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JSX에서 CSS파일 연결하는게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선생님 강의 중 'JSX로 UI 표현하기' 편을 듣고 있는데import를 이용해서 CSS파일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막혔습니다강의와 똑같이 작성했는데 스타일 적용이 안되는 이유가 뭘까요?화면에 오류 표시도 안뜨는데 코드에 문제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GetMapping public String homeLogin(@CookieValue(name = "memberId", required = false) Long memberId, Model model){ if(memberId == null){ // 로그인 안한 사람 return "home"; } Member login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f(loginMember == null){ // 쿠키가 있어도 db에 없는 경우 return "home"; } model.addAttribute("member", loginMember); return "loginHome"; } 홈 컨트롤러에서 로그인을 아예 한 적이 없으면 쿠키가 없어서 return "home"인 게 이해가 되는데 두 번째에 쿠키가 있어도 회원이 db에 없는 경우가 무슨 상황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쿠키가 있으려면 회원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 회원이 db에 없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취업/이직에 성공할 수 밖에 없는 포트폴리오 전략 강의
8~9년차 디자이너 이직 질문
편집디자인을 거쳐 웹디자이너&퍼블리셔로 8~9년차가 되었는데 사실 포트폴리오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크게 신경을 쓰고 있지를 않아서 포트폴리오가 빈약한 편입니다. 중견이상을 목표로 잡고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이직을 준비할려고 하니 이제서야 눈이 트여서 포트폴리오의 설득력이 필요하다는걸 알았는데요. 저 같은 경우는 어떤 방향으로 준비를 하면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Console.Writeline 메모리누수
JobTimer 까지 모두 수강하고 Session쪽 코드에서 RecvBuffer _recvBuffer = new RecvBuffer(1024); 이것만 이렇게 다시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실행시켰는데 메모리가 늘어나더니 저런 오류가 떠서 Console.Writeline 쪽 코드를 지우고 실행시키니까이렇게 메모리가 계속 늘어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 되는데 단순히 Console.Writeline이 많이 실행돼서 그런건가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시즌1 메모리컨트롤러 설계
안녕하세요. 맛비님. 시즌1에서 간단한 메모리 컨트롤러를 설계를 해보았는데 이 메모리 컨트롤러 설계가 메모리반도체에서 쓰이는 그 메모리컨트롤러 설계와 유사한 거라고 보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분산 DB 에서 비관적 락을 통한 동시성 제어
안녕하세요. 분산락을 언제 쓰는게 좋을지 고민하다가 몇 가지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분산 DB 환경이 무엇을 의미하는지?흔히 분산 DB 환경에서 낙관적, 비관적 락으로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고 얘기하더라고요. 여기서 말하는 분산 DB 라는 것이 샤딩에 의해 여러 DB 서버가 있는 것인지,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서버가 여러 대 있는 환경을 의미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예를 들어, Ticket 이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동일한 ticket 데이터가 DB server 1, DB server 2 에 저장되어 있는 환경일까요??만약 분산 DB 가 샤딩인 경우 비관적 락으로도 동시성 이슈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맞을까요?아래 그림처럼 ticketId = 1 인 티켓을 예매하기 위한 요청이 동시에 올 경우 입니다. 처음 x-lock 을 잡은 요청이 끝나야 뒤늦게 온 요청이 해당 티켓의 잔여 수량을 확인하고 예매 하기 때문에 샤딩으로 인한 분산 DB 에서는 비관적 락으로 동시성 이슈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동일한 Ticket 데이터가 여러 DB 서버에 중복되어 저장된 분산 DB 환경에서는 분산락을 사용해야 될 것 같습니다.그러나, 샤딩은 동일한 Ticket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서버로 접근하기 때문에 비관적 락으로도 충분히 해결 가능할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Windows 소켓 프로그래밍 입문에서 고성능 서버까지!
