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생활코딩 - React
9강 배포하는법
Nodejs가 자체적으로 HTTP Server를 가지고 있는데 npm serve를 따로 설치하고 배포하는 이유가 뭔가요? 로컬에서 개발할때만 Node의 HTTP를 사용하고실제 운영은 별도의 Web server를 사용해서 그런가요?
-
미해결
마우스 감도
다른분 마우스 감도랑 제 마우스 감도가 달라서 스크롤애니메이션 작업을 할때 의견이 충돌합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하면 좋을까요...? 홈페이지에 방문했을때 강제로 마우스 감도를 제가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질문드립니다.
마지막 실습파트 하고 있습니다.create-react-app으로 mini-blog 만들었는데요. react 18점대 버전으로 해도되나여?
-
해결됨[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F 유형 임의 지정 부분과 footer 부분 질문입니다
선생님, F 유형 공부를 하고 있는데 두 가지 확인하고 싶은 게 있어서 질문올립니다!content-inner 부분에 임의 지정이라는 것은D,E 유형에서 나온 세로 임의지정 calc(100vh-100px) 같은 높이값이랑 다르게 ABC 유형에서 slide / items 부분에 줬던 높이를 참고해서 제가 알아서 높이 값을 주면 되는걸까요? 문제는 안되겠지만 공개 시험지에서는 F4를 제외한 F1,2,3 유형은 footer 높이가 120px 로 되어있더라고요..! 강의에서는 F1 레이아웃인데 높이 값을 100px로 주셔서 다른 수험생들도 순간 멈칫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수업 노트에 이 부분에 대해 올려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 말씀드립니다!
-
미해결파이썬 무료 강의 (활용편1) - 추억의 오락실 게임 만들기 (3시간)
import pygame에서 계속 오류가 발생해요
cmd에서 import pygame했을 때는 오류없이 제대로 됐는데 Vs code에서 import pygame을 하면 이런 오류가 계속해서 발생합니다.어떻게 해야되나요?Exception has occurred: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pygame' File "C:\Users\User\Desktop\PythonWorkspace\pygame_basic\1_create_frame.py", line 1, in <module> import pygame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pygame'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컴파일러 옵션에서 ts-node설정처럼 tsx 설정도 필요한가요?
tsx도 비슷한 설정이 필요한가요?
-
미해결3D 모델링 입문을 위한 라이노(Rhino) '꿀팁' Part.1
돌출을 하려는데, perspective에서 도형이 세워져있지 않고 아래 사진처럼 눕혀져 있는경우는 왜일까요?
돌출을 하려는데, perspective에서 도형이 세워져있지 않고 아래 사진처럼 눕혀져 있는경우는 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포스트맨 json 형태로 안내려오네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VC1 부터 MVC2 학습하며 한 프로젝트에 적용하며 학습중인데요.accept json으로 설정하고 컨트롤러에 @RestController 설정해주었는데도 이렇게 HTML 형식으로 나오는데 뭐가 잘못된 걸까요 ㅠ인터셉터를 설정해준 webConfig를 주석처리 하니 json 형태로 내려오는데 주석처리를 해주는 게 맞나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생성자에서 new를 하는 건 안 좋은 습관이라고 하셨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얕은 복사 vs 깊은 복사 #1 15:50에서 생성자 안에서 new를 하는 건 안 좋은 습관이라고 하셨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스토리북과 UI 테스트
스토리 제작할 때 궁금한 점
metadata의 argTypes를 작성한 것들을 스토리의 전달 인자에 다 작성하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이벤트 핸들러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왜 저는 이벤트 핸들러를 작성하지 않으면 오류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 - Order 연관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ember와 Order의 연관관계에서 가급적 단방향을 사용하라고 하셨는데,1: 특정 Member의 주문목록을 확인할 때는 Member 엔티티에서 별도의 orders라는 List를 만들지 말고 Order들에서 특정 Member를 가진 객체를 찾는 방식으로 접근하는게 좋다는 말씀으로 이해해도 괜찮을까요?2: 그렇다면 order - orderItem - item 의 경우 다대다 관계를 특정 테이블을 추가로 생성해서 일대다 다대일로 연관관계를 설정했는데, 이때도 단방향으로 유지하는게 좋은걸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라이프사이클 질문!
