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모의해킹 실무자가 알려주는, SQL Injection 공격 기법과 시큐어 코딩 : PART 1
실습환경 오류 발생시 봐주세요!
mssql 호환 문제https://support.helpspot.com/index.php?pg=kb.page&id=13해당 사이트 ntwdblib.dll Version 항목의 here 버튼 눌러서파일 다운로드 후에 APM_SETUP\Server\PHP5 경로에덮어씌우면 됩니다. Oracle 연동 문제강의에서 나온 대로 32비튼 드라이버를 설치했을 때도 호환이 안 될 경우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드라이버 설치 없이 진행(저같은 경우 드라이버 없이 하니까 되었음)드라이버가 강의에서 나온 것은 19.x인데 21.x가 현재 최신 버전입니다. 하지만 구성은 다르므로 19.x로 다운하시면 연동 될겁니다. Dbeaver 연동 문제MySQL, MSSQL, Oracle 모두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셨고connect.php를 해서 example 코드가 정상적으로출력이 되는데 Dbeaver에서 SSL 인증서 문제로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럴 경우 왼쪽 상단 [파일] > [설정] > [연결] 탭을 클릭합니다.연결 탭 클릭 후 오른쪽 상단의 Global settings 클릭다시 [연결] 탭 클릭중요한건 연결 탭 하위항목이 아닌 연결이라는 글씨의탭을 클릭하는 겁니다.그러면 Security 항목에서 Use Windows trust store 항목이 있는데 체크가 되어있을 겁니다.해당 항목을 체크표시 풀고 종료 후 재실행 하면DBMS와 연동될 겁니다. 즐거운 공부 되시길 바랍니다.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onBackPressed 강의와 다르게 동작합니다
package com.sowon.backbuttonex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util.Log import android.widget.Toast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private var isDouble = false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 override fun onBackPressed(){ super.onBackPressed() Log.d("MainActivity", "backbutton") if(isDouble == true){ finish() } isDouble = true Toast.makeText(this, "종료할거면 더블 클릭!", Toast.LENGTH_LONG).show() android.os.Handler().postDelayed(Runnable { isDouble = false }, 2000) } }강의 보면서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했는데 강의에서는 뒤로가기 버튼을 2초 내에 2번 눌러야 메인화면이 나오는데 저는 한번만 눌러도 메인화면이 나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OrderService의 createOrder()의 매개변수 타입 질문
OrderService.java의 createOrder()에서 memberId의 타입은 wrapper이면서 itemPrice의 타입은 기본형으로 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제가 생각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글과 비교해서 작성하였습니다)클라이언트가 '회원가입하기' 버튼을 눌렀을 때 Member 객체가 생성되는데, 이때 memberId는 클라이언트가 정하는 것이 아닌 서버 내부적으로 정해지는 값이다. 따라서 Member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memberId는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null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즉, Member의 memberId에는 null이 들어있을 가능성이 있기에 createOrder()의 매개변수 타입도 long이 아닌 Long으로 하였다.반면, 상품 등록을 할 때 상품 가격은 반드시 입력되어야 하는(required) 필드이다. 따라서 '상품 등록하기' 버튼을 눌렀을 때 Item 객체가 생성되는데, 이때 상품 가격(itemPrice) 필드에는 값이 반드시 들어갈 것이기에 itemPrice 필드에 null이 저장된 Item 객체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Integer가 아닌 int 타입인 것이다.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배열의 메모리값 할당에 관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배열을 생성할때 int[] students1 = {90, 80, 70, 60, 50}; 이러한 형식이 있다면 {90, 80, 70, 60, 50}이 부분은 힙 영역에 생성되고 int[] students1 이 부분은 스택 영역에 생성되서 스택에 있는 레퍼런스값으로 힙 영역 메모리에 접근한다고 이해 했습니다. 