소켓 입/출력 설계 정리
안녕하세요. 선생님!프로토콜 설계관련 큰 흐름을 정리 해보고 있습니다. 주요 포인트는 서버에서 관리(TCP로 연결된 소켓)하고있는 클라이언트들의요청을 어떤 구조로 처리할지?총 3가지 형태로 정리되었습니다.1. 블록강의 : 멀티쓰레드 채팅서버 구조(블록 소켓)2. 논블록강의에는 없지만, 하나의 쓰레드에서 여러 논블록 소켓들 돌며 Receive를 확인하는 구조3. 비동기강의 : IOCP기반 채팅서버(클라이언트 수신처리를 OS에 등록하여 콜백 받는구조)궁금한 부분은다양한 프로토콜 설계를 "큰 주제"로 나눈다면블록/ 논블록/ 비동기 이렇게 3가지 형태로 나누어도 크게 문제가 없을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사물인터넷 통신은 내 손에 (Arduino, MQTT, Nodejs, MongoDB, Android,VS Code)
mongoose.connect() 콜백 에러
Mongoose.prototype.connect() no longer accepts a callback더이상 콜백을 허용하지 않는다며 에러가 뜹니다.그래서 데이타베이스에 연결이 안되네요.
-
미해결외주 없이 디자이너처럼 스마트스토어 디자인 꾸미기
수업자료
수업자료 어디서 다운받나요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pringSecurity
이미 질문남기신 분들이 많기에 해당 코드들을 따라서 실행하려고 해 보았으나 스프링 시큐리티 버젼이 올라감에 따라 새롭게 코드를 작성을 해보기 위해 문서를 참고해서 수정을 했습니다만 접속을 하려고 보니 HTTP ERROR 403 에러가 뜨면서 localhost접근이 막히더군요 혹시 고쳐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웹기능-홈/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home.html까지 만들고 run을 했는데Action:Consider defining a bean of type 'hello.hellospring.domain.Member' in your configuration.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이런 오류가 뜹니다.domain.Member는 package hello.hellospring.domain;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입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m1에서 설치 모두 완료했는데 마지막 대시보드 접속이 되질 않네요 ㅠ
세팅 완료 후 마지막 대시보드에 접속하려는데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https://192.168.64.30:30000/#/login
-
해결됨[React 2부] 고급 주제와 훅
[3.5장 컨택스트 훅] 3.5.2 useContenxt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Count, PlusButton이 re render 되는 조건을 알고 싶습니다. 예전예시에서는 class Consumer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value: emitter.get(), }; this.setValue = this.setValue.bind(this); } setValue(nextValue) { this.setState({ value: nextValue }); } componentDidMount() { emitter.on(this.setValue); } componentWillUnmount() { emitter.off(this.setValue); } render() { return <>{this.props.children(this.state.value)}</>; } } Consumer가 state를 가지고 있음으로순서가Provider render -> Consumer render -> Consumer componentDidMount -> Provider componentDidMount (set 을 통해 빈 객체였던 것을 value, setValue로 바꿔줌)이때 Consumer state는 emitter.get()임으로 변경된 것을 감지 하고 re render 하는 것으로 이해했었습니다.헌데 이번예시에서는 function useContext(context) { console.log("userContext, context.emitter.get() = ", context.emitter.get()); const [value, setValue] = React.useState(context.emitter.get()); React.useEffect(() => { console.log("Consumer useEffect"); context.emitter.on(setValue); return () => { console.log("Consumer useEffect clean"); context.emitter.off(setValue); }; }, [context]); return value; } const Count = () => { console.log("Count render"); const { count } = MyReact.useContext(countContext); return <div>{count}</div>; };Provider render -> Count(Consumer) render -> Count's useEffect -> Provider's useEffect 을 통해emitter 값이 빈객체에서 count, setCount로 채워지는것은 이해하였습니다.이때 Count 가 다시 한번 re render되는데 왜 그런 것인가요?첫번째 예시처럼 state?같은게 존재하는건가요?다시 render되는 조건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NullPointerException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Cannot invoke "hello.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save(hello.jdbc.domain.Member)" because "this.memberRepository" is nullmemberRepositoryV1.save 하는 과정에서 널포인터익셉션이 났습니다. package hello.jdbc.repository; import hello.jdbc.connection.DBConnectionUtil; import hello.jdbc.domain.Member;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support.JdbcUtils;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sql.