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npm 설치도 하고 dotenv config파일도 동일한데 왜 이런 에러가 불러올까요...env 를 못 읽는거같은데, 패스워드 문자로 넣으면 정상적이구요 [제로초 강좌 질문 필독 사항입니다]질문에는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는 질문과 도움이 되지 않는 질문이 있습니다.도움이 되는 질문을 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PUKOWrOuC0c0. 숫자 0부터 시작한 이유는 1보다 더 중요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에러가 났을 때 해결을 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닙니다. 왜 여러분은 해결을 못 하고 저는 해결을 하는지, 어디서 힌트를 얻은 것이고 어떻게 해결한 건지 그걸 알아가셔야 합니다. 그렇지 못한 질문은 무의미한 질문입니다.1. 에러 메시지를 올리기 전에 반드시 스스로 번역을 해야 합니다. 번역기 요즘 잘 되어 있습니다. 에러 메시지가 에러 해결 단서의 90%를 차지합니다. 한글로 번역만 해도 대부분 풀립니다. 그냥 에러메시지를 올리고(심지어 안 올리는 분도 있습니다. 저는 독심술사가 아닙니다) 해결해달라고 하시면 아무런 도움이 안 됩니다.2. 에러 메시지를 잘라서 올리지 않아야 합니다. 입문자일수록 에러메시지에서 어떤 부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지 모르실 겁니다. 그러니 통째로 올리셔야 합니다.3. 코드도 같이 올려주세요. 다만 코드 전체를 다 올리거나, 깃헙 주소만 띡 던지지는 마세요. 여러분이 "가장" 의심스럽다고 생각하는 코드를 올려주세요.4. 이 강좌를 바탕으로 여러분이 응용을 해보다가 막히는 부분, 여러 개의 선택지 중에서 조언이 필요한 부분, 제 경험이 궁금한 부분에 대한 질문은 대환영입니다. 다만 여러분의 회사 일은 질문하지 마세요.5. 강좌 하나 끝날 때마다 남의 질문들을 읽어보세요. 여러분이 곧 만나게 될 에러들입니다.6. 위에 적은 내용을 명심하지 않으시면 백날 강좌를 봐도(제 강좌가 아니더라도) 실력이 늘지 않고 그냥 코딩쇼 관람 및 한컴타자연습을 한 셈이 될 겁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컨버터와 포맷터 우선순위 질문
조금 억지 질문이긴한데요"1000" -> "1,000" 으로 바꿔주는 StringToCommaConverter A와"1000" -> "1,000"으로 바꿔주는StringCommaFormatter B가 있다면A와 B중 어떤게 먼저 실행되나요?또"1000" -> "1,000$"으로 바꿔주는StringDollarFormatter C까지 있다면B와 C중 어떤게 먼저 실행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lombok spring 3.2.x 설치 관련 문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모름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네[질문 내용]Java 21 버전, spring boot 3.2.1 , dependency-management 1.1.4 입니다.lombok관련해서 이슈가 있어 깔리지 않는걸까요 ? 아예 에러도 안뜹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ashMap 에러가 발생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테스트 케이스 작성하고 처음으로 실행해볼 때 실행하니까 HashMap에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6강 질문 @RequestParm, @RequestBody
@GetMapping("/add") public int addTwoNumbers(CalculatorAddRequest request) { return request.getNumber1() + request.getNumber2(); } @PostMapping("/multiply") public int multiplyTwoNumbers(@RequestBody CalculatorMultiplyRequest request) { return request.getNumber1() * request.getNumber2(); }GetMapping 메소드에서는 @RequestParm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쿼리 데이터를 DTO로 변환해주고 PostMapping 메소드에서는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야만 Body 데이터를 DTO로 변환해주는 것인가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리액트 쿼리 질문