근데 이 부분을 테스트 하던 도중 주소 값라고 말해주신 [I@b4c966a 이러한 부분이 매 실행마다 바뀌지 않았다는 것 입니다. c언어를 공부 했을때는 매번 주소값이 바뀌었는데 java에서 찍어보니 매 실행마다 같은 값이 나오는걸 확인했습니다. 배열의 길이를 바꿔서 찍어보고, 할당 순서도 바꿔봤는데도 같은 값이 나와서 따로 찾아보니깐 hash코드의 값이라는 말이 있어서 https://varoa.net/jvm/java/openjdk/biased-locking/2017/01/30/hashCode.html 이곳에서 찾아보니 이런 말이 있어서 더 헷갈립니다. cs랑 자바에 관해 지식이 부족해서 잘 이해 했을지는 모르겠지만 [I@b4c966a 이게 hash코드로 만들어진거고, 그 hash코드는 메모리 주소랑 상관이 없는건가요? 지금 대체 저 [I@b4c966a 값이 어떻게 만들어진거고, 왜 타입, 자료형, 크기, 선언 순서를 바꿔도 이 값은 변하지 않는건가요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스토리북과 UI 테스트
Interaction 테스트 강의 설치 문제
안녕하세요. 이전글에 이어서 Interaction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슈 공유드립니다. [명령어가 다른 문제]확인해보시면 아시겠지만, Interaction 테스트를 위해 강의에서 설치한 명령어와 현재 공식문서에 작성되어있는 명령어가 다릅니다.강의: @storybook/jest, @storybook/testing-library문서: @storybook/test설치항목이 줄어들었지만, 최신화된 공식문서의 내용을 따라가도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했습니다. [스토리북 실행시 에러 발생]No matching export in "global-externals:@storybook/components스토리북을 실행하면 상단에 작성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저의 경우에는 .nodemodules 디렉토리를 삭제하고 @storybook/components @storybook/addons먼저 설치한 후 다시 공식문서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를 통해 설치하여 해결했습니다. 하단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https://github.com/storybookjs/storybook/issues/24906 (+추가적으로 @storybook/vue3 를 설치해야 Meta, StoryObj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스토리북 테스트 실패]LoginForm 컴포넌트와 스토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코드를 복사하여 가져올 때, EmptyForm과 FilledForm의 render 부분을 주석처리해야 테스트가 통과됨을 확인했습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 - B 문제 질문있습니다
해당문제를 푸는데 강사님과 같은 방법으로 풀어나가고 있습니다만, 계속 12% 대에서 실패가 뜹니다. 조건문이 문제인가 싶어 dfs함수에 들어가기 전 조건문 세개 중 두, 세번째를 강의 내용처럼 합쳐보기도 하고, 문제를 잘못읽었나 싶어 map의 범위를 50 50 에서 51 * 51로도 해보고 전역변수 선언에 문제가 있나 싶어 변경도 해봤지만 해결이 안되네요. <http://boj.kr/85c9f690f6c64294a29406a816169cc0>
-
해결됨[React / VanillaJS] UI 요소 직접 만들기 Part 1
class 자동완성 방법은 없을까요?
classnames/bind 를 사용하지 않고, classnames를 사용할 때, typescript-plugin-css-modules 라는 것을 사용하면 위와 같이 현재 scss파일 안에 있는 클래스들이 보여지게 되는데요! classnames/bind 를 통해 cx를 만들어 사용할 때도 클래스들이 자동완성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이것에 대한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삼각형이 아니라 점만 세개 찍힙니다
수업 자료로 받은 솔루션에서도 삼각형이 안나오길래 자세히 보니까 점이 세개 찍혀있더군요TriangleDemo 클래스의 Render 부분에DC->IASetPrimitiveTopology(D3D11_PRIMITIVE_TOPOLOGY_TRIANGLELIST);이렇게 따로 추가를 해주니 정상적으로 삼각형이나옵니다그래서 엔진에 IASetPrimitiveTopology 를 호출 하고있나확인 해봤는데 없더군요혹시 이번에 추가된 Effect11에서 이 기능을 대체 하는건가요?그래픽카드는 AMD 입니다
-
미해결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시작하는 백엔드 - 스프링, 도커, AWS
dto 관련 질문입니다.