*; import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 * JDBA - DataSource 사용, JdbcUtils 사용 */ @Slf4j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V1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public Member save(Member member)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member_id, money) values (?,?)";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member.getMemberId()); pstmt.setInt(2, member.getMoney()); pstmt.executeUpdate(); return member; }catch (SQLException e) { log.info("db error", e); throw e; }finally { close(con, pstmt, null); } } public Member findById(String memberId)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select * from member where member_id=?";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memberId); rs = pstmt.executeQuery(); if (rs.next())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MemberId(rs.getString("member_id")); member.setMoney(rs.getInt("money")); return member; } else { throw new NoSuchElementException("member not found memberId=" + memberId); } } catch (SQLException e) { log.info("db error", e); throw e; }finally { close(con, pstmt, rs); } } public void update(String member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update member set money=? where member_id=?";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Int(1, money); pstmt.setString(2, memberId); int resultSize = pstmt.executeUpdate(); log.info("resultSize={}", resultSize); }catch (SQLException e) { log.info("db error", e); throw e; }finally { close(con, pstmt, null); } } public void delete(String memberId)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delete from member where member_id=?";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memberId); pstmt.executeUpdate(); }catch (SQLException e) { log.info("db error", e); throw e; }finally { close(con, pstmt, null); } }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 Statement stmt, ResultSet rs) { JdbcUtils.closeResultSet(rs); JdbcUtils.closeStatement(stmt); JdbcUtils.closeConnection(con); } 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 = dataSource.getConnection(); log.info("get connection={}, class={}", con, con.getClass()); return con; } }package hello.jdbc.repository; import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import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Const; import hello.jdbc.domain.Membe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riverManagerDataSource; import java.net.URL;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ThrownBy; @Slf4j class MemberRepositoryV1Test { MemberRepositoryV1 repository; @BeforeEach void beforeEach() { //기본 driverManager - 항상 새로운 커넥션을 획득 //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ConnectionConst.URL, ConnectionConst.USERNAME, ConnectionConst.PASSWORD); //커넥션 풀링 HikariDataSource dataSource = new HikariDataSource(); dataSource.setJdbcUrl(ConnectionConst.URL); dataSource.setUsername(ConnectionConst.USERNAME); dataSource.setPassword(ConnectionConst.PASSWORD); 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 @Test void crud() throws SQLException { //save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V2", 10000); repository.save(member); //findById Member findMember = repository.findById(member.getMemberId()); log.info("findMember={}", findMember); log.info("member != findMember {}", member == findMember); assertThat(findMember).isEqualTo(member); //update repository.update(member.getMemberId(), 20000); Member updateMember = repository.findById(member.getMemberId()); assertThat(updateMember.getMoney()).isEqualTo(20000); //delete repository.delete(member.getMemberId()); assertThatThrownBy(() -> repository.findById(member.getMemberId())) .isInstanceOf(NoSuchElementException.class); } }
-
미해결it 취업을 위한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with C/C++) : 코딩테스트 대비
이 코드는 왜 YES만 Success인가요?
