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후속 강의 출시 예정일 문의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파트2 강의는 언제쯤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디폴트 메서드를 사용한 리펙토링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코드 구조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현재 상황PostStrategy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3개의 구현체를 두어, 홈 피드에 게시글을 조회하는 전략을 분리했습니다.인터페이스에는 homePosts() 관련 메서드가 여러 버전으로 존재합니다. (homePosts, homePostsV2, homePostsV3 등)public interface PostStrategy { boolean isExecutable(UserContext userContext); boolean requiresAuthentication();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int size, Long cursorPostId, String username);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V2(int size, Long cursorPostId, String username);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V3(int size, Long cursorPostId, UserContext userContext); ... } 문제 상황구현체 중 ForYouPostStrategy만 V2와 V3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구현체에서는 homePosts()만 호출하는 식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단순했는데 버전이 늘어나면서 인터페이스가 점점 커지고 불필요한 코드가 많이 생긴 상황입니다. 궁금한 점PostStrategy 인터페이스에 default 메서드를 정의해 공통 로직을 담고, 특정 전략에서만 필요한 부분을 오버라이드하는 방식으로 해도 괜찮을지 궁금합니다.또는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리팩토링하는 것이 더 적절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기본편"
eslint 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실무에서 사용하는 자주 사용하는 eslint 룰 등이 있을까요? 자바의 경우 네이버 자바 컨벤션이나 구글 컨벤션이 있는데 eslint 룰도 컨벤션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
text2cypher 에 최적화된 llm은?
모델별 차이라던가, cypher 쿼리작성에 유리한 llm 모델은 무엇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Inner Join에서 쿼리 작성 시 ON 절 테이블 배치 순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Inner Join 시 ON의 조건을 선언하는 부분에서, FROM 절에 있는 테이블을 먼저 작성하고, 이후 Join 절에 있는 테이블을 작성한 것을 보았습니다.ex. select u.address from orders ojoin users u on o.user_id = u.user_id where o.order_id = 1 ; 여기서 u.user_id = o.user_id 라고 작성해도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는데, o.user_id = u.user_id 형태로 쓴 것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인가요? 아니면 성능상의 이슈가 있는 건가요?
-
미해결빅데이터/텍스트마이닝 분석법 (LDA,BERTtopic,감성분석,CONCOR with ChatGPT)
심화 강의 개설 여부
안녕하세요! 강의를 계속 보다 빅데이터 분석 심화 관련 수업도 신청하고 싶은데, 혹시 향후 심화 수업도 개설할 의향이 있으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잘 적용해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에서 배운 내용들을 현업에서 좀 더 잘 적용해보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강의 자체로도 큰 도움이 되었지만 막상 코드로 작성하려니 잘 적용하고 있는지 자주 고민이 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내용을 웹 프레임워크에 잘 적용시킬 수 있는 책이나 참고할만한 구조의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강의를 본 뒤에 추가로 공부할만한 자료들을 추천해주셨으면 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 혼자서 하루 만에 수익화 앱 출시하기
Cursor에서 모델 선택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강의에서 Claude 3.7로 진행을 하시지만 현재 강의를 듣는 시점에서는 Claude 4.5가 나온 상태여서 일단 4.5로 진행하다가 할당량을 다 쓰면 점점 낮은 버전의 Claude로 선택해서 이어나가고 있습니다.이제는 더 최신 모델도 많이 나왔으니까 Claude 선택을 고집하지 말고 Auto로 하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최신 모델 선택 우선순위가 변경된 게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실무에서의 커스텀 Collector 사례 여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현재 Stream API Collector 65강까지 수강 완료한 수강생입니다.먼저 강사님 덕분에 자바에 대해서 계속 공부하는 시간이 정말 즐겁니다! 감사합니다! 아래와 같은 질문 사항이 있어 남깁니다!실무에서 Collector를 직접 구현해야 하는 상황은 어떤 경우가 많나요?직접 Collector를 구현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병렬 스트림에서도 안전하게 동작하도록 어떤 설계 포인트를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까요? 다소 정답이 없는 질문이지만 방향성과 강사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문자열 슬라이싱
안녕하세요?문자열 슬라이싱 실습하는데 결괏값에 작은따옴표가 나오든 안나오든 상관 없나요?
-
미해결업무가 100배 빨라지는 엑셀 데이터 활용과 분석 노하우
파워쿼리 원본 데이터 추가시 표영역 자동지정
안녕하세요 강사님 파워쿼리 부분 강의 듣다 질문드립니다.파워쿼리에서 원본 데이터추가시 붙여 넣기 한 후 표의 영역이 추가한 데이터아래까지 자동지정이 되는 경우가 있고 아닌 경우가 있어 확인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혹시 자동으로 안되는 이유가 따로 있는 건지 문득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명확한 명세서 없이 진행된 프로젝트
스키마 명세서, 요구사항 명세없이 유지보수, 개발된 프로젝트의 경우 스키마 명세서를 나중에라도 추가해서 관리하는게 훨씬 좋을까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테스트의 기준을 어떤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테스트일까요 ?