컨트롤러(Api) 패키지 안에 만드신 dto(request, response)는 private final로 선언하셔서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도록 선언하셨고,서비스단 패키지 안에 만드신 ReviewDto는 private으로만 선언하여 데이터가 언제든 변경이 되게끔 선언하셨는데이 차이가서비스단 로직의 데이터는 비즈니스 로직을 통해 언제든 변할 수 있기 때문이고컨트롤러단 로직은 받아온 데이터와, 응답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변할 일이 없기에 선언 방식이 다른 것이 맞을까요? 너무 기초적인 부분일 수 있지만제가 이해한 바가 맞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리스너 안쓰고 이렇게도 되나요?
선생님께서는 tabbarview에서 리스너 만들어 등록하셨는데 리스너 안쓰고 1) currentindex: controller.index를 코드에 넣어도 되지 않나요?!?! 리스너 안쓰고 2) on tap 에서 controller.animateTo(index)밑에 추가로Setstate( this.index=index) 이렇게 해도 되지 않나요 ?! 예상에는 2개다 다 가능할 거 같은데 맞는지 질문 남깁니다 ..!
-
해결됨MFC Windows 프로그래밍 - 기본
pOldPen = dc.SelectObject();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에서 옛날 윈도우(XP)에서는 pOldPen = dc.SelectObject()를 안해주면 문제가 생길수 있고, 요즘 윈도우즈에서는 괜찮을거라고 하셨는데요.이부분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고 싶습니다.테스트용으로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void CPenBrushDemoView::OnPaint() { CPaintDC dc(this); // device context for painting CBrush NewBrush; //비트맵 클래스 객체를 선언하여 비트맵 리소스 로딩. CBitmap Bmp; Bmp.LoadBitmap(IDB_BITMAP1); //로딩된 비트맵 리소스로 패턴 브러시 생성. NewBrush.CreatePatternBrush(&Bmp); CBrush* pOldBrush = dc.SelectObject(&NewBrush); //클라이언트 뷰 클래스의 클라이언트 영역 크기를 알아내고 //그 크기에 해당하는 네모를 그림. CRect Rect; GetClientRect(&Rect); dc.Rectangle(&Rect); dc.SelectObject(pOldBrush); DWORD style[] = {6, 3}; LOGBRUSH lb; lb.lbStyle = BS_SOLID; lb.lbColor = RGB(255, 0, 0); // 여기서부터... CPen* pOldPen; CPen FirstPen; { FirstPen.CreatePen(PS_GEOMETRIC | PS_USERSTYLE | PS_ENDCAP_FLAT, 20, &lb, 2, style); pOldPen = dc.SelectObject(&FirstPen); dc.MoveTo(40, 40); dc.LineTo(240, 40); } CPen SecondPen; { SecondPen.CreatePen(PS_GEOMETRIC | PS_USERSTYLE | PS_ENDCAP_FLAT, 40, &lb, 2, style); dc.SelectObject(&SecondPen); dc.MoveTo(40, 240); dc.LineTo(240, 240); } { CPen ThirdPen; ThirdPen.CreatePen(PS_GEOMETRIC | PS_USERSTYLE | PS_ENDCAP_FLAT, 60, &lb, 2, style); dc.SelectObject(&ThirdPen); dc.MoveTo(40, 440); dc.LineTo(240, 440); } dc.MoveTo(40, 640); dc.LineTo(240, 640); dc.SelectObject(pOldPen); } 위 코드에서는 총 4개의 직선을 그리고 있습니다.