안녕하세요.선생님.영상도 참고하면서 제 방식대로 조금 짜봤는데 잘 안되서 여쭤봅니다.#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n, res = 0; int a[101]; int main() { cin >> n; vector<int> ch(n); for(int i = 0; i < n; i++) { cin >> a[i]; } for(int i = 0; a[i]!='\0'; i++) { res = abs(a[i]-a[i+1]); if( res > 0 && res < n && ch[res] == 0 ) { ch[res] = 1; } } // 이 부분입니다. for(int i = 0; ch[i] != '\0'; i++) { if(ch[i] == 0) { cout << "NO"; return 0; } } cout<<"YES"; return 0; }3번째 for문에서 i < n을 하면 NO부분에서만 success가 뜨고 위와 같이 하면 Yes부분에서만 Success가 뜹니다.도움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N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큰돌님 😀1-N 백준 1629 문제에서 제공해주신 코드에#include<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 ll a, b, c; ll go(ll a, ll b){ if(b == 1) return a % c; ll ret = go(a, b / 2); ret = (ret * ret) % c; if(b % 2)ret = (ret * a)% c; return ret;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cin >> a >> b >> c; cout << go(a, b) << "\n"; return 0; }여기에서if(b % 2)ret = (ret * a)% c;원래 공식에 대입하면 이 부분에 (ret * a % c) % c 가 들어오는 것이 맞지 않나요..? 어떻게 이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ㅜㅜgo(2, 3) 이라고 할 때,이렇게 되어서if(b % 2)ret = (ret * a)% c;이 아니라,if(b % 2)ret = (ret * (a % c))% c;가 된다고 생각했는데 설명해주시면 감사합니다..ㅜㅜ 다른 질문에 답변 달아주신 내용 확인해서 이해하였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JpaMetamodelEntityInformation 내부의 isNew 메서드에서 조건 분기 시 다음 조건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public boolean isNew(T entity) { if (!this.versionAttribute.isEmpty() && !(Boolean)this.versionAttribute.map(Attribute::getJavaType).map(Class::isPrimitive).orElse(false)) { BeanWrapper wrapper = new DirectFieldAccessFallbackBeanWrapper(entity); return (Boolean)this.versionAttribute.map((it) -> { return wrapper.getPropertyValue(it.getName()) == null; }).orElse(true); } else { return super.isNew(entity); } } 조건문을 타지 않고 else 절로 넘어가면 super.isNew()를 호출하고, 상위 추상 클래스인 AbstractEntityInformation 클래스의 isNew() 메서드에서 Entity id 필드가 Null, 0L인지 판단하는 걸로 이해했습니다.강의 범위가 아니긴 하지만 JpaMetamodelEntityInformation 클래스의 isNew() 내에서 versionAttribute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부분은 어떤 것을 확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소켓,File 질문있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질문이 있습니다!소켓은 커널모드로 진입해 네트워크를 통신하기 위한 추상 인터페이스다, h/w와 소통하기 위해 kernel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추상 인터페이스를 부르는 명칭이 소켓인것이고 I/O 장치와 상호작용 할 때는 file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나요?
-
미해결외주 없이 디자이너처럼 스마트스토어 디자인 꾸미기
모바일 GNB화이트 설정
모바일 GNB화이트 설정어디서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PessimisticLock을 분산락으로 활용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 남기겠습니다.
github repository url: https://github.com/developer-yoni/ecommerce/tree/study/concurrency/redis여기서 study/concurrency/redis 브랜치를 확인해주시면 됩니다.StockServiceTest의 400번째 라인부터 503번째 라인까지테스트 코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큰 흐름은 동시성 이슈가 발생가능한 Stock에는 Lock을 걸지 않고,다른 Entity인 Market Entity에 PessimisticLock을 걸어,PessimisticLock을 분산락으로 활용하려는 시도 입니다.여기서 4_1 테스트는 Market에 PessimisticLock을 거는 트랜잭션과 Stock의 재고를 감소시키는 트랜잭션을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었고,4_2 테스트는 별개의 트랜잭션으로 분리했습니다.이때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Q1. 동시성 이슈가 일어나지 않는 다른 Entity에 PessimisticLock을걸어 분산락처럼 활용하는게 문제가 되지 않을지 궁금합니다.혹시 문제가 된다면 , 어떤 측면에서 문제가 될지 궁금합니다.왜냐하면 어차피 동시성 이슈가 일어날 수 있는 측면의 값을 커밋하여 update함과 동시에PessmisticLock을 반환하는 것이니 문제가 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Q2. PessimisticLock을 건 트랜잭션이 커밋되거나 롤백될 때 비로소 PessmisticLock이 반환된다는 점을 근거로,4_2 테스트에서는 일부로 재고감소를 먼저 커밋한 후,Market의 PessimisticLock을 커밋하여,반드시 업데이트가 이뤄난 후 락을 반환하는것을 의도하였습니다.그러나 제 의도와 다르게 4_2 테스트는 계속 lock이 걸려있는?흐름을 보이면서 테스트에 실패합니다.그원인을 잘 모르겠습니다.바쁘신 와중에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사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