Home에서 작성한 리액트 쿼리 컴포넌트 및 변수들 역할들이 제가 맞게 이해했는지 궁금한데요!queryClient = new QueryClient() - 쿼리 클라이언트 초기화, 서버에서 동작하는데 클라이언트라는 의미가 어떤의미인지 잘 와닿지 않습니다. ㅠㅠ 여기서의 쿼리 클라이언트의 의미는 단순히 데이터를 담는 그릇이라고 봐도 될까요?RQProvider.tsx에서 useState안 new QueryClient 리액트 쿼리 어플리케이션 초기화 및 리액트 쿼리 설정 -> 여기서는 데이터를 담는 그릇을 만들기보다는 리액트 쿼리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해주는 것인지? queryClient.prefetchQuery - 쿼리 클라이언트에 SSR을 위해 프리페치를 해주는 함수dehydrate() - 프리페치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하이드레이션하기위한 상태를 리턴하는 함수HydrationBoundary - 리액트 쿼리 하이드레이션을 위한 컴포넌트, dehydrate()의 리턴값 dehydratedState를 기반으로 하이드레이션할지 말지 결정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쿠폰 insert 실패시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카프카 컨슈머가 쿠폰레포지토리에 save하는 과정에서 모종의 이유로 실패하여 롤백 되었을 때, 레디스에서는 이미 increment가 되었는데 이걸 하나 빼줘야되는거 아닌가요?이런 처리는 어떻게하는지 궁금합니다 !추가) 뒤에 얘기가 나오는군요 ㅎㅎㅎ.. FailedEvent를 저장하는 것도 실패하였다면, 배치프로그램이 제 역할을 못할 것 같은데요.. ! 그렇다면 로그를 보고 판단해야할 것 같은데 실무에서도 그렇게 진행이 될까요 ? 그리고, FailedEvent를 삽입하는 것에서도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또 try catch로 묶어서 이것 마저 실패할 경우에도 로그를 따로 남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
미해결앨런 iOS 앱 개발 (15개의 앱을 만들면서 근본원리부터 배우는 UIKit) - MVVM까지
layoutSubviews와 layoutIfneeded() 메서드 차이
먼저 layoutSubViews는 직접 호출하면 안된다고 했는데요. 그러면 ViewCycleCustomBtn 프로젝트 내의 MyView에서 layoutSubViews가 아니라 layoutIfneede() 나 setNeedsLayout()을 써서 layoutSubViews가 호출되도록 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헷갈리네요;;;override func layoutSubViews() { ... }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EOF와 바이너리 파일의 대하여.
EOF란?파일 대신 배열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예를들어 int a[3]이 있다고 가정을 하면 [0]번 인덱스부터 [2]번 인덱스 까지 있을 것 입니다. 파일을 읽는 것 처럼 배열로 읽는다고 바꿔 생각해보면 [0]번 인덱스를 읽을 땐 배열(파일)의 끝이 아니니 거짓(0)을 리턴합니다. 이렇게 [2]번 인덱스까지는 배열의 끝이 아니니 거짓(0)을 리턴 합니다. 그러다가 [3]번 인덱스를 읽었을 땐 배열의 끝 이므로 참(1)을 반환합니다. 이러한 개념을 파일로 적용 해봤을 때 이해한게 맞을까요??바이너리 파일과 확장자요즘 소프트웨어가 다양하고 각 소프트웨어마다 확장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확장자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이번 강의를 보고 느낀점은 결국 확장자 라는 개념은 그 소프트웨어의 확장자 임을 나타내기 위함이고각 소프트웨어의 확장자 파일을 읽어올 때나 저장(출력)할 때 소프트웨어 개발사가 미리 정해둔 어떤 데이터들의 형식, 구조, 순서 대로 저장을 하고. 그 저장된 확장자 파일을 불러올 때 앞 서 미리 정해둔 저장(출력) 틀에 따라 데이터들을 차례대로 가져와서 사용하는 개념일까요?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jjwt 0.12 이상으로 하시는 분들에게..
