com.example.springwebflux.util.Logger -- # subscribe 3 onNext(): 1 16:18:04.548 [Parallel Thread-2] INFO com.example.springwebflux.util.Logger -- # subscribe 2 onNext(): 1 16:18:05.560 [Parallel Thread-1] INFO com.example.springwebflux.util.Logger -- # subscribe 1 onNext(): 1 16:18:07.561 [Parallel Thread-1] INFO com.example.springwebflux.util.Logger -- # subscribe 4 onNext(): 1제가 여기서 여쭤보고 싶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Round-Robin 방식을 통해서 각 쓰레드에 작업을 분배하고 더 많은 작업이 들어오면 각 쓰레드의 큐에 작업을 적재하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작업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업이 끝난 Parallel Thread-3에서 남아있는 작업을 가져가서 처리를 하면 좋을 것 같은데 [워크 스틸링(Work Stealing) 같은 처리]Spring WebFlux에서는 해당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빌드.그래들에서 디펜던시에 값을 붙여넣었는데, 어노테이션에 아무런 변화가 없어요!
빌드.그래들에서 디펜던시에 값을 붙여넣었어요!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3'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6' } group = 'com.group'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하지만 어노테이션에 임포트 클래스라는 메뉴가 안떠요!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https://needneo.tistory.com/272위 링크처럼 임포트 클래스 메뉴가 떠야하는데, 새로고침을 어떻게 하라는 건가요?한글메뉴라서 버튼이름이 다를 수 있어요!파일에서 IDE고치기도 해보고 실행도 해보고 디버그도 해봤어요! 전혀 변화가 없습니다.구체적으로 해결방법을 가르켜주세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2년 3회 코드분석 영상 시작부분
안녕하세요 22년 3회 코드분석 영상 시작부분에서 이 문제는 어려워서 따로 해설을 찍어주신다고 한 c언어 문제는 혹시 어디서 해설을 볼 수 있을까요? 제가 찾을수가 없어서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비관적 락 vs 레디스(Lettuce)락 비교 관련 질문
강의를 보고 제 사이드 프로젝트에 그대로 적용해 보았습니다. 리뷰와 리뷰댓글 테이블이 있으면 동시에 1번 리뷰에 대한 리뷰댓글을 100개 썼을때, 리뷰테이블의 리뷰댓글카운트 컬럼에 업데이트를 시키는데, 두 방식 다 성공했습니다.처리시간 평균비관적 락 : 1초레디스 락 : 1.5초 환경은 리뷰테이블에는 데이터 2건, 리뷰댓글테이블에는 10만건 있었습니다.시도해본것레디스 락의 락 유지시간, 재시도 시간을 줄여봄Q1. 그렇다면 어떤 환경에서는 레디스 락이 빠를까요?Q2. 레디스 락이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유리하다는데 그것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립니다.Q3. 곧 MSA 프로젝트를 하는데 각 마이크로 서비스마다 DB가 있을테고 각 서비스에 DB에 접근할때 비관적 락을 걸어도 문제없을거 같은데 이때에 레디스 락을 쓰는 것에 대한 장점이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복습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영한님!영한님의 강의로 자바 기초부터 튼튼하게 다져볼려고 시작하게 되었습니다.그래서 영한님 강의를 시청을 하고 정리해둔 pdf로 다시 읽고 '자바의xx'이라는 책으로 정독 및 공부를 하는 식으로 해보려는데 영한님이 추천하시는 복습방법이 있을지 궁금해서 게시판에 남겨드립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강사님의 동영상처럼 어노테이션을 입력하면 저는 임포트가 안떠요!
강사님처럼 어노테이션을 입력하면, 임포트가 입력이 안되요. 직접 작성해도 web.에서 오류가 걸려요. 무엇인가 설정이 안되었거나 무엇인가 안깔려있는거 같은데,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그리고 임포트 단축키좀 알려주세요. ctrl+O인가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안녕하세요 선생님 격자판 최대합 테스트케이스를 추가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다름이아니고 격자판 최대합 문제를 푸는 와중에 제가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향하는 대각선 코드를 짜지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답처리가 되어 질문드립니다 복습하는 와중에 코드를 리뷰하고있는데 제가 오른쪽위에서 왼쪽 아래로 향하는 대각선 코드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답처리가 되어 말씀드립니다. 혹시 제가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면 정말 죄송합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코드보다 중괄호가 너무 많아서 더욱 헷갈리네요..