안녕하세요. 토비님!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본 경험이 많지 않아서강의 내에서 테스트 단원을 보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의 예제는 paymentService 를 테스트 하는 코드를 작성하시고,스프링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과 스프링을 이용해 DI 를 통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코드는 paymentService 의 prepare 메소드 하나를 검증하는데,사실은 3가지 목적. 적용환율, 원화 환산 금액, 원화 환산 금액 유효시간을 테스트 합니다.실제로 현업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에서는 보다 많은 코드와 기능이 존재할테고,그에 따른 경우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질거라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보통, 어떤 기준을 통해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테스트 일까요 ?예를들어 제가 생각해본 여러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순히 prepare 메소드 하나만. 메서드 단위로 테스트를 진행.메서드 안에 존재하는 메서드(예시 코드에서는 provider 메서드) 단위.목적에 따라서. 적용 환율을 잘 가져오는지, 원화 환산 금액이 잘 계산 되는지, 유효시간을 잘 지키는지.그 밖에 여러가지 방법.예를들어 기능이 잘 작동하는지 크게 테스트 한 뒤, 내부적으로 변동사항이 있을 법한 코드만 따로 분리해서 테스트. 물론, 프로젝트 특성이나 팀의 컨벤션, 서비스 코드를 작성할 코드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는 너무 작게도, 그렇다고 너무 뭉뚱그려서도 안된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보편적으로 어떤 기준을 가지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게 되나요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DAP 자격증 현업에서 유용한가요?
DAP 데이터 설계 자격증 현업에서 유용하거나 인정해주는 자격증인가요
-
미해결코딩 없이 AI 자동화 전문가가 되는 법, n8n 완벽 가이드
선생님 앞으로 강의계획이 궁금합니다.
현재 저는 코딩없이 AI 자동화 와 수익형 AI 에이전트 만들기 강의를 시청중에 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따라가는데 참 잘 가르쳐주시고 영상퀄리티 및 시간 대비 가격이 저렴하게 느껴질 정도입니다. 혹시 다음 강의 계획이 어떻게 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문서화 질문입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BDD 설명하시면서 개발자가 아닌 사람이 봐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추상화 수준을 권장한다고 하셨는데요 작성한 테스트를 따로 문서화 하기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query-string과 url파라미터 이름이 같은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예를 들어서book 디렉토리 밑에 [id.tsx] 을 만들고/book/10?id=test 이런 형태로 넘긴다면 router.query의 값은 어떤 형태로 저장이 되나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mysql을 가상 서버에 설치해도 강의에서 진행되는 내용을 따라서 실습하는데 영향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섹션2를 진행하는 중에 질문드립니다. 제 개발환경은 윈도우 os를 쓰고 있어 리눅스 환경에서 mysql을 설치하고자 가상머신에 ubuntu os 서버를 생성하여 mysql을 설치했는데요. 이렇게 해도 뒷부분 강의까지 실습을 따라가는데에 영향이 없는지 문의드립니다. 개발환경과 동일한 서버에 mysql을 설치해야 한다면, 다시 설정하려고 합니다.
-
미해결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하기
Artillery에서 VUSER는 어떻게 측정되는 걸까요?
Artillery 공식 문서를 보고 있는데, VUSER(가상유저)에 대해서 언급되고 있는데요.Artillery에서 VUSER(가상유저)는 어떻게 정의되고 측정되는 걸까요?그저 초당 요청한 횟수로 VUSER가 정의되고 측정되는 걸까요?Ngrinder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알고 있어서요~VUser 공식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VUser = (목표 RPS 테스트 시간) / (평균 응답 시간) 또는 VUser = (프로세스 수) * (스레드 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VUser는 가상 동시 사용자 수를 의미하며, 서버의 성능을 부하 테스트할 때 사용됩니다
-
미해결고도엔진으로 벽돌깨기 2D게임 만들기
godot 학습방법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제가 1인 게임개발자를 꿈꾸며 godot로 처음 코딩을 접하고 게임을 만들어보고 있는데 너무 막막하네요.. 혹시 공부를 어떻게 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유니티나 c# 등을 먼저 좀 체계적으로 배운 후에 고도를 다시 보는 게 좋을까요? 혹시 고도 사용자 커뮤니티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ㅠㅠ