jjwt가 버전업 되면서 강사님이 업데이트 해주신 코드들도 jwt valid할 때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고요... 그래서 찾아본결과다음과 같이 작성하시면 원활하게 동작을 합니다. 참고하세요. private boolean isJwtValid(String jwt) { byte[] secretKeyBytes = Base64.getEncoder().encode(env.getProperty("token.secret").getBytes()); SecretKey signingKey = new SecretKeySpec(secretKeyBytes, SignatureAlgorithm.HS512.getJcaName()); boolean returnValue = true; String subject = null; try { JwtParser jwtParser = Jwts.parser(). verifyWith(signingKey).build(); Jws<Claims> claimsJws = jwtParser.parseSignedClaims(jwt); Claims payload = claimsJws.getPayload(); subject = payload.getSubject(); }catch (Exception ex){ returnValue = false; } if(subject == null || subject.isEmpty()){ returnValue = false; } return returnValue; }
-
해결됨[React / VanillaJS] UI 요소 직접 만들기 Part 1
gnb 를 이렇게 수정해 봤어여
gnb 를 이렇게 수정해 봤어여https://github.com/hyunsokstar/challenge_gnb 부모 메뉴일 경우 토글 가능하도록 react 상태와 연동https://github.com/hyunsokstar/challenge_gnb/blob/main/src/app/Component/ParentGnbItem.tsx zustand 로 현재 active 메뉴 관리https://github.com/hyunsokstar/challenge_gnb/blob/main/src/app/Component/ChildGnbItem.tsx https://github.com/hyunsokstar/challenge_gnb/blob/main/src/app/%5B...item%5D/stores/isActiveLinkStore.ts결과:이렇게 수정한 방식도 괜찮을까여?그리고 강의에서 src\app\[...item]\page.tsx 에서 url path를 얻어와서 Next Js 의 파일 기반 페이지 라우팅을 통째로 custom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런 방식은 Next Js에서 gnb 를 구현 하는 이상적 혹은 보편적인 방법 이라서인지 아니면 강의를 위한 제한적 구현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Windows 시스템 프로그래밍 - 기본
강사님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메모리를 내부적으로 64KB 와 4KB 로 관리하는 내역이 뭔지 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릴 수 있는지요?4KB 는 시스템에서 한번에 이동하는 즉 PAGE 단위라는 것은 알고 있는데 64KB 의 의미는 정확히 이해가 좀 안가서요....또한 4Kb 를 넘어가는 메모리 요청은 한페이지를 넘어가는데 이 경우 메모리의 주소 관리 등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궁금합니다. 아울러 한가지만 더 여쭤보면 만약 스레드를 생성하고 대기하기도 전에 스레드가 종료되어 버리면 WaitForSingleObject는 어떻게 동작하나요?또한 SetEvent() 를 호출하여 이벤트가 signalled 상태로 변경하면 WaitForSingleObject() 를 호출하는 모든 스레드는몇번이고 Event 가 non-signalled 로 전환되기 전까지는 몇번이고 WaitForSingleObject() 를 통해 Event 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건가요?
-
해결됨[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state 구조 잘짜는 법
조금 포괄적인 질문인데 어텋게 하면 state 구조를 잘 짤수 있을까요? 라이브러리 문법이나 그런 건 쓰다보면 익숙해지는 부분이 있어서 크게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는데이 강의에서 reducer을 user reducer랑 post reducer로 나누는 부분처럼 state 구조 짜는 것은 스스로 생각하기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예전에 자바 살짝 공부 했을 때 배웠던 객체지향적인 부분도 있는 것 같고 좀 혼란스럽네요
-
미해결롱런하는 슈퍼 개발자가 되기 위한 필수 지식, IT 인프라 기초 총정리
수강기간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이미 결제를 하고 수강중입니다. 수강기간에 유료수강기간 1개월 되어있는데 혹시 강의는 1개월지나면 못듣게 되는건가요??