안녕하세요 라이프 사이클에대해서 궁금하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처음에 컴포넌트가 빌드 되었을때(초기랜더링) 마운트 되었다 라고 표현하고, 이미 빌드가 된 컴포넌트에서 반응형 state로 인해 리랜더링이 되면 업데이트,그리고 컴포넌트가 제거되면 언마운트라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그렇다면 업데이트가 이루어질때 컴포넌트가 리랜더링 되는데, state가 초기화 되지 않는걸 보면 컴포넌트가 삭제되지 않고 리랜더링 되는것 같다는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만약 그렇다면 컴포넌트가 어떻게 삭제되지 않고 리랜더링을 진행 할 수 있는건가요 ?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개발환경설정 강의 실습 중 실행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맥북에 인텔리제이를 설치하고 jdk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 new file로 파일을 만들어서 샘플 코드를 실행하였는데 Error: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Main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Main 이와 같은 메세지가 뜨며 실행 오류가 생깁니다. 강의와 똑같이 따라가며 실습했는데 혹시 원인이나 해결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남겨주신 Counter App 데모사이트
남겨주신 Counter App 데모사이트가 잘못된것 같아요 링크로 이동하면 자바스크립트 강의 자료가 나오네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하나만 더 질문하겠습니다.
http://boj.kr/d5416161871e4bf3bdf3badcbae8c77c벡터를 이용해서 풀어보았는데 어떤 부분에서 예외처리가 부족한지 못찾고 있습니다.루트 노드를 삭제할 때, 중간 노드를 삭제할 때, 리프 노드를 삭제할 때 3가지 확인하였고, 루트노드가 0번이 아닐 수 있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어떤 반례가 있을까요?
-
미해결게임처럼 공부하는 git 던전
git-flow 전략을 사용할 경우 작업 후 머지 할 경우 PR은 두번 해야 되나요?
feature에서 작업이 끝난 경우 코드리뷰를 위해 develop에 pull request 날리고, 리뷰가 끝나면 develop에 머지가 되잖아요. 그 후에 main 브랜치에 develop 브랜치를 가지고 pull requet로 머지를 해주나요? 아니면 그냥 merge 해줘도 되나요?hotfix에서 작업이 끝난 경우는 리뷰를 위해 develop에 pull request를 날리고, 리뷰가 끝나면 hotfix 브랜치를 main 브랜치에 리뷰는 없이 pull request를 날려야 되나요? 아님 그냥 hotfix -> main으로 머지 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파이썬 데이터 분석 (쉽게! 전처리, pandas, 시각화 전과정 익히기) [데이터분석/과학 Part1]
pandas-brazilian-ecommerce-EDA4.ipynb 내용중 datetime64 타입의 weekday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그냥 강의내용 복습하다가 jupyter 파일(pandas-brazilian-ecommerce-EDA4.ipynb)에서 문의가 있는데요.이 파일에서 apply() 함수를 활용해서 weekday 를 보기쉽게 요일로 변경할 때 weekday=0 을 '일' 부터 변경하셨던데 이렇게 되면 데이터 해석이 틀려지는 거 같아서 문의드립니다.weekday=0 은 월요일인데 일요일로 변경되도록 하셔서요.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ntity 필드의 접근 제한자를 private으로 줘야 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영한님 안녕하십니까. jpa 공부하면서 프로젝트 진행 중에 문제가 있어 질문 드립니다.entity의 경우 필드값을 private 접근 제한자를 줘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session error/쿠키 정보가 저장 안됐을 때
mook 새롭게 실행 시켜봤는데도 세션이 에러가 계속 뜹니다.로그인창에 선생님처럼 정보가 저장 안되있고 handlers-> User정보를 입력하면 패이지가 이동 되는데localhost:3000/api/auth/error 이동되고 /home는 안가네요회원가입 id,name,비번,사진 입력해서 만들고 /home이동 되었는데 로그아웃 버튼이나 추천컨텐츠는 안 나와요localhost:9090 치면이렇게 나오네요 .회원가입(localhost:3000/i/flow/signup)->/home->잘 가기는 하는데 네트워크에서는 세션 에러가 됩니다. 무든 코드 선생님꺼로 바꿔봤는데 해결 방법 찾지 못해서 3-1코드 부분에서 멈쳐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React 2부] 고급 주제와 훅
[4.1장 레프 훅] useRef관련 질문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본 강의 예시에서import MyReact from "./lib/MyReact"; import React from "react"; export default () => { const ref1 = MyReact.useRef(1); const ref2 = MyReact.useRef(); const [state, setState] = React.useState(0); console.log(state) if (state > 2) { console.log("hihi"); ref1.current = ref1.current + 1; } return ( <> <button onClick={() => setState(state + 1)}> state increase (state: {state}) </button> <div>{ref1.current}</div> <input ref={ref2}></input> <button onClick={() => console.log("input value", ref2.current.value)}> ref2 select </button> </> ); };state >2 이면 값이 증가하는것을 확인했는데 이후에도 계속 state가 2 초과 이니까 계속 ref1.current가 증가할 줄 알았는데 아니더라구요 왜그런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