여기서, CPen ThirdPen은 스코프 안에서 소멸자가 불러질 때 DeleteObject()가 실행되면서 gdi는 없어집니다. 하지만 디바이스컨텍스트(dc)는 계속 해당 gdi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이후에 dc는 지워진 gdi의 방식대로 직선을 그리고 있습니다.(dc.MoveTo(40, 640); dc.LineTo(240, 640);) dc가 가리키고 있던 gdi가 지워졌는데도 불구하고 어떻게 기존의 방식대로 그릴수 있는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위의 코드에서,dc.MoveTo(40, 440);dc.LineTo(240, 440);를 지우게 되면 ... { CPen ThirdPen; ThirdPen.CreatePen(PS_GEOMETRIC | PS_USERSTYLE | PS_ENDCAP_FLAT, 60, &lb, 2, style); dc.SelectObject(&ThirdPen); // dc.MoveTo(40, 440); // dc.LineTo(240, 440); }ThirdPen이 스코프를 벗어난 이후 마지막 직선은 ThirdPen의 방식이 아닌 SecondPen의 방식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좀 전의 위에서 동작한 방식과 일관성이 맞지 않는것같아요. 질문글이 길어서 요약을 해보자면..2개의 소스코드가 사소한 차이가 있는데 왜 DC가 동작하는 방식이 다를까요?DC와 GDI에 대한 저의 생각에서 혹시 오류가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인터페이스 객체 생성
안녕하세요!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구조에 관련된 질문이 있습니다.강의를 통해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면힙에는 인터페이스 객체(x001), 클래스 객체(x002)가 함께 생성된다고 이해했습니다.(x000<시작 주소>이라는 공간 안에 x001과 x002가 함께 있는 형태)상속의 경우, 부모 클래스 객체와 자식 클래스 객체가 같은 공간에 생성된다는 것이 명확히 이해가 되는데인터페이스의 객체가 생성된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인 것인지, 설명을 위한 개념인지 궁금합니다.인터페이스는 인스턴스 멤버가 없는 추상메서드만 존재하기에 인스턴스화 된다는 거 자체가 이해가 안돼서요..혹시 가상 메서드 테이블이 존재하는 메모리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인터페이스 객체라고 표현하신 걸까요?그렇다면 참조변수를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했을 때는 인터페이스 메서드테이블을 먼저 확인하고,오버라이딩 된 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하며참조변수를 클래스 타입으로 했을 때는해당 클레스의 메서드 테이블을 바로 확인하고 클래스의 오버라이딩 된 멤버 메서드를 호출한다.위와 같은 이해가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내용]궁금한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사이킷런 업그레이드 수행 및 XGBoost와 LightGBM 설치 강의 (mac os용 영상이나 가이드)
안녕하십니까 교수님.사이킷런 업그레이드 수행 및 XGBoost와 LightGBM 설치 강의를 듣는 중 영상이 윈도우에 초점이 되어있는데저는 mac os를 쓰고 있습니다. 1:19초부터 진도를 못따라가겠는데mac 용 설치방법 영상이나 가이드는 따로 없을까요?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강의 자료가 좀 깨지는 것 같습니다.