-
미해결핸즈온 리액트 네이티브
Top Tab 사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사진 앱 외에 제가 원하는 앱을 구현하기 위해 강의를 많이 참고하고 있습니다!하단탭을 사용하는 것까지는 강의와 동일합니다만, 홈 화면에서만 상단탭을 사용하려고 하고 있습니다.React Navigation의 Material Top Tab Navigator를 사용했고, 그 과정에서 StatusBar 배경색이 회색으로 변경되어버렸습니다 ㅠㅠ... 아무리 배경 색을 바꾸어도 변경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Android는 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iOS에서 계속해서 회색 배경으로 보입니다)그리고 상단탭 하단의 리스트는 FlatList를 사용하였는데, 데이터 양이 적을 때에도 남은 배경색이 회색으로 보입니다 ㅠㅠ처음에는 상단탭 아래쪽 화면(BoatListScreen) 부분에 flex:1을 줘서 배경색을 늘려보았지만, 그렇게 하니 상단탭 아래에 있는 ScrollView(시흥 등 버튼이 있는)에 적용했던 높이값이 이상해져서 세로로 늘어나게 되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HomeScreen 에서 TopTab을 바로 불러오게 했는데 이게 문제인걸까요? ㅠㅠ강의 내용과는 좀 다른 부분이긴 하지만 한번 질문드려봅니다..!!
-
해결됨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그래들 디펜더시 버전 명시
안녕하세요, 궁금한 게 있어 질문드립니다!현재 강의까지 그래들에 3개의 디펜던시를 추가해주었는데요, 기존 자바-스프링부트 환경에서는 디펜던시에 라이브러리 버전을 명시하지 않아도 스프링부트가 내부적으로 호환되는 버전을 찾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반면, 코틀린-스프링부트에서 디펜던시를 사용할 때 세 경우 모두 버전까지 명시해 사용했는데요, 혹시 코틀린을 사용할 땐 매번 이렇게 최신의 안정화된 버전을 찾아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또한 검색해보니 groovy gradle 대신 사용하는 kotlin-dsl이라는 것도 봤는데요, 혹시 고급편에 이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지도 궁금합니다.항상 정성들인 답변 감사합니다.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SQL
Weather Observation Station 6, 12에서 OR, AND
같은 질문이 있던데 답변을 봐도 이해가 안되네요. 6번 문제는 모음으로 시작하지 않는 것에 OR를 사용12번 문제는 모음으로 시작하지 않고 끝나지 않는 것에 AND를 사용 바꿔서 6번문제에 AND를 사용하거나 12번에 OR를 사용하면 안 되는 건가요?
-
미해결[개정판] 딥러닝 컴퓨터 비전 완벽 가이드
안녕하십니까! 질문이 있습니다.
32 32 에서는 보다 작은 이미지들이 검출되고4 * 4에는 보다 큰 이미지들이 검출된다고 말씀하셨는데. FC layer은 사이즈 마다 실행되는건가요?예를들어 32 32에서는 사람이 검색되고 4 4에서는 자동차가 검출되었다고 했을 때 32 32에서도 FClayer가 수행이되고 4 4에서도 FClayer가 수행되서 결과로는 자동차 & 사람 모두가 검출되는 원리 인건가요?
-
해결됨Windows 시스템 프로그래밍 - 기본
비즈니스 코드는 프로세스간에 공유가 되는건지요?
개발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여러개의 프로세스로 기동할 때실행코드는 모든 프로세스가 공유하는 건지요? 만약 그렇다면 사용자 코드는 사용자 메모리에 어떻게 올라가서 어떤식으로 모든 프로세스가 공유할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kubectl 명령어 설명에 대한 궁금증
kubectl 명령어데 대해 가르쳐주셧는데 내용이 이해가 안가는 것이 있습니다. kubectl get - 오브젝트 조회kubectl run, create, apply - 오브젝트 생성 kubectl delete - 오브젝트 삭제kubectl exec - 파드 내부에 컨테이너로kubectl sclae - 파드 갯수를 늘리거나 줄임kubectl edit - 배포된 오브젝트를 수정 여기서 kubectl get, run, create, apply, delete는 명령어의 대상이 오브젝트라고 설명하셧고 kubectl exec, kubectl sclae은 명령어 대상이 파드라고 말하셧는데 오브젝트, 파드 이 두 개의 개념이 동일한 건가요??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