혹시 실무에서도 기존 방식 처럼 인스턴스 별로 클래스를 나누고메인함수에서 인스턴스를 호출 하는 방식이 아닌 하나의 코드에 메인 함수을 포함하여 여러 개의 클래스가 같이 쓰는 경우가 많을까요? 어렵지 않은 코드 인데 가독성이 갑자기 안 좋아서 코드 흐름이 어렵네요...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서로 다른 패키지에서 protected 상속 관계 사용
안녕하세요자바 복습을 하다가 헷갈리는 부분이 생겨 글 남겼습니다. package ex1; public class Parent { protected void method() { System.out.println("parent"); } } ------- package .ex2; import ex1.Parent; public class Child extends Parent { @Override protected void method() { System.out.println("CHild"); } } ------- package ex3; import ex1.Parent; import ex2.Child;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p= new Child(); p.method(); //컴파일 오류 } } 위의 코드에서 ex3 패키지에서 p.method()가 오류가 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protected 접근 제한자는 같은 패키지 이거나 상속 관계일때 접근이 가능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p.method()를 실행하면 Child에 있는 method()가 실행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Parent와 Child는 다른 패키지라도 상속관계에 있으므로 실행이 될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왜 오류가 나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섹션 10: 상속과 메모리 구조 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하는 부분 5:00 쪽에서 설명해주시면서이때 부모인 Car 를 통해서 charge() 를 찾을지 아니면 ElectricCar 를 통해서 charge() 를 찾을지 선택해야 한다.이때는 호출하는 변수의 타입(클래스)을 기준으로 선택한다. electricCar 변수의 타입이 ElectricCar 이므로 인스턴스 내부에 같은 타입인 ElectricCar 를 통해서 charge() 를 호출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아래와 같이 정리해주셨는데요.지금까지 설명한 상속과 메모리 구조는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상속 관계의 객체를 생성하면 그 내부에는 부모와 자식이 모두 생성된다.상속 관계의 객체를 호출할 때, 대상 타입을 정해야 한다. 이때 호출자의 타입을 통해 대상 타입을 찾는다.현재 타입에서 기능을 찾지 못하면 상위 부모 타입으로 기능을 찾아서 실행한다. 기능을 찾지 못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이때는 호출하는 변수의 타입(클래스)을 기준으로 선택한다. / 상속 관계의 객체를 호출할 때, 대상 타입을 정해야 한다. 이때 호출자의 타입을 통해 대상 타입을 찾는다.이 부분에 대해 질문을 드립니다. 제가 아직 다음 강의를 듣지 않아서 모르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아래와 같은 코드를 작성했습니다.package extends1.ex2; public class ElectricCar extends Car { public void move() { System.out.println("Electric Car move"); } public void charge() { System.out.println("charge"); } }package extends1.ex2; public class Car { public void move() { System.out.println("move"); } }package extends1.ex2; public class Car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lectricCar electricCar = new ElectricCar(); electricCar.move(); Car car = new ElectricCar(); car.move(); } } 위에 있는 이때는 호출하는 변수의 타입(클래스)을 기준으로 선택한다. / 상속 관계의 객체를 호출할 때, 대상 타입을 정해야 한다. 이때 호출자의 타입을 통해 대상 타입을 찾는다. 의 대답이 맞으려면 뭔가 electricCar.move() 를 실행할 때랑 car.move() 를 실행할 때랑 결과가 달라야할 것 같은데 둘다 결과가 Electric Car move 가 나옵니다. 제 예상으로는 ElectricCar 로 생성하는 경우는 Electric Car move 가 나와야하고 Car 로 생성하는 경우 move 결과가 나와야 할 것 같아보여서요. 혹시 제가 놓치는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 Basic
인텔리제이 커뮤니티버젼을 진행해도 되나요?
얼티메이트 버젼은 유료버젼으로 알고있는데요.커뮤니티 버젼으로 진행해도 되나요?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문자열 풀 값을 이용한 String 변수
강의에서 각 스레드 스택 마다 지역변수로 objectReference 참조 변수를 생성하시는 것을 예시로 들어주셧는데요, 해당 변수는 문자열 풀 값들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것이잖아요.힙에 저장될 때 어떻게 데이터가 저장되나요? thread 1번에서 생성한 지역변수인 objectReference 는"1" 의 문자열 풀 주소값 + ": Hello World" 의 문자열 풀 주소값, thread 2번에서 생성한 지역변수인 objectReference 는"2" 의 문자열 풀 주소값 + ": Hello World" 의 문자열 풀 주소값,...이렇게 저장되는 것이 맞을까요?? 혹은 "1 : Hello World" 라는 문자열 전체가 하나의 스트링 풀에 저장되고, 그 상수에 대한 주소값이 저장되는 것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cmd 빌드 시 test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빌드를 하면 다음과 같이 뜨는데요 무시하고 lib 가서 jar 실행하면 실행 되긴 합니다. 이건 어떤 문제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캐스팅 5분 22초
상속원칙은 생성자 기준 함수로만 봐야하나요??? 5분22초도 에러가 나지않았다면자동차객체 생성됨전기자동차객체 생성됨이게 나오고 밑에 프린트실행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