혹시, 폰트 포함해서 다시 업로드 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스토리북과 UI 테스트
스토리북 테스트 실패 및 워크플로우 무기한 중단 문제 (Accessibility 테스트 강의)
안녕하세요. 제가 강의에서 놓친 부분일 수도 있겠지만, 스토리북 테스트 실패 및 워크플로우 무기한 중단 문제에 대해서 제가 해결한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노드 버전]상단의 이미지처럼 워크플로우가 돌아가면서 노드 버전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는 .nvmrc 파일에 작성된 노드버전을 조정하여 해결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18.18.0) [워크플로우]상단의 이미지는 워크플로우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아 직접 워크플로우를 취소한 화면인데, 이 문제는 워크플로우의 스크립트를 수정하여 해결했습니다.npx wait-on tcp:127.0.0.1:6006 && yarn test-storybook해당 문제는 노드 버전으로 인해 발생된 것으로 보이며,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https://github.com/storybookjs/test-runner/issues/301 [스토리북 테스트 실패]스토리북 테스트 명령어를 로컬에서 돌릴 경우, 강의를 따라가면서 생성한 스토리들과 컴포넌트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Header, Page, LoggedIn(Smoke-test), LoggedOut(Smoke-test)... 위와 같은 파일들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해당 파일들을 모두 삭제하여 해결했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소켓과 파일, 그리고 시스템 콜에 대하여
항상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866611위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Kernel 요소에 대한 User mode 접근은 모두 장치 '파일'로 이루어진다는 점 입니다.' 부분에서 추가적인 질문이 있습니다.Kernel 요소에 대한 User mode 접근은 결국 시스템 콜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알고있습니다.그렇게 되면 시스템 콜이 파일이라는 말씀이실까요?물론 시스템 콜은 결국 함수이므로 파일에 코드가 작성된 형태이긴 하겠지만, 이것이 파일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부분이 잘 와닿지 않습니다.추가적으로 파일의 타입 중 소켓 타입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는데,그렇다면 네트워크 연결 시, 연결된 수 만큼 소켓이 생기고 그곳에 연결된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정보들이 기록되는 형태인 것일까요..?마지막으로 시스템 프로그래밍 관련해서 널널한 개발자님이 추천하시는 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기초 프로그래밍 입문
visual studio2022에서 c# 프로젝트 로드가 안됩니다
만들고나서 로드가 안되어 불러오기를 해봤는데.NET.Sdk SDK를 찾을 수없다고 했는데 .NET 데스크톱 개발, Unity를 사용한 게임 개발 모두 설치 되어있습니다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의 이해와 실습 (webpack, babel, eslint..)
TypeError: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MiniCssExtractPlugin]) is not iterable
TypeError: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MiniCssExtractPlugin]) is not iterable문제 없어보이는데 계속 저 에러가 발생하네요npm run build 만 입력하면 production이 아니니까 타야할거같은데 환경변수를 집어넣어주면 에러가 발생안하고 안넣어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const childProcess = require("child_process"); const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const { CleanWebpackPlugin } = require("clean-webpack-plugin"); const MiniCssExtractPlugin = require("mini-css-extract-plugin"); const isProduction =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module.exports = { mode: "development", entry: { mainSrc: "./app.js", }, output: { path: path.resolve("./dist"), filename: "[name].js", }, module: { rules: [ { test: /\.css$/, use: isProduction ? [MiniCssExtractPlugin.loader, "css-loader"] : ["style-loader", "css-loader"], }, { test: /\.(png|jpg|gif|svg)$/, type: "asset/resource", }, { test: /\.js$/, loader: "babel-loader", exclude: "/node_modules/", }, ], }, plugins: [ new webpack.BannerPlugin({ banner: ` Build Date : ${new Date().toLocaleString()} Commit Version : ${childProcess.execSync("git rev-parse --short HEAD")} Author : ${childProcess.execSync("git config user.name")} `, }), new webpack.DefinePlugin({ TWO: "1+1", TWO_STRING: JSON.stringify("1+1"), "api-domain": JSON.stringify("http://dev.api.domain.com"), }), new HtmlWebpackPlugin({ template: "./src/index.html", templateParameters: { env: 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 "개발용" : "운영", }, minify: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 collapseWhitespace: true, removeComments: true, }, }), new CleanWebpackPlugin(),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 new MiniCssExtractPlugin({ filename: "[name].css", }), ]), ], };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Setstate 질문이요
Ontap 같은 경우는 Setstate를 써서 값 변경시 적용해주는데 음…onchanged 같은 건 발 this.변수 = 변수 이렇게. Setstate를 쓰지않고 바로 적용이 되는거 같아요 …,, 코드를 들여다보면 무슨차이가 있길래 Setstate 가 한쪽은 있고 한쪽은 없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